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산문화방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산문화방송은 1959년 대한민국 최초의 민영 방송으로 라디오 방송을 시작했으며, 이후 1970년 텔레비전 방송과 FM 방송을 개시했다. 1965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되었으며, 부산 지역을 중심으로 방송 송출을 하고 있다. 1980년대 언론 통폐합으로 문화방송에 계열화되었고, 지상파 DMB 방송을 운영하며, 디지털 TV 방송을 개국했다. 2023년 AM 라디오 송출을 종료하고, 수영구 민락동 사옥에서 동구 범일동 임시 사옥으로 이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광역시의 대중 매체 - KBS부산방송총국
    KBS부산방송총국은 1935년 개국하여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지역을 권역으로 하는 한국방송공사(KBS)의 지역 방송국이며, 1TV, 2TV, 라디오 채널 등을 운영하고 있다.
  • 부산광역시의 대중 매체 - TCN (방송국)
    TCN 대구방송은 다양한 뉴스, 교육, 교양 프로그램을 제작 및 방송하며, 주요 뉴스 프로그램과 지역 사회 현안을 다루는 기획 특집, 지역 명소 및 문화 예술 소개, 캠핑, 신입사원 성장기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방송하는 지역 방송국이다.
  • 부산광역시 - KNN
    KNN은 1995년에 개국하여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된, 부산과 경상남도를 방송 권역으로 하는 지상파 민영방송이며, TV 방송과 KNN 파워FM, KNN 러브FM 라디오 채널을 운영하며, 코스닥 시장에 상장되었고, KNN타워를 신사옥으로 사용하며 지역밀착형 뉴스와 프로그램을 방송한다.
  • 부산광역시 - 마린시티
    마린시티는 부산 해운대구 수영만 매립지에 조성된 고급 주거 단지이며, 초고층 주상복합 아파트와 호텔 등이 건설되었고, 대중문화 콘텐츠의 배경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 대한민국의 경상남도 지상파 방송국 - KNN
    KNN은 1995년에 개국하여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된, 부산과 경상남도를 방송 권역으로 하는 지상파 민영방송이며, TV 방송과 KNN 파워FM, KNN 러브FM 라디오 채널을 운영하며, 코스닥 시장에 상장되었고, KNN타워를 신사옥으로 사용하며 지역밀착형 뉴스와 프로그램을 방송한다.
  • 대한민국의 경상남도 지상파 방송국 - 울산문화방송
    울산문화방송은 1968년 울산민간방송으로 개국하여 라디오 방송을 시작한 대한민국의 지역 방송사로, 현재 TV, 라디오, 지상파DMB 방송을 통해 울산 지역을 중심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부산문화방송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회사명부산문화방송주식회사
영어 회사명Busa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로고
약칭Busan MBC
국적대한민국
우편 번호48276
본사 위치부산광역시 수영구 감포로8번길 69 (민락동 316-2)
업종방송업
대표자대표이사 사장 김수병
결산기12월 31일
외부 링크부산문화방송
방송국 정보
한국어 명칭부산문화방송
한자 명칭釜山文化放送
영어 명칭Busan Munhwa Broadcasting Corporation
약칭부산MBC
구분민영 방송
방송 영역지상파 방송
개국일 (AM)1959년 4월 15일
개국일 (TV)1970년 1월 24일
개국일 (FM)1970년 4월 15일
이전 명칭문화방송(1959년 ~ 1965년)
부산문화방송(통합 이전)(1965년 ~ 1985년)
부산문화텔레비전방송(1970년 ~ 1985년)
자본금2,000,000,000원 (2015.12)
매출액40,447,096,090원 (2015)
영업 이익1,413,890,962원 (2015)
순이익2,180,358,648원 (2015)
자산 총액95,775,440,250원 (2015.12)
주요 주주주식회사 문화방송 72.27%
한국주철관공업주식회사 18.49%
기타 9.24%
직원 수127명 (2015.12)
본사 위치부산광역시 동구 자성로133번길 15 (범일동)
사장홍두표 (대표이사 사장)
모기업문화방송
웹사이트부산문화방송
텔레비전 채널 정보
채널명부산MBC
개국일1970년 1월 24일
DTV 채널ch.11-1 (가상 채널)
아날로그 채널각 지역 케이블 SO에 문의바람.
디지털 채널11(Genie/SK/LG U+)
위성 채널11(skylife)
지도 정보

2. 연혁


  • 1959년 4월 15일, 한국 최초의 민영 방송으로 라디오 방송을 개시하였다.[1]
  • 1959년 11월, 한국 최초로 진로 CM송을 방송했다.
  • 1965년 3월 5일, 현재 사명인 부산문화방송(釜山文化放送)으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 1969년, 라디오 출력을 20kW로 증강하였다.
  • 1970년 1월 24일, 텔레비전 방송(11ch)을 개시하였다.
  • 1970년 4월 15일, FM 방송(88.9MHz)을 개시하였다.
  • 1978년 11월 23일, AM 라디오 주파수를 1160kHz에서 1161kHz로 변경하였다.
  • 1997년, 신사옥을 준공하였다.
  • 2007년 8월 31일, 지상파 DMB 방송을 개시하였다.
  • 1990년대 한때, 한국 최초이자 유일하게 텔레비전 방송의 평일 오후 정파[2] 시간을 이용하여 자사의 AM 라디오 방송을 시뮬캐스트한 적이 있었다.

2. 1. 1950년대

1958년 7월 14일 시설착수 상업방송국 설립 허가를 받았다.(체허 9121호)[4]

1958년 8월 25일 주식회사 '''문화방송국''' 법인 등기를 하였다. 文化放送|분카방송일본어이라는 사명은 일본 분카방송(한자어로 문화방송)의 사명을 참고한 듯하지만, 1950년대 당시 지리적 특성으로 부산 지역에서는 일본 상업방송 전파가 잡혀 이를 청취한 시민들을 중심으로 왜색 문화가 심해지자 민족문화 수호와 지역문화 활성화에 기여할 우리나라 민간상업방송을 만들자는 취지로 지어진 사명이라고 한다.[4]

부산 문화방송국 전경


1959년 4월 15일 부산에서 백화당예식장을 운영하던 개인사업가 김상용과 방송기술자 출신의 정환옥이 주축이 되어 설립했으나, 이후 언론인 김지태에게 소유권을 넘겼다. 대한민국 최초의 민간 상업방송으로, 부산문화방송은 개국 당시 '''문화방송'''으로 불린 문화방송의 모태이다. 현재의 문화방송은 現 부산문화방송보다 2년 반 늦게 개국(1961.12.2 설립자 김지태)했으며, 개국 당시 이름은 '''한국문화방송'''이었다. '''(現 부산문화방송)''' 개국 (호출부호 HLKU, 주파수 중파 1161kHz, 출력 1㎾).[1]

1959년 9월 23일 초대 사장 김상용 퇴임, 제2대 사장 안상수 취임.

1959년 11월에 한국 최초로 진로의 CM송을 방송했다.

2. 2. 1960년대


  • 1962년 6월 30일 - 정수장학회(당시 5.16 장학회)에 강제 헌납되었다.[3]
  • 1963년 1월 16일 - 주파수를 1160kHz로 변경하였다.[3]
  • 1963년 9월 2일 - 출력을 10㎾로 증강하였다.[3]
  • 1964년 4월 14일 - 송신소를 광안리로 이전 확장하였다.[3]
  • 1965년 3월 5일 - 회사명을 '''주식회사 부산문화방송국'''에서 '''부산문화방송주식회사'''로 변경하였다.[3]
  • 1968년 7월 11일 - 고갈산 중계소를 설치하였다.[3]
  • 1969년 1월 1일 - 출력을 1㎾에서 20㎾로 증강하였다.[3]
  • 1969년 4월 25일 - 텔레비전 방송국 허가를 받았다(호출부호 HLAD, 채널12, 영상출력 2㎾, 음향출력 500W).[3]

2. 3. 1970년대


  • 1970년 1월 24일 - 한국문화방송 부산 텔레비전국으로 개국하여 1일 6시간 정규방송을 시작하였다. 부산MBC 텔레비전 방송(호출부호 HLAD, 채널12, 영상출력 2kW, 음향출력 500W)이 개국되었다.[3]
  • 1970년 4월 15일 - 부산MBC 음악FM(호출부호 HLKU-FM, 88.9MHz, 출력 1kW)이 개국되었다.[3]
  • 1971년 4월 26일 - 본국을 키 스테이션(Key Station)으로 하여 대구, 대전, 전주, 광주 네트워크에 마이크로웨이브(M/W) 중계 방송을 시작하였다.
  • 1971년 6월 21일 - 제2대 사장 안상수가 퇴임하고, 제3대 사장 김종신이 취임하였다.
  • 1971년 7월 5일 - 전 네트워크국으로 마이크로웨이브(M/W)가 개통되어, 본사와 동시방송을 시작하였다.
  • 1971년 10월 1일 - 럭키그룹에서 인수하여 주식회사 부산문화방송으로 개편되었다.
  • 1972년 3월 1일 - FM방송을 스테레오로 전환하였다.
  • 1972년 10월 30일 - TV 채널 12번을 TV 채널 11번으로 변경하고, 영상출력을 5kW, 음향출력을 1kW로 변경하였다.
  • 1974년 2월 19일 - 사장 정보민이 취임하였다.
  • 1974년 7월 1일 - 사옥 신축 기공식을 가졌다.
  • 1975년 10월 16일 - 신축 사옥을 준공하고 이전하였다.
  • 1976년 9월 1일 - 신사옥 기공(부산광역시 중구 대교동2가 69)
  • 1976년 10월 21일 - 제3대 사장 김종신이 퇴임하고, 제4대 사장 조증출이 취임하였다.
  • 1978년 11월 23일 - AM 주파수를 1161kHz로 변경하였다.[3]
  • 1978년 12월 28일 - 문화관광 주식회사를 설립하였다.
  • 1979년 5월 1일 - 중계소를 FM송신소로 개칭하고, 부설 가야 문화 연구소를 발족하였다.
  • 1979년 8월 - 어린이 문예 창간호를 발행하였다.
  • 1979년 9월 1일 - 신사옥 중앙동6가 국제회관을 준공하였다.
  • 1979년 9월 5일 - 사옥을 이전하였다.(부산일보 4층 → 국제회관 11층)

2. 4. 1980년대

1980년 2월 15일 연주소 컬러 텔레비전 기기 시설을 완료하였다. 같은 해 12월 1일 강제적인 언론 통폐합으로 부산문화방송 주식 51%가 문화방송으로 넘겨져 계열화되었으며, 12월 22일 컬러 TV 방송을 개국하였다.[6] 1981년 2월 17일에는 제5대 사장으로 하종배가 취임하였다.

1982년 7월 1일 FM방송 출력을 1㎾에서 5㎾로 증강하였고, 1983년 8월 1일 TV출력을 영상 10㎾, 음성 2㎾로 증강하였다. 1984년 11월 2일 일본 KBC 규슈 아사히 방송과 자매결연을 맺었다.

1985년 9월 1일 '''주식회사 부산문화방송'''과 '''주식회사 부산문화TV방송'''이 합병되었고, 정수장학회 소유 부산문화방송 전 주식(약 21.27%)이 문화방송으로 양도되었다.[6] 1986년 2월 25일 양산 TV중계소를 개소하였으며, 1988년 2월 1일 부산MBC 표준FM(95.9MHz) 방송이 개국되었다(개국당시 호출부호 HLKU-SFM, 주파수 초단파 95.9MHz, 출력 3㎾/황령산).

2. 5. 1990년대 이후 ~ 현재


1997년 4월 15일에 준공한 부산문화방송 舊 수영구 민락동 사옥

3. 방송 프로그램

부산문화방송은 지역 시청자들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작, 방영하고 있다.

TV 프로그램으로는 MBC 뉴스투데이 부산, 930 MBC 뉴스 부산, MBC 5시 뉴스와 경제 부산, MBC 뉴스데스크 부산, 생방송 부라보, 시사포커스, 테마기행 길, TV 닥터 인사이드 플러스 등이 있다.

라디오 프로그램으로는 부산MBC 9시 뉴스, 부산MBC 정오종합뉴스, 부산MBC 15시 뉴스, 부산MBC 17시 뉴스, 부산MBC 21시 뉴스, 자갈치 아지매, 우리 산책할래요?, 라디오 시민세상, 오후만세, 생방송 오늘 저녁, 부산입니다, 안희성의 가정음악실, 찐디의 정오의 희망곡 등이 있다.

3. 1. TV 프로그램

1970년 1월 24일, 부산문화방송은 부산, 울산, 마산 지역 최초의 민영TV방송사인 부산문화텔레비전방송(주)으로 TV방송을 개국하였다. 당시 호출부호는 HLAD, 채널 12번, 영상출력 2㎾, 음성출력 500W였다.[7] 1972년 10월 30일에는 TV 채널을 11번으로 변경하고 영상출력을 5㎾, 음향출력을 1㎾로 변경하였다. 1980년 12월 22일에는 컬러TV방송을 시작하였고, 2004년 7월 30일에는 디지털 TV방송을 개국하였다. 현재 부산광역시 일원과 경상남도 동부 일부지역을 가시청권역으로 방송하고 있다.

3. 1. 1. 방영 프로그램

3. 1. 2. 종영 프로그램

3. 2. 라디오 프로그램

부산문화방송은 FM라디오 2채널을 운영하고 있으며, 부산과 그 인근 지역을 가청권역으로 한다. 1959년 4월 14일에 개국한 한국 최초의 민간 상업 라디오 방송이다.[1] FM 송신소는 황령산에 있다.

1959년 11월에는 한국 최초로 진로의 CM송을 방송했다. 1990년대에는 한국 최초이자 유일하게 텔레비전 방송의 평일 오후 정파[2] 시간을 이용하여 자사의 AM 라디오 방송을 시뮬캐스트하기도 했다. AM 송신소는 부산진구 초읍동 화지산에 있었으나, 문화방송이 AM방송의 전면 표준FM 전환에 들어가면서 2022년 9월 8일에 AM방송을 휴지하고 폐국했다.

3. 2. 1. 방영 프로그램

3. 2. 2. 종영 프로그램

4. 방송 송출 시설망

부산문화방송은 FM 라디오 2채널(부산MBC 라디오, 부산MBC FM4U)을 운영하고 있으며, 송신소와 중계소 정보는 다음과 같다.

부산MBC 라디오
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부호송신소 위치방송구역
황령산 송신소FM 95.9MHz[9]3kWHLKU-SFM부산 부산진구 전포1동 산50-1부산광역시 일원, 울산광역시 일부,
창원시 일부, 밀양시 일부, 김해시 일부, 양산시 일부
양산타워 중계소FM 97.7MHz20W경남 양산시 동면 석산리 656-2양산시 일원
녹산 중계소FM 106.5MHz20W부산 강서구 녹산동 산2-27 봉화산부산광역시 강서구 일원
기장군청 중계소30W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신천리 1부산광역시 기장군 일원
정관 중계소20W부산 기장군 정관읍 달산리 산32-2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일원
부산MBC FM4U
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부호송신소 위치방송구역
황령산 송신소FM 88.9MHz5kWHLKU-FM부산 부산진구 전포1동 산50-1부산광역시 일원, 울산광역시 일부,
창원시 일부, 밀양시 일부, 김해시 일부, 양산시 일부


  • 표준FM 호출부호: HLKU-SFM
  • FM4U 호출부호: HLKU-FM

4. 1. TV 방송

1970년 1월 24일 - 텔레비전 방송(11ch) 개시.[3]

  • 리모컨 키 ID: 11-1
  • 호출 부호: HLKU-DTV


송신소물리 채널공중선 전력
아령산K-17ch2.5kW
정관K-22ch50W
기장K-35ch90W
대변항K-35ch0.05W
장산K-32ch20W
만덕K-28ch90W
동삼K-17ch0.05W
천마산K-49ch90W
녹산K-46ch90W
양산 타워K-27ch90W


  • 호출 부호: HLKU-TV


송신소채널공중선 전력
영도K-11ch10kW
황령산K-43ch500W
녹산K-30ch500W
양산K-20ch100W
만덕K-21ch100W
천마산K-41ch100W
괴정K-32ch10W
반송K-35ch10W
장산K-37ch100W
기장K-47ch100W


4. 2. 라디오 방송

부산문화방송은 FM 라디오 2채널(부산MBC 라디오, 부산MBC FM4U)을 운영하고 있으며, 부산과 그 인근 지역을 가청 권역으로 한다. FM 송신소는 황령산에 있다. AM 송신소는 부산진구 초읍동 화지산에 있었으나, 문화방송이 AM 방송의 전면 표준FM 전환에 들어가면서 2022년 9월 8일 AM 방송을 휴지하고 폐국하였다.

각 채널별 송출 정보는 다음과 같다.

채널명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 부호송신소 위치
부산MBC 라디오황령산 송신소FM 95.9MHz[9]3kWHLKU-SFM부산 부산진구 전포1동 산50-1
양산타워 중계소FM 97.7MHz20W경남 양산시 동면 석산리 656-2
녹산 중계소FM 106.5MHz20W부산 강서구 녹산동 산2-27 봉화산
기장군청 중계소30W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신천리 1
정관 중계소20W부산 기장군 정관읍 달산리 산32-2
부산MBC FM4U황령산 송신소FM 88.9MHz5kWHLKU-FM부산 부산진구 전포1동 산50-1


4. 2. 1. 부산MBC 라디오

부산MBC 라디오
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부호송신소 위치방송구역
황령산 송신소FM 95.9MHz[9]3kWHLKU-SFM부산 부산진구 전포1동 산50-1부산광역시 일원, 울산광역시 일부,
창원시 일부, 밀양시 일부, 김해시 일부, 양산시 일부
양산타워 중계소FM 97.7MHz20W경남 양산시 동면 석산리 656-2양산시 일원
녹산 중계소FM 106.5MHz20W부산 강서구 녹산동 산2-27 봉화산부산광역시 강서구 일원
기장군청 중계소30W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신천리 1부산광역시 기장군 일원
정관 중계소20W부산 기장군 정관읍 달산리 산32-2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일원
부산MBC FM4U
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부호송신소 위치방송구역
황령산 송신소FM 88.9MHz5kWHLKU-FM부산 부산진구 전포1동 산50-1부산광역시 일원, 울산광역시 일부,
창원시 일부, 밀양시 일부, 김해시 일부, 양산시 일부


  • 표준FM: FM 95.9MHz 부산MBC 라디오입니다. HLKU-SFM
  • FM4U: FM 88.9MHz 부산MBC FM4U입니다. HLKU-FM
  • 한국 최초의 민간 상업 '''라디오''' 방송으로 라디오 방송을 개시했다.[1]
  • 1959년 11월에 한국 최초로 진로의 CM송을 방송했다.
  • 1990년대의 한때, 한국 최초이자 유일하게 텔레비전 방송의 평일 오후 정파[2] 시간을 이용하여 자사의 AM 라디오 방송을 시뮬캐스트한 적이 있었다.

4. 2. 2. 부산MBC FM4U

창원시 일부, 밀양시 일부, 김해시 일부, 양산시 일부


4. 3. 지상파DMB방송

울산문화방송, MBC경남과 공동으로 부산, 울산, 경남 등 전 지역을 방송권역으로 하는 지상파DMB 사업자로서 운영·방송중이다.

'''부산MBC'''

송신소물리 채널(주파수)공중선 전력
황령산K-12Ach ()2kW
양산타워90W
기장90W
정관90W
무룡산2kW
불모산2kW
밀양90W
거제90W
함안90W
장군대산K-9Ach ()2kW
삼천포90W
감악산2kW


5. 임직원

부산문화방송 임직원
보도국영상국


5. 1. 아나운서

부산문화방송 아나운서
현직전직
|


5. 1. 1. 현직

현직 아나운서
입사 연도이름
1988년육선주
1988년유정미
1993년안희성
1993년박기홍
1995년안동진
2003년김동현
2008년이지희
2016년정경진
2017년서정모
2023년강민경


5. 1. 2. 전직

5. 2. 기자

부산문화방송 기자 명단
보도국영상국


5. 3. 기상캐스터

부산문화방송의 기상캐스터로는 정유나가 있다.

5. 3. 1. 현직

정유나

5. 3. 2. 전직

5. 4. 리포터

이름
이수민
전철
손동혁
김난희
박유림
이진영
김진수
임보라
권현정
김세례
이승주
권유리
이윤정


5. 5. 교통 캐스터

이름
이상희
봉소연
윤수영
이형주
김진수
천서현
조하연
이도은
이윤정


6. 해외 제휴 방송국

일본중국의 방송국과 제휴를 맺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대한방송(HLKZ-TV)
[2] 웹사이트 한국 방송의 停波 시간
[3] 웹사이트 문화방송(MBC) 설립
[4] 웹인용 부산문화방송 50년사 : 1959-2009 : 본문편 https://dl.nanet.go.[...] 2023-11-02
[5] 웹인용 부산문화방송 50년사 : 1959-2009 : 본문편 https://dl.nanet.go.[...] 2023-11-02
[6] 웹사이트 정수장학회의 어제와 오늘 http://media.nodong.[...]
[7] 웹인용 부산문화방송 주식회사 https://busanmbc.co.[...] 2023-01-24
[8] 간행물 부산MBC 경영보고서(2012)
[9] 웹사이트 수도권 주파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