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방부는 국가의 안보 및 군사력을 담당하는 정부 부처를 통칭하는 용어이다. 영어로는 Ministry of Defence (MOD), Defence Ministry, Department of Defence (DoD) 등으로 불린다. 각국은 국방부를 통해 군사 조직을 관리하고, 국방 정책을 수립하며, 대외 안보 협력을 수행한다. 대한민국 국방부, 미국 국방부, 영국 국방부, 일본 방위성 등 다양한 명칭으로 존재하며, 각국의 지정학적 상황과 안보 환경에 따라 역할과 기능이 다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행정기관 - 정부수반
한 국가의 행정부를 통솔하는 최고위 공직자인 정부수반은 국가 원수와 동일인이 아닌 경우 총리, 수상, 대통령 등으로 불리며 권한과 역할은 헌법에 따라 다르다. - 국방부 - 중화인민공화국 국방부
중화인민공화국 국방부는 1954년 설립되어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의 지휘 아래 군사 행정, 장비 조달, 훈련, 무기 연구 개발, 외국 군대와의 군사 교류 및 협력 등을 담당하는 중국 인민해방군의 행정 기관이다. - 국방부 - 캐나다 국방부
캐나다 국방부는 1922년 국가방위법에 따라 설립된 캐나다 정부 부처로서, 캐나다군의 운영을 지원하며 국방 정책 수립, 예산 관리, 물자 조달, 인적 자원 관리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한다.
국방부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기관 유형 | 정부 부처 |
역할 | 국방 |
조직 | |
장관 | 국방부 장관 |
차관 | 국방부 차관 |
예하 조직 | 군대 국방 연구소 국방 조달청 국방 정보국 |
역사 | |
설립 | 국가에 따라 다름 |
이전 명칭 | 전쟁부 해군부 공군부 |
기능 | |
주요 기능 | 군사 정책 수립 군대 운영 국방 예산 관리 국방 조달 국제 군사 협력 국방 연구 개발 국방 정보 수집 및 분석 민방위 |
기타 | |
관련 법률 | 국방 관련 법률 |
2. 주요 국가의 국방부
세계 각국의 국방부는 해당 국가의 안보 상황, 정치 체제, 역사적 배경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조직되고 운영된다.
영어에서는 Ministry of Defence (MOD), Defence Ministry, Department of Defence (DoD), Defence Department 등으로 불린다.[2]
“국방부”로 번역되는 대표적인 기관은 다음과 같다.
국가 | 해당 국가 표기 | 번역 표기 |
---|---|---|
영국 | Ministry of Defence | 영국 국방부 |
이스라엘 | מִשְׂרַד הַבִּטָּחוֹן|Mishrad HaBitachonhe | 이스라엘 국방부 |
이탈리아 | Ministero della Difesa | 이탈리아 국방부 |
인도 | रक्षा मंत्रालय|Pratirakshā Mantrakahi | 인도 국방부 |
오스트레일리아 | Department of Defence | 오스트레일리아 국방부 |
캐나다 | Department of National Defence / ministère de la Défense nationale | 캐나다 국방부 |
크로아티아 | Ministarstvo obrane Republike Hrvatske | 크로아티아 국방부 |
싱가포르 | Ministry of Defence, MINDEF | 싱가포르 국방부 |
스웨덴 | Försvarsdepartementet | 스웨덴 국방부 |
스리랑카 | Ministry of Defence | 스리랑카 국방부 |
태국 | กระทรวงกลาโหม|Krasuang Klahomth | 태국 국방부 |
필리핀 | Department of National Defense | 필리핀 국방부 |
브라질 | Ministério da Defesa | 브라질 국방부 |
폴란드 | Ministerstwo Obrony Narodowej | 폴란드 국방부 |
멕시코 | 멕시코 국방부 | |
우크라이나 | Міністерство оборони|Ministerstvo oboronyuk | 우크라이나 국방부 |
벨라루스 | Мiнiстэрства абароны|Ministerstva abaronybe | 벨라루스 국방부 |
독일 | Bundesministerium der Verteidigung | 독일 연방 국방부 |
러시아 | Министерство обороны|Ministerstvo oboronyru | 러시아 국방부 |
한자 문화권 국가의 경우, 현지어 표기가 한자 그대로 쓰이기도 하지만, “국방부”로 번역되기도 한다.
이 외에도 수많은 국가에 국방부가 존재한다.
- (아프가니스탄) 국방부
- (알바니아) 국방부
- (아르헨티나) 국방부
- (아르메니아) 국방부
- (오스트레일리아) 국방부
- (오스트리아) 국방부
- (아제르바이잔) 국방부
- (방글라데시) 국방부
- (벨라루스) 국방부
- (벨기에) 국방부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방부
- (보츠와나) 국방·사법·안보부
- (브라질) 국방부
- (브루나이) 국방부
- (불가리아) 국방부
- (캄보디아) 국방부
- (캐나다) 국방부
- (칠레) 국방부
- (중화인민공화국) 국방부
- (중화민국) 국방부
- (콜롬비아) 국방부
- (크로아티아) 국방부
- (체코) 국방부
- (덴마크) 국방부
- (지부티) 국방부
- (에콰도르) 국방부
- (이집트) 국방부
- (에리트레아) 국방부
- (에스토니아) 국방부
- (에티오피아) 국방부
- (핀란드) 국방부
- (프랑스) 국방부
- (조지아) 국방부
- (독일) 국방부
- (가나) 국방부
- (그리스) 국방부
- (과테말라) 국방부
- (아이티) 국방부
- (인도) 국방부
- (인도네시아) 국방부
- (이란) 국방부
- (이라크) 국방부
- (아일랜드) 국방부
- (이스라엘) 국방부
- (이탈리아) 국방부
- (일본) 방위성
- (요르단) 국방부
- (카자흐스탄) 국방부
- (북한) 국방성
- (대한민국) 국방부
- (쿠웨이트) 국방부
- (키르기스스탄) 국방부
- (라트비아) 국방부
- (레바논) 국방부
- (라이베리아) 국방부
- (리투아니아) 국방부
- (말레이시아) 국방부
- (몰디브) 국방부
- (몰도바) 국방부
- (몽골) 국방부
- (몬테네그로) 국방부
- (미얀마) 국방부
- (나미비아) 국방부
- (네팔) 국방부
- (네덜란드) 국방부
- (뉴질랜드) 국방부
- (나이지리아) 국방부
- (노르웨이) 국방부
- (오만) 국방부
- (파키스탄) 국방부
- (필리핀) 국방부
- (페루) 국방부
- (폴란드) 국방부
- (포르투갈) 국방부
- (루마니아) 국방부
- (러시아) 국방부
- (르완다) 국방부
- (상투메 프린시페) 국방부
- (사우디아라비아) 국방부
- (세르비아) 국방부
- (시에라리온) 국방·국가안보부
- (싱가포르) 국방부
- (슬로바키아) 국방부
- (슬로베니아) 국방부
- (소말리아) 국방부
- (소말릴란드) 국방부
- (남아프리카 공화국) 국방부
- (남수단) 국방·재향군인부
- (스페인) 국방부
- (스리랑카) 국방부
- (스웨덴) 국방부
- (스위스) 국방·민방위·스포츠부
- (시리아) 국방부
- (타지키스탄) 국방부
- (탄자니아) 국방·국가복무부
- (태국) 국방부
- (트란스니스트리아) 국방부
- (튀니지) 국방부
- (터키) 국방부
- (투르크메니스탄) 국방부
- (우간다) 국방·재향군인부
- (우크라이나) 국방부
- (영국) 국방부
- (미국) 국방부
- (우즈베키스탄) 국방부
- (베네수엘라) 국방부
- (베트남) 국방부
- (잠비아) 국방부
- (짐바브웨) 국방부
2. 1. 대한민국 국방부
대한민국 국방부는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수호하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문재인 정부는 '국방개혁 2.0'을 추진하며,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병력 감축, 첨단 전력 증강 등을 통해 국방력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남북 관계 개선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며, 9.19 군사합의 등을 통해 군사적 긴장 완화에 기여하고 있다.2.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성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성은 북한의 군사 집행 기관이다. 국방위원회(현 국무위원회)의 지휘를 받으며, 대한민국 국방부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2] 그러나 북한 국방성은 핵무기 개발 등 군사력 강화에 집중하고 있어 국제사회의 우려를 낳고 있다.2. 3. 미국 국방부
미국 국방부는 미국의 Department of Defense를 번역한 것이다. 미국 육군성, 미국 해군성, 미국 공군성 세 부처를 통합하는 부처로, 부처 위에 설치된 부처였기 때문에 "총성"이라는 용어가 만들어졌다. 직역하면 "국방부" 또는 "방위부"가 된다.[2]2. 4. 중화인민공화국 국방부
중화인민공화국 국방부는 중국의 중화인민공화국 국방부(中华人民共和国国防部, Zhōnghuá Rénmín Gònghéguó Guófáng Bù)를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중국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의 지휘를 받으며, 군사력 증강에 주력하고 있다. 특히,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 대만 문제 등으로 주변국과의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2. 5. 일본 방위성
일본 방위성은 자위대를 관리하고 운영한다. 평화헌법에 따라 전수방위(專守防衛) 원칙을 견지하고 있다.[2] 그러나 최근 아베 신조 정권 이후, '적극적 평화주의'를 내세우며 군사력 강화를 추진하고 있어 주변국의 우려를 낳고 있다.2. 6. 기타 국가
영국 국방부는 영국의 Ministry of Defence에 해당한다.[2] 프랑스 국방부는 2017년까지 “국방부”로 불렸으나, 현재는 Ministère des Armées로 명칭이 변경되었다.[2] 독일 연방 국방부는 Bundesministerium der Verteidigung로 불린다.[2] 이들 국가는 북대서양 조약기구(NATO)를 통해 집단 안보 체제에 참여하고 있다.3. 역사 속 국방부
역사 속 국방부는 각 국가의 역사적, 정치적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화해 왔다.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1901년부터 1921년까지, 그리고 1921년부터 1939년까지 국방부가 존재했다. 이후 국방협력부(1939~1942년), 국방생산부(1951~1958년), 국방지원부(1982~1984년) 등으로 개편되었다.[1] 아르차흐에는 아르차흐 국방부가 1995년부터 2023년까지 존속했다.[1]
만주국에는 만주국 군정부와 만주국 군사부가 있었다.[1] 러시아 제국에는 러시아 제국 군사성이, 소비에트 연방에는 1946년 3월 15일부터 Министерство обороны СССР|소비에트 연방 군사성ru이 존재했다.[1] 프로이센 왕국에는 Preußisches Kriegsministerium|프로이센 왕국 전쟁성de이 있었다.[1]
영국에는 1947년부터 1964년까지 국방부가 있었다.[1] 미국에는 1789년부터 1947년 9월 18일까지 미국 옛 육군성(United States Department of War영어)이 존속했으며, War Office영어라고도 불렸다.[1]
3. 1. 일본
- - 병부성 - 메이지 시대 일본에 존재, 육군성과 해군성의 전신.[1]
- - 육군성 - 메이지 36년부터 쇼와 20년까지 일본에 존재, 육군 해체에 따라 제1복원성의 전신이 되었다.[2]
- - 해군성 - 메이지 36년부터 쇼와 20년까지 일본에 존재, 해군 해체에 따라 제2복원성의 전신이 되었다.
- - 보안청 - 일본 방위청의 전신. National Safety Agency영어
- - 방위청 - 일본 방위성의 전신. Japan Defense Agency영어
3. 2. 독일
- -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에는 독일 국방성(Reichswehrministerium)(Reichswehrministeriumde)이 있었다.
- - 나치 독일 시대에는 독일 국 전쟁성(Reichskriegsministerium)(Reichskriegsministeriumde)이 있었다.
- - 독일 재통일 이전 독일 민주 공화국(동독)에는 국방성(Ministerium für Nationale Verteidigungde)이 있었다.
3. 3. 기타
과거 소련, 체코슬로바키아 등 사회주의 국가들에도 국방부가 존재했으나, 체제 붕괴와 함께 해체되거나 개편되었다.[1]국가 | 명칭 | 존속 기간 | 비고 |
---|---|---|---|
오스트레일리아 | 국방부 | 1901년~1921년 | |
오스트레일리아 | 국방부 | 1921년~1939년 | |
오스트레일리아 | 국방협력부 | 1939년~1942년 | |
오스트레일리아 | 국방생산부 | 1951년~1958년 | |
오스트레일리아 | 국방지원부 | 1982년~1984년 | |
아르차흐 | 아르차흐 국방부 | 1995년~2023년 | |
체코슬로바키아 | 체코슬로바키아 국방부 | 1918년~1992년 | |
동독 | 국방부 | 1956년~1990년 | |
스릅스카 공화국 | 스릅스카 공화국 국방부 | 1992년~2005년 | |
소비에트 연방 | 국방부 | 1953년~1992년 | |
영국 | 국방부 | 1947년~1964년 | |
日本|일본일본어 | 병부성 | 메이지 시대 일본에 존재, 육군성과 해군성의 전신. | |
日本|일본일본어 | 육군성 | 메이지 36년~쇼와 20년 | 육군 해체에 따라 제1복원성의 전신이 됨. |
日本|일본일본어 | 해군성 | 메이지 36년~쇼와 20년 | 해군 해체에 따라 제2복원성의 전신이 됨. |
日本|일본일본어 | 보안청 | 방위청의 전신. National Safety Agency영어 | |
日本|일본일본어 | 방위청 | 방위성의 전신. Japan Defense Agency영어 | |
만주국 | 만주국 군정부 | 현재 중국 동북부 | |
만주국 | 만주국 군사부 | 현재 중국 동북부 | |
러시아 제국 | 러시아 제국 군사성 | ||
소비에트 연방 | Министерство обороны СССР|소비에트 연방 군사성ru | 1946년 3월 15일부터 | |
프로이센 왕국 | Preußisches Kriegsministeriumde | ||
바이마르 공화국 | Reichswehrministeriumde | ||
나치 독일 | Reichskriegsministeriumde | ||
독일 민주 공화국 | 독일 민주 공화국 국방성 (Ministerium für Nationale Verteidigungde) | 독일 재통일 이전 | |
미국 | 미국 옛 육군성 (United States Department of War영어) | 1789년~1947년 9월 18일 | War Office영어 |
4. 같이 보기
현직 국방장관 목록
참조
[1]
웹사이트
History of the Ministry of Defence
https://www.gov.uk/g[...]
2012-12-10
[2]
문서
米語ではそれぞれDefense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특검, '이종섭 도피출국 의혹' 대통령실 전 인사비서관 조사
언어 장벽, 해외 연고 고려 않는 군대…인권위 “다문화 장병 복무환경 개선하라”
일 방위상, 10년 만에 방한…‘서울안보대화’서 한일 국방장관 회담
군, '채상병 수사외압' 의혹 박진희 56사단장 직무정지
육군, ‘채 상병 수사 외압’ 의혹 박진희 56사단장 직무정지
내란 막을 ‘군인 명령 거부권’ 만들려면 [임재성의 함께하는 법]
군대 가면 ‘드론 조종 자격증’ 따서 나오도록···국방부 ‘50만 드론 전사’ 양성 추진
KISA, 사이버전문사관 산업 진출 위해 16개 보안기업과 협력 – 바이라인네트워크
육군 장교 '총상' 숨진 채 발견…총기 관리 구멍
군 장교 '총상' 숨진 채 발견…총기 관리 '구멍'
'총상 사망' 육군 장교…"어떻게 도심까지" 군 당국 입장은
'총상 사망' 육군 대위…"실탄 갖고 유원지까지?" 국방부 답변은 [바로이뉴스]
이 대통령 “군대 내 민주주의 교육과정 마련하라”
이 대통령 “정권 아닌 국가에 충성해야”···군 민주주의 교육 지시
4성 장군 전원 물갈이…합참의장 2번 연속 비육군 출신
4성 장군 전원 '물갈이'…또 '비 육군' 합참의장
이재명 정부 첫 군 수뇌부 인사…대장 7명 전원 교체, 육사 배제는 없어
전 방첩사령관, 채상병 사건 국면서 해병대 파견 대원과 수차례 통화…외압 관여 여부 수사
‘4개월째 공석’ 소록도병원 안·이비인후과장, 이번엔 뽑을 수 있을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