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치총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가정치총국(GPU)은 러시아 내전 종식 후인 1922년 2월 6일,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내무인민위원회 산하 기관으로 설립된 소련의 비밀경찰 조직이다. 체카의 권한 축소 및 개편의 필요성에 따라 설립되었으며, 반혁명 분자, 반동 분자, 반체제파의 적발 및 제거를 목적으로 했다. GPU는 1923년 연합국가정치국(OGPU)으로 개편되었으며, 1934년 내무인민위원회(NKVD) 직할 국가보안총국(GUGB)으로 변경되었다. GPU는 스탈린 시대에 정적 제거, 반대파 탄압에 활용되었으며, 1953년 폐지 이후 잔당은 KGB로 존속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의 정보기관 - 스메르시
스메르시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련의 방첩 기관으로, "스파이에게 죽음을"이라는 구호 아래 소련군의 후방 보호, 불순분자 색출, 군사 방첩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종전 후 히틀러 사망 진상 조사 및 유해 처리 임무를 맡았으나 해체되었고, 긍정적 기여와 부정적 인권 침해 양면으로 평가받는다. - 소련의 정보기관 - 내무인민위원부
내무인민위원부는 소련의 내무 기관으로, 초기에는 행정 업무를 수행했으나 점차 비밀 경찰, 첩보, 정치 탄압 등 광범위한 권력을 행사하며 공포 정치를 상징하는 기관이 되었고, 이후 내무부와 국가보안위원회로 분리되었다. - 러시아의 정보기관 - 러시아 내무부
러시아 내무부는 1802년 설립되어 치안 유지, 교도소 관리, 국경 관리 등의 권한을 행사했던 러시아의 행정 기관으로, 비밀경찰 기능을 수행하며 감시와 통제 역할을 담당해 국민 사생활 침해 논란이 있다. - 러시아의 정보기관 - 공안질서수호국
공안질서수호국은 제정 러시아 시기에 반체제 인사 감시와 정치적 탄압을 담당했던 비밀 경찰 조직으로, 혁명 운동 탄압, 노동 운동 감시 등의 활동을 수행했으나 러시아 혁명 이후 해체되었고 볼셰비키 정권에 의해 체카로 대체되었다. - 해체된 정보기관 - 대한민국 중앙정보부
대한민국 중앙정보부는 1961년에 설립되어 국가 안보 관련 정보 수집, 범죄 수사, 정부 부처 감독을 수행했으며, 김종필, 김형욱, 이후락 등이 부장을 역임하고 인민혁명당 사건, 동베를린 사건, 김대중 납치 사건 등과 관련된 기관이다. - 해체된 정보기관 - 사바크
사바크는 미국 CIA의 지원으로 설립된 이란의 비밀 경찰이자 정보기관으로, 팔레비 정권 유지를 위해 반대파를 탄압하며 고문과 처형 등 잔혹 행위를 자행했고 이란 혁명으로 해체되었으나 일부는 후임 기관에 흡수되었다는 주장이 있으며, 현재 그 만행은 에브라트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국가정치총국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2. 명칭
- '''러시아어:'''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политическое управление (ГПУ) при Народном комиссариате внутренних дел (НКВД) РСФСР
- '''로마자 표기''': Gosudarstvennoe politicheskoe upravlenie (GPU) pri narodnom komissariate vnutrennikh del (NKVD) RSFSR – (GPU pri NKVD RSFSR)
- '''영어:''' State Political Directorate (also State Political Administration) under the People's Commissariat of interior affairs of the Russian Soviet Federative Socialist Republic (RSFSR)
체카가 전신이며, 1922년 2월 6일에 GPU로 개명되었다.
3. 설립 배경 및 임무
1922년 2월 6일, 러시아 내전 종식 후, 러시아 최초의 국가 보안 조직인 체카가 개편되어 국가정치총국(GPU)이 설립되었다.[1] 국가정치총국은 RSFSR NKVD 산하 기관이었으며, 초대 책임자는 펠릭스 제르진스키였다.[1]
표면적으로 GPU는 체카보다 자제하여 행동해야 했으며, 의심되는 반혁명가를 마음대로 사살할 권한이 없었다. 정상적인 상황이라면 정치범으로 의심되는 모든 사람은 판사 앞에 세워져야 했다.[1]
GPU의 '외국 부서'는 미하일 트리리서가 이끌었으며, 해외 첩보 활동과 '인민의 적' 제거를 담당했다.[2] 트리리서는 1940년 대숙청 기간 동안 이오시프 스탈린에 의해 처형되었다.
3. 1. 설립 배경
1922년 2월 6일, 러시아 내전 종식 후, 러시아 최초의 국가 보안 조직인 체카의 권한 축소 및 개편 필요성에 따라 설립되었다.[1] 처음에는 러시아어 약칭 '''GPU'''—"RSFSR NKVD 산하 국가정치국"(러시아어: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политическое управление при НКВД РСФСР, ''Gosudarstvennoye politicheskoye upravlenie'' under the NKVD of the RSFSR)으로 알려졌다.[1] 초대 책임자는 체카의 의장이었던 펠릭스 제르진스키였다.[1] 반혁명 분자, 반동 분자, 반체제파의 적발 및 제거를 목적으로 하였다.[2]3. 2. 임무
표면적으로, 새로운 기관은 체카보다 더 자제하여 행동해야 했다. 예를 들어, 체카와 달리, 의심되는 "반혁명가"를 마음대로 사살할 권한이 없었다. 정상적인 상황이라면 정치범으로 의심되는 모든 사람은 판사 앞에 세워져야 했다.[1]GPU의 '외국 부서'는 전 볼셰비키이자 당원인 미하일 트리리서가 이끌었다.[2] 외국 부서는 해외 첩보 활동, 즉 간첩 행위와 '인민의 적' 제거를 담당했다. 트리리서 자신은 1940년 대숙청 기간 동안 이오시프 스탈린에 의해 처형되었다.
GPU는 1922년 2월 6일에 체카를 개명하여 설립되었으며, 반혁명 분자, 반동 분자, 반체제파의 적발 및 제거를 목적으로 했다.
4. 조직 구조 (1934년 1월 기준)
5. 계급 (1935-1943)
1935년부터 1943년까지 존속했던 국가정치총국의 계급은 다음과 같다.
- 국가 보안 총 위원 (генеральный комиссар ГБ|게네랄니 코미사르 G.B.ru)
- 1등 국가 보안 위원 (комиссар ГБ 1-го ранга|코미사르 G.B. 페르보보 란가ru)
- 2등 국가 보안 위원 (комиссар ГБ 2-го ранга|코미사르 G.B. 프토로보 란가ru)
- 3등 국가 보안 위원 (комиссар ГБ 3-го ранга|코미사르 G.B. 트레티예보 란가ru)
- 국가 보안 상급 소좌 (старший майор ГБ|스타르시 마요르 G.B.ru)
- 국가 보안 소좌 (майор ГБ|마요르 G.B.ru)
- 국가 보안 대위 (капитан ГБ|카피탄 G.B.ru)
- 국가 보안 상급 중위 (старший лейтенант ГБ|스타르시 레이테난트 G.B.ru)
- 국가 보안 중위 (лейтенант ГБ|레이테난트 G.B.ru)
- 국가 보안 소위 (младший лейтенант ГБ|믈라트시 레이테난트 G.B.ru)
- 국가 보안 상사 (сержант ГБ|세르잔트 G.B.ru)
1943년 2월, 국가 보안 상급 소좌 계급은 폐지되었고, 다음 계급들이 신설되었다.
- 국가 보안 위원 (комиссар ГБ|코미사르 G.B.ru)
- 국가 보안 대령 (полковник ГБ|폴코브니크 G.B.ru)
- 국가 보안 중령 (подполковник ГБ|포트폴코브니크 G.B.ru)
6. 해체 및 계승
1923년 11월 15일, 소련 창설에 따라 전 연방 국가 보안 기관인 연합국가정치국(ОГПУ, OGPU)으로 개편되었다.[3] 1934년 7월, OGPU는 내무인민위원회(NKVD) 직할 국가보안총국(ГУГБ, GUGB)으로 개편되었다.[3] 스탈린 사후인 1953년 9월, 흐루쇼프 정권에 의해 공식적으로 폐지되었으나, 잔존 세력은 후에 국가보안위원회(KGB)로 흡수, 존속되었다.
7. 역대 지도자
국가정치총국(GPU) 장관은 펠릭스 제르진스키가 1922년 2월부터 1923년 11월까지 역임했다. 통합국가정치총국(OGPU) 장관은 펠릭스 제르진스키(1923년 11월 ~ 1926년 7월), 뱌체슬라프 멘진스키(1926년 7월 ~ 1934년 5월), 겐리흐 야고다(1934년 5월 ~ 1934년 7월, 대행)가 역임했다. 내무인민위원회(NKVD) 국가보안총국장은 야코프 아글라노프(1936년 12월 ~ 1937년 4월), 미하일 프리노프스키(1937년 4월 ~ 1938년 3월), 라브렌티 베리야(1938년 9월 ~ 1938년 12월), 브세볼로트 메르쿨로프(1938년 12월 ~ 1941년 2월)가 역임했다.
7. 1. GPU 장관
펠릭스 제르진스키 (1922년 2월 ~ 1923년 11월)7. 2. OGPU 장관
7. 3. NKVD 국가보안총국장
이름 | 재임 기간 |
---|---|
야코프 아글라노프 | 1936년 12월 - 1937년 4월 |
미하일 프리노프스키 | 1937년 4월 - 1938년 3월 |
라브렌티 베리야 | 1938년 9월 - 1938년 12월 |
브세볼로트 메르쿨로프 | 1938년 12월 - 1941년 2월 |
8. 소련 비밀경찰 기구 연표
1917–1922 | 체카 (RSFSR 소브나르콤 산하) Всероссийская чрезвычайная комиссия|전러시아 비상 위원회ru |
---|---|
1922–1923 | RSFSR의 GPU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политическое управление|국가정치국ru |
1923–1934 | OGPU (USSR 소브나르콤 산하) Объединён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политическое управление|연합국가정치국ru |
1934–1941 | 소련 NKVD Народный комиссариат внутренних дел|내무인민위원회ru |
1941 | 소련 NKGB Народный комиссариат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безопасности|국가보안인민위원회ru |
1946–1953 | 소련 MGB Министерство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безопасности|국가보안부ru |
1953–1954 | 소련 MVD Министерство внутренних дел|내무부ru |
1954–1991 | KGB (소련 각료회의 산하) Комитет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й безопасности|국가보안위원회ru |
참조
[1]
서적
The Dictators: Hitler's Germany, Stalin's Russia
https://archive.org/[...]
W. W. Norton & Company
[2]
서적
In the Toils of the O.G.P.U.
https://books.google[...]
Hurst & Blackett
[3]
간행물
トゥハチェーフスキー事件に関する一試論
https://hdl.handle.n[...]
北海道大学スラブ研究センタ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