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름 플랫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름 플랫폼은 국가보안기술연구소가 2015년부터 연구 개발한 안전한 클라우드 업무 환경 접속을 위한 단말 플랫폼 오픈소스 프로젝트이다. 구름 OS, 구름 브라우저, 구름 보안기술, 구름 중앙관리로 구성되며, 다양한 오픈소스를 활용하여 개발되었다. 구름 플랫폼은 개발자 및 기업들이 연구 개발에 활용할 수 있도록 ISO 파일 및 인스톨러 형태로 배포되며, 파생 배포판으로 한컴 구름, 티맥스 구름, K 구름 등이 있다. 한국해양과학기술진흥원, 해군사관학교, 육군본부, 우정사업본부 등 공공 부문에 도입되었으며, 전자정부 및 국방 분야에도 도입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눅스 배포판 -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구글이 개발한 리눅스 커널 기반의 모바일 운영체제인 안드로이드는 오픈소스 플랫폼으로 다양한 기기에서 활용되며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지만, 개인정보 보호 문제와 독점적 지위 남용 논란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 리눅스 배포판 - MX 리눅스
MX 리눅스는 MEPIS 커뮤니티와 antiX 개발자들이 협력하여 개발한 데비안 기반의 리눅스 배포판으로, 사용자 중심의 MX 도구 모음과 시스템 백업 및 복구 기능인 MX 스냅샷을 제공하며 Xfce, KDE Plasma, Fluxbox 등 다양한 데스크톱 환경과 최신 하드웨어 지원 AHS 버전을 제공한다.
| 구름 플랫폼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계열 | 데비안 계열 |
| 상태 | 개발 중 |
| 소스 형태 | 자유 소프트웨어 |
| 최초 버전 출시일 | 2018년 1월 |
| 최신 버전 | 4.1 |
| 최신 버전 출시일 | 2024년 5월 31일 |
| 언어 | 한국어 영어 |
| 웹사이트 | 구름 플랫폼 포럼 웹사이트 |
2. 구름 플랫폼 프로젝트
구름 플랫폼 프로젝트는 국가보안기술연구소가 2015년부터 연구개발을 시작한 안전한 클라우드 업무환경 접속을 위한 단말 플랫폼 오픈소스 프로젝트이다.[2]
구름 OS 공통 버전 및 구름플랫폼 중앙관리 서버는 구름 플랫폼 활성화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개발자 및 기업들이 연구 개발에 활용할 수 있도록 ISO 파일 및 인스톨러(zip 파일) 형태로 배포한다.[3]
구름 플랫폼은 구름 OS, 구름 브라우저, 구름 보안기술, 구름 중앙관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개발에는 국가보안기술연구소와 함께 한글과컴퓨터, 이액티브, 클라우드림 등 국내 기업들이 참여하고 있다.
국가보안기술연구소는 구름 플랫폼 활성화에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들을 모아 구름 플랫폼 활성화 포럼을 운영하고 있으며, 민간 기업들이 구름 플랫폼을 기반으로 사업화를 추진하고 민간 협의체를 구성하는 것을 장려하고 있다.
구름 플랫폼 프로젝트는 개발에 다양한 오픈소스를 활용하고 있으며, 연구개발 중 발견한 취약점 및 문제점에 대해서는 오픈소스 커뮤니티 및 학계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개발자와 기업들이 연구, 개발, 사업화에 활용할 수 있도록 구름 플랫폼 공통버전 소스코드와 ISO를 공개하고 있다.
3. 구름 플랫폼 배포판
https://gooroom.kr/content/downloads/iso.php 구름 플랫폼 공식 다운로드
3. 1. 구름 OS 4.0 공통버전
3. 2. 구름 OS 3.0 공통버전
| OS 버전 | 릴리즈 날짜 |
|---|---|
| Gooroom 3.5 | 2024년 5월 20일 |
| Gooroom 3.4 | 2023년 11월 14일 |
| Gooroom 3.3 | 2023년 7월 31일 |
| Gooroom 3.2 | 2022년 10월 7일 |
| Gooroom 3.1 | 2022년 5월 30일 |
| Gooroom 3.0 | 2022년 3월 2일 |
| Gooroom 3.0 RC | 2021년 12월 10일 |
3. 3. 구름 OS 2.0 공통버전
| OS 버전 | 릴리즈 날짜 |
|---|---|
| Gooroom 2.9 | 2024년 5월 20일 |
| Gooroom 2.8 | 2023년 11월 14일 |
| Gooroom 2.7 | 2023년 7월 28일 |
| Gooroom 2.6 | 2022년 9월 30일 |
| Gooroom 2.5 | 2022년 5월 25일 |
| Gooroom 2.4 | 2021년 10월 25일 |
| Gooroom 2.3 | 2021년 5월 17일 |
| Gooroom 2.2 | 2020년 11월 20일 |
| Gooroom 2.1 | 2020년 8월 15일 |
| Gooroom 2.0 | 2020년 2월 21일 |
| Gooroom 2.0 RC | 2019년 12월 3일 |
3. 4. 구름 OS 1.0 공통버전 (지원종료)
| 버전 | 릴리즈 날짜 |
|---|---|
| Gooroom 1.0 | 2018년 3월 |
| Gooroom 1.1 | 2018년 10월 |
| Gooroom 1.2 | 2019년 2월 |
| Gooroom 1.3 | 2019년 3월 29일 |
| Gooroom 1.4 | 2019년 7월 30일 |
| Gooroom 1.5 | 2019년 12월 6일 |
| Gooroom 1.6 | 2020년 8월 31일 |
| Gooroom 1.7 | 2020년 11월 27일 |
| Gooroom 1.8 | 2021년 5월 28일 |
| Gooroom 1.9 | 2021년 11월 1일 |
| Gooroom 1.10 | 2022년 5월 27일 |
3. 5. 구름 플랫폼 중앙관리 서버
| GPMS 버전 | 릴리즈 날짜 |
|---|---|
| GPMS 2.3.7.1 | 2024년 2월 14일 |
| GPMS 2.3.7 | 2023년 8월 3일 |
| GPMS 2.2.12 | 2022년 12월 8일 |
| GPMS 2.2.3 | 2022년 10월 7일 |
| GPMS 2.2 | 2022년 2월 24일 |
| GPMS 2.0 | 2021년 12월 13일 |
4. 구름 플랫폼 파생 배포판
구름 플랫폼 사업화는 국가보안기술연구소가 제공하는 구름 플랫폼 공통 버전 소스코드를 기반으로, 사업화를 희망하는 기업들이 각자의 노하우를 더해 파생 배포판을 개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국가보안기술연구소는 구름 플랫폼 적용에 대한 기술 자문을 제공한다. 한글과컴퓨터의 한컴 구름, 티맥스OS의 티맥스 구름, 틸론의 K 구름 등이 이에 해당한다.
4. 1. 한컴 구름
한글과컴퓨터는 구름 플랫폼을 개발했으나, 중견기업으로 분류되어 20억원 미만의 정부 사업 입찰이 제한되었다.[4][5] 이는 2020년 4월부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시에 따라 20억원 미만의 공공 SW 개발 사업에는 중견기업이 참여할 수 없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한글과컴퓨터는 한컴 구름이라는 독자적인 브랜드를 만들었다.[4][5]4. 2. 티맥스 구름
티맥스OS가 구름 플랫폼 기반 운영 체제 티맥스 구름(Tmax Gooroom)을 만들었다.[6]4. 3. K 구름
틸론은 구름 OS 2.2 버전을 기반으로 K 구름(K Gooroom)을 개발했다.[7]5. 도입 분야
구름 플랫폼은 공공기관, 국방,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 도입되었다.
- 한국해양과학기술진흥원(KIMST)은 운영 체제 다각화를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이 개발하고 있는 개방형 OS인 구름 플랫폼을 도입했다.[8]
- 구름 OS는 해군사관학교 교육용 PC, 치안센터 행정정보 조회 단말기, 육군본부 지상전술C4I체계 단말 등 공공부문 특수목적 단말 OS로 도입됐다.[9]
- 우정사업본부는 2019년 12월 OS 공급사들과 정식 계약을 체결하고, 티맥스OS 3천 개, 구름 OS 2천 개를 도입했다.[10]
- 행정안전부는 공공기관 60만 대 노트북 전면 교체를 위해 구름OS가 탑재된 '온북'으로 전환했다.[11]
5. 1. 도입 현황
한국해양과학기술진흥원(KIMST)은 운영 체제 다각화를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이 개발하고 있는 개방형 OS인 구름 플랫폼을 도입했다.[8]구름 OS는 해군사관학교 교육용 PC, 치안센터 행정정보 조회 단말기, 육군본부 지상전술C4I체계 단말 등 공공부문 특수목적 단말 OS로 도입됐다.[9]
우정사업본부는 2019년 12월 OS 공급사들과 정식 계약을 체결하고, 티맥스OS 3천 개, 구름 OS 2천 개를 도입했다.[10]
행정안전부는 공공기관 60만 대 노트북 전면 교체를 위해 구름OS가 탑재된 '온북'으로 전환했다.[11]
5. 2. 도입 가능 분야
한국해양과학기술진흥원(KIMST)은 운영 체제 다각화를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이 개발하고 있는 개방형 OS인 구름 플랫폼을 도입했다.[8] 구름 OS는 해군사관학교 교육용 PC, 치안센터 행정정보 조회 단말기, 육군본부 지상전술C4I체계 단말 등 공공부문 특수목적 단말 OS로 도입됐다.[9] 우정사업본부는 2019년 12월 OS 공급사들과 정식 계약을 체결하고, 티맥스OS 3천 개, 구름 OS 2천 개를 도입했다.[10]행정안전부는 공공기관 60만 대 노트북 전면 교체를 위해 구름 OS가 탑재된 '온북'으로 전환하고 있으며,[11] 국가 및 공공기관 납품, 기업 및 산업체 공급을 개발 목표로 한다. 전자정부 내 클라우드 플랫폼 보안 강화 용도로도 도입될 예정이다.[13]
국방부는 국군 사이버지식정보방에 개방형 OS를 도입하기로 결정하였다.[14] 국군 사이버지식정보방 운영 체제 교체 사업에서 개방형 OS로만 입찰을 받으려고 하였으나, 윈도우즈 외에는 인터넷 강의가 작동하지 않는다는 일부 장병들의 의견에 따라 상용 OS와 개방형 OS를 50:50으로 도입하기로 변경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에 따라, 국방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협조하여 소프트웨어 중심 대학부터 시작해 순차적으로 오픈 소스 운영 체제에서도 사용 가능한 이러닝 체계를 만들기로 하였다.[15]
6. 국방 분야 도입 논란 및 과제
국군 사이버지식정보방 운영체제 교체 사업과 관련하여 개방형 OS와 상용 OS 도입을 둘러싼 논란이 있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논의 과정에서 개방형 OS의 장점을 살리고, 국방 보안 강화와 사용자 편의성을 모두 고려하는 합리적인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는 입장이었다.[8][9][10][11]
이와 관련된 과제로 이러닝(e-learning) 체계 구축 등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구름 플랫폼 포럼
https://www.gooroom.[...]
[2]
웹사이트
구름플랫폼 개발/협력
https://gooroom.kr/c[...]
[3]
웹사이트
구름플랫폼 다운로드
https://gooroom.kr/c[...]
[4]
뉴스
구름OS 만들던 한컴, 왜 한컴구름이라는 또다른 OS를 내놨을까
https://byline.netwo[...]
Byline Network
2020-08-07
[5]
뉴스
이액티브, 개방형 OS 구름 플랫폼 3.0 배포판 개발 전면에 나섰다
https://www.etnews.c[...]
전자신문
2020-08-18
[6]
뉴스
티맥스오에스, 구름 플랫폼 기반 PC용 OS Tmax구름 개발
https://www.epnc.co.[...]
테크월드뉴스
2021-06-15
[7]
뉴스
틸론, 다음달 개방형OS 'K구름' 출시…공공기관 클라우드PC 수요 공략
https://www.ajunews.[...]
아주경제
2021-03-30
[8]
뉴스
KIMST, 개방형 OS '구름 플랫폼'구축…"운영체제 다각화"
https://www.fnnews.c[...]
파이낸셜뉴스
2019-12-27
[9]
뉴스
OS에 다시 도전장 던진 한컴…’한컴구름’ 무료 배포 시작
https://byline.netwo[...]
Byline Network
2020-07-16
[10]
뉴스
공공기관 '개방형 OS', 먼저 발 뗀 우본 사례 분석
https://zdnet.co.kr/[...]
지디넷코리아
2020-02-06
[11]
뉴스
공공기관 60만대 노트북 전면 교체...구름OS 탑재 '온북'으로
https://www.etnews.c[...]
전자신문
2022-09-21
[12]
웹사이트
https://www.gooroom.[...]
[13]
뉴스
공공 입성하는 국산OS, 안정성 이슈 극복할까
http://www.ddaily.co[...]
디지털데일리
2019-01-01
[14]
뉴스
국방부, 개방형 OS 도입 시동…공공기관 OS 종속성 벗어나나
http://www.etnews.co[...]
전자신문
2018-11-08
[15]
뉴스
MS 윈도·티맥스OS 격돌…국군 사지방 PC사업 발주
http://www.etnews.co[...]
전자신문
2019-04-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