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곤여전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곤여전도는 1674년 페르비스트가 북경에서 제작, 출판한 지도로, 1721년 유척기에 의해 한국에 처음 전래되었다. 8폭 병풍으로 제작된 북경판이 숭실대 한국기독교박물관에, 설명부를 제외한 지도 부분 6개의 목판이 규장각에 보존되어 있다. 곤여전도는 양반구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구가 둥글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고, 중원 대륙 중심의 지리적 관점에서 벗어나 동아시아의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목판본으로 제작되어 널리 보급되었으며, 현재 규장각에 보물 제882호로 지정된 목판이 보존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고지도 - 곤여만국전도
    곤여만국전도는 마테오 리치가 1602년 제작한 중국 중심 세계관과 서양 지리학 지식을 반영한 계란형 세계지도로, 여러 판본이 존재하며 동아시아에 영향을 미쳤고, '일본해' 명칭의 최초 사용 사례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한국판은 보물로 지정되어 역사적·예술적 가치를 지닌다.
  • 중국의 고지도 - 셀던 지도
    셀던 지도는 17세기 존 셀던의 유언에 따라 보들리 도서관에 기증된 지도로, 조선, 일본, 명나라, 동남아시아 지역을 포함하며, 동아시아 해상 무역의 교류 상황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 중국의 기독교사 - 대진 (국가)
    대진은 중국에서 로마 제국을 지칭하는 명칭으로, 중국 역사 기록에 묘사되며 기독교와도 관련이 있다.
  • 중국의 기독교사 - 곤여만국전도
    곤여만국전도는 마테오 리치가 1602년 제작한 중국 중심 세계관과 서양 지리학 지식을 반영한 계란형 세계지도로, 여러 판본이 존재하며 동아시아에 영향을 미쳤고, '일본해' 명칭의 최초 사용 사례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한국판은 보물로 지정되어 역사적·예술적 가치를 지닌다.
곤여전도
지도 정보
개요
종류세계지도
제작 시기1602년
상세 정보
제작자마테오 리치 (중국어 이름: 리마두, 利瑪竇)
협력자이엽봉(李應鳳)
서광계(徐光啓)
언어한문
크기가로 380cm, 세로 168cm (추정치)
내용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아메리카 등 당시 알려진 전 세계의 지리 정보 수록
지리 정보 외에 천문학, 기상학, 동식물, 풍속 등에 대한 설명 포함
특징서양의 지리 지식과 중국의 지리 관념이 결합된 최초의 세계지도 중 하나
곤여만국전도(坤輿萬國全圖)라고도 불림
역사적 의의
영향조선에 유입되어 천하관에 큰 영향
조선 후기 실학자들에게 서양 문물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계기 마련
일본, 베트남 등 동아시아 각국에 전파
보관 현황
소장처바티칸 도서관
중국국가박물관
교토 대학
미국 의회도서관
개인 소장 (다수)

2. 역사

1674년 페르비스트가 북경에서 초판을 제작·출판하였고, 1856년 광동(廣東)에서 재판이 간행되었다. 1721년 유척기가 1674년에 제작된 〈곤여전도〉를 조선에 들여왔다.[1]

2. 1. 제작 및 전래

〈곤여전도〉는 1674년 페르비스트가 북경에서 초판을 제작·출판하였다.[1] 1856년 광동(廣東)에서 재판이 간행되었다.[1] 1721년 북경에 사신으로 다녀온 유척기가 1674년에 제작된 〈곤여전도〉를 들여왔다.[1] 현재 한국에는 숭실대 한국기독교박물관에 중국 북경판이 8폭 병풍으로 제작된 〈곤여전도〉가 남아 있고, 규장각에는 설명부를 제외한 지도 부분 6개의 목판이 남아 있다.[1] 이것은 1674년 원본은 아니며, 1856년 중국 광동 판을 바탕으로 조선에서 다시 제작한 것이다.[1]

3. 구성 및 형식

곤여전도는 총 8폭으로, 각 폭은 가로 196.0cm, 세로 48.0cm이다. 지도는 6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양반구도가 각각 3폭씩에 걸쳐 표현되어 있다. 1폭과 8폭에는 남북극, 지구 형체, 지진, 인물, 강산 등 천문·자연 지리적 설명문이 있다.

남방 대륙과 대양주는 양반구도에 모두 걸쳐 있으며, 남북 아메리카는 서반구(2~4폭),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대륙은 동반구(5~7폭)에 위치한다. 지도 여백에는 〈회입곤여만국전도〉처럼 상상의 동물과 탐험선 등이 그려져 있고, 각 대륙별로 간단한 색을 넣어 효과를 냈다.[3]

3. 1. 시각적 효과

〈곤여전도〉는 양반구도로 되어 있어 지구가 둥글다는 사실을 시각적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뿐만 아니라, 중원 대륙이 세계의 중심이라는 지리적 중화관을 전혀 찾아볼 수 없다는 점에서도 시각적인 효과가 나타난다. 〈곤여만국전도〉나 〈천하도지도〉와는 달리 〈곤여전도〉에서는 동아시아가 동반구의 한쪽 귀퉁이에 자리잡고 있을 뿐이다.[4]

4. 곤여전도 목판

이 지도는 목판본이기 때문에 널리 보급되었으며 현재도 상당수 전해지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목판 자체도 설명문을 제외한 지도 부분이 보물 제882호로 지정되어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보존되어 있다.[2] 규장각에 보관되어 있는 곤여전도 목판은 페르비스트가 1674년 북경에서 판각한 〈곤여전도〉를 바탕으로 주기 위치가 약간 변경되었을 뿐 내용은 그대로 두고 1860년(철종 11년)에 다시 펴낸 것이다. 목판은 3쪽 양면으로 된 6판면이다. 그러나 서반구와 동반구가 들어 있는 지도 부분은 완전히 남아 있는 반면, 양쪽에 지진, 인물, 강과 하천, 산악 등에 대한 해설 부분의 목판이 빠져 있다. 목판 1폭의 크기는 가로 68.7cm, 세로 177.5cm이고, 지도 부분은 가로 51cm, 세로 144cm이다.[2]

참조

[1] 웹사이트 U21 Museums Gateway https://web.archive.[...] 2009-12-21
[2] 웹인용 곤여전도목판 http://www.cha.go.kr[...] 2008-08-07
[3] 웹인용 곤여전도 http://www3.ssu.ac.k[...] 2008-08-07
[4] 서적 우리 옛 지도와 그 아름다움 199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