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니치 영화 콩쿠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는 1935년 전일본영화콩쿠르로 시작하여, 1946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된 일본의 영화 시상식이다. 일본 영화, 외국 영화, 다큐멘터리,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부문에서 시상이 이루어지며, 일본영화대상, 남우주연상, 여우주연상 등이 주요 부문이다. 역대 수상작으로는 《술 취한 천사》, 《이키루》,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6년 시작된 영화제 - 카를로비바리 국제 영화제
카를로비바리 국제 영화제는 1946년 체코슬로바키아에서 시작되어 동유럽 최대 규모를 자랑하며 국제영화제작자연맹(FIAPF)의 공인을 받은 국제 영화 행사이다. - 1946년 시작된 영화제 - 로카르노 영화제
로카르노 영화제는 1946년 스위스 로카르노에서 시작되어 황금표범상 등을 시상하며, 한국 영화는 1989년과 2015년에 최고상을 수상하는 등 국제적인 영화제로 명성을 이어가고 있다. - 일본의 영화상 - 일본 아카데미상
일본 아카데미상은 일본 영화의 발전 장려와 영화인들의 업적 기리기 위해 1978년 창설되어 협회 회원들의 투표로 수상작을 결정하며 작품상, 감독상, 각본상, 연기상, 기술 부문상, 애니메이션 작품상 등을 시상하는 권위 있는 영화상이지만, 대형 배급사 작품 위주 선정 및 대중성 치중 경향에 대한 비판도 있다. - 일본의 영화상 - 도쿄 국제 영화제
도쿄 국제 영화제는 1985년에 시작되어 국제영화제작자연맹으로부터 공인받은 일본 최대의 영화 축제로, 다양한 상영 부문과 기획을 통해 전 세계 영화를 소개하며 아시아 영화 발전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 - [상(Prize)]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 |
로마자 표기 | Mainichi Eiga Konkūru |
시상 분야 | 영화 제작의 우수성 |
주최 | 마이니치 신문사 , 스포츠 닛폰 신문사 |
시상식 개최일 | 매년 2월 초 |
시상식 장소 | 메구로 퍼시몬 홀 |
첫 시상 | 1946년 |
최신 시상 | 2023년 |
최신 수상작 | 『세카이노오키쿠』 |
공식 웹사이트 | https://mainichi.jp/mfa/ |
세부 정보 | |
시상 대상 | 작품, 감독, 각본, 배우, 스태프 |
2. 역사
1935년 마이니치 신문이 '전일본영화콩쿠르'라는 이름으로 영화제를 시작했다.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중단되었다가, 1946년에 '마이니치 영화상'으로 다시 시작되었다.[1]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는 전년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공개된 작품을 대상으로 여러 부문의 상을 시상한다. 주요 시상 부문은 다음과 같다.
초기에는 작품상, 감독상, 각본상, 촬영상, 음악상 등 주요 부문을 시상하였고, 점차 시상 부문을 확대하여 현재는 일본영화대상을 비롯해 우수상, 개인상(감독상, 각본상, 남우주연상, 여우주연상, 남우조연상, 여우조연상, 촬영상, 미술상, 음악상, 녹음상, 기술상), 기록문화영화상, 애니메이션영화상, 스포니치 그랑프리 신인상, 다이토우 신로상, 타나카 키네요상, 일본영화팬상, 외국영화 베스트원상, 외국영화팬상 등 다양한 상을 수여하고 있다. 대상 작품은 일본 영화와 외국 영화를 구분하지 않고 선정한다.
매년 2월 상순에 시상식이 열리며, 2010년에는 처음으로 tvk에서 시상식 모습이 생방송되었으나, 2011년부터는 오프닝 세레모니만 생방송되고 시상식은 나중에 녹화 방송된다.
2010년부터 2019년까지의 시상식은 가와사키시의 뮤자 가와사키 심포니홀에서 열렸으나, 2020년부터는 도내로 돌아와 메구로구의 메구로 파시몬홀에서 열리고 있다.
1982년까지는 마이니치신문사 단독 주최였다.[2] 당시 마이니치신문사는 경영 재건 중이었고, 후지산케이 그룹이 매일영화콩쿠르를 인수하려 했으나, 스포츠닛폰의 도움으로 1983년부터 마이니치·스포니치 공동 주최가 되었다.[2]
3. 시상 부문
매년 2월 상순에 시상식이 열린다.[2]
3. 1. 작품 부문
연도 | 작품명 |
---|---|
1946년 | 어느 밤의 영주 |
1947년 | 이마 히토타비노 |
1948년 | 주정뱅이 천사 |
1949년 | 만춘 |
1950년 | 다시 만날 날까지 |
1951년 | 밥, 초여름 |
1952년 | 이키루 |
1953년 | 니고리에 |
1954년 | 24개의 눈동자 |
1955년 | 부운 |
1956년 | 한낮의 암흑 |
1957년 | 쌀 |
1958년 | 나라야마 부시코 |
1959년 | 키쿠와 이사무 |
1960년 | 남동생 |
1961년 | 인간의 조건 |
1962년 | 하라키리 |
1963년 | 천국과 지옥 |
1964년 | 모래의 여자 |
1965년 | 붉은 수염 |
1966년 | 하얀 거탑 |
1967년 | 사무라이 반란 |
1968년 | 신들의 깊은 욕망 |
1969년 | 동반자살 |
1970년 | 가족 |
1971년 | 침묵 |
1972년 | 시노부가와 |
1973년 | 쓰가루 존가라부시 |
1974년 | 모래 그릇 |
1975년 | 화석 |
1976년 | 불모지대 |
1977년 | 행복의 노란 손수건 |
1978년 | 사건 |
1979년 | 아아 노무기토게 |
1980년 | 카게무샤 |
1981년 | 진흙강 |
1982년 | 카마타 행진곡 |
1983년 | 전장의 크리스마스 |
1984년 | W의 비극 |
1985년 | 란 |
1986년 | 바다와 독약 |
1987년 | 마루사의 여자 |
1988년 | 이웃집 토토로 |
1989년 | 검은 비 |
1990년 | 소년시대 |
1991년 | 아들 |
1992년 | 으랏차차 스모부 |
1993년 | 달은 어디에 떠 있는가 |
1994년 | 전신소설가 |
1995년 | 오후의 유언장 |
1996년 | 쉘 위 댄스 |
1997년 | 모노노케 히메 |
1998년 | 사랑을 바라는 사람 |
1999년 | 철도원 |
2000년 | 얼굴 |
2001년 |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
2002년 | 황혼의 사무라이 |
2003년 | 아카메시쥬야타키신쥬미스이 |
2004년 | 피와 뼈 |
2005년 | 박치기! |
2006년 | 유레루 |
2007년 | 그래도 내가 하지 않았어 |
2008년 | 굿바이 |
2009년 | 지지 않는 태양 |
2010년 | 악인 |
2011년 | 한 장의 엽서 |
매년 전년도 1월 1일부터 그 해 12월 31일까지 공개된 모든 작품 중에서 일본영화대상, 일본영화우수상, 외국영화 베스트원상 등 각 상이 선정된다.
3. 2. 배우 부문
상 이름 | 설명 |
---|---|
마이니치 영화상 최우수 남우주연상 | 1947년부터 2023년까지 시상되었다. |
마이니치 영화상 최우수 여우주연상 | 1947년부터 2023년까지 시상되었다. |
마이니치 영화상 최우수 남우조연상 | 1947년부터 2023년까지 시상되었다. |
마이니치 영화상 최우수 여우조연상 | 1947년부터 2023년까지 시상되었다. |
스포니치 그랑프리 신인상 | |
기누요 다나카상 | |
마이니치 영화상 최우수 주연상 | 2024년부터 시상되고 있다. |
마이니치 영화상 최우수 조연상 | 2024년부터 시상되고 있다. |
3. 3. 스태프 부문
- 감독상
- 각본상
- 촬영상
- 미술상
- 음악상
- 녹음상
3. 4. 다큐멘터리 부문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의 다큐멘터리 영화상은 전년도 1월 1일부터 그해 12월 31일까지 공개된 모든 작품 중에서 선정되는 기록문화영화상 부문 중 하나이다.3. 5. 애니메이션 부문
1946년 오후지 노부로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오후지 노부로상'이 제정되었다.[2] 1961년 오후지 노부로가 사망하면서, 1962년부터 단편 애니메이션을 대상으로 하는 '오후지 노부로상'과 장편 애니메이션을 대상으로 하는 '애니메이션 영화상'이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2]3. 6. 특별상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의 특별상은 시상식의 한 부분으로, 전년도 1월 1일부터 그 해 12월 31일까지 공개된 모든 작품 중에서 여러 부문의 상과 함께 선정된다.1982년까지는 마이니치신문사 단독 주최였다.[2] 당시 마이니치신문사는 경영 재건 중이었고, 단독 영화상을 가지고 있지 않던 후지산케이 그룹이 매일영화콩쿠르를 인수하고 싶어 일본영화제작자연맹 회장 오카다 시게루에게 상담을 왔다.[2] 오카다는 친분이 있던 스포츠닛폰 기자 와키다 타카히코를 도에이 본사로 불러 "전통 있는 매일콩쿠르가 다른 회사로 넘어가도 되는가"라고 전했다. 와키다는 놀라서 곧바로 스포츠닛폰신문사 사장 와다 준이치에게 보고했다. 와다는 마이니치신문 도쿄본사 대표 코이케 유키오에게 교섭하여 매일영화콩쿠르의 시상식과 리셉션을 성대하게 치르고, 스포니치가 공동 주최로 참여하며, 스포니치 신인상을 신설하고, 스포니치가 일정액의 자금을 지원한다는 개선책이 결정되어 1983년 이후 매일영화콩쿠르는 마이니치·스포니치 공동 주최가 되었다.[2]
3. 7. TSUTAYA DISCAS 영화 팬상
TSUTAYA DISCAS 영화 팬상은 전년도 1월 1일부터 그 해 12월 31일까지 공개된 모든 작품 중에서 일본 영화 부문과 외국 영화 부문으로 나누어 선정한다.4. 역대 주요 수상작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는 1946년부터 시작되어 매년 우수한 영화 작품과 영화인에게 상을 수여해 왔다. 역대 주요 수상작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작품 |
---|---|
1946 | 어느 날 밤의 영주 |
1947 | 이마 히토타비노 |
1948 | 주정뱅이 천사 |
1949 | 만춘 |
1950 | 다시 만날 날까지 |
1951 | 밥, 초여름 |
1952 | 이키루 |
1953 | 니고리에 |
1954 | 24개의 눈동자 |
1955 | 부운 |
1956 | 한낮의 암흑 |
1957 | 쌀 |
1958 | 나라야마 부시코 |
1959 | 키쿠와 이사무 |
1960 | 남동생 |
1961 | 인간의 조건 |
1962 | 하라키리 |
1963 | 천국과 지옥 |
1964 | 모래의 여자 |
1965 | 붉은 수염 |
1966 | 하얀 거탑 |
1967 | 사무라이 반란 |
1968 | 신들의 깊은 욕망 |
1969 | 동반자살 |
1970 | 가족 |
1971 | 침묵 |
1972 | 시노부가와 |
1973 | 쓰가루 존가라부시 |
1974 | 모래 그릇 |
1975 | 화석 |
1976 | 불모지대 |
1977 | 행복의 노란 손수건 |
1978 | 사건 |
1979 | 아아 노무기토게 |
1980 | 카게무샤 |
1981 | 진흙강 |
1982 | 카마타 행진곡 |
1983 | 전장의 크리스마스 |
1984 | W의 비극 |
1985 | 란 |
1986 | 바다와 독약 |
1987 | 마루사의 여자 |
1988 | 이웃집 토토로 |
1989 | 검은 비 |
1990 | 소년시대 |
1991 | 아들 |
1992 | 으랏차차 스모부 |
1993 | 달은 어디에 떠 있는가 |
1994 | 전신소설가 |
1995 | 오후의 유언장 |
1996 | 쉘 위 댄스 |
1997 | 모노노케 히메 |
1998 | 사랑을 바라는 사람 |
1999 | 철도원 |
2000 | 얼굴 |
2001 |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
2002 | 황혼의 사무라이 |
2003 | 아카메시쥬야타키신쥬미스이 |
2004 | 피와 뼈 |
2005 | 박치기! |
2006 | 유레루 |
2007 | 그래도 내가 하지 않았어 |
2008 | 굿바이 |
2009 | 지지 않는 태양 |
2010 | 악인 |
2011 | 한 장의 엽서 |
4. 1. 일본영화대상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의 일본영화대상은 전년도 1월 1일부터 그 해 12월 31일까지 공개된 모든 작품 중에서 선정된다.[2] 대상 작품은 영화와 국내 영화를 불문하며, 시상식은 매년 2월 상순에 열린다.[2]연도 | 일본영화대상 |
---|---|
2010년 | 악인 |
2011년 | 한 장의 엽서 |
4. 1. 1. 1940년대
4. 1. 2. 1950년대
연도 | 일본영화대상 |
---|---|
1950년 | 다시 만날 날까지 |
1951년 | 밥, 보리추수 |
1952년 | 살다 |
1953년 | 흐린 그림자 |
1954년 | 스물네 개의 눈동자 |
1955년 | 떠도는 구름 |
1956년 | 정오의 암흑 |
1957년 | 쌀 |
1958년 | 나라야마 부시코 |
1959년 | 키쿠와 이사무 |
4. 1. 3. 1960년대
4. 1. 4. 1970년대
연도 | 일본영화대상 | 교육문화영화상 | 뉴스영화상 |
---|---|---|---|
1970년 | 《가족》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1971년 | 《침묵》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1972년 | 《시노부가와》 | 《결핵의 생태》, 아사히 뉴스 「도쿄 메이데이」를 포함한 제349호 일본영화신사 | 해당사항 없음 |
1973년 | 《쓰가루 종가라부시》 | 《진공의 세계》, 《눈 밟기》, 아사히 뉴스 「방위체제 강화로」를 포함한 제431호 일본영화신사 | 해당사항 없음 |
1974년 | 《모래 그릇》 | 《모기》, 《사쿠마 댐》, 매일 세계 뉴스 제145호 특보 「중원 대난투 사건」 신리켄 영화사 | 해당사항 없음 |
1975년 | 《화석》 | 《개구리의 발생》, 《어머니 한 사람의 기록》, 아사히 뉴스 「수학여행」을 포함한 제511호 일본영화신사 | 해당사항 없음 |
1976년 | 《불모지대》 | 《카라코룸》, 아사히 뉴스 “이 아이들에게 부모를” 포함 제522호 일본영화신사 | 해당사항 없음 |
1977년 | 《행복의 노란 손수건》 | 《남극대륙》, 《어머니의 버스 여행》, 《후쿠스케》, 요미우리 국제 뉴스 “쥐 마을의 쥐 소동” 포함 제454호 요미우리 영화사 | 해당사항 없음 |
1978년 | 《사건》 | 《지저의 개가》, 《미크로의 세계》, 《어머니와 소년》, 니카쓰 세계 뉴스 “국회 공백의 1주일” 포함 제204호 마이니치 영화사 | 해당사항 없음 |
1979년 | 《아아 노무기토게》 | 《비경 히말라야》, 《소문은 퍼진다》, 《암세포》, 니카쓰 세계 뉴스 “희망 방문·미나마타병을 탐구하다” 포함 제257호 마이니치 영화사 | 해당사항 없음 |
4. 1. 5. 1980년대
제37회(1982년)까지는 마이니치신문사 단독 주최였다.[2] 당시 마이니치신문사는 경영 재건 중이었고, 단독 영화상을 가지고 있지 않던 후지산케이 그룹이 매일영화콩쿠르를 인수하고 싶어 오카다 시게루 일본영화제작자연맹 회장에게 상담을 했다.[2] 오카다는 친분이 있던 스포츠닛폰 기자 와키다 타카히코를 도에이 본사로 불러 "전통 있는 매일콩쿠르가 다른 회사로 넘어가도 되는가"라고 전했다. 와키다는 놀라서 곧바로 스포츠닛폰신문사 사장 와다 준이치에게 보고했다. 와다는 마이니치신문 도쿄본사 대표 코이케 유키오에게 교섭하여 매일영화콩쿠르의 시상식과 리셉션을 성대하게 치르고, 스포니치도 공동 주최로 참여하며, 스포니치 신인상을 신설하고, 스포니치가 일정액의 자금을 지원한다는 개선책이 결정되어 제38회(1983년) 이후 매일영화콩쿠르는 마이니치·스포니치 공동 주최가 되었다.[2]
4. 1. 6. 1990년대
연도 | 일본영화대상 |
---|---|
1990년 | 소년시대 |
1991년 | 아들 |
1992년 | 으랏차차 스모부 |
1993년 | 달은 어디에 떠 있는가 |
1994년 | 전신소설가 |
1995년 | 오후의 유언장 |
1996년 | 쉘 위 댄스 |
1997년 | 모노노케 히메 |
1998년 | 사랑을 바라는 사람 |
1999년 | 철도원 |
4. 1. 7. 2000년대
연도 | 작품 |
---|---|
2000년 | 얼굴 |
2001년 |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
2002년 | 황혼의 사무라이 |
2003년 | 아카메시쥬야타키신쥬미스이 |
2004년 | 피와 뼈 |
2005년 | 박치기! |
2006년 | 유레루 |
2007년 | 그래도 내가 하지 않았어 |
2008년 | 굿바이 |
2009년 | 지지 않는 태양 |
2010년 | 악인 |
2011년 | 한 장의 엽서 |
4. 2. 외국영화 베스트원상
외국영화 베스트원상은 전년도 1월 1일부터 그 해 12월 31일까지 공개된 모든 작품 중에서 선정되며, 양화 및 국내 영화를 불문하고 시상한다. 시상식은 매년 2월 상순에 열린다.[2]4. 2. 1. 1980년대
1982년까지는 마이니치 신문사 단독 주최였다.[2] 당시 마이니치 신문사는 경영 재건 중이었고, 단독 영화상을 가지고 있지 않던 후지산케이 그룹이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를 인수하고 싶어 오카다 시게루 일본영화제작자연맹 회장에게 상담을 해왔다.[2] 오카다는 친분이 있던 스포츠닛폰 기자 와키다 타카히코를 도에이 본사로 불러 "전통 있는 마이니치 콩쿠르가 다른 회사로 넘어가도 되는가"라고 전했다. 와키다는 놀라서 곧바로 스포츠닛폰 신문사 사장 와다 준이치에게 보고했다. 와다는 마이니치 신문 도쿄 본사 대표 코이케 유키오에게 교섭하여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의 시상식과 리셉션을 성대하게 치르고, 스포츠닛폰(스포니치)도 공동 주최로 참여하며, 스포니치 신인상을 신설하고, 스포니치가 일정액의 자금을 지원한다는 개선책이 결정되어 1983년 이후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는 마이니치·스포니치 공동 주최가 되었다.[2]4. 2. 2. 1990년대
1월 1일부터 그 해 12월 31일까지 공개된 모든 작품 중에서 일본영화대상을 비롯해 우수상, 개인상(감독상, 각본상, 남우주연상, 여우주연상, 남우조연상, 여우조연상, 촬영상, 미술상, 음악상, 녹음상, 기술상), 기록문화영화상, 애니메이션영화상, 스포니치 그랑프리 신인상, 다이토우 신로상, 타나카 키네요상, 일본영화팬상, 외국영화 베스트원상, 외국영화팬상 등 각 상이 선정된다. 대상 작품은 양화, 국내 영화를 불문한다.[2]4. 2. 3. 2000년대
전년도 1월 1일부터 그 해 12월 31일까지 공개된 모든 작품 중에서 일본영화대상을 비롯해 우수상, 개인상(감독상, 각본상, 남우주연상, 여우주연상, 남우조연상, 여우조연상, 촬영상, 미술상, 음악상, 녹음상, 기술상), 기록문화영화상, 애니메이션영화상, 스포니치 그랑프리 신인상, 다이토우 신로상, 타나카 키네요상, 일본영화팬상, 외국영화 베스트원상, 외국영화팬상 등 각 상이 선정된다. 대상 작품은 양화, 국내 영화를 불문한다.[2]매년 2월 상순에 시상식이 열리며, 제65회(2010년)는 처음으로 tvk에서 시상식 모습이 생방송되었으나, 다음 해(제66회, 2011년) 이후는 오프닝 세레모니만 생방송되고, 시상식은 나중에 녹화 방송된다.
제65회부터 제74회(2019년)까지의 시상식은 가와사키시의 협력으로 시내에 있는 뮤자 가와사키 심포니홀에서 거행되었으나, 제75회(2020년) 이후는 다시 도내로 돌아와 메구로구의 협력으로 메구로 파시몬홀에서 거행되고 있다.
4. 2. 4. 2010년대
제65회(2010년) 시상식은 처음으로 tvk에서 생방송되었으나, 다음 해(제66회, 2011년) 이후는 오프닝 세레모니만 생방송되고, 시상식은 나중에 녹화 방송되었다.제65회부터 제74회(2019년)까지의 시상식은 가와사키시의 협력으로 시내에 있는 뮤자 가와사키 심포니홀에서 거행되었다.[2]
5. 한국 영화와의 관계 및 영향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는 일본 영화 시상식이지만, 한국 영화와도 간접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
- 수상 대상: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는 일본 영화뿐만 아니라 외국 영화도 대상으로 한다. 따라서 한국 영화도 수상 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
- 외국영화 베스트원상: 이 상은 외국 영화 중 최고의 작품에 수여되는 상으로, 한국 영화도 이 상을 수상할 가능성이 있다.
- 일본 영화팬상: 이 상은 일본 영화 팬들의 투표로 결정되는 상으로, 한국 영화가 일본에서 인기를 얻는다면 이 상을 수상할 수도 있다.
하지만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가 한국 영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 시상식은 주로 일본 영화를 대상으로 하며, 한국 영화는 외국 영화로서 경쟁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영화가 이 시상식에서 수상한다면 일본 내에서 한국 영화의 인지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6. 비판적 시각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는 오랜 역사와 권위를 자랑하지만, 일부에서는 지나치게 권위적이고 보수적인 성향을 띠고 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특히, 다양성과 실험성을 추구하는 젊은 영화인들의 작품이 상대적으로 소외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이러한 비판적 시각은 콩쿠르의 심사 기준과 운영 방식에 대한 개선 요구로 이어지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毎日映画コンクールとは, presentaiton on the official site
http://mainichi.jp/e[...]
[2]
뉴스
連載 最後のカツドウ屋 岡田茂 映画こそ我が人生 実録東映六十年(77)
埼玉新聞社
2011-12-27
[3]
텍스트
[4]
텍스트
[5]
텍스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