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귀인 장씨 (인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귀인 장씨는 조선 인조의 후궁으로, 본관은 덕수 장씨이다. 1619년에 태어나 1635년 숙의로 간택되어 입궁했으며, 1638년 소의, 1640년 귀인으로 품계가 승급되었다. 1671년에 사망하여 예장되었으며, 2013년 드라마 《궁중잔혹사 - 꽃들의 전쟁》에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덕수 장씨 - 장유 (조선)
    장유는 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 작가로서 김장생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최명길, 조익, 이시백과 절친했으며 인조반정에 참여하여 정사공신으로 신풍군에 봉해졌고, 대사간, 대사헌, 대제학, 이조판서, 병조판서, 공조판서, 우의정 등을 역임하며 병자호란 당시 최명길과 함께 강화를 주장했고 신흠, 이정구, 이식과 함께 월상계택 4대가로 불린 인물이다.
  • 덕수 장씨 - 인선왕후
    인선왕후는 효종의 비이자 현종의 어머니로, 효종의 북벌 정책을 지지하고 검소한 생활로 재정을 절약하여 북벌에 기여했으며, 그녀의 사망 후에는 예송 논쟁이 발생했다.
  • 1671년 사망 - 레 현종 (20대)
    레 현종은 후 레 왕조의 20대 황제로,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권신의 영향력 아래 청나라와의 외교 관계 수립, 기독교 금지, 도량형 제정 등의 정책을 시행했다.
  • 1671년 사망 - 앤 하이드
    앤 하이드는 평민 출신으로 요크 공 제임스의 첫 번째 부인이 되어 메리 2세와 앤 여왕을 낳았고, 가톨릭으로 개종 후 유방암으로 사망했다.
  • 1619년 출생 - 김익훈
    김익훈은 광산 김씨 가문 출신으로 음서를 통해 관직에 나아가 어영대장, 전라도병마절도사 등 요직을 지냈지만, 숙종 시대의 정치적 격변 속에서 남인 제거에 적극적으로 가담하며 경신대출척을 주도하여 보사공신에 책록되었으나 기사환국으로 인해 역모 혐의를 받고 사망 후 복권과 추탈을 거듭, 충헌공 시호를 받았으며, 그의 생애는 숙종 시대 당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나 사회 혼란에 기여했다는 비판도 있다.
  • 1619년 출생 - 구마자와 반잔
    에도 시대 유학자 구마자와 반잔은 양명학을 바탕으로 사회 현실과 민생 문제에 관심을 갖고 정치 개혁을 주장했으며, 저술 활동을 통해 사회 비판을 이어가 막말 존왕양이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귀인 장씨 (인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작위인조의 후궁
배우자인조
자녀없음
아버지장류(張留)
어머니한산 이씨
출생일1619년 3월 16일 (음력)
사망일1671년 1월 24일 (음력)
능묘풍천본종산하묘좌(楓川本宗山下卯坐)

2. 생애

귀인 장씨는 1619년(광해군 14년)에 태어나 1635년(인조 13년) 숙의로 간택되어 입궁하였다. 인렬왕후 사후 인조가 계비를 세우지 않겠다고 선언했으나, 이후 번복하고 장렬왕후를 계비로 맞이하였다. 장씨는 1638년(인조 16년) 소의로, 1640년(인조 18년) 귀인으로 승봉되었으며, 1671년(현종 12년)에 사망하여 예장되었다.[16]

2. 1. 초기 생애

본관은 덕수 장씨이며, 1619년(광해군 14년) 3월 16일에 태어났다. 아버지는 통훈대부(通訓大夫) 행귀후서별제(行歸厚署別提) 장류이며, 어머니는 한산 이씨이다.[4]

2. 2. 후궁 간택과 입궁

1635년(인조 13년) 음력 3월 11일, 숙의(淑儀) 간택령이 내려져 삼간택[4]을 거쳐 이 해 음력 8월 16일 숙의로 뽑혔다.[5] 이후 이현궁에서 한 달간 머물다가 인조의 친영을 받고 입궐했다.[6][7] 신하들의 강압이 아닌 인조의 자의로 숙의 간택이 결정되었고, 가례청이 설치되었다. 또한 인조의 어머니인 인헌왕후 구씨가 왕모(王母) 자격으로 머물렀던 이현궁에서 인조의 친영을 받는 등 왕후에 준하는 파격적인 예우를 받으며 후궁 생활을 시작했으나, 결국 인조의 사랑을 받지는 못했다.[8]

2. 3. 인렬왕후 사후와 계비 간택

1635년(인조 13년) 12월 9일, 인조의 첫 왕비인 인렬왕후가 난산으로 사망했다.[9] 인렬왕후의 담제를 마친 후인 1637년(인조 15년) 3월 27일, 인조는 '계비는 예로부터 해독은 있으나 유익함은 없었다.'는 이유를 들며 계비를 세우지 않겠다고 선언하였다.[10] 그러나 같은 해 12월, 인조는 인렬왕후의 3년상 절차를 모두 마친 뒤, 계비를 세우지 않겠다고 했던 뜻을 번복하고, 새로이 처녀를 뽑아 계비로 삼겠다며 계비 간택령과 금혼령을 내렸다.[11][12]

2. 4. 품계 승급

1638년(인조 16년) 12월 2일, 인조의 계비 장렬왕후 책봉례가 거행되었다.[13] 새로운 내명부 수장이 등극하면 관례에 따라 정1품을 제외한 선왕과 현왕의 후궁들을 진봉하는 절차가 있었는데, 이때 장씨는 1품계 승급하여 정2품 소의가 되었고, 인조의 승은 후궁이었던 숙원 조씨(훗날의 귀인 조씨)는 정4품 소원이 되었다.[14] 이후 1640년(인조 18년) 8월 27일, 장씨는 다시 1품계 승급하여 종1품 귀인으로 승봉되었다.[15]

2. 5. 사망

귀인 장씨는 1671년(현종 12년)에 사망하여 예장(禮葬)되었다.[16]

3. 가족 관계

(덕수 장씨)언니덕수 장씨형부오정(吳鼎)보성 오씨(寶城 吳氏)조카오세태(吳世泰)진사오세주(吳世周)오세화(吳世華)지사오세성(吳世城)오세상(吳世相)오세옥(吳世玉)동생장관(張觀, 1639 ~ 1679)진사올케선산 임씨(善山 林氏, 1636 ~ 1697)선무랑 임극충(宣務郎 林克忠)의 딸조카장진식(張震栻, 1660 ~ 1735)병절교위 장이식(秉節校尉 張以栻, 1673 ~ 1750)동생장근(張覲)백부 진사 장진(進士 張晋)과 백모 문화 류씨(文化 柳氏)에게 출계올케제주 고씨(濟州 高氏)첨절제사 고상흘(僉節制使 高尙屹)의 딸조카장여식(張汝栻)장후식(張後栻)장세식(張世栻)왕가 (전주 이씨)


3. 1. 본가 (덕수 장씨)

3. 2. 왕가 (전주 이씨)

관계이름출생사망비고
시부원종1580년1619년조선의 추존왕
시모인헌왕후1578년1626년구씨
남편인조1595년1649년조선의 제16대 왕


4. 귀인 장씨가 등장하는 작품

2013년 JTBC 드라마 《궁중잔혹사 - 꽃들의 전쟁》에서 이혜은이 귀인 장씨 역을 맡았다.

참조

[1] 서적 덕수장씨족보. 갑인보(德水張氏族譜. 甲寅譜)
[2] 서적 "光海君 十一年 己未年 三月十六日生" 덕수장씨족보. 갑인보(德水張氏族譜. 甲寅譜)
[3] 기록 조선왕조실록 현종 12년(1671) 1월 24일 1번째 기사 1671-01-24
[4] 기록 승정원일기 인조 13년 7월 27일 (을해) 원본49책/탈초본3책 (4/19) 1635-07-27
[5] 기록 조선왕조실록 인조 31권, 13년(1635 을해 / 명 숭정(崇禎) 8년) 8월 16일(계사) 1번째기사 1635-08-16
[6] 기록 조선왕조실록 숙종 17권, 12년(1686 병인 / 청 강희(康熙) 25년) 2월 27일(신해) 2번째기사 1686-02-27
[7] 기록 조선왕조실록 숙종 17권, 12년(1686 병인 / 청 강희(康熙) 25년) 3월 25일(기묘) 2번째기사 1686-03-25
[8] 기록 조선왕조실록 인조 46권, 23년(1645 을유 / 청 순치(順治) 2년) 10월 2일(경진) 4번째기사 1645-10-02
[9] 기록 조선왕조실록 인조 31권, 13년(1635 을해 / 명 숭정(崇禎) 8년) 12월 9일(을유) 1번째기사 1635-12-09
[10] 기록 조선왕조실록 인조 34권, 15년(1637 정축 / 명 숭정(崇禎) 10년) 3월 27일(병인) 1번째기사 1637-03-27
[11] 기록 승정원일기 인조 15년 12월 25일 (기미) 원본62책/탈초본3책 (19/24) 1637-12-25
[12] 기록 승정원일기 인조 15년 12월 25일 (기미) 원본62책/탈초본3책 (20/24) 1637-12-25
[13] 기록 조선왕조실록 인조 37권, 16년(1638 무인 / 명 숭정(崇禎) 11년) 12월 2일(경인) 1번째기사 1638-12-02
[14] 기록 조선왕조실록 인조 37권, 16년(1638 무인 / 명 숭정(崇禎) 11년) 12월 21일(기유) 1번째기사 1638-12-21
[15] 기록 조선왕조실록 인조 41권, 18년(1640 경진 / 명 숭정(崇禎) 13년) 8월 27일(병자) 1번째기사 1640-08-27
[16] 기록 승정원일기 현종 12년 1월 22일 (갑술) 원본223책/탈초본11책 (6/9) 1671-01-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