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KNN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NN은 1994년 설립된 부산·경남 지역 민영 방송사로, 1995년 TV 방송을 시작했다. 2006년 사명을 KNN으로 변경하고, 2010년 코스닥 시장에 상장했다. TV, 라디오, DMB 방송을 운영하며, 부산 해운대구 센텀시티에 사옥을 두고 있다. KNN은 SBS와 제휴 관계를 맺고 있으며, 자체 제작 프로그램과 공동 편성 프로그램을 방송한다. 일본 TV 니시닛폰 등과 국제 협력을 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6년 설립된 라디오 방송국 - KNN 러브FM
    KNN 러브FM은 2016년 개국한 KNN의 라디오 채널로, 부산·경남 지역을 중심으로 방송하며, 김아라의 생생 라디오 등을 주요 프로그램으로 편성한다.
  • 2016년 설립된 라디오 방송국 - KNN 파워FM
    KNN 파워FM은 부산, 경상남도 지역을 가청권역으로 하는 KNN의 라디오 채널로, 1997년 개국하여 대중음악 채널로 운영되며 여러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다.
  • KNN - KNN 러브FM
    KNN 러브FM은 2016년 개국한 KNN의 라디오 채널로, 부산·경남 지역을 중심으로 방송하며, 김아라의 생생 라디오 등을 주요 프로그램으로 편성한다.
  • KNN - KNN 파워FM
    KNN 파워FM은 부산, 경상남도 지역을 가청권역으로 하는 KNN의 라디오 채널로, 1997년 개국하여 대중음악 채널로 운영되며 여러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다.
  • 1997년 설립된 라디오 방송국 - KNN 파워FM
    KNN 파워FM은 부산, 경상남도 지역을 가청권역으로 하는 KNN의 라디오 채널로, 1997년 개국하여 대중음악 채널로 운영되며 여러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다.
  • 1997년 설립된 라디오 방송국 - 경기방송
    경기방송은 경기도 중심의 지상파 라디오 방송국으로 재난방송사 지정, 사업 확장 시도 등이 있었으나, 노사 분쟁 및 경영 악화로 자진 폐업하여 한국 방송 역사상 최초의 사례가 되었으며, 주파수는 OBS 라디오로 이관되었다.
KNN - [회사]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회사명주식회사 KNN
영문 회사명Korea New Network Co., Ltd.
KNN 로고
KNN CI (2006년 5월 14일 ~ 현재)
센텀 시티, 부산
2012년 11월 12일에 준공한 신사옥 現 해운대구 우2동 센텀시티 사옥 KNN 타워
한국어 명칭코리아 뉴 네트워크
한자 명칭부산방송(釜山放送) (과거)
로마자 표기Koria Nyu Neteuwokeu
다른 로마자 표기Busan Bangsong (과거)
약칭KNN
종류주식회사
방송 종류지상파 방송
국가대한민국
방송 권역부산 및 경상남도 지역
설립일1994년 9월 7일
데모 방송 시작일1994년 4월
테스트 방송 시작일1994년 9월 7일
공식 TV 방송 시작일1995년 5월 14일
라디오 방송 시작일1997년 9월 9일
디지털 TV 방송 시작일2003년 12월 31일
이전 명칭PSB 부산방송 (1994년 ~ 2006년)
주소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센텀서로 30 (우2동) KNN타워
슬로건From Here to the World
부산경남 대표방송 KNN
웹사이트KNN 공식 홈페이지
소유 및 경영
주요 주주넥센타이어 (39.32%)
태영 (6.30%)
성우하이텍 (5.55%)
모기업넥센
대표이사이만수 (대표이사 사장)
CEO이오상
주요 인물이오상 (CEO)
재무 정보
자본금66,124,860,000원 (2015년 12월 기준)
매출액62,748,443,507원 (2015년)
영업 이익8,254,363,051원 (2015년)
순이익6,887,061,457원 (2015년)
자산 총액189,932,201,610원 (2015년 12월 기준)
수익75억+
방송 기술
영상 포맷1080i (HDTV)
계열 및 협력
네트워크 제휴SBS 네트워크 (라디오 및 TV 모두)
계열사SBS M&C
자회사부산글로벌빌리지
누리네트웍스
KNN 미디어플러스
기타 정보
상장 정보(2010년 11월 3일 ~ )
직원 수137명
사용 언어한국어

2. 연혁

2. 1. 1990년대

1994년 4월, 부산방송(주)(약칭 PSB)가 설립되었다.[2] 같은 해 8월 10일, (주)한창이 민영방송사업자로 선정되었다. 1995년 5월 14일, PSB-TV방송이 개국(호출부호 HLDG-TV, CH 19)하면서, 건물 공사가 완료되기 전인 1995년 5월 14일 방송을 시작했다 (공사는 1996년에 끝났다).[3] 같은 해 12월에는 (재)부산방송 문화재단(현 KNN 문화재단)이 설립되었다.

1996년 6월,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에 사옥을 준공하였고, 1996년 10월 2일 SBS와 합작하여 만든 수목드라마 형제의 강이 방송되었다.(1997년 4월 3일까지 방송) 1997년 9월 9일, PSB-FM방송(현 KNN 파워FM, 호출부호 HLDG-FM, FM 99.9MHz)이 개국하였다. 1998년 7월 11일 사직 롯데:해태 경기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롯데 자이언츠 전 경기를 라디오로 생중계하고 있다.

1999년 2월 10일, 경상남도 창원시 신월동에 경남지사(창원시)를 설치하였고, 1999년 12월에는 경남(창원) 지사가 설립되었다.[4] 같은 해 12월 10일, 일본 후쿠오카 지역 민방인 TV니시닛폰(TNC)와 우호협력 협정을 체결하였다. PSB는 1997년 서울 이외 지역 방송사로는 처음으로 서울에 사무소를 설립하여 자체 제작 서울 스튜디오에서 '연예특급'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ENG 시스템을 이용해 부산으로 송출함으로써 역사를 만들었다.[4]

2. 2. 2000년대

2000년 8월, KNN은 중국톈진 TV와 우호협력 협정을 체결했다. 같은 해 10월 20일에는 인터넷 방송사 락티비닷컴(rakTV.com)을 개국했는데, 이것이 현재의 iKNN이다. 2002년 1월에는 최대 주주가 (주)한창에서 넥센타이어로 변경되었고(강병중 회장), 2001년 12월 11일, 넥센타이어는 PSB 주식 총수의 22%에 해당하는 21억 1,200만 주를 인수했다.[6] 2002년 9월에는 부산광역시 지역 케이블 방송의 SBS TV 역외 재송신이 종료되었고, DTV 시험 방송을 실시했다. 같은 해 9월 29일부터 10월 14일까지 열린 부산 아시안 게임에서는 주관 방송사로 참여했다.

2003년 5월 14일, PSB 부산방송은 '부산경남대표방송 함께'라는 슬로건으로 방송을 이어갔다. 같은 해 8월에는 황령산에 디지털 TV 송신소를 설치했고, 11월에는 칭다오TV와 우호협력 협정을 체결했다. 12월 31일에는 디지털TV 방송을 개국했다.

2004년 10월, 일본의 라디오 방송국 FM아오모리와 프로그램 제휴 협정을 체결했다. 2005년 7월 11일에는 부산·경남 광역방송으로 선정되었다.

2006년 5월 14일, 사명을 PSB 부산방송에서 KNN(Korea New Network) 부산경남방송으로 변경했다. 이는 2006년 창원시를 비롯한 경상남도 전역으로 방송 지역 확장이 허가됨에 따른 것이다. 같은 해 6월에는 창원 불모산 TV 중계소를, 12월에는 진주 망진산 TV 중계소를 개소했다.

2007년 2월 12일, 경남 서부 지역 보도를 위해 진주방송센터를 개소했다. 8월에는 거창 감악산 중계소 ATV, DTV를 개국했고, 11월 14일에는 지상파 DMB 방송 KNNu 시험방송을 시작했다. 2008년 7월 7일, KNNu 지상파 DMB 본방송을 개시했다. 2009년 4월 13일부터는 자체 제작 뉴스 프로그램의 100% HD 전환 방송을 실시했다.

2. 3. 2010년대

2010년 6월 4일 해운대 센텀시티 신사옥을 착공했고, 11월 3일 비수도권 지역 방송국 최초로 코스닥 시장에 상장했다. 12월 18일 창원 불모산 라디오중계소(FM 102.5MHz) 시험방송을 송출, 12월 29일 본방송을 송출하기 시작했다. 2011년 12월 23일 진주 장군대산 라디오중계소(FM 105.5MHz) 시험방송을 송출, 12월 28일 본방송을 송출하기 시작했다.

2012년 10월 4일 경남지역 지상파 아날로그 TV 방송이 종료되었고, 10월 9일 부산지역 지상파 아날로그 TV 방송이 종료되었다. 11월 12일 KNN 센텀시티 신사옥이 준공되었고, KNN라디오 시보음이 변경되었다. 2013년 7월 17일 부산경남지역 디지털 주파수 재배치가 완료되었다. 9월 16일 기장FM중계소 (FM 96.3MHz) 본방송 송출을 시작하였으며, 10월 KNN 센텀사옥이 ‘부산다운 건축상’ 은상을 수상했다. 12월 23일 양산FM중계소 (FM 96.3MHz) 본방송 송출을 시작했다.

2014년 3월 김석환 사장이 취임했고, 2015년 3월 10일 문혁주 사장이 취임했다. 5월 14일 KNN-TV방송이 개국 20주년을 맞았다. 2016년 5월 10일 KNN 러브FM (호출부호 HLDG-SFM, FM 105.7MHz) 개국에 따라서 KNN 라디오를 KNN 파워FM으로 변경 및 2개의 FM 채널로 이원화했다. 9월 23일 거창 감악산 라디오중계소(FM 106.7MHz) 본방송 송출을 시작했다. 11월 8일 이성림 사장이 취임했다.

2017년 5월 10일 기장SFM중계소 (FM 89.3MHz) 본방송과 양산SFM중계소 (FM 88.5MHz) 본방송 송출을 시작했다. 10월 21일 창원SFM 불모산 라디오중계소(FM 90.9MHz) 시험방송 송출, 10월 30일 본방송 송출을 시작했다. 12월 29일 KNN UHD 방송이 개국되었다.

2018년 3월 2일 김병근 사장이 취임했고, 3월 10일 진주SFM 장군대산 라디오중계소(FM 98.7MHz) 시험방송 송출, 3월 21일 본방송 송출을 시작했다.

2. 4. 2020년대

2020년 KNN 러브FM 호출부호가 HLDG-SFM에서 HLDG-2FM으로 변경되었다. 같은 해 9월 28일에는 라기오, 성은진의 노래하나 얘기둘을 수중계했다. 2022년 4월 4일 김아라의 생생 라디오를 수중계했으며, 2023년 10월 17일에는 이해리의 온나라디오오희주의 라디오라떼를 수중계했다.

2006년 5월 14일, PSB에서 현재의 이름인 KNN으로 변경되었다.[1] 이는 창원시를 비롯한 경상남도 전역으로 방송 지역 확장이 허가됨에 따른 조치였다.

2010년 11월 3일, 한국거래소 코스닥 시장에 주식을 상장하여, 서울 수도권 이외에 본사를 둔 매스컴으로서는 최초의 상장 기업이 되었다.

2012년 10월 4일 경남 지역, 10월 9일 부산 지역의 지상파 아날로그TV 방송이 종료되었다. 같은 해 11월 12일, 연제구 연산동 사옥에서 센텀시티의 신사옥 “KNN타워”로 이전했다. 신사옥은 롯데백화점 자리에 건설된 지상 28층·지하 5층의 초고층 빌딩이다.

2016년 5월 10일 KNN LOVE FM이 개국했다. (FM 105.7MHz, 1kW)

3. 방송 채널

KNN TV는 1995년 5월 14일 대구방송, 광주방송, 대전방송과 함께 개국하였다. 초기에는 부산과 그 인근 지역에서만 시청이 가능했지만, 2000년 불모산 중계소 설치와 2005년 7월 경남 지역 방송권역 확대를 거쳐, 2006년 이후 망진산, 감악산 TV 중계소가 설치되면서 서부 경남 지역에서도 KNN TV를 수신할 수 있게 되었다.

프로그램 편성 비율은 뉴스가 28.7%, 교양이 54.3%, 예능이 17.1%이다. KNN은 지역 밀착형 프로그램 개발, 전국 방송 및 국제적 수준의 교양 프로그램 제작, 위성·디지털 방송 대비 시청자 참여 프로그램 개발 확대를 편성 방침으로 삼고 있다.

KNN의 주요 TV 프로그램으로는 KNN 모닝와이드, 모닝플러스, KNN 뉴스와 생활경제, KNN 정보센터, KNN 뉴스투데이, KNN 뉴스아이, 굿모닝 투데이, 건강 365, 공개클리닉 웰, KNN 파워토크, 테마스페셜, 메디컬 24시 닥터스, 임혜림의 행복한 책 읽기, 100세 시대 건강하이소, 전국 톱 10 가요쇼, 찬란한 유산 100선, 법대로 합시다 더 로이어, 지역을 살리는 상생의 물, 사라진 味 등이 있다.

과거에 방송되었던 프로그램으로는 월드 리포트, KNN 날씨와 건강, 해풍, 형제의 강, 아름다운 선택, 리플 드라마, 허니문 비치, 대박인생, 미세스 사이공, 그녀의 스타일, 다락방, 쑈! TV유랑극단, 틴틴 콘서트, 러브 바이러스, 사투리 쇼 이구동심, 사투리 쇼 얼룩말, 고수의 밥상, 촌티콤 웰컴 투 가오리, 맛있는 아시아 푸드헌터, 씨네포트, 촌티콤 웰컴 투 가오리, 촌티콤 웰컴 투 가오리 시즌 2, 촌티콤 날아라 메뚜기, K트롯 골든마이크, TV 갤러리, 하늘에서 본 경남, KNN 맛집, 톡톡 보험설계, 섬마을 할매, 해피플러스, 현장추적 싸이렌, 시사포차 담, 세상발견 유레카, 마음의 산책, 물은 생명입니다, KNN 스페셜, 뛰뛰빵빵 로그인 코리아, KNN 시사만사, 특집 2018 지역 대학을 가다, 산토끼와 따오기가 함께하는 창작동요제, 2024 동아시아문화도시 김해 특집 다큐멘터리 문화의 바다 대항해의 시작, KNN특집 채움의 발견, KNN 특집다큐 천년의 염원, 가야진용신제, KNN특집다큐 바다에 닿은 미래 등이 있다.

KNN TV의 채널 번호는 15번(LCN 6-1)이며, SBS와 제휴 관계에 있다. 호출 부호는 HLDG-DTV이다.

=== 라디오 방송 ===

1997년 9월 9일에 개국한 KNN 라디오는 지역민방 가운데 TBC와 함께 거의 50%의 자체편성 비율로 SBS와의 네트워크제휴를 맺은 방송사 중 전국에서 가장 높은 자체편성 비율을 실현하고 있다. 개국 당초에는 PSB Bluewave FM이라는 명칭으로 개국했고, 자체편성비율 100%였으나, IMF로 인한 경제위기로 3개월 만에 SBS와 라디오방송 네트워크 협약을 체결함으로써, 자체편성 비율은 100% 아래로 떨어졌다. 현재의 여건상으로는 얼마든지 자체편성 100%를 실현할 수 있으나, SBS의 라디오 프로그램의 청취를 선호하는 일부 청취자의 반발이 있어 불가능한 실정이다. SBS 파워FM 프로그램의 70%를 편성한다.

개국 초부터 2010년 말까지는 부산과 동부경남 일부(김해시, 양산시 일부)에서만 수신할 수 있었다. 하지만 2010년 12월 29일 창원 불모산 중계소, 2011년 12월 23일 진주 장군대산 중계소, 2013년 9월 16일 기장 FM보조국, 2016년 9월 23일 거창 감악산 중계소를 개국하면서 현재는 부산과 경남 대부분 지역에서 수신이 가능하다.


  • 김아라의 생생 라디오
  • 라기오의 딱좋은 라디오
  • 강영운, 이윤정의 노래하나 얘기둘
  • KNN 웰빙라이프
  • 머니마니쇼
  • 오희주의 라디오라떼
  • 이해리의 온나라디오
  • KNN 9시 뉴스
  • KNN 14시 뉴스
  • KNN 18시 종합뉴스
  • KNN 20시 뉴스
  • 황정희의 새벽산책
  • 블루웨이브 모닝팡파르
  • 안단테 알레그르
  • 미시타임
  • 팝스월드
  • 블루 블루웨이브
  • 헤이 러시아워
  • 스튜디오 블루 : PSB 서울 스튜디오에서 제작되었던 프로그램 중 하나로, 가수이자 드러머 남궁연이 진행했다.
  • 블루웨이브 콘서트홀
  • 캠퍼스 블루웨이브
  • 뮤직시네피아
  • 와이틴 팡팡팡 : PSB 서울 스튜디오에서 제작되었던 프로그램 중 하나로, 개그맨 전창걸이 진행했다.
  • 인기가요 999
  • 블루웨이브 어드벤처
  • 정보탱크 찬스를 잡아라
  • PSB 가요대전 : 2022년 지금까지 방송되고 있는 노래하나 얘기둘의 전신.
  • 좋은음악 좋은만남
  • 뮤직네트워크
  • 스튜디오 999
  • 일요문화현장
  • 최치갑의 재즈카페
  • 포구기행
  • 안녕하십니까? PSB입니다
  • 김혜란의 싱싱한 아침
  • 김현민의 뮤직에세이
  • 성은진의 펑키타운 : DJ 성은진은 이후 노래하나 얘기둘(노둘) 진행자로 이동
  • 일요특집 뮤직퍼레이드
  • 안지혜의 사랑캠프, 당신이 희망입니다.
  • 강영운의 런투유
  • 한밤의 음악편지
  • 시사연예특급
  • PSB 영화음악
  • 김원범의 N-플러스 : 이후 해당 시간대는 SBS 릴레이로 방송하다 12년만에 자체방송이 편성되었다.
  • 유정임의 따따부따
  • 김혜란의 뮤직박스
  • 다함께 999
  • PSB 콘서트
  • 클릭 투데이
  • KNN 레이다 : 부산MBC에서 방송하던 자갈치 아지매와 포맷이 너무 유사하다는 지적을 받았었다.(분량은 천지차이긴 하지만 사실 자갈치 아지매의 방송 분량이 확대된 건 2018년부터였다.) 초대 故김상국을 시작으로 고인범, 박천영, 송섭이 이어서 진행을 했다.
  • 소리내어 읽기, 마음의 담장을 넘다(특집) : 2015년 11월 KNN(PSB) 창사 20주년을 기념해 제작된 7부작 라디오 다큐멘터리. 생생 라디오 4부 시간대를 할애해 방송되었다.
  • 강영운의 트로트 쇼 : DJ 강영운은 KNN 러브FM 개국과 동시에 딱 좋은 라디오 진행자로 이동.
  • 김혜란의 달콤한 수다
  • 전수진의 달콤한 수다
  • 전수진의 하이 힐
  • 장원일의 음악본색
  • 조문경의 하이 힐
  • KNN 프로야구 중계석


=== 공동 편성 프로그램 ===
단, 동시 방송 프로그램 수중계는 모두 4개이다.

단, 동시 방송 프로그램 시간대는 아침 9시대에서 아침 11시대 사이, 오후 4시대에서 저녁 6시대 사이, 밤 8시대에서 밤 10시대 사이이다.

=== 지상파 DMB 방송 ===

KNN은 울산방송과 함께 공동으로 부산·울산·경남 전역을 방송권역으로 하는 지상파 DMB 사업자로서 방송중이다. 호출 부호는 HLDG-TDMB이다.

송신소물리 채널(주파수)공중선 전력
아랑산K-12Cch (208.736MHz)2kW
양산타워90W
기장90W
정관90W
무룡산2kW
미포90W
문수산90W
불모산2kW
통영90W
장군대산K-9Cch (190.736MHz)2kW
감악산2kW


3. 1. TV 방송

KNN TV는 1995년 5월 14일 대구방송, 광주방송, 대전방송과 함께 개국하였다. 초기에는 부산과 그 인근 지역에서만 시청이 가능했지만, 2000년 불모산 중계소 설치와 2005년 7월 경남 지역 방송권역 확대를 거쳐, 2006년 이후 망진산, 감악산 TV 중계소가 설치되면서 서부 경남 지역에서도 KNN TV를 수신할 수 있게 되었다.

프로그램 편성 비율은 뉴스가 28.7%, 교양이 54.3%, 예능이 17.1%이다. KNN은 지역 밀착형 프로그램 개발, 전국 방송 및 국제적 수준의 교양 프로그램 제작, 위성·디지털 방송 대비 시청자 참여 프로그램 개발 확대를 편성 방침으로 삼고 있다.

KNN의 주요 TV 프로그램으로는 KNN 모닝와이드, 모닝플러스, KNN 뉴스와 생활경제, KNN 정보센터, KNN 뉴스투데이, KNN 뉴스아이, 굿모닝 투데이, 건강 365, 공개클리닉 웰, KNN 파워토크, 테마스페셜, 메디컬 24시 닥터스, 임혜림의 행복한 책 읽기, 100세 시대 건강하이소, 전국 톱 10 가요쇼, 찬란한 유산 100선, 법대로 합시다 더 로이어, 지역을 살리는 상생의 물, 사라진 味 등이 있다.

과거에 방송되었던 프로그램으로는 월드 리포트, KNN 날씨와 건강, 해풍, 형제의 강, 아름다운 선택, 리플 드라마, 허니문 비치, 대박인생, 미세스 사이공, 그녀의 스타일, 다락방, 쑈! TV유랑극단, 틴틴 콘서트, 러브 바이러스, 사투리 쇼 이구동심, 사투리 쇼 얼룩말, 고수의 밥상, 촌티콤 웰컴 투 가오리, 맛있는 아시아 푸드헌터, 씨네포트, 촌티콤 웰컴 투 가오리, 촌티콤 웰컴 투 가오리 시즌 2, 촌티콤 날아라 메뚜기, K트롯 골든마이크, TV 갤러리, 하늘에서 본 경남, KNN 맛집, 톡톡 보험설계, 섬마을 할매, 해피플러스, 현장추적 싸이렌, 시사포차 담, 세상발견 유레카, 마음의 산책, 물은 생명입니다, KNN 스페셜, 뛰뛰빵빵 로그인 코리아, KNN 시사만사, 특집 2018 지역 대학을 가다, 산토끼와 따오기가 함께하는 창작동요제, 2024 동아시아문화도시 김해 특집 다큐멘터리 문화의 바다 대항해의 시작, KNN특집 채움의 발견, KNN 특집다큐 천년의 염원, 가야진용신제, KNN특집다큐 바다에 닿은 미래 등이 있다.

KNN TV의 채널 번호는 15번(LCN 6-1)이며, SBS와 제휴 관계에 있다. 호출 부호는 HLDG-DTV이다.

3. 2. 라디오 방송

1997년 9월 9일에 개국한 KNN 라디오는 지역민방 가운데 TBC와 함께 거의 50%의 자체편성 비율로 SBS와의 네트워크제휴를 맺은 방송사 중 전국에서 가장 높은 자체편성 비율을 실현하고 있다. 개국 당초에는 PSB Bluewave FM이라는 명칭으로 개국했고, 자체편성비율 100%였으나, IMF로 인한 경제위기로 3개월 만에 SBS와 라디오방송 네트워크 협약을 체결함으로써, 자체편성 비율은 100% 아래로 떨어졌다. 현재의 여건상으로는 얼마든지 자체편성 100%를 실현할 수 있으나, SBS의 라디오 프로그램의 청취를 선호하는 일부 청취자의 반발이 있어 불가능한 실정이다. SBS 파워FM 프로그램의 70%를 편성한다.

개국 초부터 2010년 말까지는 부산과 동부경남 일부(김해시, 양산시 일부)에서만 수신할 수 있었다. 하지만 2010년 12월 29일 창원 불모산 중계소, 2011년 12월 23일 진주 장군대산 중계소, 2013년 9월 16일 기장 FM보조국, 2016년 9월 23일 거창 감악산 중계소를 개국하면서 현재는 부산과 경남 대부분 지역에서 수신이 가능하다.

  • 김아라의 생생 라디오
  • 라기오의 딱좋은 라디오
  • 강영운, 이윤정의 노래하나 얘기둘
  • KNN 웰빙라이프
  • 머니마니쇼
  • 오희주의 라디오라떼
  • 이해리의 온나라디오
  • KNN 9시 뉴스
  • KNN 14시 뉴스
  • KNN 18시 종합뉴스
  • KNN 20시 뉴스
  • 황정희의 새벽산책
  • 블루웨이브 모닝팡파르
  • 안단테 알레그르
  • 미시타임
  • 팝스월드
  • 블루 블루웨이브
  • 헤이 러시아워
  • 스튜디오 블루 : PSB 서울 스튜디오에서 제작되었던 프로그램 중 하나로, 가수이자 드러머 남궁연이 진행했다.
  • 블루웨이브 콘서트홀
  • 캠퍼스 블루웨이브
  • 뮤직시네피아
  • 와이틴 팡팡팡 : PSB 서울 스튜디오에서 제작되었던 프로그램 중 하나로, 개그맨 전창걸이 진행했다.
  • 인기가요 999
  • 블루웨이브 어드벤처
  • 정보탱크 찬스를 잡아라
  • PSB 가요대전 : 2022년 지금까지 방송되고 있는 노래하나 얘기둘의 전신.
  • 좋은음악 좋은만남
  • 뮤직네트워크
  • 스튜디오 999
  • 일요문화현장
  • 최치갑의 재즈카페
  • 포구기행
  • 안녕하십니까? PSB입니다
  • 김혜란의 싱싱한 아침
  • 김현민의 뮤직에세이
  • 성은진의 펑키타운 : DJ 성은진은 이후 노래하나 얘기둘(노둘) 진행자로 이동
  • 일요특집 뮤직퍼레이드
  • 안지혜의 사랑캠프, 당신이 희망입니다.
  • 강영운의 런투유
  • 한밤의 음악편지
  • 시사연예특급
  • PSB 영화음악
  • 김원범의 N-플러스 : 이후 해당 시간대는 SBS 릴레이로 방송하다 12년만에 자체방송이 편성되었다.
  • 유정임의 따따부따
  • 김혜란의 뮤직박스
  • 다함께 999
  • PSB 콘서트
  • 클릭 투데이
  • KNN 레이다 : 부산MBC에서 방송하던 자갈치 아지매와 포맷이 너무 유사하다는 지적을 받았었다.(분량은 천지차이긴 하지만 사실 자갈치 아지매의 방송 분량이 확대된 건 2018년부터였다.) 초대 故김상국을 시작으로 고인범, 박천영, 송섭이 이어서 진행을 했다.
  • 소리내어 읽기, 마음의 담장을 넘다(특집) : 2015년 11월 KNN(PSB) 창사 20주년을 기념해 제작된 7부작 라디오 다큐멘터리. 생생 라디오 4부 시간대를 할애해 방송되었다.
  • 강영운의 트로트 쇼 : DJ 강영운은 KNN 러브FM 개국과 동시에 딱 좋은 라디오 진행자로 이동.
  • 김혜란의 달콤한 수다
  • 전수진의 달콤한 수다
  • 전수진의 하이 힐
  • 장원일의 음악본색
  • 조문경의 하이 힐
  • KNN 프로야구 중계석

3. 2. 1. 공동 편성 프로그램


단, 동시 방송 프로그램 수중계는 모두 4개이다.

단, 동시 방송 프로그램 시간대는 아침 9시대에서 아침 11시대 사이, 오후 4시대에서 저녁 6시대 사이, 밤 8시대에서 밤 10시대 사이이다.

3. 3. 지상파 DMB 방송

KNN은 울산방송과 함께 공동으로 부산·울산·경남 전역을 방송권역으로 하는 지상파 DMB 사업자로서 방송중이다. 호출 부호는 HLDG-TDMB이다.

송신소물리 채널(주파수)공중선 전력
아랑산K-12Cch (208.736MHz)2kW
양산타워90W
기장90W
정관90W
무룡산2kW
미포90W
문수산90W
불모산2kW
통영90W
장군대산K-9Cch (190.736MHz)2kW
감악산2kW


4. 방송 송출 시설

4. 1. TV 송출 시설

KNN의 텔레비전 방송은 1995년 9월 1일부터 아날로그 TV 방송을 개국하였으며, 2001년 11월 5일부터 디지털 TV 방송을 송출하고 있다. 호출 부호는 HLDG-DTV이며, 가상 채널은 6-1이다.

송신소UHDHD송신소 위치비고
물리채널출력물리채널출력
황령산 송신소CH 535kWCH 152.5㎾부산 연제구 연산2동 산181-3
정관 중계소colspan=2 rowspan=40 |CH 2020W부산 기장군 정관읍 달산리 산146-14
기장 중계소CH 3390W부산 기장군 일광읍 삼성리 산41
천제산 소출력CH 330.05W부산 남구 대연동
장산 중계소CH 3020W부산 해운대구 재송1동 산74-3
만덕 중계소CH 4020W부산 동래구 온천3동 산190-8 달북마을
동삼 소출력CH 150.05W부산 영도구 동삼1동
천마산 중계소CH 5020W부산 사하구 감천2동 산99-1
녹산 중계소CH 2490W부산 강서구 녹산동 산2-5 봉화산
양산타워 중계소CH 3690W경남 양산시 동면 석산리 656-30
불모산 중계소CH 332.5㎾경남 창원시 성산구 천선동 산213-4
용등 중계소CH 2020W경남 창원시 의창구 대산면 우암리 442
망진산 중계소CH 191㎾경남 진주시 망경동 산18-1
옥종 소출력CH 190.05W경남 하동군 옥종면 청룡리
감악산 중계소CH 361㎾경남 거창군 신원면 구사리 산12-1



아날로그 TV 방송은 경남 지역은 2012년 10월 4일 오후 2시에, 부산 지역은 2012년 10월 9일 오후 2시에 종료되었다.

4. 2. 라디오 송출 시설

KNN은 700만 청취자와 함께하는 KNN 파워FM과 KNN 러브FM을 운영하고 있다. KNN 파워FM의 호출부호는 HLDG-FM이며, 주파수는 부산 99.9MHz, 기장/양산 96.3MHz, 창원 102.5MHz, 진주 105.5MHz, 거창 106.7MHz이다. KNN 러브FM의 호출부호는 HLDG-2FM이며, 주파수는 부산 105.7MHz, 양산 88.5MHz, 창원/김해/거제 90.9MHz, 진주 98.7MHz이다.

KNN Power FM
송신소주파수출력송신소 위치
황령산 송신소FM 99.9MHz5㎾부산 연제구 연산2동 산181-3
정관 중계소FM 96.3MHz20W부산 기장군 정관읍 달산리 산146-14
기장 중계소FM 96.3MHz20W부산 기장군 일광읍 삼성리 산41
양산타워 중계소FM 96.3MHz20W경남 양산시 동면 석산리 656-30
불모산 중계소FM 102.5MHz1㎾경남 창원시 성산구 천선동 산213-8
장군대산 중계소FM 105.5MHz1㎾경남 진주시 문산읍 상문리 325-5
감악산 중계소FM 106.7MHz500W경남 거창군 신원면 구사리 산12-1



KNN LOVE FM
송신소주파수출력송신소 위치
황령산 송신소FM 105.7MHz1㎾부산 연제구 연산2동 산181-3
정관 중계소FM 89.3MHz20W부산 기장군 정관읍 달산리 산146-14
천마산 중계소FM 89.3MHz20W부산 사하구 감천1동
양산타워 중계소FM 88.5MHz20W경남 양산시 동면 석산리 656-30
불모산 중계소FM 90.9MHz1㎾경남 창원시 성산구 천선동 산213-8
장군대산 중계소FM 98.7MHz1㎾경남 진주시 문산읍 상문리 325-5


5. 조직

KNN의 보도국은 보도국장 김성기를 중심으로, 편집부(편집부장 임택동)와 취재부(취재부장 김상진), 그리고 영상부(영상국장 박영준)로 구성되어 있다. 편집부는 뉴스 제작팀, 편집팀, 그래픽/CG팀으로 나뉘며, 취재부는 정경팀과 사회팀으로 구성된다.

뉴스 제작팀에는 차장 강기성, PD 박종준, PD 노경민, 보도작가 조다영, 보도작가 하정민, 행정 박수아가 소속되어 있다. 편집팀에는 정윤주, 전금채, 양희진, 김민지, 차수진, 김승연, 한동민 사원이 근무한다. 그래픽/CG팀에는 최희연(CG), 송현주(그래픽), 강지연(그래픽), 김윤여(그래픽), 박정은(스크립터), 이아영(스크립터) 사원이 소속되어 있다.

정경팀은 부장 윤혜림, 차장 강소라, 차장 주우진으로, 사회팀은 기자 박명선, 정기형, 최한솔, 조진욱, 이민재, 최혁규, 하영광으로 구성된다.

카메라 기자는 국장 정용수, 육근우, 박동명, 부장 박민호, 하성창, 신동희, 김태용, 오원석, 김종명, 국주호, 차장 전재현, 최진혁, 이원주, 기자 권용국, 박은성으로 구성되어있다.

KNN은 경남본부(경남본부장 박철훈, 보도국장 표중규)와 서부경남본부, 서울지사를 두고 있다. 경남본부의 취재팀은 부장 김동환, 차장 김건형, 김민욱, 기자 황보람, 사원 김가현, 영상팀은 부장 하호영, 차장 정성욱, 기자 안명환, 정창욱으로 구성되어있다. 서부경남본부에는 기자 이태훈이, 서울지사에는 차장 길재섭, 기자 박언국, 오희주, 박선민, 라기오, 강영운, 노승혜, 허형범, 백주훈, 천희재, 이후창, 김아라, 조문경이 소속되어 있다.

현승훈, 황범, 정희정, 정준희, 김다롬, 임혜림, 이화영, 박경익, 김혜민, 김채림, 오주호, 최지해(현 OBS 아나운서), 박철규(현 KBS 아나운서), 박수진(현 한국경제TV MC), 고강용(현 MBC 아나운서), 박민설(현 YTN 아나운서), 이상철(현 연합뉴스TV 아나운서) 등이 KNN을 거쳐갔다.

6. 사옥

KNN의 사옥은 다음과 같다.



본사는 2007년 6월에 착공하여 2012년 11월 12일에 준공되었다. 지상 28층, 지하 6층의 규모를 가진 건물이며, 방송과 상업, 업무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복합 미디어 센터이다. 영화의 전당 맞은편에 위치한다.

7. 국제 협력

KNN은 일본의 TV 니시닛폰과 격년에 한 번씩 공동으로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있다.[1] 또한, 일본의 FM 아오모리, 중국의 톈진 방송, 칭다오 방송, 다롄 텔레비전과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특히 다롄 텔레비전과는 1999년 12월 계약을 체결했으며,[1] 2004년에는 KNN, TV 니시닛폰, 다롄 텔레비전 3자 회의에 참여하기도 했다.[7] 이외에도 일본의 TVQ규슈 방송과도 협력하고 있다.

8. 비판 및 논란

참조

[1] 웹사이트 KNN to be listed on KOSDAQ https://archive.toda[...] 2011-10-17
[2] 웹사이트 Who Controls the Korean Policy Making? 2008-00-00
[3] 웹사이트 Korea Newsreview https://books.google[...] 1995-00-00
[4] 뉴스 부산방송「연예파크」서울스튜디오서 제작 https://www.mk.co.kr[...] 1997-04-19
[5] 뉴스 부산방송, 중국에 라디오프로 수출 https://www.mk.co.kr[...] 1999-11-11
[6] 뉴스 넥센타이어, 부산방송 인수 https://www.mk.co.kr[...] 2001-12-11
[7] 서적 テレビ西日本50年史編纂室. 『テレビ西日本開局50年史 : おっ!?テレ西』. 福岡縣: テレビ西日本. https://ci.nii.ac.jp[...] Television Nishinippon Corporation
[8] 웹사이트 Korea New Network Corp Announces Changes in Shareholding Structure https://archive.toda[...] 2015-03-17
[9] 웹사이트 Korea New Network Corp. http://quotes.wsj.co[...] 2015-03-17
[10] 웹사이트
[11] 웹사이트
[12] 뉴스 지역 민방 KNN, 3일 코스닥 신규상장 http://itnews.inews2[...] 2010-11-02
[13] 서적 한국의 방송산업 통계 커뮤니케이션북스
[14] 웹사이트
[15] 웹사이트
[16] 웹사이트 [Korea] KNN Love-FM(HLDG-SFM), 진주 송신, FM 98.7 MHz http://blog.daum.net[...]
[17] 웹사이트
[18] 웹사이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