한국과학기술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1971년 한국과학원(KAIS)으로 설립된 대한민국 최초의 이공계 대학원 중심 대학이다. KAIST는 미국 국제개발처의 지원과 박정희 대통령의 지원을 받아 설립되었으며, 석사 및 박사 과정으로 시작하여 1981년 한국과학기술연구소(KIST)와 통합하여 현재의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되었다. 대전 본원, 서울 분원, 문지 및 도곡 캠퍼스를 운영하며, 학사, 석사, 박사 과정 학생들에게 전액 장학금을 지급하고 있다. KAIST는 국내외 대학 평가에서 높은 순위를 기록하며, 과학기술 분야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과학기술원 - 광주과학기술원
광주과학기술원은 1993년 대한민국 정부에 의해 설립된 과학기술 연구 중심의 대학원으로, 과학기술 인재 양성, 연구 기반 구축, 국내외 협력적 연구 프로그램 장려를 목표로 하며 학부생도 모집하고, QS 세계 대학 랭킹에서 우수한 연구 역량을 인정받고 있다. - 과학기술원 -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2003년 설립된 연구 중심 대학으로, 2008년 교육 기능을 추가하여 학위 과정을 운영하며 융복합대학, 대학원, 부설 기관을 두고 융합연구원과 연구 지원 인프라를 통해 연구를 지원하고 DGIF를 개최하며 일본 대학들과 국제 교류를 한다. - 서울 동대문구의 학교 -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특별시의 공립 종합대학교인 서울시립대학교는 경성공립농업학교로 시작하여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으며, 도시과학 특성화 대학으로서 도시 관련 학문 분야에 강점을 가지고 서울특별시의 지원으로 낮은 등록금과 높은 장학금 수혜율을 유지하고 대한민국 최초로 반값 등록금을 시행하였다. - 서울 동대문구의 학교 - 경희사이버대학교
경희사이버대학교는 2001년 경희대학교 시스템에서 설립된 온라인 교육기관으로, 여러 학부·학과와 대학원을 운영하며 다양한 부속 기관 및 해외 대학과의 협력을 통해 폭넓은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많은 연예인들이 재학하거나 졸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서울 강남구의 학교 - 밀알학교
밀알학교는 1996년 설립 인가를 받아 1997년 개교한 대한민국의 특수학교로, 지역 사회 및 국내외 특수학교와의 교류, 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을 통해 발전하며 특수교육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 서울 강남구의 학교 - 글로벌사이버대학교
글로벌사이버대학교는 2009년 천안에 설립되어 2010년 개교한 대한민국의 사립 사이버대학교로, 서울캠퍼스를 운영하며 4개의 단과대학과 4개의 학부로 구성되어 다양한 학과를 운영하고, 국제 협력 확대, 수상 경력, 뇌교육 중심의 특화된 교육과정을 제공한다.
한국과학기술원 - [대학]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한국과학기술원 |
로마자 표기 | Hanguk Gwahak Gisurwon / Kaiseuteu |
영어 이름 |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설립 | 1971년 |
학교 종류 | 국립 |
총장 | 이광형 |
소재지 | 대전광역시 유성구 |
캠퍼스 | 도심 |
본원 캠퍼스 면적 | 1,432,882 m² (354.19 에이커) |
서울 캠퍼스 면적 | 413,346 m² (102.14 에이커) |
소속 | AEARU AOTULE APRU ASPIRE League |
웹사이트 | KAIST 웹사이트 |
조직 | |
교수진 | 646 명 (2021년) |
행정 직원 | 944 명 (2021년) |
학생 수 | 10,793 명 (2021년) |
학부생 | 3,605 명 |
석사 과정 | 3,069 명 |
박사 과정 | 2,765 명 |
기타 | 1,354 명 (석박사 통합 과정) |
예산 | ₩1조 (미화 8억 7800만 달러) (2021 회계연도) |
연혁 | |
설립 년도 | 1971년 석박사 과정, 1984년 학사 과정 |
설립 형태 | 국립 특별법법인 |
설치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캠퍼스 정보 | |
본부 캠퍼스 |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학로 291 |
서울 캠퍼스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로 85 |
문지 캠퍼스 | 대전광역시 유성구 문지로 193 |
도곡 캠퍼스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28길 25 |
상징 | 교문 오리연못 석림(碩林)의 종(까리용) |
학부 및 대학원 | |
학부 | 3,873명 (2017년) |
대학원 | 6,642명 (2017년) |
학부 정보 |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기술대학 공과대학 정보과학기술대학 인문사회융합과학대학 경영대학 |
협력 대학 | |
협력 대학 | 덴마크 공과대학교 카네기 멜런 대학교 조지아 공과대학교 베를린 공과대학교 |
기타 | |
교직원 수 | 교수 621명 (2017년) |
2. 연혁
KAIST의 설립과 발전 과정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시기 | 주요 내용 |
---|---|
1971년 ~ 1980년 | 1971년 2월 16일 한국과학원법에 의거, 서울 홍릉수목원 근처에 한국과학원(KAIS)이 설립됨(석사 및 박사 과정). |
1981년 ~ 1988년 | 1981년 1월 15일 한국과학원(KAIS)이 한국과학기술연구소(KIST)와 통합되어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됨. 1984년 12월 27일 대전 대덕연구단지 내에 학사과정의 한국과학기술대학(KIT)이 설립됨. |
1989년 ~ 1995년 | 1989년 6월 4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분리 독립하고, 7월 4일 한국과학기술대학(KIT)을 통합하여 서울에서 대전으로 이전. |
1996년 ~ 현재 | 1996년 서울 홍릉에 테크노경영대학원 및 고등과학원 설립, 2008년 대외 공식 명칭을 KAIST로 변경, 2009년 한국정보통신대학교 통합. |
2. 1. 한국과학원 (KAIS) 설립 (1971년)
1971년 2월 16일 한국과학원법에 의거하여 서울 홍릉수목원 근처에 '''한국과학원'''(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KAIS)이 설립되었다. 과학원은 석사 및 박사 과정만 개설하였다.[3] 초기 학문 체계는 프레데릭 E. 터먼 스탠퍼드 대학교 부총장과 정근모 박사가 설계하였으며, 미국 국제개발처(USAID) 차관으로 설립되었다.[14]
날짜 | 사건 |
---|---|
1973년 3월 | 제1회 석사과정 입학. 6개 학과(기계공학, 산업공학, 수학 및 물리, 재료공학, 전기 및 전자공학, 화학 및 화학공학) 106명 선발. |
1975년 9월 | 제1회 박사과정 입학. |
1978년 | 첫 박사학위자 배출. |
2. 2. 한국과학기술원 (KAIST) 설립 (1981년)
1980년 12월 31일, 제5공화국 정부에 의해 한국과학원법 및 한국과학기술연구소 육성법이 폐지되고 '한국과학기술원법'이 제정되었다.[15] 1981년 1월 15일, 한국과학원(KAIS)과 한국과학기술연구소(KIST)가 통합되어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설립되었다.[15]2. 3. 한국과학기술대학 (KIT) 설립 및 통합 (1984년 ~ 1989년)
1984년 12월 27일 대전 대덕연구단지 내에 학사 과정만 개설된 '''한국과학기술대학'''(Korea Institute of Technology, KIT)이 설립되었다.[58] 1986년 3월 28일 한국과학기술대학 첫 학사 과정 입학생들이 들어왔다.[58]1989년 6월 4일 제6공화국 정부에 의해 한국과학기술원에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분리되어 독립했다.[58] 같은 해 7월 4일 한국과학기술대학(KIT)을 통합하여 대덕캠퍼스로 이전하고, 서울 분원이 설치되었다.[58] 1990년 2월 17일 첫 학사 학위 수여식이 열렸다.[58]
2. 4. 발전 및 확장 (1996년 ~ 현재)
- 1996년 10월 1일 서울 홍릉에 테크노경영대학원과 부설 고등과학원(KIAS)이 설립되었다.
- 2003년 7월 12일 기관장 명칭이 '원장'에서 '총장'으로 변경되었다.
- 2004년 5월 4일 부설 나노종합팹센터가 설립되었다.
- 2008년 1월 10일 대외 공식 명칭을 '''한국과학기술원'''에서 '''KAIST'''로 변경했다.[58]
- 2009년 3월 1일 한국정보통신대학교와 통합되었다.
- 2015년 2월 13일 1만 번째 박사 학위자를 배출했다.
3. 역대 총장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
제1대 | 이상수 | 1971년 1월 27일 ~ 1972년 3월 10일 | 한국과학원 원장 |
제2대 | 박달조 | 1972년 3월 11일 ~ 1974년 5월 19일 | |
제3대 | 조순탁 | 1974년 5월 20일 ~ 1980년 5월 25일 | |
제4대 | |||
제5대 | 최형섭 | 1980년 5월 26일 ~ 1980년 8월 25일 | |
제6대 | 이정오 | 1980년 8월 26일 ~ 1981년 1월 4일 |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
제1대 | 최순달 | 1985년 8월 1일 ~ 1987년 2월 1일 | 한국과학기술대학 학장 |
제2대 | 이정오 | 1987년 2월 2일 ~ 1988년 5월 2일 | |
제3대 | 전학제 | 1988년 5월 11일 ~ 1989년 8월 31일 | |
제4대 | 조병하 | 1989년 8월 1일 ~ 1990년 4월 24일 |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
제1대 | 양승택 | 1997년 7월 16일 ~ 2001년 3월 25일 |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총장 |
제2대 | 안병엽 | 2001년 4월 23일 ~ 2004년 2월 25일 | |
제3대 | 허운나 | 2004년 7월 7일 ~ 2008년 1월 27일 |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
제1대 | 이주천 | 1981년 1월 5일 ~ 1982년 1월 8일 | 한국과학원과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이 통합하여 한국과학기술원 탄생, 한국과학기술원 원장(KAIST 총장) |
제2대 | 임관 | 1982년 1월 9일 ~ 1984년 2월 22일 | |
제3대 | 전학제 | 1984년 2월 23일 ~ 1986년 1월 8일 | |
제4대 | 이정오 | 1986년 2월 19일 ~ 1988년 5월 2일 | |
제5대 | 전학제 | 1988년 5월 11일 ~ 1989년 2월 22일 | |
제6대 | 이상수 | 1989년 2월 23일 ~ 1991년 2월 28일 | 1989년 7월 4일 한국과학기술대학 흡수 |
제7대 | 천성순 | 1991년 3월 4일 ~ 1994년 3월 29일 | |
제8대 | 심상철 | 1994년 4월 4일 ~ 1995년 5월 29일 | |
제9대 | 윤덕용 | 1995년 6월 9일 ~ 1998년 6월 8일 | |
제10대 | 최덕인 | 1998년 6월 9일 ~ 2001년 6월 8일 | |
제11대 | 홍창선 | 2001년 6월 9일 ~ 2004년 5월 30일 | |
제12대 | 로버트 러플린 | 2004년 7월 14일 ~ 2006년 7월 13일 | |
제13대 | 서남표 | 2006년 7월 14일 ~ 2013년 2월 22일 | 2009년 3월 1일 한국정보통신대학교 흡수 |
제14대 | |||
제15대 | 강성모 | 2013년 2월 23일 ~ 2017년 2월 22일 | |
제16대 | 신성철 | 2017년 2월 23일 ~ 2021년 2월 22일 | |
제17대 | 이광형 | 2021년 2월 23일 ~ |
4. 특징
KAIST는 대한민국 최초로 대학원생 수가 학부생보다 많은 대학원 중심 대학이다.[59] 2010년 기준 재학생의 79.5%가 기숙사 생활을 하며, 학부생은 과학고(한국과학영재학교 포함)와 일반고( 자사고, 외국어고, 외국 고등학교 포함) 출신이 6:4 비율로 구성되어 있다. 2021년 봄 학기 기준 81개국 출신 817명의 외국인 학생이 재학 중으로, 한국에서 가장 다양한 민족 구성을 가진 대학 중 하나이다.[20]
1975년부터 2021년까지 학사 19,457명, 석사 35,513명, 박사 14,418명 등 총 69,388명의 졸업생을 배출했다.[20] 2021년 봄 기준 재학생은 10,793명(학사 3,605명, 석사 3,069명, 석박사 통합과정 1,354명, 박사 2,765명)이다.[20]
서남표 총장 재임 시절, 2011년에 평점 3.0 미만인 학생에게 학비를 부과하는 징벌적 등록금 제도가 도입되고[26] 영어 강의가 의무화되었으나,[27] 학생들의 자살 증가로 인해[27] 징벌적 등록금 제도는 폐지되었다.
4. 1. 입시
1992년부터 학사과정, 1991년부터 석사과정(전산학부 제외), 1994년부터 박사과정에 필기시험이 없는 무시험 전형을 도입하였으며, 현재는 100% 무시험 전형으로 학생을 선발한다. 전산학부의 경우 2015년부터 석, 박사 입학 시 프로그램 코딩 시험을 실시한다.[60]고등학교 3년을 마치지 않더라도, 과학영재선발위원회에 한국과학기술원 학사과정 입학지원자격인정 신청을 하여 심사에 합격하면 2학년임에도 지원할 수 있다.
2010학년도 입시부터 국내 대학 최초로 총 입학정원 980명 중 입학사정관제에 의하여 일반 고교 출신 150명을 선발한다.[60] KAIST 입학은 전반적인 성적, 수학 및 과학 과목 성적, 교사 추천서, 학업 계획서, 자기소개서 및 기타 자료를 기준으로 하며, 대학에서 실시하는 표준화된 시험에는 의존하지 않는다. 2014년 기준 국내 학생 합격률은 14.9%, 유학생 합격률은 13.2%였다.[17]
학사, 석사, 박사 과정을 포함한 모든 학생에게 전액 장학금이 제공된다.[18] 박사 과정 학생에게는 대한민국의 병역 의무 면제 혜택이 주어진다. KAIST에서 가르치는 강좌의 최대 80%는 영어|영어영어로 진행된다.
학부생은 3학기 동안 수업을 수강한 후 자신의 적성에 맞는 학과를 선택할 수 있는 “개방 전공 제도”를 통해 입학할 수 있으며, 학부생은 언제든지 전공을 변경할 수 있다. KAIST는 또한 통합 석·박사 과정과 조기 졸업 제도를 통해 많은 박사 학위를 배출했다. 졸업을 위해서는 국제적으로 저명한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해야 한다.[19]
4. 2. 학사과정
KAIST는 한국과학기술원법에 따라 교육과학기술부와 독립적으로 운영된다.[17] 전공을 선택하지 않은 무학과 상태로 입학해, 1학년 2학기 말에 본인 희망에 따라 학과를 결정한다. 학년 구분을 따로 하지 않는 무학년제로 운영되며, 일정 학점 이상 이수할 경우 빨리 졸업할 수 있는 조기졸업제도가 있다.2007년 입학생부터 전 과목을 영어로 듣도록 의무화했지만, 2011년 교양과목에서는 영어 교육 의무화를 폐지하였다.
KAIST 입학은 전반적인 성적, 수학 및 과학 과목 성적, 교사 추천서, 학업 계획서, 자기소개서 및 기타 자료를 기준으로 하며, 대학에서 실시하는 표준화된 시험에는 의존하지 않는다. 2014년 기준 국내 학생 합격률은 14.9%, 유학생 합격률은 13.2%였다.[17]
학사, 석사, 박사 과정을 포함한 모든 학생에게 전액 장학금이 제공된다.[18] 박사 과정 학생에게는 대한민국의 병역 의무 면제 혜택이 주어진다. KAIST에서 가르치는 강좌의 최대 80%는 영어로 진행된다.
학부생은 3학기 동안 수업을 수강한 후 자신의 적성에 맞는 학과를 선택할 수 있는 “개방 전공 제도”를 통해 입학할 수 있으며, 학부생은 언제든지 전공을 변경할 수 있다. KAIST는 또한 통합 석·박사 과정과 조기 졸업 제도를 통해 많은 박사 학위를 배출했다. 졸업을 위해서는 국제적으로 저명한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해야 한다.[19]
4. 3. 석박사 과정
KAIST는 석박사통합과정을 시행하여 박사 학위 취득까지의 기간을 단축했다. 박사 학위를 받기 위해서는 해외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해야 하는 조건이 있다.[19] 박사 과정으로 국비 장학생 또는 KAIST 장학생으로 입학하는 남학생은 별도의 시험 없이 전문연구요원으로 편입되어 박사 과정을 밟으며 병역을 해결할 수 있다.4. 4. 등록금 및 장학 제도
KAIST는 학부생 전원에게 전액 장학금을 지급하여 수업료 부담이 없는 학교로 알려져 있다. 신입생은 1년 동안 성적과 관계없이 수업료와 기성회비 전액을 장학금으로 받는다. 2015년 기준으로 직전 학기 평점이 2.7 이상이면 수업료와 기성회비가 면제되는 전액 장학금을 받고, 2.0에서 2.7 사이는 수업료는 면제되지만 기성회비를 납부하며, 2.0 미만은 수업료와 기성회비를 모두 납부한다. 2013학년도 학기당 수업료는 1708000KRW이고 기성회비는 1656000KRW이다.[61] 학사 과정 학생의 경우 9학기부터 연차 초과 수업료가 부과된다.서남표 총장 재임 시절인 2007년부터는 직전 학기 평점이 3.3 이하인 학생에게 등록금 일부를 납부하도록 하는 제도가 시행되었다. 평점이 2.0 이하인 경우에는 등록금 전액(당시 기준 수업료 6300000KRW + 기성회비 1575000KRW)을 납부해야 했다. 2009년부터는 직전 학기 평점이 3.0에서 3.3 사이인 학생은 수업료는 면제되지만 기성회비를 납부해야 했다. 이러한 제도는 현재 폐지되었다.
2008년에는 학점당 2만 원이었던 계절학기 수업료를 400% 인상한 10만 원을 징수하고, 2009년과 2010년에는 각각 20만 원, 30만 원으로 인상하겠다는 계획이 발표되기도 했다.[62]
2011년에는 4.0 만점 기준으로 평균 평점이 3.0 미만으로 떨어질 경우에만 학비를 부과하는 징벌적 학비 제도가 도입되었다.[26] 그러나 이러한 변화와 영어 강의 의무화는 2011년부터 2016년까지 11명의 KAIST 학생들이 자살하는 결과로 이어졌다.[27] 이후 대학 측에서는 징벌적 학비 제도를 폐지했다.
학사, 석사, 박사 과정을 포함한 모든 학생에게 전액 장학금이 제공되며,[18] 박사 과정 학생에게는 대한민국의 병역 의무 면제 혜택이 주어진다.
4. 5. 연차초과 제한
학부생이 9학기 이상 등록할 경우 일정한 수업료를 부과하며, 학자금 지급이 중단되고 기숙사 배정에 있어 불이익을 받는다. 대학원생(박사)의 경우 4년 이상 학위를 취득하지 못하면 정부로부터 수업료 형태로 지원받는 장학금이 연차 초과 연수에 따라 단계적으로 중단된다.4. 6. 온라인 강좌
KOOC는 한국과학기술원의 온라인 공개 강좌 서비스이다.5. 위상
KAIST는 국내외 대학 평가에서 높은 순위를 기록하며 그 위상을 인정받고 있다.
- 국제 대학 평가
평가 기관 | 연도 | 순위 | 비고 |
---|---|---|---|
로이터 | 2016년-2017년 | 세계 6위 | 세계혁신대학평가[65] |
더 타임스 | 2014년-2015년 | 세계 52위 | |
QS | 2014-2015년 | 세계 51위 | 아시아 2위 |
2013년 | 세계 60위 | ||
2013년 | 기계항공공학분야 19위 | ||
2012년 | 세계 63위 | ||
더 타임스 | 2009년 | 세계 69위 | |
비즈니스위크 | 2009년 | World's Best Design Schools | KAIST 산업디자인학과 선정[65] |
QS | 2024 | 세계 56위 | |
THE | 2023 | 세계 91위 | |
U.S. 뉴스 & 월드 리포트 | 2022-2023 | 세계 282위 | |
상하이 교통대 | 2022 | 세계 201-300위 | |
ARTU | 2022 | 세계 111위 | THE, QS, ARWU 종합[30] |
THE | 2022 | 세계 61-70위 | 세계 명성 순위[34] |
THE | 2015 | 세계 3위 | 50세 미만 대학 중[38] |
THE | 2022 | 세계 67위 | 세계 대학 취업 가능성 순위 |
QS | 2022 | 세계 77위 | 졸업생 취업 가능성 순위 |
2010년 THE와 QS가 별도의 순위를 발표하기 전, THE–QS 세계 대학 순위에서 KAIST는 2004년 세계 160위, 2005년 143위, 2006년 198위, 2007년 132위, 2008년 95위, 그리고 2009년 69위를 기록했다. KAIST는 THE-QS 세계 대학 순위에서 처음 발표된 아시아 지역 순위인 아시아 100대 대학 목록에서 대한민국 최고 대학이자 아시아 7위 대학으로 선정되었다.[31] 2009년 THE-QS 세계 대학 랭킹(2010년 타임즈 고등교육 세계 대학 랭킹과 QS 세계 대학 랭킹이 분리) 공학 및 IT 분야에서 세계 21위, 한국 1위를 차지했다.[36]
- 국내 대학 평가
KAIST는 7개의 연구소(KI)를 설립하여 단과대학 수준의 독립적인 연구센터로 운영하며, 현재까지 국내 특허 2,694건과 국제 특허 723건을 보유하고 있다.[24]

2019년[32] 톰슨 로이터는 KAIST를 세계에서 34번째로 혁신적인 대학이자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2번째로 혁신적인 대학으로 선정했다.[33]
6. 개설학과
KAIST는 6개의 단과대학, 2개 학교, 33개의 학과 및 학부로 구성되어 있다.
- 자연과학대학
- * 물리학과 ([https://physics.kaist.ac.kr])
- * 수리과학과 ([https://mathsci.kaist.ac.kr])
- * 화학과 ([https://chem.kaist.ac.kr])
- * 나노과학기술대학원 ([https://gsnt.kaist.ac.kr])
- 생명과학기술대학
- * 생명과학과 ([https://bio.kaist.ac.kr])
- * 의과학대학원 ([https://gsmse.kaist.ac.kr])
- * 뇌인지과학과
- 공과대학
- * 기계항공공학부
- ** 기계공학과 ([https://me.kaist.ac.kr])
- ** 항공우주공학과 ([https://ae.kaist.ac.kr/])
- ** 해양시스템대학원
- ** 우주탐사공학학제전공
- * 전기및전자공학부 ([https://ee.kaist.ac.kr/])
- ** 로봇공학학제전공
- ** 미래자동차학제전공
- ** 반도체학제전공
- ** 정보통신공학학제전공
- ** 정보통신프로그램
- ** 반도체시스템공학과 ([https://sse.kaist.ac.kr])
- * 전산학부 ([https://cs.kaist.ac.kr])
- ** 소프트웨어대학원프로그램
- ** 정보보호대학원
- * 건설및환경공학과 ([https://civil.kaist.ac.kr/])
- ** 환경에너지공학학제전공
- ** 스마트시티프로그램
- ** 도로·교통프로그램
- * 바이오및뇌공학과 ([https://bioeng.kaist.ac.kr/])
- ** 뇌인지공학프로그램
- * 산업디자인학과 ([http://id.kaist.ac.kr])
- * 산업및시스템공학과 ([https://ie.kaist.ac.kr])
- **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 * 생명화학공학과 ([https://cbe.kaist.ac.kr])
- ** 고분자학학제전공
- * 신소재공학과 ([https://mse.kaist.ac.kr])
- * 원자력및양자공학과 ([https://nuclear.kaist.ac.kr/])
- ** 국제원자력및방사선안전석사프로그램
- * 정보통신공학과
- ** 디지털미디어프로그램
- * 조천식모빌리티대학원 ([https://gt.kaist.ac.kr/])
- * 김재철AI대학원 ([https://gsai.kaist.ac.kr/?lang=ko])[66]
- 인문사회융합과학대학
- * 디지털인문사회과학부 ([https://hss.kaist.ac.kr/])
- * 문화기술대학원 ([https://ct.kaist.ac.kr/])[67]
- * 문술미래전략대학원 ([https://futures.kaist.ac.kr/])
- ** 지식재산대학원프로그램
- ** 과학저널리즘대학원프로그램
- ** 미래전략대학원프로그램
- * 과학기술정책대학원 ([https://stp.kaist.ac.kr/])
- 경영대학
- * 경영공학부 ([https://www.business.kaist.ac.kr])
- * 테크노경영전문대학원 ([https://www.business.kaist.ac.kr/kgsm/])
- ** 테크노MBA
- ** IMBA
- ** 프로페셔널MBA
- ** EMBA
- ** 사회적기업가MBA
- * 금융전문대학원 ([https://www.business.kaist.ac.kr/kgsf/])
- ** 금융MBA
- ** 금융공학 석사과정
- * 정보미디어경영전문대학원 ([https://www.business.kaist.ac.kr/ksim/])
- ** 정보미디어MBA
- ** 정보경영석사과정
- * 녹색성장경영전문대학원 ([https://www.business.kaist.ac.kr/gsgg/])
- ** 녹색경영정책 석사과정
- * 기술경영학부 ([https://btm.kaist.ac.kr]) (대전 위치)
- ** 기술경영전문대학원 ([https://itm.kaist.ac.kr/]) (대전 위치)
- ** 글로벌IT기술대학원프로그램
- ** 기술경영학부(IT경영학)
- ** 바이오혁신경영전문대학원
- * K-School
KAIST 경영대학은 1995년 국내 최초로 전일제 MBA 과정을 개설하여 국내 최초이자 최대의 MBA로 인정받고 있다. AACSB(미국), GMAC(미국), EQUIS(유럽) 등 경영학 분야에서 세계적 권위를 가진 3개 기관으로부터 인증을 받았으며, 2013년 11월 국내 MBA 최초로 세계 경영교육 연합인 PIM(Partnership in International Management) 회원 학교로 가입하였다. 2011년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 ‘글로벌 100대 MBA'에 진입한 국내 첫 풀타임 MBA이며, 2012년부터 4년 연속 FT의 ‘경영자과정(Executive Education) 경영대학원 순위’ 아시아 1위(2015년 세계 20위)를 기록하였다.
7. 행사
KAIST의 석림태울제는 매년 봄 학기에 본원에서 사흘 동안 개최되는 KAIST의 축제이다. 학부총학생회 산하 축제준비위원회 상상효과에서 기획 및 집행을 담당하며, 각종 먹거리 부스와 체험 부스가 개설되고 동아리 공연 및 태울가요제 등의 무대 행사가 열린다. 벚꽃축제로도 불리며, 학생들이 잔디밭에서 딸기를 먹는다. 딸기 공동구매도 매년 이루어지고 있고, 2019년 벚꽃축제 기간 근처에 치과의사 주현성 동문의 신입생 동문특강이 진행된 적도 있다. 벚꽃축제 기간에는 방문 행사가 많고, 벚꽃의 아름다움이 널리 알려져 외부인의 출입도 많으나, 너무 심한 출입은 자제되고 있다.[1]
8. 시설
캠퍼스는 자연과학대학, 공과대학 등이 있는 본원(대전광역시), 한국정보통신대학교가 있던 문지캠퍼스, 경영대학 등이 있는 분원(서울특별시 홍릉), 그리고 도곡캠퍼스(서울특별시 도곡동)로 나뉘어 있다.[68] 각 캠퍼스의 위치는 다음과 같다.
캠퍼스 | 주소 |
---|---|
본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학로 291 (구성동 373-1) |
문지캠퍼스 | 대전광역시 유성구 문지로 119 |
분원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로 87 (청량리동 207-43) |
도곡캠퍼스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28길 25 |
본원, 문지캠퍼스, 분원에 각각 도서관이 있으며, 본원에는 자습과 세미나용으로만 이용하는 교양분관과 도서 위주의 학술문화관(도서관), 학술문화 행사 개최 및 창작, 협업, 휴식 등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지는 학술문화관(문화관), 수학 서적 위주의 수리과학도서관이 있다.[68] 중앙도서관은 1971년 KAIS 도서관으로 설립되었으며, 1990년 3월 한국과학기술원(KIT)과 통합되었다. 현대적인 5층 건물이 중앙도서관으로 건립되었으며, 별관 도서관과 함께 운영되고 있다. 이 도서관은 미국 의회도서관 분류법(LC Classification Schedule)을 사용한다.[23] 2018년에 확장 및 개보수 공사를 완료하여 회의실, 협업 공간, 미디어실을 포함하게 되었다.
KAIST 본원에는 다음과 같은 기숙사들이 있다.
- 북측: 사랑관, 소망관, 성실관, 진리관, 신례관, 지혜관(남자), 아름관(여자)
- 동측: 세종관
- 서측: 갈릴레이관, 나눔관, 원내아파트, 다솜관, 희망관, 미르관, 나래관, 나들관, 여울관
- 궁동(본원 인근): 궁동아파트
한국정보통신대학교와 통합하면서 한국정보통신대학교의 생활관이었던 문지캠퍼스 내 문지기숙사와 화암동 화암네거리 인근 화암기숙사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엑스포과학공원 안에 위치한 대전외국인유학생기숙사 누리관을 사용하고 있다.
'''정문술 빌딩'''은 전 미래산업 이사장이자 전 KAIST 이사장 정문술이 기부한 3000억원과 정부 지원금 2000억원을 재원으로 2003년에 완공되었다.[69] 지하 1층, 지상 11층 규모이며, 주위에는 KAIST 스포츠 컴플렉스, 창의학습관, 본관, 대강당, 인문사회과학동 등이 있다. 1층에는 학과 사무실, 수퍼컴퓨터실, 그리고 예식장 및 여러 종류의 행사장으로 쓰이는 드림홀이 있다. 2층에는 학과 수업과 세미나를 위한 강의실이 3개가 있고, 소그룹 스터디를 할 수 있는 세미나실이 하나 있다. 이 두 층을 제외한 모든 층엔 바이오 및 뇌공학과의 연구실이 들어서 있다.



KAIST는 대전광역시에 두 개의 캠퍼스와 서울에 하나의 캠퍼스를 가지고 있다. 본교는 수도 서울에서 남쪽으로 150km 떨어진 대전광역시의 대덕연구개발특구에 주로 위치해 있다.
대부분의 강의, 연구 활동 및 기숙사 시설은 대전 본교에 위치해 있다. 총 29개의 기숙사가 있으며, 남학생 기숙사 23개, 여학생 기숙사 4개가 캠퍼스 외곽에 위치하고, 기혼자를 위한 아파트 2개가 캠퍼스 외부에 있다.
서울 캠퍼스는 경영대학이 위치한 곳으로, 금융, 경영, 정보미디어경영학과 대학원이 있다.
문지 캠퍼스는 KAIST와 통합되기 전까지 정보통신대학교의 캠퍼스였으며, 본교에서 약 4km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 학부생 기숙사 1개와 대학원생 기숙사 1개가 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액시온 및 극한상호작용 연구단이 이곳에 위치하여 암흑물질과 관련된 입자 및 핵물리학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희귀동위원소 과학 프로젝트의 초전도 고주파 시험 시설도 있다.
9. 논란
2011년, KAIST는 평점 4.0 만점에 3.0 미만일 경우 학비를 부과하는 징벌적 등록금 제도를 도입했다.[26] 이와 함께 영어 강의 의무화 제도가 시행되면서 2011년부터 2016년까지 11명의 KAIST 학생들이 자살하는 사건이 발생했다.[27] 이후 대학 측은 징벌적 등록금 제도를 폐지했다.
2018년 2월, 코리아타임스는 KAIST가 한국의 무기 제조업체인 한화와 함께 인공지능(AI) 무기 연구 프로젝트를 시작했다는 기사를 보도했다. 한화와 함께 자율살상무기를 개발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고, 이로 인해 30개국 연구자들이 KAIST를 보이콧했다. KAIST는 해당 프로그램의 존재를 부인했다.[28] 같은 해, KAIST가 인공지능(AI)을 군사 목적으로 응용하는 연구를 진행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일부 해외 AI 연구자들로부터 비판을 받았다.[49]
2024년 2월, KAIST 교수가 2017년부터 2020년까지 자율주행차 기술을 중국에 유출한 혐의로 항소심에서 유죄 판결을 받고 징역 2년형을 선고받았다. 2021년 1심에서 해당 교수는 징역 2년에 집행유예 3년을 선고받았으나, KAIST는 징계 조치를 취하지 않고 공개 사과와 투명성 강화 약속만 발표했다.[29]
10. 관련 서적 및 방송 프로그램
- 서적
- '''과학원 아이들''': 이영섭이 한국과학기술원 학생들의 일상을 소재로 쓰고 김영사가 출판한 소설.
- '''놀며 공부하기 - KAIST 괴짜들의 행진''': 한국과학기술원 재학생 및 졸업생 16명이 1995년에 쓴 대학생활 수기 모음집.
- '''집사부 일체''': SBS의 예능 프로그램 집사부일체에서 한국과학기술원 산업디자인학과 교수 배상민이 출연하여 카이스트에서 촬영하고 발명품들을 만들었으며, 카이스트의 여러 기관들을 설명함.
- '''카이스트 MBA, 열정''': 한국과학기술원 MBA 졸업생인 서영훈, 강승욱, 김지수가 2007년에 쓴 경험담.
- '''카이스트 학생들이 꼽은 최고의 SF 과학 하는 틈틈이 즐기는 상상력 파라다이스''': 2017년 출판.
- '''2031 카이스트 미래보고서''': 미래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새로운 길은 어디에서 열리는가? 2018년 출판.
- 드라마
- '''카이스트''': SBS에서 1999년부터 2000년까지 방영한 드라마.
- 방송 프로그램
- '''서인영의 카이스트''': Mnet에서 2008년에 방송한 프로그램.
11. 부설 기관 및 산하 조직
- 고등과학원
- 나노종합기술원
- 한국과학영재학교
- KAIST 공식 웹사이트
- [http://lang.kaist.ac.kr/ KAIST 어학센터]
- [https://web.archive.org/web/20141018171258/http://gifted.kaist.ac.kr/ 과학영재교육연구원]
- [http://ki.kaist.ac.kr/ KAIST 연구원]
- [http://talented.kaist.ac.kr/ KAIST 영재교육센터]
- [https://web.archive.org/web/20180731093113/https://clinic.kaist.ac.kr/ KAIST 클리닉]
- [http://www.kaistdent.com/ KAIST 치과]
- [https://ita.kaist.ac.kr/ KAIST IT 아카데미]
참조
[1]
웹사이트
KAIST at a Glance
https://www.kaist.ac[...]
KAIST
2021-12-18
[2]
웹사이트
카이스트 수입 및 지출 현황
http://www.alio.go.k[...]
ALIO
2021-04-05
[3]
웹사이트
The Advance of a Korean Institute: A Brief History of KAIST
http://herald.kaist.[...]
KAIST Herald
2011-04-21
[4]
웹사이트
Top 10 Universities in South Korea 2019
https://www.topunive[...]
[5]
웹사이트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AIST)
https://roundranking[...]
2021-06-29
[6]
웹사이트
KAIST 경영대학
http://www.business.[...]
2018-11-18
[7]
웹사이트
Association of Asia-Pacific Business Schools
http://www.aapbs.org
2018-11-18
[8]
웹사이트
Technical University of Denmark and KAIST To Launch Dual Degree Program
http://www.dtu.dk/en[...]
Technical University of Denmark
2016-05-29
[9]
웹사이트
Carnegie Mellon and KAIST To Launch Dual Degree Program in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http://www.cmu.edu/n[...]
Carnegie Mellon University
2007-10-04
[10]
웹사이트
GT-ECE/KAIST-EE Dual BS and MS Program
http://www.gt-kaist-[...]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2012-05-23
[11]
웹사이트
Agreement on Dual Degree Master Program Between KAIST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and Technische Universitat Berlin Fakultat fur Elektrotechnik und Informatik (Fakultat IV)
http://www.eecs.tu-b[...]
[12]
웹사이트
KAIST Goals and Strategies
http://www.kaist.edu[...]
KAIST
[13]
웹사이트
The Inflation Calculator
http://www.westegg.c[...]
2013-07-11
[14]
웹사이트
KAIST's history and vision
http://40th.kaist.ed[...]
KAIST
[15]
웹사이트
KAIST Leadership, Former Presidents
https://kaist.ac.kr/[...]
[16]
웹사이트
'KAIST' Decides Not to Use Original Full Name
http://www.kaist.edu[...]
2008-01-10
[17]
웹사이트
International Acceptance Rate Falls
http://herald.kaist.[...]
2015-06-03
[18]
웹사이트
Scholarship Types > Scholarships > Academics > Academics > KAIST
http://www.kaist.edu[...]
[19]
웹사이트
Undergraduate
http://www.kaist.ac.[...]
[20]
웹사이트
KAIST At a Glance
https://www.kaist.ac[...]
2021-12-18
[21]
웹사이트
KAIST Acceptance Rate
https://www.acceptan[...]
2019-04-25
[22]
웹사이트
About KAIST
http://www.kaist.edu[...]
2014-06-20
[23]
웹사이트
KAIST Library
http://www.kaist.ac.[...]
[24]
웹사이트
KAIST Institute (KI)
http://www.kaist.edu[...]
[25]
웹사이트
Korean electric vehicle solution
http://www.gizmag.co[...]
2009-08-20
[26]
웹사이트
Besieged KAIST dean agrees to scrap punitive tuition system
https://en.yna.co.kr[...]
2011-04-12
[27]
웹사이트
Eleven Suicides in Six Years: What's Going on at KAIST?
https://english.khan[...]
2016-07-25
[28]
뉴스
'Killer robots': AI experts call for boycott over lab at South Korea university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8-04-05
[29]
웹사이트
KAIST accused of leniency to professor who leaked LIDAR tech to China
https://www.koreatim[...]
2024-05-03
[30]
웹사이트
Full Rankings
https://research.uns[...]
2023-07-02
[31]
뉴스
In the Top 100 Asian Universities List, HKU won the first, KAIST 7th, SNU 8th(2009 아시아 대학평가 홍콩대 1위, 카이스트 7위, 서울대 8위)
http://www.chosun.co[...]
Chosun Ilbo
2009-05-12
[32]
웹사이트
The World's Most Innovative Universities 2019
https://www.reuters.[...]
2019-10-23
[33]
웹사이트
Asia Pacific's Most Innovative Universities 2019
https://graphics.reu[...]
Reuters
2019
[34]
웹사이트
World Reputation Rankings
https://www.timeshig[...]
2022-10-06
[35]
웹사이트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KAIST Rankings
https://www.topunive[...]
2017-05-28
[36]
웹사이트
The Times -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2007 - Technology
http://www.topuniver[...]
2008-02-01
[37]
웹사이트
D-Schools: The Global List
http://bwnt.business[...]
2008-12-13
[38]
웹사이트
Times Higher Education 100 Under 50 2015
https://www.timeshig[...]
Thomson Reuters
2015-11-29
[39]
웹사이트
Nam, Chang Hee
http://physics.kaist[...]
2013-12-20
[40]
논문
Neoliberalism as Language Policy
2013-00-00
[41]
뉴스
The World's Most Innovative Universities 2015
https://www.reuters.[...]
[42]
뉴스
The World's Most Innovative Universities 2016
https://www.reuters.[...]
[43]
웹사이트
QS University Rankings: Asia 2014
https://www.topunive[...]
[44]
뉴스
Asia Pacific’s Most Innovative Universities - 2017
https://www.reuters.[...]
[45]
간행물
The Advance of a Korean Institute: A Brief History of KAIST
KAIST Herald
2011-04-21
[46]
웹사이트
KAISTウェブサイト
https://www.kaist.ac[...]
[47]
웹사이트
【コラム】「KAIST周年ロケット」が失敗した3つの理由=韓国(1)
https://web.archive.[...]
中央日報
2022-01-18
[48]
뉴스
100億ウォン台不動産をKAISTに寄付
https://web.archive.[...]
2010-06-18
[49]
뉴스
AI兵器開発?KAISTは否定
https://www.donga.co[...]
2018-04-06
[50]
웹인용
한국과학기술원법 (법률 제16022호)
http://www.law.go.kr[...]
2019-11-21
[51]
웹인용
KAIST 상징물
http://www.kaist.ac.[...]
KAIST
2013-05-14
[52]
웹인용
한국과학기술원 정보공시
http://www.academyin[...]
대학알리미
2017-09-19
[53]
웹사이트
한국과학영재학교, KAIST 부설로 전환
http://www.kukinews.[...]
[54]
웹사이트
KAIST-ICU, 통합대학 출범
http://www.asiae.co.[...]
[55]
문서
한국과학기술원 법인 명칭
[56]
웹인용
국가기록포탈 한국과학기술원 자료
http://contents.arch[...]
2007-08-20
[57]
뉴스
강성모 KAIST 총장, 한국 대학 최초 다보스포럼 멤버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4-01-16
[58]
웹사이트
대외 공식 명칭 “KAIST”로 통일, KAIST 소식
http://www.kaist.ac.[...]
[59]
웹인용
대학알리미 - 한국과학기술원 취업/진학현황
http://www.academyin[...]
2011-07-27
[60]
웹사이트
시사IN -‘서남표 효과’의 진실 혹은 거짓
http://www.sisain.co[...]
[61]
웹인용
KAIST 학생 핸드북
http://www.kaist.ac.[...]
KAIST
2013-09-17
[62]
웹사이트
프레시안 - 카이스트 '서남표식 교육혁신', 그 실상은…
http://www.pressian.[...]
[63]
웹인용
[독점 연재] 빼앗긴 ‘한국의 이튼스쿨’ 꿈 … JP, 서빙고 분실서 눈물을 쏟다
https://news.joins.c[...]
중앙일보
2015-09-16
[64]
웹인용
노회찬, '영원한 2인자' 김종필을 만나다
https://www.pressian[...]
프레시안
2019-06-22
[65]
웹사이트
http://images.busine[...]
2009-00-00
[66]
웹인용
"세계 최고 AI인력 양성"...KAIST, AI대학원 개원
https://www.zdnet.co[...]
[67]
웹사이트
문화기술대학원
http://ct.kaist.ac.k[...]
[68]
웹인용
한국과학기술원 전자도서관->도서관안내->도서관소개->도서관통계
http://library.kaist[...]
2008-07-07
[69]
웹사이트
연구단지 최고층 건물 '정문술 빌딩' 완공
http://www.hellodd.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