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레임 시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레임 시걸은 호모토피 이론과 타원 코호몰로지 분야에 기여한 수학자이다. 시드니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마이클 아티야의 지도 아래 등변 K-이론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다. 시걸 추측을 공식화했으며, 무한 루프 공간에 대한 접근법을 제시했다. 1970년과 1990년 국제 수학자 회의에서 초청 연사로 참여했으며, 왕립 학회 회원, 실베스터 메달 수상, 런던 수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옥스퍼드 대학교 세인트캐서린스 칼리지 동문 - 베나지르 부토
베나지르 부토는 파키스탄 최초의 여성 총리이자 최연소 총리로, 파키스탄 인민당을 이끌며 두 차례 총리에 취임했으나 부정부패 혐의로 해임되었고, 귀국 후 암살당해 파키스탄 민주주의와 여성 정치 참여에 대한 논쟁을 야기했다. - 옥스퍼드 대학교 세인트캐서린스 칼리지 동문 - 존 콘포스
존 콘포스는 오스트레일리아 출신 유기화학자로, 페니실린 연구와 스테로이드 생합성 경로 규명에 기여한 공로로 1975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으며, 그의 이름을 딴 콘포스 전위와 콘포스 시약이 화학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 옥스퍼드 대학교 올소울스 칼리지 교수 - 존 힉스
존 힉스는 20세기 경제학의 중요한 인물로서, 『가치와 자본』을 통해 미시경제학의 기초를 다지고 IS-LM 모형으로 거시경제학에 큰 영향을 미쳐 1972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 옥스퍼드 대학교 올소울스 칼리지 교수 - 윌리엄 블랙스톤
윌리엄 블랙스톤은 1723년에 태어나 1780년에 사망한 영국의 법학자이자 법관이며, 《잉글랜드 법 해설》을 저술하여 영국과 미국의 법률 교육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영국의 수학자 - 에이다 러브레이스
에이다 러브레이스는 영국의 귀족이자 수학자로, 찰스 배비지의 해석기관 연구를 통해 최초의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여겨지는 베르누이 수 계산 알고리즘을 고안하고 해석기관의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 선구자이다. - 영국의 수학자 - 막스 보른
독일의 이론물리학자 막스 보른은 양자역학의 확률 해석을 확립하고 보른-오펜하이머 근사를 개발했으며, 결정 격자 동역학 연구에 기여했고, 나치 박해를 피해 망명 후 핵무기 반대 운동에 참여했다.
그레임 시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그레임 브라이스 시걸 |
출생일 | 1941년 12월 21일 |
출생지 | 시드니 |
국적 |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
배우자 | 마리나 워너 |
학력 | |
모교 | 시드니 대학교, 세인트 캐서린 칼리지, 세인트 존스 칼리지, 올 소울즈 칼리지 |
박사 지도 교수 | 마이클 아티야 |
박사 학위 논문 제목 | 등변 K-이론 (Equivariant K-theory) |
박사 학위 취득 년도 | 1967년 |
경력 | |
근무 기관 | 세인트 존스 칼리지, 올 소울즈 칼리지 |
업적 | |
알려진 업적 | 아티야-시걸 완결 정리(Atiyah–Segal completion theorem), 시걸 추측(Segal conjecture) |
수상 | |
수상 내역 | 폴리아 상 (1990년), 실베스터 메달 (2010년) |
학회 회원 | 왕립 학회 회원 (1982년) |
2. 생애
시드니에서 태어났다. 1990년부터 1999년까지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로우니언 천문학 및 기하학 교수였다. 작가 마리나 워너와 결혼하여 런던에 거주한다.
2. 1. 학력 및 초기 경력
시드니에서 태어나 시드니 대학교에서 1961년 학사 학위(BSc)를 받았다. 1967년 옥스퍼드 대학교 세인트 캐서린 칼리지(St Catherine’s College)에서 마이클 아티야 지도 아래 동변(equivariant) 위상 K이론에 대한 논문으로 박사 학위(DPhil)를 받았다.[1] 그의 논문은 등변 K-이론 분야에 관한 것이었으며, 이 분야의 아티야-시걸 완비 정리는 그가 공식화한 시걸 추측의 주요 동기였다.[3]2. 2. 주요 연구 업적
시걸은 시드니 대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1961년에 이학사 학위를 받았다. 1967년 세인트 캐서린 칼리지, 옥스퍼드에서 D.Phil. 학위를 받았다. 지도교수는 마이클 아티야였으며, 논문은 "Equivariant K-theory"였다.[1]그의 논문은 등변 K-이론 분야에 관한 것이었다. 이 분야의 아티야-시걸 완비 정리는 그가 공식화한 시걸 추측의 주요 동기였다. 그는 호모토피 이론에 지난 40년 동안 많은 기여를 했으며, 무한 루프 공간에 대한 접근법을 제시했다. 또한 타원 코호몰로지의 선구자였으며, 이는 위상 양자장론에 대한 그의 관심과 관련이 있다.[1]
시걸은 1970년 국제 수학자 회의에서 초청 연사로 참여했으며, 1990년 교토에서도 연사로 초청되었다.[1] 1982년 왕립 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으며, 올 소울스 칼리지, 옥스퍼드의 명예 펠로우였다.[1] 2010년 왕립 학회로부터 실베스터 메달을 수상했다.[1]
2. 3. 학회 활동 및 수상 경력
1970년 국제 수학자 회의에서 초청 연사로 참여했으며, 1990년 교토에서도 연사로 초청되었다.[4] 1982년 왕립 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으며,[1] 2010년 실베스터 메달을 수여받았다.[1][4] 2011년 런던 수학회 회장이 되었다.[1][5]2. 4. 개인적인 삶
시걸은 시드니 대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1961년에 이학사 학위를 받았다. 1967년에는 세인트 캐서린 칼리지, 옥스퍼드에서 마이클 아티야의 지도로 "Equivariant K-theory" 논문을 통해 D.Phil. 학위를 받았다.[1]작가 마리나 워너와 결혼하여 런던에 거주한다.[1]
3. 저서
참조
[1]
웹사이트
Dr Graeme Segal – All Souls College Oxford
https://www.asc.ox.a[...]
[2]
웹사이트
Fellows of the Royal Society
http://royalsociety.[...]
Royal Society
2011-12-14
[3]
간행물
Equivariant stable homotopy theory.
http://www.mathunion[...]
1970
[4]
간행물
Geometric aspects of quantum field theory.
http://www.mathunion[...]
1990
[5]
웹사이트
Graeme Segal wins Sylvester Medal
http://www.all-souls[...]
All Souls College, Oxford
2010-06-09
[6]
웹사이트
The Sylvester Medal
http://royalsociety.[...]
The Royal Society
2010-10-12
[7]
학술지
Interview – Marina Warner
https://www.theguard[...]
2021-03-06
[8]
웹인용
Fellows of the Royal Sociey
http://royalsociety.[...]
Royal Society
2011-12-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