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모닝 투데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굿모닝 투데이는 KNN TV에서 방송되는 시사, 교양, 오락 프로그램이다. 부산·경남 지역 시청자를 위해 종합 정보를 제공하며, 방송 시간은 여러 차례 변경되어 현재는 평일 오전 7시 40분부터 8시 15분까지 방송된다. 2006년 5월 15일부터 2022년 9월 30일까지 프로그램 타이틀은 여러 번 변경되었으며, 현재는 굿모닝 투데이로 방송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KBS 부산 1TV, KBS 창원 1TV, KBS 진주 1TV의 생생투데이 사람과 세상, 부산MBC TV의 생방송 부라보, MBC 경남 TV의 생방송 경남아 사랑해와 경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KNN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산토끼와 따오기가 함께하는 창작동요제
산토끼와 따오기가 함께하는 창작동요제는 동요 작곡가 이일래 선생을 추모하고 국민 동요 "산토끼"의 발상지를 기념하며 어린이들에게 꿈과 희망을 심어주고 동요 음악 문화의 저변 확대를 목표로 2012년부터 매년 개최되는 동요 경연 대회이다. - KNN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현장추적 싸이렌
현장추적 싸이렌은 KNN에서 2003년부터 2014년까지 방영된 시사 프로그램으로, 절도, 살인, 사기, 성폭행 등 다양한 범죄 사건들을 심층적으로 보도했다. - 아침 정보 프로그램 - 아침마당
《아침마당》은 1991년부터 KBS 1TV에서 평일 오전에 방송되는 교양 프로그램으로, 이웃들의 다양한 이야기를 요일별 특화된 주제로 전달하며 감동, 재미, 가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아침 정보 프로그램 - FNN 모닝콜
FNN 모닝콜은 1986년부터 1990년까지 후지TV 계열에서 방송된 아침 뉴스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진행자와 방송 시간 변화를 거치며 부드러운 뉴스에서 진지한 보도 중심으로 변화했고, 종영 후 FNN 아사카케 다이이치호!와 굿모닝 재팬으로 재편되었다. - 대한민국의 뉴스 라디오 프로그램 - 이 시각 뉴스룸
《이 시각 뉴스룸》은 2018년 4월 16일부터 JTBC에서 방송되는 뉴스 프로그램으로, 평일과 주말에 방송되며, 현재는 주말 오전 11시 55분(토요일)과 오전 11시 45분(일요일)에 방송되고, 앵커는 JTBC 소속 기자 또는 아나운서가 격주로 진행한다. - 대한민국의 뉴스 라디오 프로그램 - 썰전 라이브
《썰전 라이브》는 JTBC에서 2021년 6월 7일부터 2022년 10월 7일까지 방송된 시사 프로그램으로, 방송 시간은 유동적이었다.
굿모닝 투데이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방송명 | 굿모닝 투데이 |
원제 | GOOD MORNING TODAY |
장르 | 교양 |
방송 채널 | KNN |
출연자 | 이화영 |
음성 | 한국어 |
방송 시간 | |
방송 기간 | 2006년 5월 15일 ~ 현재 |
방송 시간 | 매주 월요일 오전 7시 40분 ~ 오전 8시 5분 화요일 ~ 금요일 오전 7시 40분 ~ 오전 8시 15분 |
방송 분량 | 월요일 : 25분 화요일 ~ 금요일 : 35분 |
제작진 | |
기타 정보 | |
외부 링크 | 굿모닝 투데이 공식 홈페이지 |
2. 프로그램 소개
부산 경남 지역 시청자들을 위한 시사, 교양, 오락 등 종합 정보를 신속하고 명쾌하게 제공하며, 아침 시간대 지역의 시선으로 지역의 의미를 담은 각종 프로그램을 지역민을 위해 방송한다.
《굿모닝 투데이》는 KNN에서 방송되는 아침 정보 프로그램이다. 2006년 5월 15일, PSB 부산방송이 KNN으로 사명을 변경하면서 평일 저녁 뉴스 정보 프로그램 《'''KNN 정보센터'''》로 신설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 프로그램명과 방송 시간, 편성이 변경되었다.
3. 방송 시간
2007년 11월 19일 《'''KNN 생방송 투데이'''》로 변경되어 저녁 정보 프로그램으로 전환되었고, 2009년 1월 9일부터는 《'''생방송 금요일 N'''》으로 변경되어 금요일에만 방송되었다. 2010년 8월 5일부터는 《'''생방송 N'''》으로 변경되어 목요일까지 방송이 확대되었다.
2012년 11월 12일, 센텀시티 사옥 이전과 함께 현재의 《'''KNN 생방송 투데이'''》로 환원되어 평일 방송으로 확대되었고, 2017년 2월 6일부터는 《KNN 경남투데이》, 《KNN 맛있는 오늘》과 통합되어 《'''생방송 여기는 정보센터'''》로 변경되었다. 2017년 10월 23일, 《KNN 뉴스와 건강》과 분리되었고, 2018년 1월 2일부터 다시 《'''KNN 생방송 투데이'''》로 환원되었다.
2022년 6월 13일, 금요일 방송이 《'''네트워크 투데이'''》로 개편되었고, 2022년 10월 4일부터 현재의 《'''굿모닝 투데이'''》로 변경되어 평일 아침 8시 5분으로 편성이 변경되었다. 2023년 7월 17일부터는 평일 아침 7시 40분으로 변경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 변천사는 다음과 같다.[1]방송 채널 방송 기간 방송 시간 KNN TV 2009년 1월 9일 ~ 2010년 7월 30일 매주 금요일 오후 5시 35분 ~ 오후 7시 20분 (1시간 45분) 2010년 8월 5일 ~ 2012년 11월 9일 매주 목요일 ~ 금요일 오후 5시 35분 ~ 오후 7시 20분 (1시간 45분)
3. 1. 평일
방송 채널 | 방송 기간 | 방송 시간 |
---|---|---|
KNN TV | 2006년 5월 15일 ~ 2007년 5월 18일 2020년 3월 30일 ~ 2020년 4월 17일 2020년 9월 21일 ~ 2021년 8월 13일 | 매주 평일 오후 6시 ~ 오후 6시 50분 (50분) |
2007년 5월 21일 ~ 2009년 1월 2일 | 매주 평일 오후 5시 35분 ~ 오후 6시 15분 (40분) | |
2012년 11월 12일 ~ 2013년 4월 5일 2017년 2월 6일 ~ 2017년 6월 2일 | 매주 평일 오후 6시 5분 ~ 오후 7시 20분 (1시간 15분) | |
2013년 4월 8일 ~ 2017년 2월 3일 | 매주 평일 오후 6시 25분 ~ 오후 7시 20분 (55분) | |
2017년 6월 5일 ~ 2017년 9월 15일 | 매주 평일 오후 6시 45분 ~ 오후 8시 (1시간 15분) | |
2017년 9월 18일 ~ 2017년 10월 20일 | 매주 평일 오후 7시 ~ 오후 8시 (1시간) | |
2017년 10월 30일[1] ~ 2018년 5월 4일 | 매주 평일 오후 7시 15분 ~ 오후 8시 (45분) | |
2018년 5월 7일 ~ 2018년 12월 31일 | 매주 평일 오후 6시 15분 ~ 오후 7시 (45분) | |
2019년 1월 2일 ~ 2019년 4월 12일 2019년 5월 13일 ~ 2020년 3월 27일 2020년 4월 20일 ~ 2020년 9월 18일 | 매주 평일 오후 6시 10분 ~ 오후 7시 (50분) | |
2019년 4월 15일 ~ 2019년 5월 10일 | 매주 평일 오후 6시 5분 ~ 오후 6시 55분 (50분) | |
2021년 8월 17일 ~ 2022년 9월 29일 | 매주 평일 오후 5시 50분 ~ 오후 6시 40분 (50분) | |
2022년 10월 4일 ~ 2023년 7월 14일 | 매주 월요일 오전 8시 5분 ~ 오전 8시 30분 (25분) 화요일 ~ 금요일 오전 8시 5분 ~ 오전 8시 40분 (35분) | |
2023년 7월 17일 ~ 현재 | 매주 월요일 오전 7시 40분 ~ 오전 8시 5분 (25분) 화요일 ~ 금요일 오전 7시 40분 ~ 오전 8시 15분 (35분) |
3. 2. 주말
2009년 1월 9일부터 2010년 7월 30일까지 매주 금요일 오후 5시 35분 ~ 오후 7시 20분(1시간 45분)에 방송되었다.[1] 2010년 8월 5일부터 2012년 11월 9일까지는 매주 목요일 ~ 금요일 오후 5시 35분 ~ 오후 7시 20분(1시간 45분)에 방송되었다.4. 역대 진행자
역대 진행자는 다음과 같다.[2][3][4][5][6][7][8][9][10][11][12][13][14][15]
대수 | 남성 | 여성 | 진행 기간 |
---|---|---|---|
1대 | 황범 | 황소운 | 2006년 5월 15일 ~ 2007년 5월 18일 |
2대 ~ 7대 | 문근해 | 김지혜, 권은경, 박소영, 김수산, 강지연, 조은화 | 2007년 5월 21일 ~ 2015년 10월 29일 |
8대 ~ 10대 | 이현동, 홍순빈, 김제현 | 박민설 | 2015년 11월 2일 ~ 2019년 5월 3일 |
11대 | 김제현 | 김유영 | 2019년 5월 7일 ~ 2019년 11월 29일 |
12대 ~ 13대 | 박철규, 고강용 | 박민설 | 2020년 4월 20일 ~ 2021년 10월 1일 |
14대 ~ 16대 | 황범 | 박수진, 김유영, 이향 | 2021년 10월 5일 ~ 2022년 9월 29일 |
17대 | 이향 | 2022년 10월 4일 ~ 2022년 12월 30일 | |
18대 | 이화영 | 2023년 1월 2일 ~ 현재 |
4. 1. 현재 진행자
대수 | 남성 | 여성 | 진행 기간 |
---|---|---|---|
19대 | 이화영 | 2023년 1월 2일 ~ 현재 |
4. 2. 이전 진행자
대수 | 남성 진행자 | 여성 진행자 | 진행 기간 |
---|---|---|---|
1대 | 황범 | 황소운 | 2006년 5월 15일 ~ 2007년 5월 18일 |
2대 | 문근해 | 김지혜 | 2007년 5월 21일 ~ 2007년 11월 16일 |
3대 | 문근해 | 권은경 | 2007년 11월 19일 ~ 2009년 1월 2일 |
4대 | 문근해 | 박소영 | 2009년 1월 9일 ~ 2012년 11월 9일 |
5대 | 문근해 | 김수산 | 2012년 11월 12일 ~ 2013년 3월 28일 |
6대 | 문근해 | 강지연 | 2013년 4월 1일 ~ 2014년 7월 11일 |
7대 | 문근해 | 조은화 | 2014년 7월 14일 ~ 2015년 10월 29일 |
8대 | 이현동 | 박민설 | 2015년 11월 2일 ~ 2016년 3월 25일 |
9대 | 홍순빈 | 박민설 | 2016년 3월 28일 ~ 2017년 12월 29일 |
10대 | 김제현 | 박민설 | 2018년 1월 2일 ~ 2019년 5월 3일 |
11대 | 김제현 | 김유영 | 2019년 5월 7일 ~ 2019년 11월 29일 |
12대 | 박철규 | 박민설 | 2020년 4월 20일 ~ 2021년 3월 26일 |
13대 | 고강용 | 박민설 | 2021년 3월 29일 ~ 2021년 10월 1일 |
14대 | 황범 | 박수진 | 2021년 10월 5일 ~ 2022년 2월 10일 |
15대 | 황범 | 김유영 | 2022년 2월 21일 ~ 2022년 3월 11일 |
16대 | 황범 | 이향 | 2022년 3월 14일 ~ 2022년 9월 29일 |
17대 | 이향 | 2022년 10월 4일 ~ 2022년 12월 30일 |
5. 타이틀 변천사
금요일 : 네트워크 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