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제 통화 기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제 통화 기호(¤)는 특정 통화를 나타낼 때 사용되는 기호로, 1972년 아스키의 국가별 변형판에서 달러 기호를 대체할 목적으로 처음 인코딩되었다. 윈도우, 리눅스 등 다양한 운영체제 및 환경에서 입력할 수 있으며, 유니코드에서는 U+00A4로 표현된다. 국제 거래 문서에서는 ISO 4217 통화 기호의 모호성 문제로 인해 이 기호를 사용하기도 한다. 마이크로소프트 워드에서는 표의 셀 끝 표식으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통화 기호 - 독일 마르크
    독일 마르크는 1871년부터 2002년까지 독일의 공식 통화였으며, 통일 독일의 경제력과 안정의 상징으로 미국 달러 다음으로 큰 국제 준비 통화였으나 유로화 도입으로 대체되었다.
  • 통화 기호 - 나이지리아 나이라
    나이지리아 나이라는 나이지리아의 통화로, 1973년 도입되어 나이지리아 파운드를 대체했으며, 나이지리아 중앙은행이 통화 정책을 관리하고, 2023년에는 통화 가치 급락을 겪었다.
국제 통화 기호
기호 정보
기호¤
이름통화 기호
통화지정되지 않음
설명윈도우에서는 Alt+0164를 입력하면 됨.

2. 역사

통화 기호(¤)는 1972년 아스키의 국가별 변형판과 국제판에서 달러 기호를 대체할 목적으로 처음 인코딩되었다.[7] ISO 8859 표준화 당시, 이탈리아는 라틴·아랍·히브리 문자열 내에서 달러 기호를 대체하려 했다.[8] 소련은 KOI8-R 문자열을 변형하여 아스키에서 쓰는 달러 기호 자리에 통화 기호를 배정했다.

애플맥 OS 8.5부터 해당 기호 코드 부호에 유로 기호(€)를 배정하면서 맥 OS 로만 폰트에서 통화 기호가 사라졌다. 윈도우 문자열에서는 유로 기호가 새 코드 부호에 배정되었고, 유니코드에서는 플랫폼에 상관없이 두 기호 모두 각각의 유니코드 부호를 받았다.

2. 1. 키보드 입력

한국어 자판 중 두벌식 자판의 경우, + 한자 키의 통화 특수기호 중 두 번째와 세 번째 열에서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9] 프랑스어, 덴마크어, 노르웨이어, 스웨덴어, 핀란드어, 에스토니아어 등의 키보드 자판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9][6]

다른 환경에서는 다음과 같이 입력할 수 있다.

  • Windows: Alt+0164
  • Windows US International 설정: AltGr+4 (오른쪽 Alt 키가 AltGr 키 역할을 함)
  • Linux: Compose+o+x
  • Linux 및 ChromeOS: Ctrl+Shift+u+A4+space
  • ChromeOS (US International): right alt+4
  • LaTeX: \textcurrency

3. 지시적 의미

통화 기호는 정확하지 않지만 특정 통화를 나타낼 때 사용된다. 예를 들어 '¤12.50'라고 쓰면 어떤 통화로 12.50만큼의 가격이라는 뜻이다. 여기서 해당 통화가 무엇인지는 문맥에서 파악해야 하며, 이때 통화 기호는 지시소의 역할을 한다.

국제 거래나 환율 시세와 같은 국제적 사안에 관한 문서에서는 ISO 4217에 배정된 통화 기호 세 개를 그대로 쓰는 것을 피한다. 한 국가의 통화 기호 코드가 다른 국가에서는 다르게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1000'이라고 적으면 다른 소프트웨어에서는 '¥1000'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비슷한 맥락에서 이 기호는 국가별 변형판에서 각국 통화 기호가 들어갈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원래 달러 기호 ($)가 있던 자리였고, '통화'나 '돈'을 의미하는 보편적 기호를 특정 국가의 것으로 대신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어느 국가의 통화도 지칭하지 않는 국제 통용 통화 기호로 '¤'를 사용하게 되었고, ISO 8859 초판에서 해당 기호를 처음 넣은 후 수년간 널리 사용되었다.

기호유니코드JIS X 0213문자 참조명칭
¤U+00A41-9-4¤불특정 통화 기호


4. 유니코드

유니코드에서는 U+00A4 (CURRENCY SIGN)로 표현된다.[7] 통화 기호는 1972년 아스키의 국가별 변형판과 국제판 변형판 내에서 달러 기호를 대체할 목적으로 처음 인코딩되었다. 특히 ISO 8859가 표준화될 당시, 이탈리아 측이 라틴·아랍·히브리 문자열 내에서 0xA4에 위치했던 달러 기호를 대체하려는 움직임 속에서 이 기호를 인코딩하자고 처음 제안하였다.[8]

기호유니코드JIS X 0213문자 참조명칭
¤U+00A41-9-4¤불특정 통화 기호



한국어 자판 중 두벌식 자판의 경우, + 한자 키의 통화 특수기호 중 두 번째 단 세 번째 열에서 선택해 입력할 수 있다.[9]

5. 기타 용도

이 기호는 마이크로소프트 워드에서 표의 인쇄되지 않는 "셀 끝" 표식으로 사용된다.[5]

참조

[1] 웹사이트 ISO 646 (Good old ASCII) http://czyborra.com/[...] 2016-04-13
[2] 웹사이트 Character histories - notes on some Ascii code positions http://jkorpela.fi/l[...]
[3] 간행물 Standard ECMA-113 - 8-Bit Single-Byte Coded Graphic Character Sets - Latin/Cyrillic Alphabet https://www.ecma-int[...] European Computer Manufacturers Association 1988-06-30
[4] 간행물 Standard ECMA-113 - 8-Bit Single-Byte Coded Graphic Character Sets - Latin/Cyrillic Alphabet https://www.ecma-int[...] European Computer Manufacturers Association 1986-06-26
[5] 웹사이트 Word's non-printing formatting marks: cell markers http://wordfaqs.ssba[...]
[6] 웹사이트 IBM Globalization – Keyboard layouts 2013-11-11
[7] 웹인용 ISO 646 (Good old ASCII) http://czyborra.com/[...] 2016-04-13
[8] 웹인용 Character histories – notes on some Ascii code positions http://www.cs.tut.fi[...] 2018-03-12
[9] 웹인용 IBM Globalization – Keyboard layouts http://www-01.ibm.co[...] 2013-1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