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골든 애로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골든 애로상은 일본의 잡지 협회 주최로 1963년부터 2008년까지 시상된 상으로, 영화, 연극, 음악, 방송, 스포츠, 신인, 인기, 공로, 잡지, 특별상 등 다양한 부문에서 시상했다. 1980년부터 TV 아사히에서 시상식 중계 특별 프로그램을 방송했으며, 2004년에는 일부 부문이 통합되고 시상 규모가 축소되었다. 2007년 종료가 발표되었고, 2008년 시상식을 마지막으로 폐지되었다. 쟈니스 사무소 등 일부 연예 기획사의 수상 거부, 후지 TV의 시상식 취재 중단 등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텔레비전상 - 엘란도르상
    엘란도르상은 일본 영화 텔레비전 프로듀서 협회가 주최하는 시상식으로, 신인상, 작품상, 특별상 등을 시상하며, 1956년부터 매년 진행되어 왔다.
  • 일본의 텔레비전상 - 닛칸스포츠 드라마 그랑프리
    닛칸스포츠 드라마 그랑프리는 닛칸스포츠 신문사가 드라마 문화 발전 장려와 독자 의견 반영을 목적으로 창설한 일본 드라마 시상식으로, 작품상, 남우주연상, 여우주연상 등 다양한 부문에서 시상을 진행하며 공정성 논란이 있기도 하다.
  • 일본의 영화상 -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
    마이니치 신문사 주최로 1935년 시작되어 제2차 세계 대전 중단을 거쳐 1946년 재개된 일본의 영화상인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는 일본 영화 대상, 남녀 주연상 등 다양한 부문을 시상하며 매년 2월 시상식이 열리고, 《어느 밤의 영주》, 《이키루》, 《신 고지라》, 《만비키 가족》 등의 역대 수상작이 있다.
  • 일본의 영화상 - 일본 아카데미상
    일본 아카데미상은 일본 영화의 발전 장려와 영화인들의 업적 기리기 위해 1978년 창설되어 협회 회원들의 투표로 수상작을 결정하며 작품상, 감독상, 각본상, 연기상, 기술 부문상, 애니메이션 작품상 등을 시상하는 권위 있는 영화상이지만, 대형 배급사 작품 위주 선정 및 대중성 치중 경향에 대한 비판도 있다.
골든 애로상 - [상(Prize)]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골든 애로상
로마자 표기Goldeun Arosang
수여 대상일본 연예계에 기여한 사람
수여자사단법인 일본잡지협회
국가일본
첫 시상1964년 3월 17일
마지막 시상2008년 3월 3일
공식 웹사이트일본잡지협회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1963년 대상, 화제상, 취재협력상, 신인상, 특별상 5개 부문으로 제1회 시상식이 시작되었다.[1] 1968년 제6회를 끝으로 취재 협력상은 폐지되었다.[1] 1967년 일본 잡지 협회 내 일본 잡지 사진 기자회가 선정하는 그래프상이 신설되었다.[1] 1969년 영화상, 연극상, 음악상, 방송상 등 부문별 본상 표창이 시작되었으나, 대상 수상자는 별도로 있었다.[1] 1973년 신인상 부문별 표창이 시작되어, 대상과 최우수 신인상이 부문별 본상 및 신인상 수상자 중에서 선정되었다.[1] 1975년 예능(신인)상이 신설되었다.[1]

1980년 제18회부터 TV 아사히 계열에서 시상식 중계 특별 프로그램을 방송하기 시작했다(방송일은 1981년 2월 21일).[1] 1995년 제32회까지는 주로 일요일 16-17시대(선데이 선물)에, 1996년 제33회부터 2004년 제41회까지는 일요일 14-15시대(일요 와이드)에 방송되었다.[1] 1993년 제30회만 생방송으로 진행되었다.[1]

2004년 제42회에는 예능상이 방송상에 통합되어 '''방송상 드라마 부문'''과 '''방송상 버라이어티 부문'''으로 재편되었다.[1] 본상에 '''스포츠상'''이 신설되고, 특별 3상(화제상, 그래프상)의 특별상은 '''예능 공로상'''으로 변경되었다.[1] 대상・최우수 신인상 표창이 중단되고, 신인상은 부문 구분 없이 복수 그룹을 표창하도록 하였다.[1] 시상식 특별 프로그램 방송도 중단되는 등, 전반적으로 규모가 축소되었다.[1]

2007년 제45회 시상식(2008년 3월 3일, 호텔 뉴오타니)을 끝으로 종료가 발표되었다.[1] 다음 날 TBS 계열 '핑퐁!'에서 마츠하시 히로노부 대표 간사는 "잡지와 연예계의 변화로 역할을 다했다고 판단, 새로운 형태를 모색하려 한다"고 밝혔다.[1]

2. 1. 제정 및 초기 (1963년 ~ 1970년대)

1963년에 대상, 화제상, 취재협력상, 신인상, 특별상 5개 부문으로 제1회 시상식이 시작되었다.[1] 1968년까지 총 6회 시상 후 취재 협력상은 폐지되었다.[1] 1967년에는 일본 잡지 협회 내 일본 잡지 사진 기자회가 선정하는 그래프상이 신설되었다.[1] 1969년에는 영화상, 연극상, 음악상, 방송상 등 부문별 본상 표창이 시작되었으나, 당시에는 대상 수상자가 따로 존재했다.[1] 1973년에는 신인상 부문별 표창이 시작되어, 대상과 최우수 신인상이 부문별 본상 및 신인상 수상자 중에서 선정되었다.[1] 1975년부터는 예능(신인)상이 신설되었다.[1]

2. 2. 발전 및 변화 (1980년대 ~ 2000년대)

1980년(제18회)부터 TV 아사히 계열에서 시상식 중계 특별 프로그램을 방송하기 시작했다.(방송일은 1981년 2월 21일)[1] 이후, 1995년 방송된 제32회(1994년도)까지는 주로 일요일 16-17시대(선데이 선물)에, 1996년 방송된 제33회(1995년도)부터 2004년 방송된 제41회(2003년도)까지는 일요일 14-15시대(일요 와이드)에 방송되었다.[1] 1993년 방송된 제30회(1992년도)만 생방송으로 진행되었다.[1]

2004년(제42회)에는 예능상이 방송상에 통합되어 '''방송상 드라마 부문'''과 '''방송상 버라이어티 부문'''으로 재편되었다.[1] 본상에 '''스포츠상'''을 신설하고, 특별 3상(그 외 화제상, 그래프상)의 특별상은 '''예능 공로상'''으로 변경되었다.[1] 또한 대상・최우수 신인상의 표창을 중단하고, 신인상은 부문 구분 없이 복수 그룹을 표창하도록 하였다.[1] 그리고 시상식 특별 프로그램 방송도 없어지는 등, 전반적으로 규모가 축소되었다.[1]

3. 수상 부문

부문설명
영화상영화 부문
연극상연극 부문
음악상음악 부문
방송상 – 드라마드라마 부문
방송상 – 버라이어티버라이어티 부문
스포츠상스포츠 부문
신인상신인 부문
인기상인기 부문
공로상공로 부문
잡지상잡지 부문
특별상특별 부문



골든 애로상은 위와 같은 부문에서 시상한다.

4. 주요 수상 기록

주어진 섹션 제목이 '주요 수상 기록'이고 하위 섹션에서 이미 상세한 수상 기록을 다루고 있으므로, 이 섹션에서는 골든 애로상 전반에 대한 간략한 소개와 하위 섹션으로 연결되는 링크를 제공하는 것이 적절하다.

골든 애로상은 일본의 대중문화 시상식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긴 인물들에게 수여된다.[1] 상세한 수상 기록은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다.


  • 2회 이상 대상 수상자
  • 최우수 신인상 수상 후 대상 수상자
  • 기타 기록

4. 1. 2회 이상 대상 수상자

배우수상 부문
비트 다케시제23회 방송상, 기타노 다케시 명의로 제35회 및 제38회 영화상
요시나가 사유리제2회, 제21회 영화상
다케나카 나오토제29회 영화상, 제34회 방송상
이치카와 소메고로
(마쓰모토 고시로)
제3회(이치카와 소메고로), 제40회 연극상(마쓰모토 고시로)


4. 2. 최우수 신인상 수상 후 대상 수상자


  • 마쓰자카 게이코 (제10회, 제20회 영화상) - 부문별 시상 개시 이전에 신인상을 수상했다.[1]
  • 소년대 (제24회 음악신인상, 제31회 연극상)[1]
  • 히카와 기요시 (제38회 음악신인상, 제41회 음악상) - 같은 부문에서는 유일하다.[1]

4. 3. 기타 기록

골든 애로상의 기타 기록은 다음과 같다.[1]

  • 사이토 유키: 제23회 영화 신인상, 제25회 연극 신인상을 수상했다.
  • 혼다 미나코.: 제23회 음악 신인상, 제30회 연극 신인상을 수상했다.
  • 이시다 히카리: 제29회 영화 신인상, 제32회 연극 신인상을 수상했다.
  • 우에토 아야: 제40회 방송 신인상, 제41회 영화 신인상을 수상했으며, 2년 연속 수상은 유일하다.


신인상 3회 이상 수상 및 최우수 신인상 2회 이상 수상자는 없다.

5. 논란 및 비판

골든 애로상은 상금이 지급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제42회(2004년) 신인상 수상자인 하타 요구는 시상식에서 이 점을 소재로 삼기도 했다.[1]

역대 최연소 수상자는 제21회(1983년) 방송 신인상을 수상한 고바야시 아야코(당시 초등학교 5학년)이다. 최고령 수상자는 제36회(1998년) 특별상을 수상한 요도카와 나가하루이다.[1]

방송상은 제35회(1997년) 이후 드라마 부문은 여성이, 버라이어티 부문은 남성이 수상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제45회에 오구리 슌이 11년 만에 드라마 부문 남성 수상자가 되었다. 버라이어티 부문은 제39회부터 제43회까지 남성 개그 콤비가 계속 수상했다.[1]

음악 신인상은 1980년대에는 가요상 레이스 중 하나로 여겨졌으며, 제40회(2002년)까지 수상자가 3팀 또는 2팀이 선정되는 것이 관례였다. 최우수 신인상도 해당 수상자 중에서 선정되는 경우가 많았으나, 복수 팀 선정으로 인해 성공하지 못하고 사라진 수상자도 많다.[1]

그래프상은 해당 연도에 가장 잡지의 그라비아를 장식하여 화제를 제공한 피사체(주로 여성 탤런트)에게 수여된다. 제36회(1998년) 이후 수상자는 다음 해 일본 잡지 협회 캠페인 캐릭터로 기용되어 "잡지 애독 월간" 홍보 모델로 활동한다. 시상식에는 전년도 수상자가 참석하여 축복하는 것이 관례였다.[1]

화제상은 연예계 전반에서 밝은 화제를 제공한 인물에게 수여되었으나, 제31회(1993년)부터는 스포츠 선수도 대상이 되었다. 1990년대 후반부터는 개그 탤런트의 수상이 많았다.[1]

특별상은 원래 연예계 전반에서 특별한 공적이 있는 인물에게 수여되었으나, 1990년대에는 해당 연도에 사망한 연예인, 스태프 등에게 수여되는 경향이 강했다. 제37회(1999년)부터는 스포츠 선수도 대상이 되었다.[1]

예능 공로상은 물고자에 대한 표창으로, 제25회(1987년)에 "특별 공로상"을 수상한 이시하라 유지로가 최초이다.[1]

스포츠상은 프로 야구와 골프 선수만이 수상하였다. 제44회에서는 피겨 스케이팅의 아라카와 시즈카가 토리노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했음에도 수상하지 못했고, 제45회에서는 비치 발리볼의 아사오 미와가 미디어 주목도는 높았지만 성적 미흡으로 낙선했다.[1]

참조

[1] 학술지 http://mainichi.jp/e[...] 2008-03-03
[2] 웹사이트 ゴールデン・アロー賞とは http://www.j-magazin[...]
[3] 간행물 日本雑誌協会 日本書籍出版協会50年史 Web版 http://www.jbpa.or.j[...]
[4] 문서 同年代のレコードデビュー組で音楽新人賞さえ受賞できなかったのは[[1981年]]度の[[ひかる一平]]、[[1985年]]度の[[中村繁之]]程度。
[5] 문서 第28回([[1990年]]度)音楽賞の[[B.B.クィーンズ]]、第29回([[1991年]]度)音楽新人賞の[[Mi-Ke]]のみ。
[6] 문서 第32回最優秀新人賞・音楽新人賞の[[篠原涼子]]、第33回音楽賞の[[安室奈美恵]]のみ。
[7] 문서 1990年代以降は第43回([[2005年]]度)新人賞の[[WaT]]のみ。
[8] 문서 1990年代以降は第34回映画新人賞の[[安藤政信]]から第43回新人賞の[[沢尻エリカ]]まで受賞者なし。
[9] 문서 第43回音楽賞の[[倖田來未]]のみ。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