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중앙정보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중앙정보부는 1961년 6월 10일 제정된 법률에 따라 설립된 국가 정보 기관이다. 국가안전보장에 관련된 국내외 정보 수집 및 범죄 수사, 정부 부처의 정보·수사 활동 감독을 주요 업무로 수행했으며, 창설 초기에는 국가재건최고회의 산하에 있다가 1963년 대통령 직속 기구로 변경되었다. 1981년 국가안전기획부로 개편되기 전까지 김종필, 김형욱, 이후락 등이 부장을 역임하며, 주요 사건으로 인민혁명당 사건, 동베를린 사건, 김대중 납치 사건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중앙정보부 - 김대중 납치 사건
김대중 납치 사건은 1973년 대한민국 중앙정보부가 야당 정치인 김대중을 도쿄에서 납치하여 한국으로 강제 연행한 사건으로, 박정희 정권의 반대 세력 탄압 목적과 대한민국 주권 침해 논란, 국제적 문제 비화, 한일 관계 악영향, 그리고 반민주적 행태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건으로 기록된다. - 대한민국 중앙정보부 - 민청학련 사건
민청학련 사건은 1974년 박정희 유신 정권이 전국민주청년학생총연맹을 불순 세력의 조종을 받는 반정부 단체로 규정하여 관련자들을 구속, 처벌한 사건으로, 반독재 운동 탄압의 대표적인 사례로 재평가되고 있다. - 해체된 정보기관 - 사바크
사바크는 미국 CIA의 지원으로 설립된 이란의 비밀 경찰이자 정보기관으로, 팔레비 정권 유지를 위해 반대파를 탄압하며 고문과 처형 등 잔혹 행위를 자행했고 이란 혁명으로 해체되었으나 일부는 후임 기관에 흡수되었다는 주장이 있으며, 현재 그 만행은 에브라트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 해체된 정보기관 - 국가보안위원회
국가보안위원회(KGB)는 냉전 시대 소련의 정보, 방첩, 첩보 활동을 총괄하는 막강한 기관이었으나 인권 탄압의 비판도 받으며, 소련 해체와 함께 해체되어 러시아 연방 보안청 등으로 기능이 계승되었다. - 1981년 폐지 - 대한민국 제4공화국
대한민국 제4공화국은 1972년 유신으로 시작하여 박정희 대통령 사망까지 존속하며 유신 헌법을 통해 강력한 대통령 권한, 긴급조치, 민주화 운동 탄압, 중화학공업 육성 정책 등을 특징으로 가진 공화국이다. - 1981년 폐지 - 캄푸치아 공산당
캄푸치아 공산당은 1951년 인도차이나 공산당에서 분리되어 설립된 캄보디아의 공산당으로, 크메르 루주로 불리며 농촌사회주의와 크메르 민족주의를 이데올로기로 내세워 민주 캄푸치아 정권을 수립했으나 극단적인 정책과 베트남 침공으로 몰락, 1981년 해산되었다.
대한민국 중앙정보부 | |
---|---|
지도 및 이미지 | |
![]() | |
기본 정보 | |
영어 표기 | Korean Central Intelligence Agency (KCIA) |
한글 표기 | 대한민국중앙정보부 |
한자 표기 | 大韓民國中央情報部 |
일본어 표기(히라가나) | だいかんみんこくちゅうおうじょうほうぶ |
일본어 표기(가타카나) | テハンミングクチュンアンジョンボブ |
설립일 | 1961년 6월 10일 |
해산일 | 1981년 4월 8일 |
전신 | 중앙정보위 시국정화운동본부 |
부훈 | 우리는 음지에서 일하고 양지를 지향한다 |
후신 | 안기부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중구 |
직원 | 부장, 차장, 기획조정관, 차장보, 실장급 이하 비공개 |
예산 | 기밀 |
상급기관 | 대한민국 대통령 |
산하기관 | 1국~9국, 해외정보국, 각 시도지부 |
기타 정보 | |
관련 내용 | CIA의 지원을 받아 설립됨 |
활동 | 사형 제도 운영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참고 자료 | 전위 1976년 6월호, 65-72쪽 }} |
2. 설치 근거 및 소관 업무
중앙정보부는 1961년 6월 10일 '국가재건최고회의법' 제18조[9]와 '중앙정보부법' 제1조[10]에 따라 설치되었다. 중앙정보부는 국가안전보장에 관련된 국내외 정보사항 및 범죄수사와 군을 포함한 정부 각 부서의 정보·수사활동을 감독하고, 타 기관 소속 직원을 지휘, 감독하는 권한을 가졌다.[9]
2. 1. 소관 업무
대한민국 중앙정보부한국어는 다음의 업무를 소관으로 하였다.[10][11]- 국내외 정보 수집 및 배포
- 국가 기밀 보안
- 내란, 외환, 반란, 이적 등 범죄 수사
- 정보 및 보안 업무 조정·감독
중앙정보부는 국가안전보장에 관련된 국내외 정보사항 및 범죄수사를 담당하고, 군을 포함한 정부 각 부서의 정보·수사활동을 감독하며, 국가기관 소속 직원을 지휘, 감독하는 권한을 가졌다.[9] 초기에는 국가재건최고회의 산하기관이었으나, 1963년 3월 이후 대통령 직속 최고 권력기구가 되었다.[9]
3. 연혁
- 1961년 5월 20일 - '시국정화단'을 폐지하고 '''중앙정보부'''를 신설.[4]
- 1961년 6월 10일 - 법률 제619호 중앙정보부법 제정.[4]
- 1963년 3월 22일 - 국가재건최고회의 직할에서 내각 직할로 변경.
- 1981년 4월 8일 - 중앙정보부를 폐지하고 '''국가안전기획부'''를 신설.[4]


4. 창설 배경
5·16 군사 정변 이후, 김종필 등은 기존의 시국정화운동본부를 장악하고 군사혁명위원회의 정보 조직으로 중앙정보부를 개편하였다. 초기 중앙정보부는 장면 내각의 중앙정보연구위원회와 시국정화운동본부의 조직을 흡수하고, 김종필의 특무부대 요원 3,000명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4] 1963년 박정희 대통령 취임 이후, 중앙정보부는 내각 직할 기관으로 변경되었으며, 박정희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었다.
5. 조직
1961년 6월 10일 법률 제619호에 따라 중앙정보부가 창설되었다. 초기에는 1962년 1월과 4월 두 차례 조직 개편을 거쳤으며, 1964년에는 요원 수가 37만 명에 달할 정도로 급격히 확대되었다.[4] 이후 직원은 공채로 선발하거나, 군인, 검사, 판사 등을 파견받아 충원했다. 중앙정보부는 정보 및 첩보 업무 외에도 대공 업무, 내란죄, 외환죄, 반란죄, 이적죄 등의 범죄 수사를 비밀리에 기획하고 담당했다. 또한 경찰과 검찰을 지휘 통제하고 반정부 세력에 대한 광범위한 감시, 통제, 적발 등의 기능을 수행했으며, 암암리에 정부 시책 홍보 및 여론 조작 활동도 했다.
1963년 민정이양 헌법 제정에 따라 조직, 인원, 예산에 대한 비공개 규정이 세워졌고, 이는 국가안전기획부로 이어졌다. 1973년 3월에는 군사기밀보호법 위반죄에 대한 수사권이 중앙정보부에 부여되었다.
중앙정보부는 국가재건최고회의와 박정희의 친위 정보기관이자 미국 CIA의 대응기관으로 출발했지만, 점차 국가 안보와 북조선 및 주변 공산국가에 대응하기 위해 민주주의와 헌법 이상의 역할을 하는 기관으로 지위가 격상되었다. 1963년 3월 이후 장관급 부서였으나, 1972년 10월 유신 선포 이후 부총리급으로 격상되었다.
5. 1. 주요 부서
주요 부서 |
---|
6. 활동
1961년 5·16 군사 쿠데타 직후, 박정희는 대한국군의 첩보 기관인 대적첩보부대(CIC) 요원들을 중심으로 6월 10일 중앙정보부를 창설했다.[4] 중앙정보부는 국가안전보장에 관련된 국내외 정보사항 및 범죄수사를 담당하고, 군을 포함한 정부 각 부서의 정보·수사활동을 감독하며, 국가기관 소속 직원을 지휘, 감독하는 권한을 가졌다.[10][11]
초대 부장 김종필은 1963년 1월까지 재임하며 통일교를 한국의 정치적 목적을 위해 재조직하고 국내외에서 정치 공작을 벌였다.[5][6] 중앙정보부는 정보, 첩보, 대공 업무 외에도 반정부 세력 감시, 정치 공작, 여론 조작 등 다양한 활동을 수행했다. 1963년 민정이양 이후, 중앙정보부의 조직, 예산 등은 비공개로 유지되었으며, 이는 안기부로 이어졌다. 1973년에는 중앙정보부에 군사기밀보호법 위반죄 수사권이 부여되었다.
중앙정보부는 국가 안보를 명분으로 민주주의와 헌법을 초월하는 권력을 행사했으며, 1972년 10월 유신 이후에는 부총리급으로 격상되었다. 본부 위치 명칭에서 유래하여 “남산”이라고 통칭되었으며, 국민 생활을 감시하고 박정희의 독재에 반대하는 국민을 색출하였다. 직무상 보안사령부 서빙고 분실 등에서 체포된 피의자에 대한 고문을 자행하고 살해하는 경우도 있어 국민들에게 공포의 대상이 되었다.
1973년 8월 8일, 중앙정보부는 도쿄에서 김대중을 납치하여 암살하려 했다. 이 사건에는 일본의 폭력단 등이 중앙정보부에 협력했다(김대중 납치 사건).[7] 아시아방송연구회의 야마시타 토오루는 지하 방송이었던 희망의 메아리 방송은 중앙정보부가 운영한 것으로 추정했다. (KBS) 관계자들도 “(방송은) 한국의 특수 기관이 운영하고 있다”고 인정하였다.
1979년 10월 26일, 중앙정보부 부장 김재규가 박정희 대통령과 차지철 대통령 경호실장을 사살했다(10·26 사건). 이후 대통령이 된 전두환에 의해 1981년 4월 8일 “국가안전기획부”로 개편되었다. 1999년 1월에는 "국가정보원"으로 개편되었다.
6. 1. 타 부처 파견
중앙정보부에는 부사관, 소령급 이상 장교들이 파견되어 근무하였고, 대령, 준장급 인사들이 특별보좌관이나 차장보로 파견 근무를 오기도 했다.[9] 그 밖에 법무부나 검찰의 부장검사급 인사가 특보로 부임하여 근무하였다.[11]7. 부훈
우리는 음지에서 일하고 양지를 지향한다.( 국가안전기획부로 계승됨)
8. 역대 부장 및 차장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출신지 | 출신교 | 비고 |
---|---|---|---|---|---|---|
군사정부 | 1대 | 김종필 | 1961년 5월 20일 ~ 1963년 1월 6일 | 충남 부여 | 육군사관학교 | 국무총리, 제6·7·8·9·10·13·14·15·16대 국회의원, 민주공화당 총재, 신민주공화당 총재, 민주자유당 대표최고위원, 자유민주연합 총재 역임 |
2대 | 김용순 | 1963년 1월 7일 ~ 1963년 2월 20일 | 경남 하동 | 육군사관학교, 단국대학교 | 제6·7대 국회의원, 국회운영위원회 위원장, 중앙정보부 특별보좌관 역임 | |
3대 | 김재춘 | 1963년 2월 21일 ~ 1963년 7월 11일 | 경기 김포 | 육군사관학교, 건국대학교 | 제8·9대 국회의원, 한국사회연구소 이사장, 한국산업기술연구소장 역임 | |
제3공화국 | 4대 | 김형욱 | 1963년 7월 12일 ~ 1969년 10월 20일 | 황해 신천 | 육군사관학교, 경희대학교 | 제8대 국회의원 역임 |
5대 | 김계원 | 1969년 10월 21일 ~ 1970년 12월 20일 | 경북 영주 | 육군사관학교, 군사영어학교 | 육군참모총장, 주 중화민국 대사, 대통령비서실장 역임 | |
6대 | 이후락[12] | 1970년 12월 21일 ~ 1973년 12월 3일 | 경남 울산 (현 경남과 분리) | 육군사관학교, 군사영어학교 | 대통령비서실장, 주 일본 대사, 제10대 국회의원 역임 | |
제4공화국 | ||||||
7대 | 신직수 | 1973년 12월 4일 ~ 1976년 12월 5일 | 충남 서천 | 전주사범학교, 서경대학교 | 중앙정보부 차장, 검찰총장, 법무부 장관 역임 | |
8대 | 김재규 | 1976년 12월 6일 ~ 1979년 10월 26일 | 경북 선산 (현 경북 구미) | 육군사관학교 | 육군 보안사령관, 제9대 국회의원, 중앙정보부 차장, 건설부 장관 역임 | |
직무대행 | 윤일균 | 1979년 10월 27일 ~ 1979년 10월 30일 | 황해 안악 | 공군사관학교 | ||
9대 (서리) | 이희성 | 1979년 10월 31일 ~ 1979년 12월 12일 | 경남 고성 | 육군사관학교 | 육군참모차장, 육군참모총장, 교통부 장관, 대한주택공사 이사장 역임 | |
직무대행 | 윤일균 | 1979년 12월 13일 ~ 1980년 4월 13일 | 황해 안악 | 공군사관학교 | ||
10대 (서리) | 전두환 | 1980년 4월 14일 ~ 1980년 7월 17일 | 경남 합천 | 육군사관학교 | 국군 보안사령관, 제11·12대 대통령, 민주정의당 총재, 국가원로자문회의 의장 역임 | |
11대 | 유학성 | 1980년 7월 18일 ~ 1981년 1월 1일 | 경북 예천 | 육군사관학교 | 제12·13·14대 국회의원, 국회 국방위원회 위원장 역임 |
=== 역대 차장 ===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출신지 | 출신교 | 비고 |
---|---|---|---|---|---|---|
군사 정부 | 2대 | 서정순[13] | 1961년 5월 20일 ~ 1963년 2월 23일 | 서울 | 육군사관학교 | 내각사무처 차장, 행정개혁위원회 위원장 |
2대 | 석정선[14] | 1961년 5월 20일 ~ 1962년 4월 17일 | 행정차장 겸 제2국장, 행정차장 겸 보안차장보 | |||
2대 | 이영근[15] | 1961년 5월 20일 ~ 1963년 2월 23일 | 중앙정보부장 특별보좌관 | |||
3대 | 박원석 | 1963년 2월 ~ 1963년 7월 | 충남 대전 (현 충남과 분리) | 육군사관학교, 일본 육군사관학교 | 공군참모차장, 대한석유공사 사장 | |
4대 | 신직수 | 1963년 7월 ~ 1963년 12월 | 충남 서천 | 전주교육대학교, 한국대학교 (현 서경대학교) | 중앙정보부장, 검찰총장, 법무부 장관 | |
제3공화국 | 5대 | 이병두 | 1963년 12월 ~ 1969년 12월 | 경남 사천 | 일본 주오대학교 | 중앙정보부 차장보 |
6대 | 김치열 | 1970년 1월 ~ 1973년 12월 | 경북 달성 (현 대구) | 일본 주오대학교 | 서울지검 검사장, 검찰총장, 내무부 장관, 법무부 장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 | |
제4공화국 | ||||||
7대 | 김재규 | 1973년 12월 ~ 1974년 9월 | 경북 선산 (현 경북 구미) | 육군사관학교 | 중앙정보부장, 건설부 장관, 제9대 국회의원 | |
8대 | 이상익[16] | 1973년 9월 ~ 1978년 12월 20일 | 충남 서천 | 육군사관학교 | 중앙정보부장 특별보좌관, 제8·10·11·12대 국회의원, 11대 한일의원연맹 간사장, 석유개발공사 이사장 | |
8대 | 이철희[17] | 1973년 9월 ~ 1978년 12월 20일 | 충북 청원 | 일본 육군사관학교, 육군사관학교 | 제10대 국회의원 | |
8대 | 이건영[18] | 1977년 12월 ~ 1978년 10월 | 차장보직 겸직 | |||
9대 | 윤일균[16] | 1979년 1월 ~ 1980년 4월 | ||||
9대 | 전재덕[17] | 1979년 1월 ~ 1980년 4월 | 국방대학교 | |||
9대 | 윤종상[18] | 1979년 1월 ~ 1980년 4월 | 동국대학교 | |||
10대 | 서정화[16] | 1980년 4월 29일 ~ 1980년 9월 2일 | 경남 통영 | 서울대학교 | 충청남도지사, 내무부 차관, 내무부 장관, 제12·13·14·15·16대 국회의원, 국회 통일외교통상위원회 위원장 | |
10대 | 김영선[17] | 1980년 4월 29일 ~ 1980년 9월 6일 | 경기 양평 | 육군사관학교 | ||
11대 | 김성진[16] | 1980년 9월 6일 ~ 1980년 10월 29일 | 경기 인천 (현 경기와 분리) | 고려대학교 | 육군사관학교 교수, 중앙정보부 기획조정실장 | |
12대 | 현홍주[17] | 1980년 9월 6일 ~ 1980년 10월 29일 | 경기 경성 (현 서울) | 컬럼비아 대학교 | 중앙정보부 제2국장, 기획정책국장, 2차장보 | |
12대 | 현홍주[16] | 1980년 10월 29일 ~ 1981년 4월 7일 | 경기 경성 (현 서울) | 컬럼비아 대학교 | 중앙정보부 제2국장, 기획정책국장, 2차장보 | |
13대 | 김성진[17] | 1980년 10월 29일 ~ 1981년 4월 7일 | 경기 인천 (현 경기와 분리) | 고려대학교 | 육군사관학교 교수, 중앙정보부 기획조정실장 |
- 1대, 오탁근 1961년 5월 20일 ~ 1962년 4월 17일, 서울고검차장, 서울지검검사장, 대구고검검사장, 법무부차관, 검찰총장
- 1대, 석정선[19], 1961년 5월 20일 ~ 1962년 4월 17일
- 2대, 석정선[20], 1962년 4월 17일 ~ 1963년 2월 23일, 행정차장 겸 제2국장, 행정차장직 겸임
- 2대, 오탁근[21], 1962년 4월 17일 ~ 1963년 2월 23일, 서울고검차장, 서울지검검사장, 대구고검검사장, 법무부차관, 검찰총장
- 3대, 김동배[20][22], 1963년 2월 23일 ~ , 해군본부작전참모부장(55), 해군준장, 해군정보참모부장, 군수참모부장, 인사참모부장, 해군본부인사국장, 해군참모차장
- 3대, 여운상[21], 1963년 2월 23일 ~ 1963년 7월 14일, 서울지검 부장검사
- 4대, 이병두[21], 1963년 7월 15일 ~ 1963년 12월 11일[23], 국민대학교 강사, 국민대학교 조교수, 변호사, 군사혁명위원회, 국가재건최고회의 법제사법자문위원, 중앙정보부 차장
- 4대, 김동배[20], 1963년 12월 12일 ~ 1964년
- 5대, 윤일균[20], 1964년 ~ 1964년, 황해 안악, 공군본부 초대 정보국장 대리, 공군특무부대장, 공군 본부 정보국 차장·국장, 중앙정보부 제2,3 국장, 정보학교장, 국가안전보장회의 특별보좌관(64), 서울신문 전무, 중앙정보부 1차장, 부장 직무대리
- 5대, 여운상[21], 1963년 12월 12일 ~ , 서울지검 부장검사
- 강창성[24], 1965년 ~ 1968년 4월, 20사단참모장, 중앙정보부 기획조정실장, 5사단장, 중앙정보부 차장보, 보안사령관
- 이상익[21], 1969년 1월 ~ 1970년 1월, 중앙정보부장특별보좌관, 중앙정보부 제1차장
- 김영동[20], 1969년 ~ 1970년
- 김치열[20], 1970년 1월 ~ 1971년, 차장 겸임
- 강창성[21], 1970년 9월[25] ~ 1971년 8월, 당시 현역육군중장, 기획관리실장 겸임[26], 육군정보참모부 차장, 보안사령관, 국회의원
- 이상익[24], 1970년 1월 ~ 1970년 12월, 중앙정보부장특별보좌관, 중앙정보부 제1차장
- 이철희[27], 1971년 ~ 1973년, 중앙정보부 1국장 겸임
- 김동근[28], 1971년 8월 ~ 1973년 6월, 중앙정보부 초대 6국장, 주 태국 공사, 부장 비서실장, 주 수단 초대 대사, 주 핀란드 대사, 신민주공화당 총재 비서실장, 제14대 국회의원, 민주자유당 대표 최고위원 비서실장, 신한국당 중앙연수원장, 국책자문위원회 외무통일위원장, 자유민주연합 총재 특별 보좌역
- 김재규[29], 1973년 1월 ~ 1973년 9월, 2차장 겸임
- 정홍진, 1971년 ~ 1973년, 중정 협의조정국장, 이후락 부장 방북수행원, 남북조절위 간사위원
- 이상열[24], 1971년 12월 ~ 1973년, 중앙정보부 기획조정실장 겸임[30][31]
- 이철희[27], 1973년 ~ 1974년
- 조일제[21][32], 1973년 6월 ~ 1974년 9월[33], 중정 3국장, 주일본대사관 공사, 오사카 총영사
- 양두원[24], 1973년 12월 ~ 1974년 9월, 기조실장 겸임
- 윤일균[27], 1974년 ~ 1974년, 황해 안악, 대한항공협회 이사, 부회장, 중앙정보부 1차장, 부장 직무대리
- 장송록[27], 1974년 ~ 1975년, 5국 단장
- 최두열[29], 1975년 6월 30일 ~ ?, 노동청장, 부산직할시장, 내무부 치안국장, 중앙정보부 특별보좌관
- 임문순, 1973년 ~ 1978년, 유신정우회 국회의원 보좌관
- 이상열[27], 1975년 ~ 1977년[34]
- 양두원[21], 1974년 9월[33] ~ 1976년 12월 3일, 중앙정보부 기조실장에서 전임
- 윤일균[21], 1976년 12월 4일 ~ 1977년, 황해 안악, 공군본부 정보국 차장, 공군본부 정보국장, 중앙정보부 2국장, 3국장, 정보학교장
- 이건영[21], 1977년 12월 ~ 1978년 12월, 중앙정보부 3차장 겸임
- 김영수[24][35], 1974년 ~ 1978년 4월 13일, 공군 준장 예편, 중앙정보부 제2국장, 중앙정보부기획조정실장겸 운영차장보, 제1무임소장관 보좌관
- 나희필[29], 1977년 ~ 1978년 11월 17일, 육군대학총장, 국가안전보장회의부위원장, 위원장, 비상기획원위원장
- 하태준[36], 1977년 ~ 1978년 11월, 중앙정보부 8국장, 주랭군총영사관총영사, 중앙정보부 해외공작국장, 주영한국대사관 공사, 롯데주조 대표이사 사장, 호남석유화학 사장
- 윤일균[27], 1978년 ~ 1979년 10월 30일, 황해 안악, 1차장 겸임, 공군본부 정보국 차장, 공군본부 정보국장, 중앙정보부 2국장, 3국장, 정보학교장
- 김정섭[37], 1978년 12월 ~ 1979년 10월 30일
- 정홍진[21], 1979년 10월 30일 ~ 1980년 9월, 중앙정보부 7국 부국장, 7국장, 남북조절위원회 회담협의조정국장, 통일원 정책평가단위원
- 김일곤[24], 1978년 4월 14일 ~ 1980년 1월
- 하태준[29], 1979년 1월 ~ 1979년 10월 29일, 호남석유화학 사장
- 하태준[27], 1979년 10월 30일[38] ~ 1980년 4월 14일
- 현홍주[37], 1979년 10월 30일[38] ~ 1980년 10월 29일, 제2국장으로 겸임, 기획정책국장, 2차장보, 중정 2차장으로 승진
- 김정섭[29], 1979년 10월 30일 ~ 1980년 10월
- 전두환, 1979년 12월 13일 ~ 1980년 4월 13일, 국가재건최고회의비서관, 중앙정보부 정보과장, 인사과장, 수경사 30대대장, 백마부대 연대장, 제1사단장, 보안사령관, 중앙정보부장서리, 국보위 상임위원장, 대통령
- 이종찬[24], 1980년 5월 19일 ~ 1980년 10월, 중앙정보부 기조실장 겸임
- 김동근[37], 1980년 12월 ~ 1984년 12월, 주 핀란드 대사
- 이종찬[29], 1980년 10월 ~ 1980년 12월, 중앙정보부 총무과장, 총무국장, 중정 기조실장, 국회의원, 국가정보원장
대한민국 중앙정보부의 역대 부장 및 차장 목록이다.
8. 1. 역대 부장
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출신지 | 출신교 | 비고 |
---|---|---|---|---|---|---|
군사정부 | 1대 | 김종필 | 1961년 5월 20일 ~ 1963년 1월 6일 | 충남 부여 | 육군사관학교 | 국무총리, 제6·7·8·9·10·13·14·15·16대 국회의원, 민주공화당 총재, 신민주공화당 총재, 민주자유당 대표최고위원, 자유민주연합 총재 역임 |
2대 | 김용순 | 1963년 1월 7일 ~ 1963년 2월 20일 | 경남 하동 | 육군사관학교, 단국대학교 | 제6·7대 국회의원, 국회운영위원회 위원장, 중앙정보부 특별보좌관 역임 | |
3대 | 김재춘 | 1963년 2월 21일 ~ 1963년 7월 11일 | 경기 김포 | 육군사관학교, 건국대학교 | 제8·9대 국회의원, 한국사회연구소 이사장, 한국산업기술연구소장 역임 | |
제3공화국 | 4대 | 김형욱 | 1963년 7월 12일 ~ 1969년 10월 20일 | 황해 신천 | 육군사관학교, 경희대학교 | 제8대 국회의원 역임 |
5대 | 김계원 | 1969년 10월 21일 ~ 1970년 12월 20일 | 경북 영주 | 육군사관학교, 군사영어학교 | 육군참모총장, 주 중화민국 대사, 대통령비서실장 역임 | |
6대 | 이후락[12] | 1970년 12월 21일 ~ 1973년 12월 3일 | 경남 울산 (현 경남과 분리) | 육군사관학교, 군사영어학교 | 대통령비서실장, 주 일본 대사, 제10대 국회의원 역임 | |
제4공화국 | ||||||
7대 | 신직수 | 1973년 12월 4일 ~ 1976년 12월 5일 | 충남 서천 | 전주사범학교, 서경대학교 | 중앙정보부 차장, 검찰총장, 법무부 장관 역임 | |
8대 | 김재규 | 1976년 12월 6일 ~ 1979년 10월 26일 | 경북 선산 (현 경북 구미) | 육군사관학교 | 육군 보안사령관, 제9대 국회의원, 중앙정보부 차장, 건설부 장관 역임 | |
직무대행 | 윤일균 | 1979년 10월 27일 ~ 1979년 10월 30일 | 황해 안악 | 공군사관학교 | ||
9대 (서리) | 이희성 | 1979년 10월 31일 ~ 1979년 12월 12일 | 경남 고성 | 육군사관학교 | 육군참모차장, 육군참모총장, 교통부 장관, 대한주택공사 이사장 역임 | |
직무대행 | 윤일균 | 1979년 12월 13일 ~ 1980년 4월 13일 | 황해 안악 | 공군사관학교 | ||
10대 (서리) | 전두환 | 1980년 4월 14일 ~ 1980년 7월 17일 | 경남 합천 | 육군사관학교 | 국군 보안사령관, 제11·12대 대통령, 민주정의당 총재, 국가원로자문회의 의장 역임 | |
11대 | 유학성 | 1980년 7월 18일 ~ 1981년 1월 1일 | 경북 예천 | 육군사관학교 | 제12·13·14대 국회의원, 국회 국방위원회 위원장 역임 |
8. 2. 역대 차장
다음은 대한민국 중앙정보부의 역대 차장 목록이다.정부 | 대수 | 이름 | 임기 | 출신지 | 출신교 | 비고 |
---|---|---|---|---|---|---|
군사 정부 | 2대 | 서정순[13] | 1961년 5월 20일 ~ 1963년 2월 23일 | 서울 | 육군사관학교 | 내각사무처 차장, 행정개혁위원회 위원장 |
2대 | 석정선[14] | 1961년 5월 20일 ~ 1962년 4월 17일 | 행정차장 겸 제2국장, 행정차장 겸 보안차장보 | |||
2대 | 이영근[15] | 1961년 5월 20일 ~ 1963년 2월 23일 | 중앙정보부장 특별보좌관 | |||
3대 | 박원석 | 1963년 2월 ~ 1963년 7월 | 충남 대전 (현 충남과 분리) | 육군사관학교, 일본 육군사관학교 | 공군참모차장, 대한석유공사 사장 | |
4대 | 신직수 | 1963년 7월 ~ 1963년 12월 | 충남 서천 | 전주교육대학교, 한국대학교 (현 서경대학교) | 중앙정보부장, 검찰총장, 법무부 장관 | |
제3공화국 | 5대 | 이병두 | 1963년 12월 ~ 1969년 12월 | 경남 사천 | 일본 주오대학교 | 중앙정보부 차장보 |
6대 | 김치열 | 1970년 1월 ~ 1973년 12월 | 경북 달성 (현 대구) | 일본 주오대학교 | 서울지검 검사장, 검찰총장, 내무부 장관, 법무부 장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 | |
제4공화국 | ||||||
7대 | 김재규 | 1973년 12월 ~ 1974년 9월 | 경북 선산 (현 경북 구미) | 육군사관학교 | 중앙정보부장, 건설부 장관, 제9대 국회의원 | |
8대 | 이상익[16] | 1973년 9월 ~ 1978년 12월 20일 | 충남 서천 | 육군사관학교 | 중앙정보부장 특별보좌관, 제8·10·11·12대 국회의원, 11대 한일의원연맹 간사장, 석유개발공사 이사장 | |
8대 | 이철희[17] | 1973년 9월 ~ 1978년 12월 20일 | 충북 청원 | 일본 육군사관학교, 육군사관학교 | 제10대 국회의원 | |
8대 | 이건영[18] | 1977년 12월 ~ 1978년 10월 | 차장보직 겸직 | |||
9대 | 윤일균[16] | 1979년 1월 ~ 1980년 4월 | ||||
9대 | 전재덕[17] | 1979년 1월 ~ 1980년 4월 | 국방대학교 | |||
9대 | 윤종상[18] | 1979년 1월 ~ 1980년 4월 | 동국대학교 | |||
10대 | 서정화[16] | 1980년 4월 29일 ~ 1980년 9월 2일 | 경남 통영 | 서울대학교 | 충청남도지사, 내무부 차관, 내무부 장관, 제12·13·14·15·16대 국회의원, 국회 통일외교통상위원회 위원장 | |
10대 | 김영선[17] | 1980년 4월 29일 ~ 1980년 9월 6일 | 경기 양평 | 육군사관학교 | ||
11대 | 김성진[16] | 1980년 9월 6일 ~ 1980년 10월 29일 | 경기 인천 (현 경기와 분리) | 고려대학교 | 육군사관학교 교수, 중앙정보부 기획조정실장 | |
12대 | 현홍주[17] | 1980년 9월 6일 ~ 1980년 10월 29일 | 경기 경성 (현 서울) | 컬럼비아 대학교 | 중앙정보부 제2국장, 기획정책국장, 2차장보 | |
12대 | 현홍주[16] | 1980년 10월 29일 ~ 1981년 4월 7일 | 경기 경성 (현 서울) | 컬럼비아 대학교 | 중앙정보부 제2국장, 기획정책국장, 2차장보 | |
13대 | 김성진[17] | 1980년 10월 29일 ~ 1981년 4월 7일 | 경기 인천 (현 경기와 분리) | 고려대학교 | 육군사관학교 교수, 중앙정보부 기획조정실장 |
- 1대, 오탁근 1961년 5월 20일 ~ 1962년 4월 17일, 서울고검차장, 서울지검검사장, 대구고검검사장, 법무부차관, 검찰총장
- 1대, 석정선[19], 1961년 5월 20일 ~ 1962년 4월 17일
- 2대, 석정선[20], 1962년 4월 17일 ~ 1963년 2월 23일, 행정차장 겸 제2국장, 행정차장직 겸임
- 2대, 오탁근[21], 1962년 4월 17일 ~ 1963년 2월 23일, 서울고검차장, 서울지검검사장, 대구고검검사장, 법무부차관, 검찰총장
- 3대, 김동배[20][22], 1963년 2월 23일 ~ , 해군본부작전참모부장(55), 해군준장, 해군정보참모부장, 군수참모부장, 인사참모부장, 해군본부인사국장, 해군참모차장
- 3대, 여운상[21], 1963년 2월 23일 ~ 1963년 7월 14일, 서울지검 부장검사
- 4대, 이병두[21], 1963년 7월 15일 ~ 1963년 12월 11일[23], 국민대학교 강사, 국민대학교 조교수, 변호사, 군사혁명위원회, 국가재건최고회의 법제사법자문위원, 중앙정보부 차장
- 4대, 김동배[20], 1963년 12월 12일 ~ 1964년
- 5대, 윤일균[20], 1964년 ~ 1964년, 황해 안악, 공군본부 초대 정보국장 대리, 공군특무부대장, 공군 본부 정보국 차장·국장, 중앙정보부 제2,3 국장, 정보학교장, 국가안전보장회의 특별보좌관(64), 서울신문 전무, 중앙정보부 1차장, 부장 직무대리
- 5대, 여운상[21], 1963년 12월 12일 ~ , 서울지검 부장검사
- 강창성[24], 1965년 ~ 1968년 4월, 20사단참모장, 중앙정보부 기획조정실장, 5사단장, 중앙정보부 차장보, 보안사령관
- 이상익[21], 1969년 1월 ~ 1970년 1월, 중앙정보부장특별보좌관, 중앙정보부 제1차장
- 김영동[20], 1969년 ~ 1970년
- 김치열[20], 1970년 1월 ~ 1971년, 차장 겸임
- 강창성[21], 1970년 9월[25] ~ 1971년 8월, 당시 현역육군중장, 기획관리실장 겸임[26], 육군정보참모부 차장, 보안사령관, 국회의원
- 이상익[24], 1970년 1월 ~ 1970년 12월, 중앙정보부장특별보좌관, 중앙정보부 제1차장
- 이철희[27], 1971년 ~ 1973년, 중앙정보부 1국장 겸임
- 김동근[28], 1971년 8월 ~ 1973년 6월, 중앙정보부 초대 6국장, 주 태국 공사, 부장 비서실장, 주 수단 초대 대사, 주 핀란드 대사, 신민주공화당 총재 비서실장, 제14대 국회의원, 민주자유당 대표 최고위원 비서실장, 신한국당 중앙연수원장, 국책자문위원회 외무통일위원장, 신공항건설공단 상임 고문, 자유민주연합 총재 특별 보좌역
- 김재규[29], 1973년 1월 ~ 1973년 9월, 2차장 겸임
- 정홍진, 1971년 ~ 1973년, 중정 협의조정국장, 이후락 부장 방북수행원, 남북조절위 간사위원
- 이상열[24], 1971년 12월 ~ 1973년, 중앙정보부 기획조정실장 겸임[30][31]
- 이철희[27], 1973년 ~ 1974년
- 조일제[21][32], 1973년 6월 ~ 1974년 9월[33], 중정 3국장, 주일본대사관 공사, 오사카 총영사
- 양두원[24], 1973년 12월 ~ 1974년 9월, 기조실장 겸임
- 윤일균[27], 1974년 ~ 1974년, 황해 안악, 대한항공협회 이사, 부회장, 중앙정보부 1차장, 부장 직무대리
- 장송록[27], 1974년 ~ 1975년, 5국 단장
- 최두열[29], 1975년 6월 30일 ~ ?, 노동청장, 부산직할시장, 내무부 치안국장, 중앙정보부 특별보좌관
- 임문순, 1973년 ~ 1978년, 유신정우회 국회의원 보좌관
- 이상열[27], 1975년 ~ 1977년[34]
- 양두원[21], 1974년 9월[33] ~ 1976년 12월 3일, 중앙정보부 기조실장에서 전임
- 윤일균[21], 1976년 12월 4일 ~ 1977년, 황해 안악, 공군본부 정보국 차장, 공군본부 정보국장, 중앙정보부 2국장, 3국장, 정보학교장
- 이건영[21], 1977년 12월 ~ 1978년 12월, 중앙정보부 3차장 겸임
- 김영수[24][35], 1974년 ~ 1978년 4월 13일, 공군 준장 예편, 중앙정보부 제2국장, 중앙정보부기획조정실장겸 운영차장보, 제1무임소장관 보좌관
- 나희필[29], 1977년 ~ 1978년 11월 17일, 육군대학총장, 국가안전보장회의부위원장, 위원장, 비상기획원위원장
- 하태준[36], 1977년 ~ 1978년 11월, 중앙정보부 8국장, 주랭군총영사관총영사, 중앙정보부 해외공작국장, 주영한국대사관 공사, 롯데주조 대표이사 사장, 호남석유화학 사장
- 윤일균[27], 1978년 ~ 1979년 10월 30일, 황해 안악, 1차장 겸임, 공군본부 정보국 차장, 공군본부 정보국장, 중앙정보부 2국장, 3국장, 정보학교장
- 김정섭[37], 1978년 12월 ~ 1979년 10월 30일
- 정홍진[21], 1979년 10월 30일 ~ 1980년 9월, 중앙정보부 7국 부국장, 7국장, 남북조절위원회 회담협의조정국장, 통일원 정책평가단위원
- 김일곤[24], 1978년 4월 14일 ~ 1980년 1월
- 하태준[29], 1979년 1월 ~ 1979년 10월 29일, 호남석유화학 사장
- 하태준[27], 1979년 10월 30일[38] ~ 1980년 4월 14일
- 현홍주[37], 1979년 10월 30일[38] ~ 1980년 10월 29일, 제2국장으로 겸임, 기획정책국장, 2차장보, 중정 2차장으로 승진
- 김정섭[29], 1979년 10월 30일 ~ 1980년 10월
- 전두환, 1979년 12월 13일 ~ 1980년 4월 13일, 국가재건최고회의비서관, 중앙정보부 정보과장, 인사과장, 수경사 30대대장, 백마부대 연대장, 제1사단장, 보안사령관, 중앙정보부장서리, 국보위 상임위원장, 대통령
- 이종찬[24], 1980년 5월 19일 ~ 1980년 10월, 중앙정보부 기조실장 겸임
- 김동근[37], 1980년 12월 ~ 1984년 12월, 주 핀란드 대사
- 이종찬[29], 1980년 10월 ~ 1980년 12월, 중앙정보부 총무과장, 총무국장, 중정 기조실장, 국회의원, 국가정보원장
9. 중앙정보부 관련 주요 사건
중앙정보부는 1961년 5·16 군사 쿠데타 직후인 6월 10일에 창설되었다.[4] 중앙정보부는 북한 관련 첩보 활동을 주요 임무로 하였지만, 박정희 군사정권 시대에는 반정부 운동을 감시하고 탄압하는 역할도 수행했다.[4] '남산'이라는 별칭으로 불린 중앙정보부는 국민 생활에 깊숙이 관여하며 박정희 독재에 반대하는 사람들을 색출했고, 체포된 이들에 대한 고문과 살해도 빈번하게 일어나 국민들에게 공포의 대상이었다.[4]
김종필 초대 부장은 1963년 1월까지 재임하며 통일교를 정치적 목적으로 이용하고 국내외에서 정치 공작을 벌였다.[5][6] 1973년 8월에는 김대중 납치 사건을 일으켜 도쿄에서 김대중을 납치하여 암살하려 했으며, 이 과정에서 일본 폭력조직이 중앙정보부에 협력했다.[7]
1979년 10월 26일, 김재규 중앙정보부 부장은 박정희 암살 사건을 일으켜 박정희 대통령과 차지철 대통령 경호실장을 사살하였다.[4]
9. 1. 주요 사건 목록
10. 논란
1961년 6월 10일 법률 제619호 중앙정보부법이 만들어졌다. 창설 이후 1964년에는 직원 수가 무려 37만 명에 이르렀다. 중앙정보부는 방대한 조직을 활용하여 정보, 첩보 업무 외에도 대공 업무 및 각종 범죄 수사를 비밀리에 기획, 담당했다. 또한 경찰과 검찰을 지휘 통제하고 반정부 세력에 대한 광범위한 감시, 통제, 적발 등의 기능을 수행했다. 암암리에 정부 시책을 홍보하고 여론을 정부에 유리하게 조성하는 활동도 했다.
1963년 민정이양 헌법이 제정되면서 중앙정보부의 조직, 소재지, 정원, 예산에 대한 비공개 규정이 만들어졌고, 이는 안기부로 이어졌다. 10월 유신 이후 1973년 3월에는 군사기밀보호법 위반죄에 대해 중앙정보부에 수사권을 부여했다.
중앙정보부는 국가재건최고회의와 박정희의 친위 정보기관이자 미국 CIA의 대응 기관으로 출발했지만, 점차 국가 안보와 북조선 및 주변 공산 국가와의 상대를 위해 민주주의와 헌법 이상의 역할을 하는 기관으로 지위가 격상되었다. 1963년 3월 이후에는 장관급 부서였으나 1972년 10월 유신 선포 이후에는 부총리급으로 격상되었다.
5·16 군사 정변 직후 '위험인물 예비검속계획'이 입안되었고, 이 과정에서 김종필 중앙정보부장은 검찰총장, 치안국장, 육군방첩부대장 등에게 '수사에 관한 지휘감독권'을 초법적으로 행사한 것으로 보인다.[42]
10. 1. 오작교 작전
오작교 작전은 중앙정보부가 해외 망명 인사, 반정부 인사들에 대한 납치, 암살, 고문 등을 자행했다는 의혹을 받는 작전의 암호명이다.[39] 이 작전은 해외에 피신 중이거나 망명, 해외에 체류 중인 박정희, 전두환 정권에 반대하는 인물들에 대한 납치, 암살, 고문 등을 주 내용으로 한다.김형욱과 최덕신 등의 폭로로 오작교 작전이 알려지게 되었는데, 김형욱은 미국으로 망명했고 최덕신은 북한으로 월북했다.[39] 오작교 작전은 중앙정보부에서 수행하는 작전을 가리키는 암호로, 보안, 납치, 파괴, 말소 등의 임무를 뜻한다.
오작교 작전이 처음 알려진 것은 1977년이다. 당시 미국과 독일, 일본 등에 피신, 망명 중이던 한국인들이 박정희와 공화당 정권을 비난하는 활동을 계속하자, 이들을 제거하기 위해 중앙정보부 요원을 파견했다. 이 정보를 입수한 일부 반한(反韓) 한국인들이 폭로하면서 작전의 실체가 알려지게 되었다. 1977년 6월 김형욱이 미국 의회에 출석하여 증언했고,[39] 같은 해 11월에는 5.16 군사 정변 직후 외무부 장관을 역임했던 최덕신이 진술하여 알려지게 되었다.[39]
10. 2. 중앙정보연구위원회와의 연계성
5·16 군사 정변 이후 김종필 등의 특무부대가 기존의 시국정화운동본부를 장악하여 중앙정보부로 개편하였다. 제2공화국 때의 정보 기관인 중앙정보연구위원회 등과의 연계성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1961년 봄부터 장면 총리는 십여 차례나 쿠데타 기도 정보를 보고 받거나 입수했다.[40] 그래서 1961년 3월에 시국 정화 운동 본부라는 직속 정보 기관이 설치되었지만 별다른 역할은 못했다.[40] 정보위와 시국정화단은 1961년 5월 20일 통폐합되어 중앙정보부로 발족된다.김종필은 중앙정보부의 초대 부장이었으나 중앙정보연구위원회와의 연속성을 부인했다. 그러나 이후락 등 다른 관련자들의 입장은 확인되지 않았다. 김종필은 중앙정보부를 창설하면서 중앙정보연구위원회 조직을 인수하거나 참고하지 않았다고 반박했다. “(이후락이) 정보 경험이 있는 사람이라고 (장면 총리가) 옆에 놓고 있었지만 제대로 된 정보기능이 아니라 사적인 활동 수준이었다”는 것이다.[41]
10. 3. 중앙정보부장의 초법적 수사권 행사
5·16 군사 정변 직후 불법 '위험인물 예비검속계획'이 입안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김종필 중앙정보부장은 검찰총장, 치안국장, 육군방첩부대장 등에게 '수사에 관한 지휘감독권'을 초법적으로 행사한 것으로 보인다.[42]11. 기타
중앙정보부는 1966년 FIFA 월드컵에서 북한이 8강에 진출하자, 이에 자극받아 축구 발전을 위한 특별 조사반을 구성했다.[1] 당시 대한민국 사회는 북한이 8강에 진출한 것에 대해 충격을 받았으며, 중앙정보부는 직접 정보를 연구, 수집, 분석하고 수사까지 하였다.[1] 중앙정보부 차원에서 특별조사반을 구성하여 진상 조사를 벌였으나, 해답을 얻지 못하고 축구 관계자들을 소환하였다.[1]
현장에서 대회를 관전했던 김용식 축구협회 부회장과 오완건 이사는 중앙정보부로 불려가 진술했는데, 이때 국가 대표급 선수들을 모아 팀을 만들어야 북한을 따라잡을 수 있다고 건의하였다.[1] 이를 계기로 김형욱 중앙정보부장의 주도하에 축구 선수들을 육성하는 정책이 작성, 추진되었고, 중앙정보부에서도 별도로 1967년 1월 양지 축구단을 구성하여 축구선수들 훈련, 양성 정책을 추진했다.[1]
참조
[1]
저널
CIAの申し子--KCIA / 芳沢哲太郎
日本共産党中央委員会
1976-06-01
[2]
잡지
暴かれた統一教会の野望ー米下院フレーザー委員会最終報告
1978-12-15
[3]
서적
新版 社会科学辞典
新日本出版社
1978
[4]
웹사이트
기관 기본정보 - 중앙정보부
https://theme.archiv[...]
국가기록원
2023-08-08
[5]
뉴스
読売新聞
1978-03-23
[6]
뉴스
朝日新聞
1978-03-17
[7]
뉴스
金大中事件:KCIAの組織的な犯行 韓国政府の関与認める 調査委報告書
毎日新聞
2007-10-24
[8]
저널
국가재건최고회의 집권기의 사형제도에 대한 비판적 검토
http://kcriminology.[...]
한국형사정책학회
2014-08
[9]
문서
공산세력의 간접침략과 혁명과업수행의 장애를 제거하기 위하여 국가재건최고회의에 중앙정보부를 둔다.
[10]
문서
국가안전보장에 관련되는 국내외정보사항 및 범죄수사와 군을 포함한 정부각부정보수사활동을 조정감독하기 위하여 국가재건최고회의(이하 최고회의라 칭한다)직속하에 중앙정보부를 둔다.
[11]
문서
부장은 최고회의의장의 명을 받어 중앙정보부의 업무를 장리하고 소속직원과 제1조에 규정된 정보수사에 관하여 국가의 타기관소속직원을 지휘감독한다.
[12]
문서
부총리급
[13]
문서
기획운영차장
[14]
문서
행정차장
[15]
문서
행정관리차장
[16]
문서
제1차장
[17]
문서
제2차장
[18]
문서
제3차장
[19]
문서
보안차장보
[20]
문서
1차장보, 해외정보차장보
[21]
문서
2차장보, 보안차장보, 국내보안차장보
[22]
뉴스
次長·局長級을包含 情報部大幅異動斷行
동아일보
1963-02-23
[23]
뉴스
李秉斗씨 起用 中央情報部次長
경향신문
1963-12-12
[24]
문서
운영차장보
[25]
뉴스
朴대통령 偏愛 속「하나회」태동, 去勢위기 몰리자「12.12」앞당겨
경향신문
1991-01-26
[26]
뉴스
南山의 부장들 (32) "金炯旭, DJ지지했다"
동아일보
1991-03-22
[27]
문서
1차장보, 정보차장보, 해외담당차장보
[28]
문서
2차장보, 보안차장보, 국내보안차장보
[29]
문서
3차장보
[30]
뉴스
가정집에 불 5명숨져 前 中情기조실장집
동아일보
1989-05-06
[31]
문서
1989년 5월 5일 사망
[32]
문서
국내담당 차장보
[33]
뉴스
남산의 부장들 (88) 朴正熙 "東亞日報 목죄라"
동아일보
1992-04-18
[34]
문서
2006년 4월 3일 사망
[35]
뉴스
제1無任所 보좌관 金永洙씨 발령
경향신문
1978-04-13
[36]
문서
4차장보
[37]
문서
제2차장보, 국내정치담당차장보
[38]
서적
제5공화국 1
시아출판사
2010
[39]
웹사이트
똥 밟은 원세훈과 국정원
http://www.systemclu[...]
[40]
서적
정치 리더십과 한국 민주주의
나남출판
2003
[41]
뉴스
이후락 79호실·정보연구위 정보부 만들 때 참고 안 했다
http://www.joongang.[...]
중앙일보
[42]
웹인용
전국 국가폭력 고문피해 실태조사 2차 보고서
https://www.kdemo.or[...]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21-1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