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진도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진도성은 전라남도 진도군 고군면에 위치한 백제의 성곽으로, 정방형 평지 형태가 특징이다. 현재 북벽 일부는 고성초등학교와 민가 담장으로 사용되며, 동·서·남벽은 기단부만 남아 있다. 성벽은 협축법으로 축조되었으며, 여몽연합군이 삼별초를 토벌할 당시 홍다구가 이끄는 좌군의 상륙 지점으로 추정되는 원포리 인근에 위치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도군의 향토문화유산 - 벽파정
벽파정은 고려 희종 3년(1207)에 중국 사절을 위해 창건되어 조선 세종 11년(1465)에 중건되었으며, 고려와 조선 시대를 거치며 많은 시인묵객들의 문학 누정으로 활용되었으나 현재는 없어지고 옛 터 인근에 건물이 있다. - 진도군의 향토문화유산 - 진도 철마산성
진도 철마산성은 전라남도 진도군 철마산 정상부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 축조 추정의 테뫼식 산성으로, 일부 성벽이 남아있으며 목포대학교 박물관의 조사와 진도군 향토유적 지정을 위한 조사가 있었다. - 전라남도의 성 - 순천왜성
순천왜성은 임진왜란 때 고니시 유키나가 등이 호남 공략 거점으로 삼아 순천에 약 3개월 만에 축조한 왜성으로, 남해안 왜성들을 연결하는 군사 요충지였으며 현재 전라남도기념물로 지정되어 왜교성 전투와 축성 방식으로도 주목받는다. - 전라남도의 성 - 장성 입암산성
장성 입암산성은 전라남도 장성군 입암산에 위치한 산성으로, 1256년 송군비가 축조한 것으로 전해지며 조선 시대 개축과 임진왜란을 거치면서 중요한 방어 시설로 활용되었고, 15km에 달하는 성벽과 남문, 북문, 장기간 방어를 위한 물 확보 설계가 특징이며 주변 관광 명소와 등산로가 정비되어 있다. - 백제의 성 - 청주 상당산성
청주 상당산성은 청주시 시가지에 인접한 산 정상에 축조된 둘레 약 4.2km의 산성으로, 통일신라 시대에 축성되었으며 조선 시대 수축과 개축을 거쳐 현재 사적으로 지정되어 있다. - 백제의 성 - 익산 토성
익산 토성은 오금산 정상에 흙과 돌로 쌓은 산성으로, 6세기 후반에서 7세기 전반에 축조되었으며 백제, 통일신라, 고려 시대 유물이 발견되었다.
고진도성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고진도성 |
국가 | 대한민국 |
위치 | 전라남도 진도군 고군면 고성리 64 |
유형 | 향토문화유산(유형유산) |
지정 번호 | 6 |
지정일 | 2012년 2월 29일 |
상세 정보 | |
시대 | 알 수 없음 |
소유자 | 알 수 없음 |
관리자 | 알 수 없음 |
참고 사항 | 알 수 없음 |
면적 | 알 수 없음 |
수량 | 알 수 없음 |
전승지 | 알 수 없음 |
전승자 | 알 수 없음 |
웹사이트 | 알 수 없음 |
문화재청 | 알 수 없음 |
설명 | 알 수 없음 |
2. 지리적 특징
진도군 고군면 고성리에 있는 고군성지는 백제의 성곽이다. 고군성지 주변은 남쪽으로 첨찰산, 죽찰산 등 진도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북쪽으로는 용장산성이 있으며, 동쪽과 서쪽에는 좁다란 농경지가 형성되어 있다. 동쪽에는 해남 쪽으로 돌출한 원포리를 중심으로 내만된 해안이 있으며, 현재 원포리와 내산리 사이에는 방조제가 축조되어 논으로 경작되고 있다. 이곳은 여몽연합군이 삼별초를 토벌할 당시 홍다구가 이끄는 좌군의 상륙지점으로 추정된다.
2. 1. 주변 산세
남쪽은 첨찰산, 죽찰산 등 진도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북쪽으로는 용장산성이 있다. 동쪽과 서쪽에는 좁다란 농경지가 형성되어 있다.특히 동쪽에는 해남 쪽으로 돌출한 원포리를 중심으로 내만된 해안이 형성되어 있는데, 현재 원포리와 내산리 사이에는 방조제가 축조되어 논으로 경작되고 있다. 이곳은 여몽연합군이 삼별초를 토벌할 당시 홍다구가 이끄는 좌군의 상륙지점으로 추정되는 곳이다.
2. 2. 용장산성과의 관계
고군면 고성리 고군성지 주변의 지형을 보면, 남쪽은 첨찰산, 죽찰산 등 진도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북쪽으로는 용장산성이 있다. 동쪽과 서쪽에는 좁다란 농경지가 형성되어 있다.특히 동쪽에는 해남 쪽으로 돌출한 원포리를 중심으로 내만된 해안이 형성되어 있는데, 현재 원포리와 내산리 사이에는 방조제가 축조되어 논으로 경작되고 있다. 이곳은 여몽연합군이 삼별초를 토벌(討伐)할 당시 홍다구(洪茶丘)가 이끄는 좌군의 상륙지점으로 추정되는 곳이다.
2. 3. 농경지
동쪽과 서쪽에 좁은 농경지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동쪽에는 해남 쪽으로 돌출한 원포리를 중심으로 내만된 해안이 형성되어 있는데, 현재 원포리와 내산리 사이에는 방조제가 축조되어 논으로 경작되고 있다. 이곳은 여몽연합군이 삼별초를 토벌할 당시 홍다구가 이끄는 좌군의 상륙지점으로 추정되는 곳이다.2. 4. 해안 지형
동쪽에는 해남 쪽으로 돌출한 원포리를 중심으로 내만된 해안이 형성되어 있는데, 현재 원포리와 내산리 사이에는 방조제가 축조되어 논으로 경작되고 있다. 이곳은 여몽연합군이 삼별초를 토벌할 당시 홍다구가 이끄는 좌군이 상륙한 지점으로 추정되는 곳이다.3. 역사적 중요성
진도군 고군면 고성리에 있는 고군성지는 백제의 성곽이다. 고군성지 주변은 남쪽으로 첨찰산, 죽찰산 등 진도의 높은 산들로 둘러싸여 있고, 북쪽으로는 용장산성이 있다. 동쪽과 서쪽에는 좁은 농경지가 있으며, 특히 동쪽 해안은 해남 쪽으로 돌출한 원포리를 중심으로 안쪽으로 굽은 만(내만)이 형성되어 있다.
고군성지는 백제 성곽으로는 드물게 정방형 평지성 형태이다. 현재 북쪽 성벽 일부는 고성초등학교와 민가의 담장으로 사용되며, 높이 3m, 폭 1m, 길이 65m이다. 동, 서, 남쪽 성벽은 직사각형의 큰 돌로 쌓은 1m 내외의 기단부만 남아있다. 성벽은 협축법(夾築法)으로 쌓았는데, 기단부는 1m 내외의 큰 돌을 사용하고 위로 갈수록 30~40cm의 작은 돌을 수직으로 쌓았다. 성의 규모는 500×400m 정도로 추정된다.
3. 1. 삼별초와 여몽연합군
고군면 고성리 주변 지형을 보면, 동쪽에는 해남 쪽으로 돌출한 원포리를 중심으로 내만된 해안이 형성되어 있다. 현재 원포리와 내산리 사이에는 방조제가 축조되어 논으로 경작되고 있다. 이곳은 여몽연합군이 삼별초를 토벌할 당시 홍다구(洪茶丘)가 이끄는 좌군의 상륙지점으로 추정되는 곳이다.4. 구조 및 특징
진도군 고군면 고성리에 있는 고군성지는 백제의 성곽이다. 고군성지 주변은 남쪽으로 첨찰산, 죽찰산 등 진도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둘러싸여 있고, 북쪽으로는 용장산성이 있다. 동쪽과 서쪽에는 좁다란 농경지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동쪽에는 해남 쪽으로 돌출한 원포리를 중심으로 내만된 해안이 형성되어 있는데, 현재 원포리와 내산리 사이에는 방조제가 축조되어 논으로 경작되고 있다. 이곳은 여몽연합군이 삼별초를 토벌할 당시 홍다구가 이끄는 좌군의 상륙지점으로 추정되는 곳이다.
고군성지는 백제의 성으로서는 드문 정방형의 평지성이며, 성벽의 구조, 축성 방식, 규모 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하면 된다.
4. 1. 성벽 형태
진도군 고군면 고성리에 있는 고군성지는 백제의 성곽으로서는 드문 정방형의 평지성이다. 현재 북벽의 일부는 고성초등학교와 민가의 담장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높이 3m, 폭 1m, 길이 65m이다. 동․서․남벽은 직사각형의 대형 석재로 축석한 1m 내외의 기단부만 남아있다.성벽은 협축법(狹築法)에 따라 쌓았는데, 기단부는 1m 내외의 대형 석재를 이용하였고, 상부로 올라갈수록 30cm~40cm의 작은 석재를 수직으로 쌓아 올렸다. 이 성의 규모는 500m×400m 정도로 추정된다.
4. 2. 성벽 구조
고군면 고성리 고군성지는 백제의 성으로서는 드문 정방형의 평지성이다. 현재 북벽의 일부는 고성초등학교와 민가의 담장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높이 3m, 폭 1m, 길이 65m이다. 동·서·남벽은 직사각형의 대형 석재로 축석한 1m 내외의 기단부만 남아있다.4. 3. 축성 방식
고군면 고성리 고군성지는 백제의 성으로서는 드문 정방형의 평지성이다. 성벽은 협축법(狹築法)에 따라 쌓았는데, 기단부는 1m 내외의 대형 석재를 이용하였고, 상부로 올라갈수록 30~40cm의 작은 석재를 수직으로 쌓아 올렸다. 성의 규모는 500×400m 정도로 추정된다. 현재 북벽의 일부는 고성초등학교와 민가의 담장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높이 3m, 폭 1m, 길이 65m이다. 동․서․남벽은 직사각형의 대형 석재로 축석한 1m 내외의 기단부만 남아있다.4. 4. 성의 규모
고군면 고성리 고군성지는 백제의 성으로서는 드문 정방형의 평지성이다. 성의 규모는 500×400m 정도로 추정된다.5. 현재 상태
진도군 고군면 고성리에 있는 고군성지는 백제의 성으로서는 드문 정방형의 평지성이다. 현재 북벽의 일부는 고성초등학교와 민가의 담장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높이 3m, 폭 1m, 길이 65m이다. 동·서·남벽은 직사각형의 대형 석재로 축석한 1m 내외의 기단부만 남아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