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동읍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동읍성은 조선 인조 7년(1629) 경기수영 설치와 함께 교동도에 돌로 쌓은 읍성이다. 둘레 430m, 높이 6m 규모로 동문(통삼루), 남문(유량루), 북문(공북루)을 두었으며, 영조 29년(1753)에 여장을 고쳐 쌓고 고종 21년(1884)에 남문을 다시 고쳤다. 1921년 폭풍우로 남문이 붕괴되어 홍예문만 남았으나, 2018년 문루가 복원되었다. 강화군은 남문 주변 성곽, 옹성, 여장 복원을 위해 실시설계를 진행하고 2019년에 공사를 시작하여 2020년 완공할 예정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29년 완공된 건축물 - 이맘 광장
이맘 광장은 사파비 왕조 시대에 건설된 광장으로, 왕과 백성의 만남, 상업, 문화 활동의 중심지였으며, 주변에 주요 건축물들이 위치하고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1629년 완공된 건축물 - 샤 모스크
샤 모스크는 아바스 1세가 이스파한 재건 계획의 일환으로 나크셰 자한 광장에 건설한 사파비 왕조 시대의 모스크로, 페르시아 건축의 정수를 보여주는 다채로운 타일 장식과 웅장한 돔이 특징적인 문화 유산이자 관광 명소이다. - 해제된 경기도의 기념물 - 계룡돈대
계룡돈대는 적의 공격에 대비하여 해안 지역에 설치된 초소로, 조선 숙종 5년에 윤이제가 설치했으며 김포시 향토유적으로 지정되어 역사 교육의 장으로 활용된다. - 해제된 경기도의 기념물 - 가평 잠곡서원지
가평 잠곡서원지는 김육 선생의 유덕을 기리기 위해 1705년에 건립되었으나, 1871년 서원 철폐령으로 폐쇄되었고, 현재는 유구가 발견되지 않아 문화재 지정이 해제되었다. - 인천광역시의 기념물 - 계양산성
계양산성은 삼국시대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며 한강 하류의 전략적 요충지에 위치한 군사적 중요성을 지닌 산성으로, 문헌 기록이 남아있고 유물이 출토되었으나 훼손이 심하여 계양산성 박물관이 개관하여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고 있다. - 인천광역시의 기념물 - 계룡돈대
계룡돈대는 적의 공격에 대비하여 해안 지역에 설치된 초소로, 조선 숙종 5년에 윤이제가 설치했으며 김포시 향토유적으로 지정되어 역사 교육의 장으로 활용된다.
교동읍성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교동읍성 |
한자 표기 | 喬桐邑城 |
국가 | 인천광역시 |
유형 | 기념물 |
지정 번호 | 23 |
지정일 | 1995년 3월 1일 |
주소 | 인천광역시 강화군 교동면 읍내리 577번지 |
문화재청 ID | 23,00230000,23 |
![]() | |
과거 정보 (경기도 기념물) | |
국가 (과거) | 경기도 |
유형 (과거) | 기념물 |
지정 번호 (과거) | 72 |
지정일 (과거) | 1974년 9월 26일 |
해제일 (과거) | 1995년 3월 1일 |
문화재청 ID (과거) | 23,00720000,31 |
2. 역사
교동읍성은 조선 인조 7년(1629)에 경기수영을 설치하면서 돌로 쌓은 읍성이다. 읍성은 군이나 현의 주민을 보호하고 군사적·행정적인 기능을 함께 하는 성을 말한다. 교동읍성은 한 도읍 전체를 둘러싸 외부로부터의 침입을 막았으며, 군데군데 문을 내어 바깥과 통하도록 만들었다. 성의 둘레는 약 430m, 높이는 약 6m로, 동·남·북쪽 3곳에 성문을 두었고, 각 문에는 망을 보기 위해 문루를 세웠는데, 동문은 통삼루, 남문은 유량루, 북문은 공북루라고 하였다.
영조 29년(1753)에 여장을 고쳐 쌓았고, 고종 21년(1884)에 남문을 다시 고쳤다. 고종 27년(1890) 동문과 북문을 다시 세웠다고 하나, 현재는 3문이 모두 남아있지 않다.[1]
2. 1. 성문의 소실과 복원
교동읍성의 남문인 유량루는 1921년 폭풍으로 무너졌으나, 2018년에 문루가 복원되었다.[1] 인천 강화군은 1.3억원을 들여 교동읍성 남문 주변 성곽, 옹성(방어 시설), 여장(성 위에 쌓은 담)을 복원하기 위한 실시설계 용역을 진행했다.
2019년 초 시비와 군비를 6대 4로 매칭하여 약 14.3억원을 들여 남문 주변 성곽 복원 공사에 착수, 2020년 완공 예정이다. 이는 2017년 말 교동읍성 남문 문루와 육축(아치 형태 입구)을 모두 복원한 뒤 이뤄진 것이다.
3. 구조
교동읍성은 조선 인조 7년(1629)에 처음 쌓은 읍성으로, 군사적·행정적 기능을 함께 수행했다. 성의 둘레는 약 430m, 높이는 약 6m이다. 동, 남, 북 3곳에 성문을 두었고, 각 문에는 망을 보기 위한 문루를 세웠다.[1] 영조 29년(1753)에 성을 고쳐 쌓았고, 고종 21년(1884)에는 남문을 다시 고쳤다고 전해진다.[1]
3. 1. 성문
교동읍성의 성문으로는 동쪽에 통삼루(統三樓), 남쪽에 유량루(庾亮樓), 북쪽에 공북루(拱北樓)가 있었고, 각 문에는 망을 보기 위한 문루가 설치되어 있었다.[1] 2018년에 남문인 유량루의 문루가 복원되었다.4. 복원 사업
강화군은 2018년 말 교동읍성 남문인 유량루 문루와 육축(아치 형태 입구) 복원을 완료하였다.[1] 이후 1.3억원을 들여 교동읍성 남문 주변 성곽, 옹성(방어 시설), 여장(성 위에 쌓은 담) 복원을 위한 실시설계 용역을 진행했다.[1]
2019년 용역을 마친 뒤 시비와 군비를 6대 4로 매칭, 약 14.3억원을 들여 남문 주변 성곽 복원 공사에 착수하여 2020년 완공할 예정이었다.[1]
5. 갤러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