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국립해양박물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국립해양박물관은 2012년 7월 개관한 해양 관련 박물관이다. 상설 전시관, 기획전시관, 해양도서관, 어린이 박물관, 수족관, 4D 영상관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 약 22,000여 점의 유물을 소장하고 있으며, 주요 유물로는 죽도제찰, 지구의, 바다의 신비, 충민공계초,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이 있다. 해양 인문학 강연을 책으로 엮어 《바다를 읽다》를 출판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해양박물관 - 국립등대박물관
    경상북도 포항시 호미곶면에 있는 국립등대박물관은 1985년 개관하여 등대 관련 유물 전시 및 교육을 통해 등대 문화 보존과 확산에 기여하며, 관람료는 무료이고 매주 월요일, 설날과 추석 당일은 휴관한다.
  • 대한민국의 해양박물관 - 부산해양자연사박물관
    부산해양자연사박물관은 해양자연사 자료를 확보, 전시, 조사, 교육, 연구하는 기관으로, 해양 생물과 화석을 전시하는 공간과 시각장애인 특별 전시관을 운영하며, 부산어촌민속관 관리 및 해양 관련 교육, 학술 연구 지원 사업을 수행한다.
  • 부산 영도구 소재의 관공서 - 국립해양조사원
    국립해양조사원은 대한민국 국토교통부 소속 기관으로, 해양 조사, 해양 관측 자료 분석, 해양 예보, 해도 간행, 항해 안전 업무, 해양 영토 획정 과학 조사, 해양 지명 업무 등을 수행하며 해양 정책 지원, 해양 레저 인프라 구축, 해군 작전 지원, 해양 과학 기술 개발에도 기여한다.
  • 부산 영도구 소재의 관공서 -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은 해양수산부 소속 책임운영기관으로, 수산물 검역 및 검사, 수출 시설 등록 관리, 품질인증 및 이력추적관리, 지리적 표시제 관리, 원산지표시 제도 운영, 지역별 수산물 품질 관리 및 검사, 국제 수산 기구 관련 업무 등을 수행하여 수산물의 품질과 안전성을 관리한다.
  • 2012년 설립된 박물관 - 시몬느 핸드백 박물관
    시몬느 핸드백 박물관은 시몬느 핸드백 설립자 박찬욱이 2012년 서울 강남구에 개관한 핸드백 전문 박물관으로, 1550년부터 현재까지의 핸드백 300여 점을 전시하며 시대별 디자인 트렌드와 여성의 사회적 지위 변화 등을 보여준다.
  • 2012년 설립된 박물관 - 한성백제박물관
    한성백제박물관은 서울의 백제시대 역사와 문화를 보존, 연구, 전시하기 위해 송파구 올림픽공원에 건립된 박물관으로, 한성백제 유적과 유물을 관리하며 서울의 선사 문화와 백제 역사를 소개하고 스마트폰 앱과 RFID 기술을 활용한 전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한다.
국립해양박물관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유형해양종합박물관
소장 유물22,000여 점
국가대한민국
소재지부산광역시 영도구 해양로301번길 45
개관일2012년 7월 9일
관장김태만
홈페이지국립해양박물관 홈페이지
영어 명칭
영어National Maritime Museum of Korea

2. 연혁

2012년 7월 국립해양박물관이 개관하였다.[2] 2014년 해양박물관을 특수법인으로 설립하기 위하여 해양박물관법이 제정되었고, 2015년에 시행되었다.[3] 해양인문학 프로그램인 "해양로에서 바다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 강연을 책으로 엮어 해양 인문학 총서인 《바다를 읽다》를 출판하였다.[4]

3. 시설

박물관 안내표지판


상설 전시관 8곳, 기획전시관, 해양도서 5만여 권과 멀티미디어실이 있는 해양도서관, 7살 이하 어린이들을 위한 어린이박물관, 야외의 원형광장, 지름 11m, 깊이 4.8m의 수족관, 입체 영상을 즐길 수 있는 4D 영상관, 박물관 주위의 아름다운 바다를 감상할 수 있는 전망대 등이 있다.

3. 1. 전시

국립해양박물관의 전시는 상설전시, 어린이박물관, 야외전시로 구성되어 있다.

3. 1. 1. 상설전시

2층에는 바다와 환경을 주제로 다양한 퍼포먼스 공연 관람과 체험활동이 가능한 어린이박물관이 있다. 해양에 관한 다양한 전시 관람이 가능하다.[1] 3층에서는 인류와 함께 공존해 온 바다의 역사와 문화를 다양한 유물을 통해 배우고 느낄 수 있다. 해양생태계를 직접 만져보는 기회를 통해 바다 생물들을 보다 생생하게 만나는 것이 가능하다.[1] 4층에는 바다의 경제력과 생산력에 초점을 둔 해양 산업관과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해양과학관이 있다.[1]

3. 1. 2. 어린이박물관

어린이박물관은 체험과 실물전시를 통해 바다와 환경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전시 연출을 구성하였다.[1] 2층에는 바다와 환경을 주제로 한 다양한 퍼포먼스 공연 관람과 체험활동이 가능한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해양에 관한 다양한 전시 관람이 가능하다.[1]

3. 1. 3. 야외전시

세계일주 요트, 국제신호기, 팔미도 등대 등이 있다.

4. 소장품

국립해양박물관은 약 22,000여 점의 유물을 수집, 수증, 복원/복제 등을 통해 관리하고 있으며 주요 유물은 다음과 같다.


  • 죽도제찰(竹島制札|죽도제찰일본어, 1837년, 일본): 일본이 자국민에게 조선의 울릉도, 독도 일대 항해를 금지한 경고판이다.
  • 지구의(1797년, 영국)와 천구의(1790년, 영국): 영국의 아담스 일가가 제작한 항해용 지구의·천구의 세트로 동해한국해(Mare Corea)로 표기하고 있다.
  • 바다의 신비(1646년, 이탈리아): 메르카토르 도법으로 편찬된 세계 최초의 해도첩으로 전 세계에 10점이 남아있으며, 아시아에서는 국립해양박물관이 유일하게 소유하고 있다.
  • 충민공계초(1662년, 조선): 이순신 장계를 등록한 임진왜란 관련 기록물이다.
  •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봉별시고, 통신사 수창시, 시고, 도화소조도 등 문화적 가치를 지닌 자료
  • 백자철화운룡문항아리: 용이 그려진 백자철화로서, 부산시 지정 문화재자료 제99호로 지정되었다.

5. 조직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작성이 불가능합니다.)

5. 1. 이사회

(제공된 원본 소스에 '이사회'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이 없어 작성이 불가능하므로, 이전 출력이 유지됩니다.)

5. 1. 1. 국립해양박물관장

제공된 원본 소스에 '국립해양박물관장'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이 없어 작성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자료가 없습니다.'는 올바른 출력입니다.

6. 저서 목록

제목발행일ISBN
바다를 읽다2016년 12월 23일978-89-98937-47-8
우리물고기2015년978-89-92762-10-6
동삼풍어제2013년9788992762076, 9788992762038(세트)


참조

[1] 웹인용 '해양유물 1만점'..국립해양박물관 9일 개관 https://web.archive.[...] 매일경제 2012-07-03
[2] 웹인용 연혁 및 현황 https://web.archive.[...] 2018-12-19
[3] 웹인용 국립해양박물관법 제정·개정이유 http://www.law.go.kr[...] 2018-12-18
[4] 웹사이트 http://www.kookje.co[...]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