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포천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천시는 경기도 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삼한 시대에는 마한에 속했으며 고구려, 신라, 고려를 거쳐 조선 시대에는 포천현으로 불렸다. 일제강점기에는 영천군으로 개칭되었다가 포천군으로 환원되었고, 1945년 분단 이후 미군정과 소련군정의 관할을 거쳐 한국전쟁 이후 수복되었다. 2003년 포천군이 포천시로 승격되었으며, 현재 1읍 2행정동 11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리적으로는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 지형이며, 임진강 유역에 속한다. 주요 산업은 농업, 제조업, 서비스업이며, 포천막걸리와 이동갈비가 유명하다. 서울 지하철 7호선 연장 계획이 추진 중이며, 국립수목원, 산정호수, 포천 아트밸리 등 관광 명소가 있다. 또한, 서울 노원구, 중구, 일본 호쿠토시 등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3년 설치 - 증평군
    충청북도 북서부에 위치한 증평군은 충북에서 면적이 가장 작은 군으로, 1읍 1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03년에 군으로 승격되었고, 첨단산업과 농업이 공존하며 좌구산휴양림과 증평 선애삼 등의 특산물이 있다.
  • 2003년 설치 - 영통구
    영통구는 경기도 수원시 동부에 위치한 일반구로, 2003년 팔달구에서 분리되어 설치되었으며 매탄동, 영통동, 원천동, 광교동, 망포동 등 12개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고, 삼성전자 본사와 수원사업장, 경기도청 신청사가 위치해 있다.
  • 경기도의 도시 - 평택시
    평택시는 경기도 남서부에 위치하며, 안성시, 천안시 등과 접하고, 평택항, 해군 제2함대, 주한 미군 기지, 삼성반도체 평택캠퍼스 등 주요 시설과 다양한 기업의 생산 시설을 갖춘 도농복합시다.
  • 경기도의 도시 - 파주시
    파주시는 경기도 북서부에 위치하며, 고조선 시대부터 역사를 이어왔고, 임진강과 한강이 흐르는 대륙성 기후를 띠며, 장단콩 등 특산물과 다양한 문화·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2024년 1월 특례시로 지정되었다.
  •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 한남동
    한남동은 서울 용산구에 위치하며 성동구, 이태원동, 보광동과 접하고 한강과 마주하며, 한남대로를 통해 강남과 연결되고 능터골 전설이 전해지며, 한남역, 한강진역과 한남대교, 한남대로, 소월로 등의 교통 요충지이며, 서울한남초등학교, 리움미술관, 백범김구기념관 등 교육 및 문화 시설이 위치한 지역이다.
포천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포천시
한국어 표기포천시
한자 표기抱川市
로마자 표기Pocheon-si
한글 표기포천시
한자 표기抱川市
로마자 표기법Pocheon-si
매큔-라이샤워 표기법P'och'ŏn-si
위치대한민국 경기도 (수도권)
관할 지역1읍, 11면, 2동
면적827km²
방언서울
인구 (2024년 9월 기준)141,825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상징
포천시 휘장
포천시 깃발
시의 나무소나무
시의 꽃구절초
시의 새원앙
시의 슬로건(정보 없음)
시의 상징 동물(정보 없음)
행정
시장백영현(국민의힘)
국회의원김용태(국민의힘, 포천시·가평군)
시청 소재지포천시 중앙로 87 (신읍동)
행정 구역 분류 코드31270
통계 (2023년)
총 인구143,323명
남자 인구75,837명
여자 인구67,486명
세대수72,876
추가 정보
공식 웹사이트포천시

2. 역사

포천 지역은 삼한 시대에는 마한, 고구려 시대에는 마홀군, 신라 시대에는 견성군, 통일신라 시대에는 청성군으로 불렸다.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의 역사에 대해서는 각각 하위 문단을 참고.

일제강점기와 해방 이후의 자세한 내용은 각각 하위 문단을 참고.

2. 1. 고려 시대

고려 초기에는 포주(抱州)라 불렸으며, 양광도에 속했다.[4]

2. 2. 조선 시대

조선 태종 13년(1413년) 포천현으로 개칭되었다.[4] 1895년 포천군으로 승격되었다.[4]

2. 3. 일제강점기

1914년 4월 1일 일제는 조선총독부령 제111호에 따라 포천군과 영평군을 통합하여 영천군(永川郡)으로 개칭하고 군청을 기존 포천군 청사 소재지에 두었다.[30][31] 이때 군내면, 가산면, 내촌면, 소흘면, 서면, 신북면, 청산면, 영중면, 창수면, 영북면, 일동면, 이동면의 12개 면이 설치되었다.

1914년 9월 27일 영천군은 포천군(抱川郡)으로 개칭되었다.[32]

1938년 1월 1일 서면이 포천면으로 개칭되었다.[33]

2. 4. 해방 이후

3. 지리

포천시는 사방이 해발 500~1000m의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 지형이며, 내촌면소흘읍 일부(이상 한강 유역권)를 제외한 전역이 임진강 유역권이다. 북쪽 방향으로 계곡이 형성되어 있어 철원군, 연천군으로는 언덕을 넘지 않고 자연스러운 통행이 가능하다. 최상류권은 최남단인 소흘읍과 가산면 일대이지만 의외로 이 지역에 가장 넓은 평지가 형성되어 있다. 독특한 지형 때문에 서울 방면으로 가려면 의정부, 양주, 남양주 어느 방면으로든 고개를 넘어야 하는 지형으로, 포천 발전에 장애가 되고 있다. 서울 방면으로 연결되는 도로는 43번 국도의 축석고개, 47번 국도의 내촌면 방향 뿐이어서 상시 정체로 몸살을 앓고 있었으나, 2017년 6월 30일 세종포천고속도로 구리~포천 구간이 개통되면서 상시 정체는 어느 정도 해소되었다.

포천시에는 북동-남서 주향의 포천 단층활성단층왕숙천 단층이 지난다. 광주산맥의 봉우리는 포천시 북동쪽에서 남동쪽으로 뻗어 있다. 포천 분지를 제외하고는 도시 지역 대부분이 높은 산으로 이루어져 있다.

포천에는 영평천과 산내천의 두 개의 주요 수원이 있다. 영평천의 지류는 포천동과 선단동 지역을 지나는 포천천과 일동면을 지나는 일동천이다. 두 하천은 영평천으로 합쳐져 연천군 신답리 아우라지 나루를 지나 한탄강으로 흘러든다.[5] 산내천은 연천군 조성리 마을을 지나 한탄강으로 흘러든다. 두 하천 유역은 비교적 넓어 주민들이 경작지와 주거지로 이용할 수 있다.[5]

3. 1. 기후

포천시는 내륙에 위치하여 춥고 건조한 겨울과 덥고 비가 많은 여름을 특징으로 하는 냉대 동계 건조 기후(Dwa)를 보인다.[5] 연평균 기온은 11.4°C이다. 가장 추운 달은 1월로 평균 기온이 -4.5°C이고, 가장 더운 달은 8월로 평균 기온이 25.3°C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1368mm이다.[5]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1.85.311.618.824.528.629.830.726.420.311.63.617.8
평균 기온 (℃)-4.5-1.14.811.617.622.424.925.319.912.75.2-2.411.4
평균 최저 기온 (℃)-10.3-7.1-1.64.611.216.921.321.414.96.6-0.4-7.65.8
강수량 (mm)13.021.129.667.391.6128.2397.1378.1124.656.144.117.41368.2
평균 강수일수 (0.1 mm 이상)2.93.35.26.77.08.413.412.96.95.56.24.4-



자료: 한국 기상청[6]

4. 행정 구역

포천시의 행정 구역은 1읍, 11면, 2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826.5km2[42]이고, 2016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인구는 15만 4763명, 6만 8354가구이다.[43] 의정부시와의 접근성이 좋은 소흘읍의 인구가 많은 것이 특징이며, 남서부에 위치한 내촌면은 인접한 남양주시 생활권에 속한다.

포천시 행정구역도


읍·면·동한자면적
(km2)
인구세대
소흘읍蘇屹邑46.32km247,13918,586
포천동抱川洞11.36km219,2287,832
선단동仙壇洞23.92km214,6696,764
군내면郡內面36.15km26,5433,013
내촌면內村面52.74km25,1542,663
가산면加山面35.89km28,3024,089
신북면新北面95.93km213,3926,152
창수면蒼水面71.48km22,3791,171
영중면永中面61.35km25,4522,688
일동면一東面83.36km210,5604,773
이동면二東面112.95km26,6173,160
영북면永北面81.74km29,3774,569
관인면官仁面69.71km23,1281,546
화현면花峴面43.55km22,8231,348
포천시826.5km2154,76368,354


5. 인구

2007년 기준 포천시의 인구는 166,383명이며, 인구밀도는 201km2이다. 0~14세 인구는 17.95%, 65세 이상 인구는 11.53%이다. 생산연령층인 15~64세 인구는 70.5%로 전국 평균 72.8%보다 낮고, 유소년인구부양비는 25.4%로 전국 평균 22.8%보다 높으며, 노년인구부양비는 16.3%로 전국 평균 14.5%보다 높다. 여자 인구 100명당 남자 인구를 나타내는 성비는 112.7로 남자가 다소 많다.[44]

;포천시의 인구 변화[45]

연도총인구
1925년65,805명
1955년128,181명
1966년139,498명
1970년126,992명
1975년114,141명
1980년109,049명
1985년108,524명
1990년110,918명
1995년118,100명
2000년135,758명
2005년139,472명
2010년136,580명
2015년155,326명
2017년152,925명
2022년148,765명



1980년대까지 포천시의 인구는 정체 상태로 여겨졌다. 그 후 포천동, 선단동, 소흘읍에 아파트가 건설되고 신북면가산면에 중소규모 공장들이 들어서면서 인구가 증가했다.

6. 경제

세종포천고속도로 개통으로 포천시의 서울특별시와의 접근성이 개선되어 산업단지 분양률이 증가했다. 2012년 포천시의 지역 내 총생산은 9조 3649억원으로 경기도 지역 내 총생산의 1.3%를 차지한다. 2014년 포천시 산업의 총종사자 수는 82,943명으로 경기도 총종사자 수의 1.9%를 차지한다.[47]

포천시에는 약 2,166개의 중소규모 제조업체가 섬유 및 금속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상업은 주로 포천동선단동에서 발달되어 있다. 신읍 5일장은 매월 5일과 10일에 열린다. 포천막걸리와 이동갈비는 전국적으로 유명한 지역 특산물이다.[7][8][9]

6. 1. 산업

세종포천고속도로의 일부 구간인 구리포천고속도로가 2017년 6월 개통되면서 서울과의 접근성이 좋아져 산업단지 분양률이 크게 증가했다.[47] 포천시는 서울의 1.4배에 달하는 개발 가용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신평, 용정, 양문, 장자산업단지에 총 79개 업체가 가동 중이며 약 3,300여 명이 근무하고 있다. 에코그린, 금현, 진목산업단지도 조성될 예정이다.[47]

2012년 기준 포천시의 지역 내 총생산은 93649억원으로 경기도 전체의 1.3%를 차지한다. 산업별 비중은 농림어업(1차 산업) 8.5%,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 48.1%,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 43.48%이다. 3차 산업 중에서는 도매 및 소매업(7.1%), 건설업(6.0%),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4.0%) 순으로 비중이 크다.[47]

포천시 전체 면적의 70%는 산림이고, 경작지는 18.5%이다. 경작 가능 면적 비율은 이동면이 6.5%로 가장 낮고, 가산면이 39.6%로 가장 높다. 주요 농작물은 쌀과 보리이며, 참깨와 들깨가 특산물이다. 이동면에서는 참깨, 영북면에서는 들깨를 대규모로 생산한다. 표고버섯 재배와 양계업도 활발하며, 지리적 특성으로 인삼과 잣도 많이 생산된다. 영북면은 사과와 배 재배로 유명하며, 신북면과 화현면에서는 축산업이 발달했다.[7]

내촌면의 장석, 신북면과 창수면의 석탄, 흑연, 실리카, 금, 은, 구리, 그리고 영북면의 철광석과 석회석 등 다양한 광물이 생산된다.[7]

약 2,166개의 중소규모 제조업체가 섬유 및 금속 제품을 생산한다. 상업은 주로 포천동과 선단동에서 발달되어 있다. 신읍 5일장은 매월 5일과 10일에 열린다. 포천막걸리와 이동갈비는 전국적으로 유명한 지역 특산물이다.[7][8][9]

6. 2. 상권

포천시는 경기도 내 기초자치단체 중에서 면적이 3번째로 넓지만, 인구가 분산되어 있어 상권이 빈약하다. 소흘읍(송우리), 선단동, 포천동 일대에 지역 상권이 형성되어 있다.[7]

대형마트는 이마트(포천점), 홈플러스(포천송우점), GS더프레시(포천점), 하나로마트(포천농협본점, 소흘농협본점 외 중·소규모 13개 지점)가 있다.[7]

프랜차이즈는 맥도날드 포천점 1곳, 스타벅스 포천송우점, 스타벅스 포천DT점 2곳, 버거킹 포천축석휴게소FS점 1곳(포천점은 버거킹 400호점), KFC 포천베어스타운점 1곳(겨울 시즌 오픈) 등이 있다.[7]

6. 3. 금융

포천시에는 국민은행, 우리은행, 신한은행, NH농협은행, IBK기업은행, 새마을금고, 지역농협, 지역신협, 우체국 등이 있다.[48]

은행지점
포천축협본점, 소흘지점, 영북지점, 일동지점, 내촌지점, 마홀촌지점
개성인삼농협본점, 일동지점
우리은행송우지점, 포천지점
신한은행포천금융센터
IBK기업은행포천지점
국민은행포천지점, 대진대학지점, 일동지점, 송우금융센터
포천새마을금고본점, 송우지점, 선단지점
포천신용협동조합
포천제일신용협동조합



지역은행
소흘읍국민은행, 우리은행, 신한은행, NH농협은행, KEB하나은행, IBK기업은행, 새마을금고, 지역농협, 지역신협, 우체국
포천동국민은행, 우리은행, NH농협은행, IBK기업은행, 새마을금고, 지역농협, 지역신협, 우체국
선단동국민은행, 새마을금고, 우체국
신북면지역농협, 지역축협, 우체국
가산면우체국
군내면우체국
내촌면지역농협, 우체국
영중면우체국
이동면우체국
일동면, 화현면국민은행, 지역농협, 우체국
창수면우체국
영북면지역축협, 우체국
관인면우체국


7. 교육

포천시에는 대진대학교, 차의과학대학교, 경복대학교 등 3개의 고등교육 기관과 초등학교 30개교, 중학교 12개교, 고등학교 6개교가 있다.[10] 2014년 기준 포천시 산업 총 종사자 수는 82,943명이며, 이 중 교육서비스업 종사자는 5.4%를 차지한다.[48]

7. 1. 대학교

포천시에는 대진대학교, 차의과학대학교, 경복대학교 등 3개의 고등교육 기관이 있다.[10]

  • 대진대학교: 4년제 사립 종합대학교이다.
  • 차의과학대학교: 4년제 사립 종합대학교로, 차병원그룹 산하 대학이다. 학부 과정은 포천캠퍼스에 있고, 대학원 과정은 경기도 성남시 차바이오컴플렉스에 있다.
  • 경복대학교: 2/3/4년제 사립 전문대학이다. 포천 캠퍼스 외에 남양주 캠퍼스도 있다.

7. 2. 농업인대학

포천시는 농업경쟁력 향상 및 농가소득 증대를 목표로 농업의 혁신과 변화를 선도하는 전문농업인력을 육성하기 위하여 농업인대학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지역 농업을 이끌어 나갈 농업 선도자 양성을 목적으로 2005년 포천그린농업대학을 설립하였고, 2019학년도부터 포천환경농업대학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포천환경농업대학장은 포천시장이 겸임한다.

과정내용
정규학사과정(80명)스마트농업과, 6차산업과
대학원친환경농업과(30명)


8. 교통

1983년 청산면이 연천군으로 이관된 이후 포천시에는 철도가 운행되지 않고 있다. 그러나 2019년 1월 29일, 서울 지하철 7호선 연장선인 도봉산포천선(옥정포천선)의 예비 타당성 조사가 면제되면서 양주신도시를 거쳐 포천 시내로 연결될 예정이다. 이 노선은 서울 도시철도 연장 및 광역철도 추진 원칙에 따라 서울 지하철 7호선과 분리되어 복선이 아닌 단선으로 건설된다.[49]

2022년 1월 착공 예정이었으나,[49] 2024년 2월 현재 공사가 진행되지 않는 구간이 많아 개통 시기는 더 늦어질 것으로 보인다. 포천시는 이와 별개로 2010년대부터 수도권 전철 4호선 (진접선)을 포천까지 연장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8. 1. 도로

세종포천고속도로(구리~포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가 개통되어 서울 및 수도권과의 접근성이 향상되었다. 국도 제43호선, 국도 제47호선,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87호선 등이 지난다.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8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지방도 제360호선, 지방도 제364호선, 지방도 제368호선, 지방도 제372호선, 지방도 제387호선도 지난다.

8. 2. 버스

포천시에서는 직행좌석버스 3006번(포천시청 ↔ 대진대학교송우리잠실광역환승센터(잠실역)), 1386번 (포천시청 ↔ 대진대학교송우리 ↔ 의정부성모병원 ↔ 의정부시외버스터미널 ↔ 의정부역) 등이 운행된다.[1]

포천시외버스터미널에서는 동서울터미널로 가는 시외버스가 10~40분 간격으로 운행되며, 소요시간은 1시간이다. 서울고속버스터미널(호남선터미널)로는 하루 10회 왕복 운행하며, 소요시간은 1시간 20분이다. 동두천시외버스터미널, 신철원버스터미널, 와수버스터미널행(신철원버스터미널 경유) 노선도 있다.[1]

시내버스는 서울교통공사 4호선 수유역이나 의정부시 등에서 운행한다.[1]

8. 3. 철도

2019년 1월 29일,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연장선인 도봉산포천선(옥정포천선)에 대한 예비 타당성조사 면제가 확정되면서, 양주신도시를 거쳐 포천 시내로 연결될 예정이다. 그러나 지역 균형발전을 명목으로 타당성 조사가 면제된 사업이라 예산 배정에 있어서 후순위로 밀릴 가능성이 높아 개통 시기는 늦어질 수 있다. 서울 도시철도 연장 및 광역철도 추진 원칙에 따라 서울 지하철 7호선과 분리되어 복선이 아닌 단선으로 건설된다.[49]

2022년 1월에 착공할 예정이었으나,[49] 2024년 2월 현재 공사를 하지 않는 구간이 많아서 개통 시기는 더 연기될 것으로 예상된다. 포천시는 이와는 별개로 2010년대부터 수도권 전철 4호선 (진접선)을 포천까지 연장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1983년에 청산면이 연천군으로 이관된 이후로는 철도가 운행되지 않고 있다.

9. 관광

포천 아트밸리


포천시는 관광객 유치를 위해 산북면, 영북면, 일동면, 화현면 지역에 계곡 및 온천 시설을 대규모로 개발했다. 소흘읍 직동리에 있는 국립수목원은 대한민국 최대 수목원으로, 흰배얼룩날개뻐꾸기 서식지로도 알려져 있다. 수목원 내에는 광릉숲박물관과 광릉숲물놀이장도 있다.[11]

2003년 기준으로, 포천시는 국가지정 보물 및 사적 1곳과 경기도 지정 문화재 15개(유형문화재 4개, 무형문화재 1개, 문화자료 2개, 기념물 8개)를 보유하고 있다.[11]

산사원은 전통 한국식 술 제조장으로, 1,000개가 넘는 역사적 자료와 한국 전통주 관련 유물을 소장하고 있으며, 술빵, 과자, 약과, 등 10여 가지 전통주와 음식을 무료로 시음 및 시식할 수 있다.[12]

9. 1. 주요 관광지



소흘읍 직동리에 있는 국립수목원(구, 광릉수목원)은 대한민국 최대 수목원이다. 조선 세조가 자신과 왕비 정희왕후 윤씨의 능을 지금의 광릉 자리로 정하면서 주변 산림도 보호하라고 명했고, 이후 숲이 보존되어 한국 전쟁도 견디어 내면서 현재까지 500년 넘게 생명력을 유지하고 있다. 수목원 내에는 흰배얼룩날개뻐꾸기 서식지로도 알려져 있으며, 광릉숲박물관과 광릉숲물놀이장도 있다.[11]

영북면에 있는 산정호수는 1977년 3월 30일 국민관광지로 지정되었다. 승용차나 대중교통 모두 접근성이 좋아 연간 70만 명의 관광객이 찾고 있다. 수영장, 볼링장, 사우나 시설을 갖추고 있고 최근에는 눈썰매장 및 스케이트장이 개장되어 4계절 관광지로 손색이 없다.

  • '''백운계곡국민관광지'''


백운산 정상에서 서쪽으로 흐르는 아름다운 계곡으로 4km에 이른다. 신선이 내려와 목욕을 즐겼다는 전설을 가진 선유담이 있으며, 광암정, 학소대, 금병암, 옥류대, 취선대, 금관폭포 등이 있고, 입구에 흑룡사가 있다. 텐트캠프장, 야영장이 있으며 백운약수가 유명하다.[50]

세계 최초의 한과 테마 한과문화박물관 겸 교육관인 한가원에서는 유과, 약과, 다식 등을 직접 만들어 보는 체험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산사원 가양주교실'''


산사원 가양주교실에서는 방문객들에게 "우리 술 빚기" 체험을 제공한다. 참가자들은 미리 준비된 고두밥, 물, 누룩 등을 섞고 한약재, 냉이, 매실 등 특별한 재료를 첨가하여 직접 술을 빚은 후 병에 담아, 술이 다 익은 1주일 후에 찾아가면 된다.

  • '''평강식물원'''


명성산산정호수 자락에 있는 평강식물원에서는 봄과 여름이면 흰색부터 샛노란색, 붉은색, 파란색까지 총천연색으로 피어나는 꽃을 감상할 수 있으며, 가을이면 단풍과 들국화가 만발한 장관을 만날 수 있고, 겨울이면 얼음나라를 체험할 수 있다.[51]

  • '''신북온천'''(환타지움)


신북면에 있으며 1992년에 온천지구로 지정되었다. 남청산 자락에 중탄산나트륨 성분의 온천수가 지하 600m에서 용출된다. 2007년 11월 이후로 법적 분쟁에 의하여 영업이 중단된 것으로 보인다.[52]

  • '''허브 아일랜드'''


1998년 신북면 삼정리에 개장한 허브 아일랜드는 현재 13만 평 부지에 허브의 원산지인 지중해의 "생활속의 허브"를 테마로 운영하고 있다. 입장료는 일반인 6000KRW, 우대(37개월 이상~중학생, 국가유공자, 장애우(3급 이상), 노인 65세 이상) 4000KRW, 단체(30인 이상) 4000KRW이며, 36개월 이하의 유아와 신북면민(신분증 필참)은 무료이다. 365일 연중무휴이며, 개장시간은 오전 10시 ~ 오후 10시까지이다.[53] 매년 열리는 '불빛동화축제'도 허브 아일랜드에서 즐길거리 중 하나이다.

2003년부터 방치되어 있던 폐채석장을 관광지로 조성하여 2009년 10월, 복합 문화예술공간으로 재탄생되었다. 관람시간은 3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는 오전 9시 ~ 오후 7시, 11월 1일부터 다음 해 2월 말까지는 오전 9시 ~ 오후 6시이다. 입장마감은 폐장 1시간 전이다. 개인 입장료는 어른 2000KRW, 청소년 및 군인 1000KRW, 어린이 500KRW이다. 단체 입장료는 어른 1400KRW, 청소년 및 군인 800KRW, 어린이 400KRW이다.[54]

  • '''향토유적'''

  • '''기타'''


산사원(Gallery Sansawon)은 전통 한국식 술 제조장이다. 1,000개가 넘는 역사적 자료와 한국 전통주 관련 유물을 소장하고 있으며, 술빵과 과자에서 약과와 엿까지 10여 가지 전통주와 음식을 무료로 시음 및 시식할 수 있다.[12]

9. 2. 축제

포천시에서는 가흘문화제, 반월문화제, 산정호수문화제, 명성산축제를 매년 개최한다. 1997년부터 매년 10월에 열리는 산정호수문화제는 산정호수명성산을 중심으로 한 포천시의 대표적인 자연 친화적 문화 축제이다.[10][13] 아마추어 사진 공모전을 비롯하여 다양한 전통 공연과 지역 특산 음식 및 음료를 제공한다.

허브아일랜드 불빛축제도 매년 개최된다. 아름답고 다채로운 조명이 낭만적인 분위기를 연출하며, 하얀색 건물들의 환상적인 외관은 마치 외국에 온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킨다. 다양한 향기 가게, 허브 박물관, 허브 카페 등이 있으며, 크리스마스 관련 다양한 이벤트가 제공된다. 유럽의 크리스마스를 연상시킨다.[14]

10. 문화

포천시에는 여러 영화관이 있다. 소흘읍 송우리에는 2020년 6월에 개관한 CGV 멀티플렉스 영화관인 '''포천CGV시네파크'''가 있다. 이곳은 포천시 최초의 멀티플렉스 영화관이다.[1] 포천시청 인근에는 '''반월아트홀'''이 있는데, 이곳에서는 정해진 날짜에 하루 한 편의 최신 영화를 상영한다.[1] 영북면에는 '''영북면 클라우드 시네마(포천 영북면 작은영화관)'''가 있다.[1]

10. 1. 영화관


  • '''포천CGV시네파크'''[1]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송우리에 있는 CGV 멀티플렉스 영화관이다. 2020년 6월에 문을 열었으며, 5관 403석 규모이다. 포천시 최초의 멀티플렉스 영화관이자 최초의 CGV 영화관이라는 점에서 포천시민들의 기대를 받았다. 2024년 개통 예정인 서울 지하철 7호선 705번 소흘역(가칭) 맞은편에 자리할 예정이다.

  • '''반월아트홀'''[1]

포천시청 가까이에 있는 아트홀로, 정해진 날짜에 하루에 한 번 최신 영화 한 편을 보여준다. 이는 포천시에 영화관이 모자라 포천시에서 마련한 방안이다.

  • '''영북면 클라우드 시네마(포천 영북면 작은영화관)'''[1]

포천시 영북면에 있는 작은 영화관으로, 2관 96석 규모이다. 영북면은 포천시 관인면과 함께 가장 북쪽에 있으며, 강원도 철원군과 가깝다. 주 관람객은 영북면 주변 지역의 군부대, 군부대 방문객, 지역 주민들로 예상된다. 첫 상영은 아침 9시 30분에서 10시 사이이며, 마지막 영화는 밤 9시 30분에서 10시에 시작해 자정까지 상영한다. 하루에 5~6편의 영화를 상영하며, 입장료는 일반 6,000원, 청소년, 군인, 65살 이상 노인, 장애인, 국가유공자는 5,000원이다. 3D 입체영화는 8,000원이다.

11. 의료기관

포천시에는 종합병원 3곳, 의원 39곳, 치과의원 16곳, 한의원 11곳이 있다. 또한 보건소 1곳과 12개의 분소가 주민들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10]

11. 1. 종합병원

경기도 의료원 포천병원은 공립 종합병원이다.[10] 포천시에는 사립 종합병원으로 의료법인일심의료재단 우리병원이 있다.[10]

병원명주소
경기도 의료원 포천병원경기도 포천시 신읍동
우리병원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호국로 661


12. 자매 도시

포천시는 대한민국, 벨라루스, 일본, 중국, 태국의 여러 도시와 자매결연을 맺고 교류 협력을 하고 있다.


12. 1. 국내


12. 2. 국외



포천시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15]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1-01
[2] 웹사이트 포천시 抱川市 http://100.nate.com/[...] Britannica 2010-02-18
[3] 웹사이트 포천시 抱川市 http://100.nate.com/[...]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10-02-18
[4] 웹사이트 엔싸이버 백과검색 – 포천시의 연혁 http://www.encyber.c[...] 2010-02-19
[5] 웹사이트 포천시 http://www.encyber.c[...] 2010-02-19
[6]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6-07
[7] 웹사이트 포천시 Pocheon-si 抱川市 http://www.encyber.c[...]
[8]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patzzi.joins.[...] 2010-02-20
[9] 웹사이트 [산따라 맛따라] 지장산 & 종자산 - 이동이 포천보다 유명한 이유 http://san.chosun.co[...] 2005-10-31
[10] 웹사이트 포천시의 사회문화 http://www.encyber.c[...] 2010-02-19
[11] 웹사이트 포천시의 교통관광 http://www.encyber.c[...] 2010-02-19
[12] 뉴스 Beyond Seoul: 19 reasons to explore Korea http://www.cnngo.com[...] 2012-05-06
[13] 웹사이트 doopedia http://www.doopedia.[...] 2012-07-29
[14] 웹사이트 허브아일랜드 http://herbisland.co[...]
[15] 웹사이트 International Exchange http://www.clair.or.[...] Council of Local Authorities for International Relations (CLAIR) 2015-11-21
[16] 뉴스 {{angbr|Olympic}} Mo Tae-Bum's family "The best birthday present" (general) http://www.yonhapnew[...] Yonhap 2010-02-16
[17]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18] 법률 朝鮮総督府令第111号 1913-12-29
[19] 뉴스 군청소재 면명을 군명에 따라 개정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37-12-16
[20] 웹사이트 포천의역사 - 포천문화원 http://www.pcmh.or.k[...]
[21] 법률 군정법령 제22호 시,도직제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48-10-22
[22] 웹사이트 강원도의 행정구역 http://terms.naver.c[...] 북한지리정보 강원도 2017-06-25
[23] 법률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 1954-10-21
[24] 법률 大統領令第6542号 市・郡・区・邑・面の管轄区域変更に関する規定 1973-03-12
[25] 법률 大統領令第9409号 渼金邑等53個邑設置に関する規定 1979-04-07
[26] 법률 大統領令第11027号 市・郡・区・邑・面の管轄区域変更及び面設置等に関する規定 1983-01-10
[27] 법률 法律第6928号 京畿道楊州市・抱川市都農複合形態市の設置等に関する法律 2003-07-18
[28] 법률 大韓民国地方自治法第7条第2項の3による
[29]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30] 간행물 부·군폐합에 관한 건 일제강점기 경기도 1913-08-06
[31]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32] 간행물 부군폐합에 관한 건 일제강점기 경기도
[33] 뉴스 군청소재 면명을 군명에 따라 개정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37-12-16
[34] 웹인용 포천의역사 - 포천문화원 http://www.pcmh.or.k[...] 2013-05-05
[35] 법률 군정법령 제22호 시,도직제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48-10-22
[36] 웹사이트 강원도의 행정구역 https://terms.naver.[...] 2017-06-25
[37] 법률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 1954-10-21
[38] 대통령령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3-03-12
[39] 대통령령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04-07
[40] 대통령령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01-10
[41] 법률 경기도양주시·포천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2003-07-18
[42] 웹사이트 포천시 통계연보 http://www.pcs21.net[...] 2012-04-08
[43]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http://rcps.egov.go.[...] 2017-06-14
[44] 웹사이트 포천시 통계 연보 2008 http://www.psc21.net
[45] 간행물 인구주택총조사 통계청
[46] 웹사이트 경기도 기본통계 및 2010인구추택 총조사 http://kosis.kr/stat[...]
[47] 웹사이트 경기도 시군단위 지역내총생산(GRDP) http://kosis.kr/stat[...]
[48] 웹사이트 경기도 사업체조사 http://kosis.kr/stat[...]
[49] 뉴스 지하철 7호선 연장 ‘옥정∼포천 광역철도사업’, 내년 초 설계 착수 본격화 http://www.munhwa.co[...] 문화일보
[50] 서적 전국여행 슈퍼정보 (주)교학사 2002-06-15
[51] 웹인용 경기도 포천-포천 체험여행 5선, 주말에 가뿐하게 떠나 볼까 http://www.travie.co[...] 트레비 2010-09-01
[52] 웹사이트 포천신북온천 환타지움 홈페이지 http://www.shinbuksp[...]
[53] 웹사이트 포천 허브 아일랜드 홈페이지 http://www.herbislan[...]
[54] 웹사이트 포천 아트밸리 홈페이지 http://www.artvalle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