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광원군 (왕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원군은 조선 중기의 왕족으로, 광성정 이전의 둘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강릉 김씨이다. 처음 광원수에 봉해졌다가 창선대부로 승진하여 광원정이 되었으며, 숙부의 첩을 욕하고 종을 시켜 해를 입힌 죄로 파직되었으나 후에 복관되었다. 관직에 뜻을 두지 않고 종친으로 유유자적하게 살았으며, 사후 증 승헌대부로 증직되고 증손들의 영귀로 광원군으로 추봉되었다. 묘소는 경기도 포천시에 위치해 있다. 부인은 동래 정씨이며, 4남 4녀를 두었다.

2. 생애

처음에 광원수에 봉작되었다가 뒤에 창선대부(彰善大夫)로 승진하여 광원정이 되었다. 그는 형제들과 화목하지 못하였다.[1] 1550년(명종 5) 9월 숙부 철성군의 첩을 욕하고, 종을 시켜 높은 섬돌에서 아래로 밀쳐 손가락을 부러뜨렸으며, 자기 아들로 하여금 철성군의 옛집에 난입하여 창문을 부수고 사면의 판자를 철거하게 하여 사헌부의 탄핵을 받고 파직되었다.[2] 이후 복관되었으나, 관직에 뜻을 두지 않고 종친으로서 유유자적한 삶을 살았다. 사후 증 승헌대부로 증직되었고, 증손 이경여, 이수여 등의 영귀로 광원군으로 추봉되었다.

2. 1. 가계와 출생

아버지는 광성정 이전이고, 어머니는 신부인 강릉 김씨로 첨정 김유악의 딸이다. 광성정 이전의 둘째 아들로 형은 광릉수 학수이다.

2. 2. 갈등과 파직

실록에 의하면 광원군은 형제들과 화목하지 못하였다고 한다.[1] 1550년(명종 5) 9월 숙부 철성군의 첩을 욕하고, 종을 시켜 높은 섬돌에서 아래로 밀쳐 손가락을 부러뜨렸으며, 자기 아들로 하여금 철성군의 옛집에 난입하여 창문을 부수고 사면의 판자를 철거하게 하여 사헌부의 탄핵을 받고 파직되었다.[2]

2. 3. 복관과 종친으로서의 삶

1550년(명종 5) 9월 숙부 철성군의 첩을 욕하고, 종을 시켜 높은 섬돌에서 아래로 밀쳐 손가락을 부러뜨렸으며, 또 자기 아들로 하여금 철성군의 옛집에 난입하여 창문을 부수고 사면의 판자를 철거했다 하여 사헌부의 탄핵을 받고 파직되었다.[2] 이후 복관되었으나, 관직에 뜻을 두지 않고 종친으로서 유유자적한 삶을 살았다. 사후 증 승헌대부로 증직되었고, 증손 이경여, 이수여 등의 영귀로 광원군으로 추봉되었다.

2. 4. 사후

사후 증 승헌대부로 증직되었고, 증손 이경여, 이수여 등의 영귀로 광원군으로 추봉되었다.[1] 묘소는 처음 경기도 화성군 남양(南陽)에 안장되었다가 뒤에 경기도 포천군 내촌면 내리(현 포천시 내촌면 내리 산 8-13번지) 쌍곡(雙谷) 주금산 진좌(辰坐) 언덕에 이장되었다.

3. 가계

항목내용
조부운산군 (1453년 ~ 1510년 12월 17일)
조모오천군부인(烏川郡夫人) 연일 정씨 (1459년 ~ 1511년 6월 29일)
부친광성정 이전(李銓, 1493년 ~ 1545년 6월 8일)
외조부김유악(金由岳)
모친신부인 강릉 김씨 (? ~ 1543년 11월 12일)
누나의령 남씨 남응로(南應老)의 처 (1510년 ~ ?)
광릉수(廣陵守) 이학수(李鶴壽, 1512년 ~ ?년 4월 8일)
부인신인(愼人) 증 현부인(愼夫人) 동래 정씨 (? ~ 1569년 6월 5일) - 정구년(鄭龜年)의 딸
장남이극강(李克綱, 1534년 ~ 1588년)
며느리온양 정씨 (정숙(鄭琡)의 딸)
장녀이봉령(李奉令, 1536년 10월 29일 ~ 1613년 2월 24일)
사위우계 이씨 이성헌(李成憲, 1534년 ~ 1601년)
차남이극유(李克惟, 1538년 ~ ?)
며느리전주 류씨 (류곤(柳坤)의 딸)
3남이극경(李克經, 1542년 ~ ?)
며느리북청 이씨(北靑 李氏) (이숙(李淑)의 딸)
차녀이봉명(李奉命, 1543년 ~ ?)
사위김해 김씨 김계(金洎, 1538년 ~ ?)
4남이극륜(李克綸, 1546년 ~ 1630년)
며느리문화 류씨 (류범(柳範)의 딸)
며느리(양첩)춘덕(春德)
며느리(첩)미상
3녀이봉선(李奉善, 1550년 ~ ?)
사위청주 한씨 한경조(韓景祚)
4녀이말개(李唜介, 1552년 ~ ?)
사위이윤(李胤)


3. 1. 부계


  • 조부 : 운산군 (1453년 ~ 1510년 12월 17일)
  • 부친 : 광성정 이전 (1493년 ~ 1545년 6월 8일)

3. 2. 모계


  • 외조부 : 김유악(金由岳)
  • 모친 : 신부인 강릉 김씨(? ~ 1543년 11월 12일)

3. 3. 배우자와 자녀

부인 신인(愼人) 증 현부인(愼夫人) 동래 정씨(? ~ 1569년 6월 5일)는 정구년(鄭龜年)의 딸이다.[3]

구분이름출생사망비고
장남이극강(李克綱)1534년1588년
며느리온양 정씨??정숙(鄭琡)의 딸
차남이극유(李克惟)1538년?
며느리전주 류씨??류곤(柳坤)의 딸
3남이극경(李克經)1542년?
며느리북청 이씨(北靑 李氏)??이숙(李淑)의 딸
4남이극륜(李克綸)1546년1630년
며느리문화 류씨??류범(柳範)의 딸
며느리(양첩)춘덕(春德)??
며느리(첩)미상??
장녀이봉령(李奉令)1536년 10월 29일1613년 2월 24일우계 이씨 이성헌(李成憲)에게 출가[4]
차녀이봉명(李奉命)1543년?김해 김씨 김계(金洎)에게 출가
3녀이봉선(李奉善)1550년?청주 한씨 한경조(韓景祚)에게 출가
4녀이말개(李唜介)1552년?이윤(李胤)에게 출가


참조

[1] 실록 사헌부에서 광원수 이구수의 패려함을 아뢰니 파직을 허락하다 1550-09-03
[2] 실록 사헌부에서 광원수 이구수의 패려함을 아뢰니 파직을 허락하다 1550-09-03
[3] 문서 이명 이길남(李吉男)
[4] 문서 이명 한진(韓珍)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