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나이우스 아리우스 안토니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나이우스 아리우스 안토니누스는 아리우스 씨족 출신으로 두 차례 집정관을 지냈으며, 78/79년에는 아시아 속주의 프로콘술이었다. 그는 원로원 의원이자 역사가인 소플리니우스와 친분을 유지했으며,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에서는 네르바 황제 시대에 그를 '올바른 자'로 묘사했다. 안토니누스는 보이오니아 프로킬라와 결혼하여 두 딸을 두었으며, 그의 외손자는 안토니누스 피우스 황제이다. 안토니누스 피우스는 그의 재산을 상속받아 로마에서 가장 부유한 사람 중 한 명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세기 로마인 - 티투스 리비우스
티투스 리비우스는 《로마 건국사》를 저술한 로마의 역사가로, 파타비움에서 태어나 로마에서 활동하며 아우구스투스 황제와 친분을 맺었고, 그의 작품은 로마 영웅주의를 강조하는 서사적 특징을 지닌 라틴 문학의 황금기를 대표하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 1세기 로마인 - 퀸투스 쿠르티우스 루푸스
퀸투스 쿠르티우스 루푸스의 저서는 현존하는 유일한 고대 문헌 자료로, 일부 학자들은 정치적 이유로 그의 생전에는 원고가 출판되지 못하고 사후에 황제가 보관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 몰년 미상 - 미와 와사부로
미와 와사부로는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경찰 관료로, 항일 운동가들을 탄압하여 "염라대왕"이라 불렸으며 조선어에 능통했고, 해방 이후 행적은 불분명하다. - 몰년 미상 - 이태준
이태준은 일제 강점기와 북한에서 활동한 소설가이자 문학평론가로, 섬세한 문체와 서정적인 분위기로 현실을 그린 단편소설들을 발표하여 주목받았으며, 특히 1930년대 〈달밤〉, 〈까마귀〉, 〈복덕방〉 등의 작품으로 한국 단편소설의 미학을 완성했다는 평가를 받지만, 월북 후 숙청되어 정확한 사망 시기와 장소는 알려져 있지 않다.
| 그나이우스 아리우스 안토니누스 | |
|---|---|
| 기본 정보 | |
![]() | |
| 출생 | 서기 1세기 초 |
| 사망 | 서기 69년 이후 |
| 활동 기간 | 서기 1세기 |
| 직업 | 원로원 의원, 정무관 |
| 가문 | 아리아 가문 |
| 생애 | |
| 아버지 | 아리우스 |
| 배우자 | 보니아 |
| 자녀 | 아리우스 안토니누스 아리아 갈리아 |
| 기타 친척 | 아리우스 아피아누스 (손자) 도미티아 롱기나 (외손녀) 티투스 (외손서) 아리아 도미틸라 (증손녀) 플라비우스 가문 |
| 경력 | |
| 원로원 의원 | 서기 1세기 |
| 집정관 | 서기 69년 |
2. 생애
안토니누스는 아리우스 씨족 출신으로, 공직 생활을 하였으며 두 차례 집정관 직을 수행하였다. 첫 번째는 69년에 아울루스 마리우스 켈수스와 함께였고,[6] 두 번째는 97년에 가이우스 칼푸르니우스 피소와 함께였다.[7] 그는 또한 78/79년에 아시아 속주 지역의 프로콘술이었다.[8]
안토니누스는 보이오니아 프로킬라와 혼인하여 아리아 안토니나와 아리아 파딜라 두 딸을 두었다. 안토니누스 피우스는 그의 외손자였다.
안토니누스는 원로원 의원이자 역사가인 소플리니우스와 친구이자 편지를 주고받는 사이였다.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는 네르바가 96년에 황제가 되자 그를 동정하였다면서, 안토니누스를 ‘올바른 자’로 묘사하였다.[9] John Grainger는 “그는 T. 아우렐리우스 풀부스, P. 율리우스 루푸스, M. 안니우스 베루스 등이 포함되었고 갈리아 나르보넨시스를 중점으로 하고 스페인 지역에 퍼져있던 강력한 귀족 공동체 내에서 유력한 인물이었다."라고 하였다.[10]
3. 가계
3. 1. 아리아 파딜라와 안토니누스 피우스
안토니누스는 보이오니아 프로킬라와 혼인하여 아리아 안토니나와 아리아 파딜라 두 딸을 두었다. 파딜라는 89년에 직권집정관을 지낸 티투스 아우렐리우스 풀부와 혼인하였으며, 이들 사이에는 티투스 아우렐리우스 풀부스 아리우스 안토니누스라는 아들이 하나 있었는데, 이 아들이 바로 훗날 황제(재위 138-161년)가 되었다. 안토니누스 피우스의 아버지는 그가 어렸을 때 사망하였다. 풀부스가 죽은 뒤, 파딜라는 98년에 보조집정관을 지낸 푸블리우스 율리우스 루푸스와 혼인하여 율리아 파딜라와 아리아 루풀라 두 딸을 낳았다.[1]
안토니누스는 외손자를 길렀고, 그가 사망하자 안토니누스 피우스가 그의 재산을 상속받았다. 양쪽 상속을 통해 안토니누스 피우스는 로마에서 가장 부유한 사람 중 한 명이 되었다.[1]
3. 2. 안토니누스 피우스의 상속
안토니누스는 외손자 안토니누스 피우스를 길렀고, 그가 사망하자 안토니누스 피우스가 그의 재산을 상속받았다. 양쪽의 상속을 통해 안토니누스 피우스는 로마에서 가장 부유한 사람 중 한 명이 되었다.[4]
참조
[1]
논문
The Consuls of A. D. 69/70
https://www.jstor.or[...]
1962
[2]
논문
I consoli del 97 d. Cr. in due framenti gia' editi dei Fasti Ostienses
https://www.jstor.or[...]
1973
[3]
간행물
Jahres- und Provinzialfasten der senatorischen Statthalter von 69/70 bis 138/139
1982
[4]
서적
Antoninus Pius
[5]
서적
Nerva and the Roman succession crisis of AD 96-99
Routledge
2004
[6]
논문
The Consuls of A. D. 69/70
https://www.jstor.or[...]
1962
[7]
논문
I consoli del 97 d. Cr. in due framenti gia' editi dei Fasti Ostienses
https://www.jstor.or[...]
1973
[8]
간행물
Jahres- und Provinzialfasten der senatorischen Statthalter von 69/70 bis 138/139
1982
[9]
서적
Antoninus Pius
[10]
서적
Nerva and the Roman succession crisis of AD 96-99
Routledge
2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