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균형성과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균형성과표(BSC)는 조직의 비전과 전략을 재무, 고객, 내부 프로세스, 학습과 성장 네 가지 관점에서 구체화하고 측정하는 성과 관리 도구이다. 1987년 아날로그 디바이스의 아트 슈나이더만에 의해 처음 고안되었으며, 로버트 S. 카플란과 데이비드 P. 노턴의 연구를 통해 발전되었다. 균형성과표는 초기에는 4가지 관점을 중심으로 설계되었으며, 이후 전략 맵과 목표 선언문이 추가되면서 2세대와 3세대로 발전했다. 균형성과표는 널리 사용되지만, 경험적 성격과 재무적 이해관계자 편향성, 그리고 수치 목표 관리의 한계 등 비판도 존재한다. 한국에서는 1990년대 후반부터 도입되어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확산되었으며, 최근에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도구를 활용하여 균형성과표를 작성하고 관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영 계획 - 전사적 자원 관리
    전사적 자원 관리(ERP)는 기업의 자원과 업무 프로세스를 통합하여 효율성을 높이는 시스템이며, 재무, 인사, 제조, 공급망 관리 등 다양한 기능을 다루고, 기업의 의사 결정, 투명성, 세계화를 지원한다.
  • 경영 계획 - 자본예산
    자본예산은 기업의 장기적인 경영 전략과 수익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의사 결정 과정이며, 투자안의 목적 설정, 경제성 평가 등의 단계를 거쳐 진행되고, 회계적 이익률, 순현재가치, 내부수익률 등의 모델이 활용된다.
  • 사업 용어 - 리스
    리스는 자산 소유자가 사용 권한을 타인에게 제공하고 대가를 받는 계약으로, 자금조달 성격의 금융리스와 임대차 성격의 운영리스로 구분되며, 리스료는 자산가액, 제세공과금, 자금조달 비용을 고려하여 산정되고, 비용 평준화, 세금 혜택, 유동성 확보 등의 장점이 있지만 회계 처리 및 세제 혜택은 국가별로 다르며, 국제회계기준(IFRS) 16호와 미국 일반회계기준(US GAAP) ASC 842는 단기리스를 제외한 모든 리스를 사용권자산과 리스부채로 인식하도록 규정한다.
  • 사업 용어 - 물류
    물류는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재화, 서비스 및 관련 정보를 발생 지점에서 소비 지점까지 계획, 실행, 통제하는 과정이며, 전자상거래 발달과 함께 전자 물류의 중요성이 커지고 물류 자동화 및 시스템, 교육 기관들이 발전하고 있다.
  • 경영 - 이사회
    이사회는 주주의 이익을 위해 경영진을 감독하고 주요 의사 결정을 내리는 회사의 핵심 의사 결정 기구이다.
  • 경영 - 노동자 자주 경영
    노동자 자주 경영은 노동자들이 기업 운영과 의사결정에 직접 참여하는 경제 체제 또는 운동으로, 참여 경제, 자치 경제, 협동 경제 등으로도 불리며 다양한 시도와 사례가 존재한다.
균형성과표
균형 성과표
균형 성과표 프레임워크
균형 성과표 프레임워크
개요
유형전략적 성과 관리 도구
개발자로버트 S. 캐플런
데이비드 P. 노턴
개발일1992년
주요 관점
관점재무
고객
내부 프로세스
학습 및 성장
관련 정보
관련 개념핵심 성과 지표(KPI)

2. 역사

균형성과표(BSC)는 1987년 아날로그 디바이스의 아트 슈나이더만(Art Schneiderman)이 처음 고안한 성과 측정 시스템이다.[4] 1990년, 슈나이더만은 로버트 S. 카플란(Robert S. Kaplan)과 데이비드 P. 노턴(David P. Norton)의 연구에 참여하여 자신의 균형성과표 설계에 대한 내용을 설명했다.[9][4] 이후 카플란과 노턴은 이 내용을 바탕으로 1992년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에 균형성과표를 처음 소개하는 논문을 발표했다.[5] 이 논문은 큰 성공을 거두었고, 1993년에 후속 논문이 발표되었으며,[11] 1996년에는 ''균형성과표(The Balanced Scorecard)''라는 책을 출판하여 균형성과표 개념을 널리 알렸다.[12]

초기 균형성과표는 재무, 고객, 내부 프로세스, 학습 및 성장의 네 가지 관점을 가지고 각 관점에 5~6개의 평가 지표를 제시하는 형태였다.[7] 하지만, 초기 모델은 "왜 그러한 평가 지표를 선택했는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에 대한 답을 제시하지 못해, 평가 지표의 타당성에 대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1990년대 중반, 전략 맵(strategy map) 개념이 도입되면서 2세대 균형성과표로 발전했다.[15] 전략 맵은 전략 목표들을 여러 관점에 분산 배치하고, 각 목표 간의 인과 관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평가 지표 선택의 타당성을 높였다.

1990년대 후반에는 목표 선언문(Destination Statement)이 추가되면서 3세대 균형성과표가 등장했다.[7] 목표 선언문은 조직이 달성하고자 하는 미래의 모습을 명확하게 제시하여 전략 목표 설정 및 평가 지표 선택 과정을 더욱 용이하게 만들었다.

카플란과 노턴의 연구 이후에도 균형 성과표는 학계와 산업계에서 꾸준히 발전해왔다.

3. 4가지 관점

균형성과표(BSC)는 조직의 비전과 전략을 구체화하고 측정하기 위해 다음 네 가지 관점을 활용한다.

균형성과표의 4가지 관점
관점설명
재무적 관점주주, 종업원 등 이해관계자의 기대를 충족시키고 재무적 성공을 위한 행동 지표를 설정한다.
고객 관점기업 비전 달성을 위해 고객에게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지표를 설정한다.
내부 프로세스 관점재무적 목표 달성 및 고객 만족도 향상을 위한 우수한 사업 프로세스 구축 지표를 설정한다.
학습과 성장 관점기업 비전 달성을 위한 조직 및 개인의 변화, 개선, 역량 향상 방안에 대한 지표를 설정한다.



각 관점별로 목표, 성과 측정 지표, 목표치, 구체적인 프로그램이 설정된다.

초기 균형성과표는 "재무", "고객", "업무 프로세스", "학습과 성장"의 네 가지 관점으로 구성된 표 형태로, 각 관점에 대해 5~6개의 평가 지표를 제시했다. 그러나 관점 명칭과 수는 다양하게 변화했으며, 이는 "더 나은" 설계를 위한 시도였다. 초기 모델은 평가 지표 선택의 타당성 문제("왜 그러한 평가 지표를 선택했는가?")에 직면했고, 이는 정보 활용의 신뢰성 문제로 이어졌다.

1990년대 중반, 평가 지표를 "전략적 연계 모델" 또는 "전략 맵(strategy map)"의 "전략 목표"에 기반하여 선택하는 개선된 설계 방법이 등장했다. 이 방법은 평가 지표 간의 관계를 도식화하고 목표치를 결정하여 지표 선택의 타당성을 높였다.

3. 1. 재무적 관점

재무적 관점은 주주나 종업원 등 이해관계자의 기대에 부응하고, 기업이 재무적으로 성공하기 위해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지표를 설정한다.[59] 기업 경영이 기업의 손익 개선에 기여하고 있는지를 나타내준다.

예를 들어, 매출액 증가율, 영업이익률, 투자수익률(ROI), 경제적 부가가치(EVA) 등이 재무적 관점의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한국 기업들은 주주 가치 극대화와 더불어 사회적 책임 투자를 고려한 재무적 성과 지표를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이 있다.

3. 2. 고객 관점

고객 관점은 기업의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고객에게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지표를 설정하는 것이다.[59] 고객의 주요 관심사항은 시간, 품질, 성능/서비스, 비용 등으로 구분되며, 이러한 관심사항을 반영한 측정 지표를 사용해야 한다.[59]

균형성과표(BSC)는 고객 만족도와 충성도를 높이고,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지표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고객 만족도, 고객 유지율, 시장 점유율, 신규 고객 확보율 등이 있다. 한국 기업들은 고객 중심 경영을 강조하며, 고객의 목소리(VOC)를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고객 관점 지표를 설정한다.

3. 3. 내부 프로세스 관점

내부 프로세스 관점은 고객 측면과 핵심역량 측면에서 접근할 수 있다. 고객 측면에서는 고객들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하여 내부적으로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즉, 균형성과표의 내부 프로세스 측정지표는 고객 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업무 프로세스에서 나와야 한다.[59] 핵심역량 측면에서는 경쟁사보다 뛰어나야 하는 주요 기술과 업무 프로세스를 확인하고 그것에 대한 측정을 구체화한다.

"우리가 탁월해야 하는 것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답하는 측정 지표를 파악하도록 장려한다.[5] 내부 프로세스 관점의 예시로는 주기 시간, 단위 비용, 수율, 신제품 출시 등이 있다.[5]

3. 4. 학습과 성장 관점

기업의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조직이 어떠한 학습을 하고 무엇을 개선해야 하는지 측정한다.[59] 조직과 개인으로서 어떻게 변화(개선)하고 역량 향상을 도모할 것인가에 대한 지표를 설정한다.[59]

4. 활용

균형성과표는 조직의 전략 실행과 성과 관리를 위한 강력한 도구로,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된다.


  • 조직의 비전과 전략을 명확하게 정의하고, 이를 모든 구성원에게 공유하여 조직 전체의 목표를 일치시킨다.
  • 전략 실행을 위한 핵심 성과 지표(KPI)를 설정하고, 이를 통해 목표 달성을 위한 노력을 집중시킨다.
  • 성과를 주기적으로 평가하고, 피드백을 통해 전략을 수정하고 개선하여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한다.
  • 예산 편성, 자원 배분, 조직 구조 조정 등 다양한 의사 결정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 성과급 지급 등 보상 시스템과 연계하여 구성원들의 동기 부여를 강화한다. (단,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1][2][37]


캐플런노튼의 조사에 따르면, 기업들은 균형성과표를 통해 예산 명확화 및 업데이트, 전략 방향 명확화 및 조정, 실적 정기 평가를 수행하고 있다.[5] 1997년 조사에서는 대상 기업 중 64%가 균형성과표와 같은 다면적인 성과 평가 방법을 채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균형성과표는 정부기관, 군, 기업 부서, 기업 전체, 비영리 단체, 학교 등 다양한 조직에서 활용되고 있으며,[42] 웹 검색을 통해 다수의 균형성과표를 찾아볼 수 있다. 다만, 특정 조직의 균형성과표를 다른 조직이 그대로 활용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으며, 각 조직의 특성에 맞게 균형성과표를 적용해야 한다.

특히, 한국의 공공기관에서는 균형성과표를 활용하여 기관의 사회적 책임과 공공성을 강화하고, 대국민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 주력하고 있다.

5. 한계 및 비판

균형성과표(BSC)는 조직의 성과를 여러 관점에서 측정하는 유용한 도구이지만, 다음과 같은 한계와 비판을 받기도 한다.


  • 엄격성 부족: 초기 균형성과표는 경험적 성격이 강하고, 아이디어에 대한 공식적인 검증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는다. 캐플런과 노튼의 초기 논문은 이전 연구에 대한 인용이 부족하고, 방법론 및 설계상의 기술적 결함이 지적되기도 한다.[5][11][47] 예를 들어, 1세대 설계의 "4가지 관점" 선택에 대한 검증이 제공되지 않았다는 지적이 있다.[49]
  • 전반적인 점수 부족: 균형성과표는 성과에 대한 통합된 관점을 제공하지 않고, 단순히 지표 목록을 나열하는 데 그친다는 비판이 있다. 경영자는 여러 지표를 해석하여 적절한 개입을 결정해야 하며, 이는 전략 개발과 같은 균형성과표의 범위를 벗어나는 문제와 관련될 수 있다.[50]
  • 모든 이해관계자의 요구 반영 실패: 균형성과표가 재무적 이해관계자에게 편향되어 있고, 다른 이해관계자의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있다. 초기 균형성과표는 투자 수익에 초점을 맞춘 미국의 상업 조직의 요구에 맞춰져 있었고, 이후 개정에서도 이러한 초점이 유지되었다.[5][11][51] 특히 공공 및 비정부 부문 조직에서는 사회적 차원, 인적 자원 요소, 정치적 문제 등을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된다.[52][53][21] 3세대 균형성과표와 같은 현대적인 설계 접근 방식은 더 넓은 이해관계자의 이익을 고려하여 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한다.[42]


이러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균형성과표의 사용과 기업의 의사 결정 개선 또는 재무 성과 개선 사이에 연관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54] 균형성과표는 중소기업(SME)에서도 효과적일 수 있지만, 설계 복잡성과 관련성을 고려하여 자원 가용성과 균형을 맞춰야 한다.[56]

KPI(핵심성과지표) 등을 이용한 수치 목표 관리의 한계도 지적된다. 마크 호다크(Mark Hodack)의 조사에 따르면, 균형성과표(BSC)를 통해 성과급을 지급하는 기업은 S&P 500의 15%를 차지했지만, 다른 기업들보다 평균 3.5% 낮은 성과를 보였다.[57][58]

6. 소프트웨어 도구

균형성과표는 복잡하지 않고, 약 20개 정도의 재무 및 비재무 측정 지표를 포함하며, 간단한 사무용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보고할 수 있다.[51]

그러나 정보 수집, 보고 및 배포 과정은 노동 집약적이며, 여러 개의 균형성과표를 보고해야 하거나 결과 조정이 필요한 경우 개별 보고자가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조직에서는 균형성과표 보고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보고서 생성 및 배포를 자동화한다.[1]

균형성과표 작성에 사용할 수 있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로는 Compiere [http://www.compiere.org]와 BSPG [http://bspg.sourceforge.net/intro/index.html]가 있다.

일반적인 오피스 소프트웨어(스프레드시트, 워드 프로세서, 프레젠테이션 소프트웨어 등)를 이용하여 템플릿을 구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전용 소프트웨어로는 오라클, SAP, 마이크로소프트에서 판매하는 고기능, 고가의 제품이 있다. 저가 소프트웨어로는 「전략창조.light[http://www.e-senryaku.jp/]」가 있으며, 클라우드 기반 시스템인 「e-scorecard [http://e-scorecard.jp/]」도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2GC Balanced Scorecard Usage 2020 Survey https://2gc.eu/resou[...] 2GC Active Management 2021-05-21
[2] 웹사이트 FAQ Answer: What is the Balanced Scorecard? https://2gc.eu/resou[...] 2GC Active Management 2017-07-11
[3] 뉴스 The Balanced Scorecard—Measures that Drive Performance https://hbr.org/1992[...] Harvard Business Review 2020-01-15
[4] 웹사이트 Analog Devices: 1986–1992, The First Balanced Scorecard http://www.schneider[...] Arthur M. Schneiderman 2014-05-28
[5] 논문 The Balanced Scorecard – Measures That Drive Performance Harvard Business Review
[6] 논문 Strategy Execution and the Balanced Scorecard http://hbswk.hbs.edu[...] Harvard Business School Working Knowledge 2017-07-11
[7] 논문 3rd Generation Balanced Scorecard: Evolution of an effective strategic control tool https://2gc.eu/resou[...] International Journal of Productivity and Performance Management 2017-07-11
[8] 논문 The balanced scorecard and tableau de bord: Translating strategy into action Management Accounting
[9] 웹사이트 nolannorton.com http://www.nolannort[...]
[10] 논문 Performance measurement: the Balanced Scorecard approach Journal of Cost Management
[11] 논문 Putting the Balanced Scorecard to Work Harvard Business Review
[12] 서적 The Balanced Scorecard: Translating Strategy into Action https://archive.org/[...]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13] 서적 Strategy and Structure: Chapters in the History of the American Enterprise https://archive.org/[...] The MIT Press
[14] 서적 The Theory of the Growth of the Firm John Wiley and Sons
[15] 서적 The Strategy-Focused Organization: How Balanced Scorecard Companies Thrive in the New Business Environment https://archive.org/[...]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2000-10-01
[16] 서적 Performance Drivers: A practical guide to using the Balanced Scorecard https://archive.org/[...] John Wiley and Sons 1999-02-25
[17] 서적 The Execution Premium: Linking Strategy to Operations https://archive.org/[...]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2008-07-01
[18] 논문 Intelligent Design of Inclusive Growth Strategies https://dash.harvard[...] 2019-10-30
[19] 논문 A multi-method approach to building causal performance maps from expert knowledge Management Accounting Research
[20] 논문 The Balanced Scorecard as a Communication Protocol for Managing Across Intra-Organizational Borders Proceedings from the 12th Annual Conference of the Production and Operations Management Society, Orlando, Florida, USA.
[21] 논문 Improving and evaluating performance with the Public Sector Scorecard http://shura.shu.ac.[...] International Journal of Productivity and Performance Management
[22] 논문 Linking the Balanced Scorecard to Strategy Long Range Planning
[23] 논문 Applying the Balanced Scorecard Concept: An Experience Report Long Range Planning
[24] 논문 The Balanced Scorecard of the Swedish Police Service: 7000 officers in total quality management project Total Quality Management
[25] 논문 The UnBalanced Scorecard: a Social and Environmental Critique Proceedings,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erformance Measurement and Management (PMA2002)
[26] 논문 Strategy Mapping in the Public Sector International Journal of Strategic Management
[27] 논문 Defining, justifying and implementing the Balanced Scorecard in the National Health Service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Marketing
[28] 논문 Communicating and Controlling Strategy: An Empirical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the Balanced Scorecard Journal of Management Accounting Research
[29] 서적 The Performance Prism: The Scorecard for Measuring and Managing Business Success: The Scorecard for Measuring and Managing Stakeholder Relationships Prentice Hall 2002-05-27
[30] 서적 Balanced Scorecard in a Week Hodder & Stoughton 2002-11-29
[31] 서적 Balanced Scorecard Step-by-step: Maximizing Performance and Maintaining Results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2002-04-18
[32] 논문 Developing a Territory Balanced Scorecard approach to manage projects for local development: Two case studies Land Use Policy 2012-07-01
[33] 논문 Using the balanced scorecard to manage performance in public sector organization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Sector Management 2012-01-01
[34] 논문 Using the Public Sector Scorecard in Public Health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Care Quality Assurance 2007-01-01
[35] 논문 Performance measurement tools: The balanced scorecard and the EFQM excellence model Measuring Business Excellence 2003-01-01
[36] 논문 Effective quality management through third-generation balanced scorecard https://www.research[...] 2017-07-11
[37] 웹사이트 How do I link corporate and individual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s? https://2gc.eu/resou[...] 2GC Active Management 2017-07-11
[38] 논문 A framework for designing strategy content controls
[39] 서적 Levers of Control: How Managers Use Innovative Control Systems to Drive Strategic Renewal: How Managers Use Control Systems to Drive Strategic Renewal https://archive.org/[...]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1994-12-01
[40] 논문 Strategic Alignment: A missing link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ategic consensus and organisational performance
[41] 논문 Linking the Balanced Scorecard to Strategy
[42] 논문 Balanced Scorecard and Results-Based Management – Convergent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s https://2gc.eu/resou[...] 2017-07-11
[43] 뉴스 Is your company off course? Now you can find out why. 1997-02-17
[44] 웹사이트 Bain and Company's Management Tools and Trends Survey 2003 http://www.unstoppab[...] Bain & Company 2017-07-11
[45] 웹사이트 Bain and Company's Management Tools and Trends Survey 2013 http://www.bain.com/[...] Bain & Company 2014-05-28
[46] 논문 Why Balanced Scorecards fail
[47] 논문 The balance on the balanced scorecard – a critical analysis of some of its assumptions
[48] 논문 From balanced scorecard to strategic gauges: Is measurement worth it?
[49] 논문 Putting Balance and Validity into the Balanced Scorecard
[50] 논문 Value maximisation, stakeholder theory, and the corporate objective function
[51] 서적 Performance measurement frameworks: a review Cambridge University Press
[52] 논문 Examining Opportunities for Improving Public Sector Governance Through Better Strategic Management https://www.research[...] 2017-07-11
[53] 논문 Analysing BSC and IC's usefulness in non-profit organisations. 2010
[54] 논문 Performance implications of strategic performance measurement in financial services firms https://repository.u[...] 2003
[55] 논문 Multi-level strategic alignment within a complex organisation https://zenodo.org/r[...] 2017-07-11
[56] 논문 Balanced Scorecard implementation in SMEs: reflection in literature and practice https://www.research[...] 2017-07-11
[57] 웹사이트 http://chiefexecutiv[...]
[58] 웹사이트 http://iandco.jp/戦略モ[...]
[59]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