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화군은 대한민국 서해안에 위치한 섬 및 주변 도서 지역을 관할하는 군으로, 고조선 시대부터 역사의 중요한 무대였다. 삼국 시대에는 백제, 고구려의 각축장이었으며, 통일 신라 시대에는 해구군으로 불렸다. 고려 시대에는 몽골의 침입으로 수도가 강화도로 옮겨져 39년간 임시 수도 역할을 했고, 조선 시대에는 여러 왕들이 머무르며 국방의 요충지 역할을 했다. 1876년 강화도 조약이 체결되어 개항의 역사가 시작되었으며, 1995년 인천광역시에 편입되었다. 강화군은 고인돌 유적을 비롯한 다양한 역사 유적과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자랑하며, 벼농사를 중심으로 농업이 발달했다. 주요 특산물로는 화문석, 인삼, 순무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관광 및 스포츠 시설 확충에도 힘쓰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화군의 행정 구역 - 교동면
교동면은 인천광역시 강화군 교동도에 위치한 면으로, 1934년 화개면과 수정면이 합쳐져 설치되었으며, 한국 전쟁 이후 연백군 피난민들이 정착했고, 2014년 교동대교 개통으로 육지와 연결되었으며, 교동읍성, 교동향교, 대룡시장 등의 명소가 있다.
강화군 | |
---|---|
지도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강화군 |
한자 표기 | 江華郡 |
로마자 표기 | Ganghwa-gun |
맥큔-라이샤워 표기 | Kanghwa-kun |
관할 국가 | 대한민국 |
광역 자치 단체 | 인천광역시 |
하위 행정 구역 | 1읍 13면 96리 |
면적 | 411.4 km² |
인구 (2024년 9월) | 68,891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방언 | 서울 방언 |
공식 웹사이트 | 강화군청 |
![]() | |
상징 | |
군목 | 감나무 |
군화 | 백일홍 |
군조 | 종달새 |
상징 동물 | 없음 |
정치 및 행정 | |
군수 | 박용철(국민의힘) |
국회의원 | 배준영(국민의힘, 중구·강화군·옹진군) |
군청 소재지 |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강화대로 394 |
통계 (2023년) | |
총 인구 | 69,005명 |
남자 인구 | 34,566명 |
여자 인구 | 34,439명 |
세대수 | 35,066세대 |
2. 역사
강화군은 고조선부터 그 역사를 함께하며, 삼국시대부터 남북국시대, 고려, 조선,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한반도의 역사적 중심지 중 하나였다.
강화도는 태조, 정종, 태종 세 왕이 일시적으로 강화에 머문 일이 있다. 특히 19세기 후반, 서구 열강이 조선에 개국을 강요하며 근해에 출몰하기 시작하자, 수도 한성에 가까운 강화도는 여러 차례 전투의 무대가 되었다.
19세기 초, 조선 조정의 공식적인 금지에도 불구하고 가톨릭이 한국에 전래되었다. 조선 조정은 불법적인 프랑스 선교사들을 단속하여 프랑스 가톨릭 선교사들과 한국 신자들을 모두 학살했고, 1866년에는 보복으로 프랑스의 한국 원정이 일어났다. 이 전투는 거의 6주 동안 지속되었다. 첫 전투에서 한국 보병 사단은 큰 피해를 입었고, 한국의 양헌수 장군은 프랑스의 화력에 맞설 수 있는 것은 대규모 기병 사단뿐이라고 결론지었다. 11월 9일, 프랑스군은 섬 남쪽 해안의 전략적으로 중요한 천등(정등사) 사찰을 점령하려고 시도했을 때 저지당했다. 1만 명에 달하는 한국군의 수적인 우세[6]와 강력한 저항으로 프랑스군은 수십 명의 사상자를 내고 후퇴했으며, 결국 섬을 버리고 철수했다.
1871년, 셔먼호 사건 이후 미국 해군은 강화도 군인들을 공격하기 위해 원정을 시작하여 강화도 조약을 맺었다.
강화는 1906년 군으로 승격되었고, 1995년 인천광역시에 편입되었다. 조선의 역사적 중심지인 경기 지역 해안에 위치한 강화도는 예로부터 전쟁 시 피난처이자 외부로부터의 방어 거점으로 기능해 왔다. 강화군은 강도(江都), 심주(沁州) 등의 다른 이름을 가지고 있다.
인천시 중심부와는 경기도 김포시를 경유하는 곳으로 떨어져 있다. 이 때문에 인천시를 탈퇴하고 경기도로 환원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꾸준하다.
2. 1. 고대
강화군은 선사 시대 유물과 유적이 풍부하며, 특히 고인돌 유적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2] 섬에는 약 150기의 고인돌이 있다.[3] 부근리와 고천리의 고인돌 디자인이 강화의 것과 유사하다는 점 때문에, 강화 고인돌이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증명되지는 않았다.[4]단군은 고조선의 건국자로, 마니산 정상에 제단을 만들고 조상에게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5]
삼국 시대에는 백제와 고구려가 이 지역을 두고 다투었다.
2. 2. 남북국시대
757년(신라 경덕왕 16년) 신라는 강화 지역을 해구군(海口郡)으로 편재, 개칭하였다. 844년(신라 문성왕 6년)에는 혈구진을 설치하여 해적을 토벌하기 위한 수비대를 설치했다.[5]2. 3. 고려 시대
940년 태조 23년에 강화현으로 개편되었다. 강화는 국가에 큰 변란이 있을 때마다 제2의 수도 역할을 수행하여 39년간 고려시대의 왕도 역할을 하였다. 이때는 '지군사'로 승격되기도 하였다. 처음으로 강화에 천도한 것은 고려 고종으로, 몽골군이 개경에 침범하자 당시의 권신 최우의 권유로 천도하였고, 원종도 강화에 머무른 바 있다. 강화도에 머무르는 동안 간척 사업을 실시하였는데 이는 20세기까지 이어지는 강화도 주변 해안 간척의 시초가 되었다. 고종은 1232년 개경에서 강화로 옮기면서 강화군으로 승격하고, 이령군으로 하여금 방어선인 내성 축조 공사를 일으키는 한편 궁전, 사찰 등을 모두 당시의 왕도인 개경을 모방케 하고, 궁전 배후의 산을 송악이라 하였다. 내성이 완공되자 다음 해 겨울에 외성을 쌓게 하였다. 1363년 공민왕 때는 강화부로 승격되었다. 고려 조정은 몽골 군대가 1232년 침입하자 섬으로 피신했다. 고려가 몽골에 항복한 후, 섬의 정예 부대가 봉기하여 삼별초의 난을 일으켰다.2. 4. 조선 시대
조선 1394년(태종 4년)에 강화에 도호부사를 두어 방어를 강화했다.[19] 1627년 정묘호란 때 인조는 강화로 피신했으며, 이때 강화유수부로 승격되었다.[19] 병자호란 때에는 강화로의 몽진이 여의치 못하여 남한산성으로 방향을 옮겼다.[19]효종은 성의 축조와 군량 보충을 강화하였고, 숙종은 인조 시대부터 수비를 강화하기 위한 진(鎭)과 보(堡)를 증설하고, 각 진에 돈(墩)을 설치하여 분담 수비하게 하였으며 강화도 건너편 김포의 문수산성 축성 등 모든 방비를 강화시켰다.[19]
2. 5. 근대
1866년 병인양요, 1871년 신미양요, 1875년 운요호 사건 등 조선 말기 새로운 문명과의 충돌 현장이 강화도였다. 1876년에는 강화도 조약이 체결되어 조선이 개항하게 되었다.
2. 6. 현대
1895년 지방제도 개편에 따라 강화군이 되었고, 1896년 잠시 강화부로 승격되었다가, 1906년 군으로 환원되었다.[19] 1914년 군면 통폐합으로 교동군이 강화군에 편입되었다.[21]1934년 화개면·수정면이 합쳐져 교동면이 발족하였고, 1937년 하도면이 화도면으로 개칭되었으며, 1938년 1월 1일 부내면이 강화면으로 개칭되었다. 1973년 7월 1일 강화면이 강화읍으로 승격되었다.[15] 1983년 2월 15일 하점면의 일부(양오리)가 송해면에 편입되었다.[16]
1995년 3월 1일 경기도에서 인천광역시에 편입되었다.[17]
3. 지리
강화군은 인천광역시 북서부, 경기만에 위치한 강화도를 중심으로 교동도, 석모도 등 여러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강, 임진강, 예성강 하구를 경계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연백군과 개풍군에 인접해 있다. 동쪽은 강화해협을 사이에 두고 경기도 김포시가, 서쪽은 서해, 남쪽은 옹진군의 여러 섬들과 인천국제공항이 자리하고 있다.
강화도는 타원형으로 남북 길이 28km, 동서 길이 16km이며 해안선 총연장은 247km이다. 지형은 비교적 산악이 많으나 노년기 상태로 둥근 산 모양을 이루고 있으며, 하부로 갈수록 경사가 완만해져 평균 고도는 낮은 편이다.[22]
3. 1. 기후
강화군은 사계절이 뚜렷하며 서해와 접해 있지만, 강화도 북부에서는 해양성 기후의 특징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다만 남부 지역은 난류의 영향으로 김포시보다 겨울철 기온이 높다. 연평균 기온은 11.7 °C이며, 여름 기온은 비슷하지만 강화도의 겨울은 비교적 추운 편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1,333mm로, 우리나라 평균 강우량과 비슷하며, 하천의 길이가 짧고 섬이라는 지리적 특성 때문에 홍수 피해가 적다. 주로 북서풍 계열의 바람이 불고, 연평균 풍속은 2.0m/s 정도이다.[23]강화도의 기후는 다음과 같다(1991~2020년 평균, 극값 1972년~현재).[13][14]
월 | 최고 기온 기록(℃) | 최고 기온 (℃) | 평균 기온 (℃) | 최저 기온 (℃) | 최저 기온 기록(℃) | 강수량 (mm) | 강수일수 (0.1 mm 기준) | 습도 (%) | 일조 시간 (시간) | 일조율 (%) |
---|---|---|---|---|---|---|---|---|---|---|
1월 | 12.6 | 1.7 | -3.2 | -8.1 | -22.5 | 15.6 | 5.0 | 63.6 | 186.2 | 58.7 |
2월 | 17.4 | 4.5 | -0.7 | -5.8 | -19.4 | 22.5 | 4.8 | 61.0 | 186.5 | 61.8 |
3월 | 22.3 | 9.8 | 4.6 | -0.6 | -11.3 | 31.4 | 6.0 | 61.4 | 217.0 | 58.9 |
4월 | 29.2 | 16.2 | 10.7 | 5.3 | -4.4 | 64.9 | 7.5 | 62.4 | 221.7 | 59.0 |
5월 | 31.0 | 21.4 | 16.0 | 11.0 | 1.6 | 110.9 | 8.2 | 68.6 | 235.3 | 54.8 |
6월 | 33.2 | 25.4 | 20.5 | 16.3 | 6.9 | 110.0 | 8.6 | 75.1 | 208.5 | 50.0 |
7월 | 35.5 | 27.6 | 23.7 | 20.6 | 12.7 | 355.6 | 14.1 | 82.8 | 153.0 | 38.6 |
8월 | 35.8 | 29.0 | 24.7 | 21.2 | 12.5 | 300.4 | 11.9 | 79.9 | 184.9 | 47.7 |
9월 | 31.7 | 25.5 | 20.2 | 15.6 | 3.0 | 131.5 | 7.4 | 73.8 | 203.8 | 57.4 |
10월 | 28.3 | 19.5 | 13.7 | 8.1 | -4.2 | 55.8 | 5.6 | 68.9 | 214.3 | 63.3 |
11월 | 23.8 | 11.5 | 6.3 | 1.2 | -12.0 | 46.3 | 7.5 | 67.8 | 166.0 | 55.7 |
12월 | 16.0 | 3.9 | -0.9 | -5.7 | -19.8 | 21.3 | 6.6 | 65.4 | 171.8 | 55.6 |
연 | 35.8 | 16.3 | 11.3 | 6.6 | -22.5 | 1266.2 | 69.2 | 2349.0 | 54.6 |
4. 행정 구역
강화군의 행정 구역은 1읍, 12면, 185개 리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411.35km2로 인천광역시 전체 면적의 39%를 차지한다. 2016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인구는 68,010명, 31,106 가구이며, 전체 인구의 3분의 1이 강화읍에 집중되어 있다.[24]
읍·면 | 한자 | 면적 (km2) | 인구 (명) | 세대 |
---|---|---|---|---|
강화읍 | 江華邑 | 24.96km2 | 22,908 | 9,804 |
선원면 | 仙源面 | 21.39km2 | 7,602 | 3,157 |
불은면 | 佛恩面 | 31.45km2 | 4,578 | 2,195 |
길상면 | 吉祥面 | 35.07km2 | 6,680 | 3,077 |
화도면 | 華道面 | 42.33km2 | 4,410 | 2,155 |
양도면 | 良道面 | 35.43km2 | 3,909 | 1,835 |
내가면 | 內可面 | 29.77km2 | 3,076 | 1,575 |
하점면 | 河岾面 | 36.2km2 | 4,000 | 1,973 |
양사면 | 兩寺面 | 26.46km2 | 1,829 | 913 |
송해면 | 松海面 | 22.38km2 | 3,029 | 1,413 |
교동면 | 喬桐面 | 47.15km2 | 3,001 | 1,437 |
삼산면 | 三山面 | 45.63km2 | 2,319 | 1,201 |
서도면 | 西島面 | 13.21km2 | 669 | 371 |
강화군 | 江華郡 | 411.4km2 | 68,010 | 31,106 |
읍·면 | 법정리 |
---|---|
강화읍 | 신문리, 관청리, 국화리, 남산리, 갑곶리, 용정리, 옥림리, 월곶리, 대산리 |
선원면 | 금월리, 연리, 지산리, 신정리, 창리, 선황리, 냉정리 |
불은면 | 두운리, 고릉리, 오두리, 초성리, 신현리, 삼동이암리, 삼성리, 덕성리 |
길상면 | 온수리, 선두리, 동검리, 초지리, 장흥리, 길직리 |
화도면 | 내리, 상방리, 문산리, 덕포리, 사기리, 동막리, 흥왕리, 여차리, 장화리 |
양도면 | 화일리, 릉내리, 건평리, 인산리, 삼흥리, 길정리, 도장리, 조산리 |
내가면 | 고천리, 오상리, 외포리, 황청리, 구하리 |
하점면 | 신봉리, 장릉리, 부근리, 삼거리, 신삼리, 망월리, 창후리, 이강리 |
양사면 | 철산리, 덕하리, 북성리, 교산리, 인화리 |
송해면 | 솔정리, 신당리, 숭뢰리, 당산리, 상도리, 하도리, 양오리 |
교동면 | 대룡리, 읍내리, 상룡리, 봉소리, 고구리, 삼산리, 인사리, 난정리, 양갑리, 동산리, 서항리, 무학리, 지석리 |
삼산면 | 석모리, 상리, 하리, 석포리, 매음리, 서검리, 미법리 |
서도면 | 주문도리, 아차도리, 볼음도리, 석도리 |
5. 인구
연도 | 총인구 |
---|---|
1966년 | 118,482명 |
1970년 | 107,279명 |
1975년 | 103,034명 |
1980년 | 90,797명 |
1985년 | 83,024명 |
1990년 | 71,600명 |
1995년 | 64,695명 |
2000년 | 60,289명 |
2005년 | 57,705명 |
2010년 | 56,423명 |
2015년 | 62,291명 |
2015년 기준 강화군의 인구는 약 6만 2천 명이다.
6. 산업
강화군 주민의 약 70%는 농업에 종사하며, 주 작물은 벼이다. 어업과 임업도 이루어지고 있다.[10][11]
6. 1. 특산물
- '''화문석''': 왕골을 건조하여 엮은 돗자리로, 주로 가내 수공업 형태로 만들어진다. 1980년대에는 생산 수요가 크게 증가하여 농가 부수입의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나, 현재는 수요 감소로 일부 전문 생산자들에 의해 제작되고 있다.[10] 고려 시대(10세기~14세기)부터 생산되어 중국과 일본으로 수출되었다. 100년 전 조선 시대 왕실의 명령에 따라 강화군 해송면 양오리의 흰 돗자리 생산 마을 출신 장인 한충교가 자신의 아이디어를 설계하여 성공적인 제품을 만들어냈고, 그 이후 다양한 디자인이 개발되고 제조 기술이 향상되었다.[10]
- '''인삼''': 20세기 초 개성에서 재배 기술이 도입되어 전파된 인삼은 그 생산량이 크게 늘어나 한때는 전국 생산량의 40% 이상을 차지하기도 했으나, 현재는 재배 면적이 많이 줄어들었다.
- '''순무''': 강화에서만 생산되는 무로 19세기 프랑스로부터 전파되었다. 순무김치는 일반 무김치에 비하여 단맛이 도는 독특한 식품으로 타지에서 수요가 늘어 상품으로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5세기부터 재배되어 왔으며, 17세기 동의보감에도 기록되어 있다.[11]
7. 교통
조선시대 이전에는 주요 교통 수단이 뱃길이었으나 1970년 강화대교가 개통되면서 육상교통이 발달하게 되었다. 인천광역시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도로가 없기 때문에 강화군에서 인천광역시의 다른 지역으로 가기 위해서는 경기도 김포시를 거쳐가야 한다.[25]
고속도로는 지나지 않으며 일반 국도 1개 노선과 국가지원지방도 1개 노선이 강화군을 지나고 있다.
1970년 강화대교가 건설된 이후 연륙교(連陸橋)와 연도교(連島橋)가 지속적으로 계획 건설되고 있다.
- 연륙교 : 강화대교(통행금지), 신(新)강화대교, 강화초지대교, 강화도-개성간 연륙교(계획중), 교동도-연안간 연륙교 (계획중)
- 연도교 : 교동대교, 석모대교, 영종-강화 연도교(기공식은 가졌으나 답보상태)
1970년에 본토와 강화도 사이에 강화대교가 개통되어 육로로 연결되었다. 1997년에는 상류 쪽에 새로운 강화대교가 개통되었다.
8. 문화·관광
강화산성(사적 제132호)[26], 삼랑성(사적 제130호)[26], 강화 고려궁지(사적 제133호)[26], 성공회 강화성당(사적 제424호)[26] 등 다양한 역사 유적이 있다. 마니산[27], 교동도[26], 갯벌[27] 등 자연환경이 수려하다.
- '''축제'''
- * 강화 고인돌 문화 축제: 하점면 부근리 고인돌 유적지와 읍에서 가을에 열린다.
- * 진달래 축제: 매년 봄 고려산 일대에서 열린다. 부정기적 휴식년이 있다.
- * 강화도 새우젓 축제: 매년 내가면 외포리 외포항에서 가을에 열린다.
- * 단군대제
- * 춘계석전대제: 강화향교, 교동향교에서 여는 유교 행사
- * 추계석전대제: 강화향교, 교동향교에서 여는 유교 행사
- '''영화관'''
https://ganghwa.scinema.kr/cinema/main.do?cgid=FE8EF4D2-F22D-4802-A39A-D58F23A29C1E&BrandCd=scinema&CinemaCd=000005 강화작은영화관이 강화문예회관 2층에 91석(장애인석 2석 포함/89석 일반석) 규모로 2015년 2월 5일에 개관하였다.
9. 스포츠
10. 자매 도시
진도군·제주시와의 결연은 고려시대 삼별초의 인연에 따른 것이다. 소에다정과의 자매협정은 영험산의 산악신앙과 마니산의 단군신앙의 인연에 따른 것이다.
11. 출신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2]
웹사이트
Gochang, Hwasun and Ganghwa Dolmen Sites
https://whc.unesco.o[...]
[3]
웹사이트
강화역사박물관, 강화도의 고인돌
http://www.dapsa.kr/[...]
2018-12-19
[4]
웹사이트
Ganghwa Bugeun-ri Jisokmyo
http://encykorea.aks[...]
[5]
웹사이트
Korean Foundation Myth
http://www.imjinscou[...]
[6]
서적
La présence française en Corée de la fin du XVIIIème siècle à nos jours
[7]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8]
웹사이트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9]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
[10]
웹사이트
Official page of Ganghwa
http://english.gangh[...]
[11]
웹사이트
Ganghwa County
http://english.gangh[...]
[12]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2
[13]
웹사이트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강화(201)
https://data.kma.go.[...]
韓国気象庁
2021-03-25
[14]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강화(201)
https://data.kma.go.[...]
韓国気象庁
2021-10-02
[15]
법률
邑設置に関する規定
1973-03-12
[16]
법률
市・郡・区・邑・面の管轄区域変更及び面設置等に関する規定
1983-01-10
[17]
법률
서울특별시 광진구 등 9개 자치구 설치 및 특별시·광역시·도간관할구역변경 등에 관한 법률
1994-12-22
[18]
웹사이트
Ganghwa Maehwamareum Habitat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23-04-13
[19]
법률
읍설치에관한규정
1973-03-12
[20]
법률
시·군·구·읍·면의 관할구역 변경 및 면설치 등에 관한 규정
1983-01-10
[21]
법률
서울특별시 광진구 등 9개 자치구 설치 및 특별시·광역시·도간관할구역변경 등에 관한 법률
1994-12-22
[22]
서적
2010년 군정백서
[23]
서적
2010 군정백서
[24]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http://rcps.egov.go.[...]
행정자치부
2017-01-11
[25]
뉴스
영종도~강화도 연륙교 건설 추진 '재점화'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1-02-18
[26]
뉴스
교동도 12개 교회…저마다 ‘성탄 기쁨·설렘’
http://news.khan.co.[...]
경향닷컴
2007-12-20
[27]
서적
대한민국 여행사전
터치아트
200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인천 강화도 빌라 신축 공사장서 추락 사고…60대 중상
인천 고교 2곳에도 “폭발물 설치” 허위 팩스…학생 대피 소동
인천 이음카드, 9월부터 연 매출 30억 이하 가맹점서 10% 적립 환급
인천 석모대교에 차두고 사라진 20대, 이틀만에 숨진 채 발견
인천 석모대교서 실종된 20대 이틀 만에 숨진 채 발견
북한으로 쌀 성경 넣은 페트병 1300개 띄운 미국인 6명 송치
강화도서 대북 페트병 1천300개 띄우려 한 미국인 6명 송치
인천공항·강화군 지역발전 협약···이학재, 인천시장 출마 ‘몸풀기’
[자막뉴스] '외도 의심' 남편 중요 부위 절단 사건…딸도 공범이었다
남편 중요 부위 자른 범행에 딸도 가담…"흥신소로 위치추적"
또 2명 추락사···인천서 4일간 노동자 3명 숨지고, 1명 중상
축사 지붕 강판 교체 작업하다…인도네시아 노동자 추락사
인천 강화도 축사서 지붕 교체하다 추락…40대 외국인 사망
인천 강화도 축사서 지붕 교체하다 추락…40대 외국인 사망
남편 신체 중요부위 절단…아내·사위 구속 송치
‘핵폐수 괴담’ 유튜버 신원 파악 안돼…경찰 “구글에서 응하지 않아”
남편 외도 의심해 중요 부위 자른 아내 구속
남편 신체 훼손한 아내·가담한 사위 구속 기로
[자막뉴스] '외도 의심' 남편 '중요부위' 절단…사위도 가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