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글 크롬 프레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 태그를 추가하여 크롬 프레임을 활성화할 수 있으며, HTTP 헤더를 통해서도 배포할 수 있다. 사용자는 레지스트리 설정을 통해 크롬 프레임의 작동 방식을 변경할 수 있으며, 구글 서버와 통신하여 설치를 보고하고, 크롬 프레임 및 구글 세이프 브라우징 목록을 업데이트하며, 사용자 통계 및 크래시 보고서를 전송한다. 모질라와 마이크로소프트는 크롬 프레임이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기능을 비활성화하고 웹 보안 문제를 혼란시킬 수 있다고 비판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글 크롬 - V8 (자바스크립트 엔진)
    V8은 구글이 개발한 오픈 소스 자바스크립트 엔진으로, 자바스크립트 코드 실행 속도 향상을 위해 여러 컴파일러를 거쳐 크롬, 노드.js 등에서 활용된다.
  • 구글 크롬 - 크롬북
    크롬북은 구글의 크롬 OS를 운영체제로 사용하는 휴대용 컴퓨터로, 다양한 제조사에서 출시되어 교육 시장을 중심으로 성공을 거두었으며, 안드로이드 및 리눅스 앱 지원과 고사양 모델 출시로 활용성을 넓히고 있다.
  • 중단된 구글 소프트웨어 - 구글 행아웃
    구글 행아웃은 구글에서 개발한 메시징 서비스로, 구글 토크를 대체하며 출시되었으나, 기능 분리 후 2022년 구글 챗으로 통합되어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 중단된 구글 소프트웨어 - Inbox by Gmail
    Inbox by Gmail은 구글이 개발한 이메일 서비스로, 이메일 정리, 정보 강조, 스마트 답장 등의 기능을 제공했으나 2019년에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 웹키트 기반 소프트웨어 - 구글 크롬
    구글 크롬은 구글이 개발한 웹 브라우저로, 크로미엄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오픈 소스 코드를 활용하여 개발되었으며, 다양한 기능과 운영체제 지원을 통해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하지만 개인 정보 보호 정책으로 비판을 받기도 한다.
  • 웹키트 기반 소프트웨어 - 사파리 (웹 브라우저)
    사파리는 애플이 개발한 웹 브라우저로, 2003년 처음 출시되어 웹킷 엔진을 기반으로 빠른 속도와 웹 표준 지원을 제공하며, macOS, iOS, iPadOS 등에서 기본 브라우저로 사용된다.
구글 크롬 프레임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개요
Google Chrome Frame을 사용하여 위키백과 메인 페이지를 렌더링하는 Internet Explorer 6
Google Chrome Frame을 사용하여 위키백과 메인 페이지를 렌더링하는 Internet Explorer 6
개발사구글
최초 출시일2009년 9월 22일
지원 중단 여부
운영체제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엔진웹키트 (KHTML 기반)
프로그래밍 언어C++
종류브라우저 엔진 대체
웹사이트Google Chrome Frame 소개
상세 정보
설명인터넷 익스플로러용 플러그인으로, 오픈 소스 Chromium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함
특징웹 페이지 렌더링 속도 향상

2. 배포 및 활용

구글 크롬 프레임은 웹 개발자가 특정 코드를 삽입하거나 HTTP 헤더 설정을 통해, 또는 사용자가 직접 레지스트리 설정을 변경하여 인터넷 익스플로러 환경에서 구글 크롬의 WebKit 엔진을 사용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배포 및 활용되었다.

그러나 Internet Explorer 추가 기능은 WebKit 엔진으로 렌더링된 페이지에서는 작동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로 모질라[7][8]마이크로소프트[9]는 구글 크롬 프레임이 기존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기능을 비활성화하고 웹 보안에 대한 사용자의 이해를 혼란스럽게 만들 수 있다고 비판했다. 특히 마이크로소프트는 자사 브라우저 환경에 대한 외부 기술의 개입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또한 구글 크롬 프레임은 구글 서버와 통신하며 설치 사실 보고, 프로그램 및 구글 세이프 브라우징 목록 업데이트 등을 수행했다.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 통계나 크래시 보고서를 구글에 전송하기도 했는데,[11] 이는 사용자 데이터 수집 및 프라이버시 침해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낳았다.

2. 1. 코드 추가



이 태그가 포함된 웹 페이지는, 구글 크롬 프레임을 설치한 사용자가 인터넷 익스플로러로 접속했을 때 구글 크롬의 렌더링 엔진(WebKit)을 사용하여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크롬 프레임이 설치되지 않은 사용자에게는 아무런 변화가 없다.

2010년 2월부터는 HTTP 헤더를 통해서도 크롬 프레임 사용을 지정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방식은 웹사이트 전체에 일괄적으로 적용하기 용이하며,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일반적으로 지원하지 않는 application/xhtml+xml MIME 유형으로 된 XHTML 문서도 크롬 프레임을 통해 렌더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6] 예를 들어, Apache 서버에서 mod_headersmod_setenvif 모듈이 활성화되어 있다면, 다음과 같은 설정을 추가하여 사이트 전체에 크롬 프레임을 적용할 수 있다.







BrowserMatch chromeframe gcf

Header append X-UA-Compatible "chrome=1" env=gcf







또한, 사용자는 레지스트리 설정을 변경하여 특정 웹사이트가 크롬 프레임 사용을 명시적으로 지정하지 않더라도 강제로 WebKit 및 V8 엔진으로 렌더링하도록 할 수 있다. URL 주소 앞에 gcf: 접두사를 붙여 사용하거나, 레지스트리 값을 수정하여 모든 페이지를 기본적으로 크롬 프레임으로 렌더링하게 설정할 수 있다.[10]

레지스트리 키기능
HKCU\Software\Google\ChromeFrameAllowUnsafeURLs=1 (DWORD)주소 표시줄의 URL에 gcf: 접두사를 추가하면 WebKit/V8으로 렌더링된 페이지가 로드된다.
IsDefaultRenderer=1 (DWORD)WebKit/V8을 기본 렌더링 기술로 만든다.


2. 2. 레지스트리 설정

구글 크롬 프레임이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레지스트리 설정을 통해 특정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레지스트리 값을 설정한 후 URL 앞에 `gcf:` 접두사를 추가하면 Internet Explorer의 기본 트라이던트 엔진 대신 WebKit 및 V8 엔진으로 해당 페이지를 렌더링할 수 있다.[10] 또한, 업데이트를 통해 레지스트리 설정을 변경하여 `gcf:` 접두사 없이도 항상 WebKit/V8 엔진을 기본 렌더링 엔진으로 사용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10]

관련 레지스트리 설정은 다음과 같다.

레지스트리 키기능
HKCU\Software\Google\ChromeFrameAllowUnsafeURLs=1 (DWORD)주소 표시줄의 URL에 gcf: 접두사를 추가하면 WebKit/V8으로 렌더링된 페이지가 로드된다.
IsDefaultRenderer=1 (DWORD)WebKit/V8을 기본 렌더링 기술로 만든다.


3. 비판 및 논란

모질라[7][8]마이크로소프트[9]는 구글 크롬 프레임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보였다. 이들은 크롬 프레임이 IE의 기존 기능을 비활성화하고, 사용자가 웹 보안 문제에 대해 혼란을 느낄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Internet Explorer 추가 기능이 WebKit 기반으로 렌더링된 페이지에서는 작동하지 않는다는 점이 문제로 제기되었다.

3. 1. 보안 문제

Internet Explorer 추가 기능은 WebKit을 사용하여 렌더링된 페이지에서는 작동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모질라[7][8]마이크로소프트[9]는 구글 크롬 프레임이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기능을 비활성화하고 사용자의 웹 보안 문제에 대한 이해를 혼란스럽게 할 수 있다고 비판했다.

구글 크롬 프레임이 설치된 사용자는 레지스트리 설정을 통해 특정 URL 앞에 `gcf:` 접두사를 추가하거나, 모든 페이지의 기본 렌더링 엔진을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내장 트라이던트 엔진 대신 WebKit 및 V8으로 변경할 수 있었다.[10] 관련 레지스트리 설정은 다음과 같다.

레지스트리 키기능
HKCU\Software\Google\ChromeFrameAllowUnsafeURLs=1 (DWORD)주소 표시줄의 URL에 gcf: 접두사를 추가하면 WebKit/V8으로 렌더링된 페이지 로드 가능
IsDefaultRenderer=1 (DWORD)WebKit/V8을 기본 렌더링 엔진으로 설정



또한, 구글 크롬 프레임은 구글 서버와 통신하여 설치 사실을 보고하고, 크롬 프레임 및 구글 세이프 브라우징 목록을 업데이트했다.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구글 사용 통계 및 크래시 리포터를 구글 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었다.[11]

4. 작동 방식



이 코드가 삽입된 페이지는 크롬 프레임이 설치된 사용자의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는 구글 크롬의 웹킷 렌더링 엔진을 사용하여 표시된다. 크롬 프레임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아무런 변화 없이 기존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트라이던트 엔진으로 페이지가 표시된다.

2010년 2월, 구글 크롬 프레임은 HTTP 헤더를 통해서도 작동하도록 업데이트되었다. 이 방식은 웹사이트 전체에 크롬 프레임 적용을 간편하게 하고,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일반적으로 지원하지 않는 `application/xhtml+xml` MIME 유형을 사용하는 XHTML 문서도 표시할 수 있게 하는 등의 장점을 제공한다.[6] 예를 들어, 아파치 서버에서 `mod_headers`와 `mod_setenvif` 모듈이 활성화된 경우, 다음과 같은 헤더 지시문을 설정하여 웹사이트 전체에 크롬 프레임을 적용할 수 있다.







BrowserMatch chromeframe gcf

Header append X-UA-Compatible "chrome=1" env=gcf







크롬 프레임으로 페이지를 렌더링할 경우, 기존의 Internet Explorer 추가 기능들은 작동하지 않는다. 이러한 점 때문에 모질라[7][8]마이크로소프트[9]는 크롬 프레임이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고유 기능을 비활성화하고, 사용자의 웹 보안 관련 이해를 혼란스럽게 만들 수 있다는 비판을 제기하기도 했다.

사용자는 레지스트리 설정을 변경하여 크롬 프레임의 작동 방식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RL 주소 앞에 `gcf:` 접두사를 붙여 특정 페이지만 웹킷과 V8 엔진으로 강제 렌더링하거나, 아예 모든 페이지를 기본적으로 웹킷/V8 엔진으로 렌더링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10] 관련 레지스트리 설정은 다음과 같다.

레지스트리 키기능
HKCU\Software\Google\ChromeFrameAllowUnsafeURLs=1 (DWORD)주소창 URL 앞에 gcf: 접두사를 붙이면 해당 페이지를 웹킷/V8 엔진으로 렌더링한다.
IsDefaultRenderer=1 (DWORD)모든 페이지를 기본적으로 웹킷/V8 엔진으로 렌더링한다.



구글 크롬 프레임은 작동 과정에서 구글 서버와 통신한다. 이를 통해 구글에 설치 사실을 보고하고, 크롬 프레임 자체와 구글 세이프 브라우징 목록을 최신 상태로 업데이트한다. 또한 사용자가 동의할 경우, 사용 통계 정보나 오류 발생 보고서를 구글 서버로 전송할 수도 있다.[11]

참조

[1] 웹사이트 Introducing Google Chrome Frame https://blog.chromiu[...] 2020-08-14
[2] 웹사이트 Google Chrome Frame: Stable and Speedy https://blog.chromiu[...] 2020-08-14
[3] 웹사이트 Chrome Frame - The Chromium Projects https://www.chromium[...] 2020-08-14
[4] 웹사이트 IE8 browser runs faster with Google Chrome plug-in https://www.telegrap[...] The Daily Telegraph 2009-09-25
[5] 웹사이트 Non-Admin Chrome Frame Reaches Stable Channel https://blog.chromiu[...] 2020-08-14
[6] 웹사이트 Google Chrome Frame Developer Updates https://blog.chromiu[...] 2020-08-14
[7] 웹사이트 Mozilla VP: Chrome Frame is the wrong answer https://www.cnet.com[...] 2020-08-14
[8] 웹사이트 Mozilla slams Google's Chrome Frame as 'browser soup' https://www.computer[...] 2020-08-14
[9] 웹사이트 Microsoft bashes Google's Chrome-in-IE plan https://www.cnet.com[...] 2020-08-14
[10] 웹사이트 Chrome Frame: Developer Guide - The Chromium Projects https://www.chromium[...] 2020-08-14
[11] 웹사이트 Google Chrome Frame Privacy Notice https://www.google.c[...]
[12] Youtube Google Chrome Frame: Stable and Speedy http://blog.chromium[...]
[13] 웹인용 Retiring Chrome Frame http://blog.chromium[...] 2013-06-13
[14] 문서 developers.google.com/chrome/chrome-frame/ https://developers.g[...]
[15] 웹인용 IE8 browser runs faster with Google Chrome plug-in http://www.telegraph[...] The Daily Telegraph 2009-09-25
[16] Youtube Non-Admin Chrome Frame Reaches Stable Channel http://blog.chromiu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