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극동 군사해상운송사령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극동 군사해상운송사령부는 1950년 6.25 전쟁 발발 후 수송 업무 효율화를 위해 서태평양 군사해상운송근무대로 일본 요코하마에서 창설되었다. 이후 극동 군사해상운송근무대, 극동 군사해상운송사령부, 극동 해상운송군수사령부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2011년에 현재 명칭으로 환원되었다. 지휘부는 Captain, Commander, 그리고 Petty Officer 계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MSC 일본, MSC 사무소 오키나와, MSCO 대한민국 등 예하 부대를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싱가포르 - 싱가포르군
    싱가포르군은 1965년 독립 후 창설되어 징병제를 통해 병력을 충원하며, 육군, 해군, 공군, 디지털 및 정보통신군으로 구성된 동남아시아에서 기술적으로 가장 진보된 군대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 미국 해군의 사령부 - 미국 유럽-아프리카 해군
    미국 유럽-아프리카 해군은 유럽 및 아프리카 해역에서 활동하는 미국 해군의 부대로,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유럽 해역 작전부대로 처음 편성되어 냉전 시대를 거치며 변화를 겪다가 2016년 현재의 체제를 갖추었으며, 주요 구성 부대로는 미국 제6함대가 있다.
  • 미국 해군의 사령부 - 미국 함대전력사령부
    미국 함대전력사령부는 1906년 창설된 대서양 함대를 기원으로 하며, 예하 부대 훈련 및 미국 본토 방위 역할을 수행하고, 대서양 함대 사령관이 사령관을 겸임한다.
  • 1950년 설립된 단체 - 국립국악원
    국립국악원은 신라시대 음성서에 뿌리를 둔 한국 대표 국악 기관으로, 조선시대 장악원의 후신이며, 국악 공연, 연구, 교육, 국제 교류, 그리고 전국 국악원 운영을 통해 국악의 전승과 발전에 기여한다.
  • 1950년 설립된 단체 - 유럽 방송 연맹
    유럽 방송 연맹은 1950년 설립된 국제 방송 연합으로, 프로그램 교류, 기술적 분쟁 중재, 기술 정보 제공 등을 주요 활동으로 하며,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와 같은 행사를 주최한다.
극동 군사해상운송사령부
극동 군사해상운송사령부
앰블럼
앰블럼
원어 이름Military Sealift Command, Far East
약칭MSCFE
활동 기간1950년 ~ 현재
국가미국
소속미국 해군
명령 체계군사해상운송사령부
본부싱가포르 PSA Sembawang Wharves
표어We Deliver
표어 설명우린 전달한다
마스코트머라이언
참전

2. 역사

극동 군사해상운송사령부는 여러 차례 명칭이 변경되었다. 연도별 명칭은 다음과 같다.

1950년1969년1970년2006년 7월2011년 3월
Military Sea Transportation Service, Western Pacific (MSTWP)|서태평양 군사해상운송근무대영어Military Sea Transportation Service, Far East (MSTS FE)|극동 군사해상운송근무대영어Military Sealift Command, Far East (MSCFE)|극동 군사해상운송사령부영어Sealift Logistics Command, Far East(SLCFE)|극동 해상운송군수사령부영어Military Sealift Command, Far East (MSCFE)|극동 군사해상운송사령부영어

[1]

2. 1. 창설과 한국 전쟁

1950년 6.25 전쟁이 발발하자, 급격히 늘어난 수송 업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군사해상운송근무대 산하 '서태평양 군사해상운송근무대'가 일본 요코하마 북부선착장에서 창설되었다. 이 부대는 군정임무 중 선발대로 지정된 제24보병사단을 7월 6일에 부산항으로 운송하였다.[1]

2. 2. 냉전 시대

1950년, 6.25 전쟁이 발발하자 급격히 늘어난 수송 업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군사해상운송근무대 산하 조직인 ''서태평양 군사해상운송근무대''(Military Sea Transportation Service, Western Pacific|밀리터리 씨 트랜스포테이션 서비스, 웨스턴 퍼시픽영어)가 일본 요코하마 북부선착장에서 창설되었다. 군정임무 중에 선발부대로 지정된 제24보병사단을 7월 6일에 부산항으로 운송하였다.[1]

1969년, ''극동 군사해상운송근무대''(Military Sea Transportation Service, Far East|밀리터리 씨 트랜스포테이션 서비스, 파 이스트영어)로 개명되었다.[1]

1970년, ''극동 군사해상운송사령부''(Military Sealift Command, Far East|밀리터리 실리프트 커맨드, 파 이스트영어)로 개명되었다.[1]

2006년 7월, MSC의 전체개혁조치에 따라 ''극동 해상운송군수사령부''(Sealift Logistics Command, Far East|실리프트 로지스틱스 커맨드, 파 이스트영어)로 개명되고, 싱가포르로 이전하였다.[1]

MSC 사령관의 조직 검토 결과로 2011년 3월에 이전 이름인 ''극동 군사해상운송사령부''로 되돌려졌다.[1]

2. 3. 현대

1950년, 6.25 전쟁이 발발하여 급격하게 늘어난 많은 수송업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군사해상운송근무대 산하 조직인 ''Military Sea Transportation Service, Western Pacific (MSTWP)|서태평양 군사해상운송근무대영어''로서 일본 요코하마 북부선착장에서 창설되었다. 군정임무 중에 선발부대로 지정된 제24보병사단을 7월 6일에 부산항으로 운송하였다.[1]

1969년, ''Military Sea Transportation Service, Far East (MSTS FE)|극동 군사해상운송근무대영어''로 개명되었다.[1]

1970년, ''Military Sealift Command, Far East (MSCFE)|극동 군사해상운송사령부영어''로 개명되었다.[1]

2006년 7월, MSC의 전체개혁조치에 따라 ''Sealift Logistics Command, Far East(SLCFE)|극동 해상운송군수사령부영어''로 개명되고, 싱가포르로 이전하였다.[1]

MSC 사령관의 조직 검토 결과로 2011년 3월에 이전 이름인 ''Military Sealift Command, Far East (MSCFE)|극동 군사해상운송사령부영어''로 되돌려졌다.[1]

1950년1969년1970년2006년 7월2011년 3월
Military Sea Transportation Service, Western Pacific (MSTWP)|서태평양 군사해상운송근무대영어Military Sea Transportation Service, Far East (MSTS FE)|극동 군사해상운송근무대영어Military Sealift Command, Far East (MSCFE)|극동 군사해상운송사령부영어Sealift Logistics Command, Far East(SLCFE)|극동 해상운송군수사령부영어Military Sealift Command, Far East (MSCFE)|극동 군사해상운송사령부영어


3. 조직

극동 군사해상운송사령부의 조직은 다음과 같다.

부대설립일위치
MSC 일본2006년 7월[2]요코하마 북부선착장
MSCO영어 오키나와1953년 1월 1일[3]나하 항만시설
MSCO영어 대한민국1950년[4]부산 해군기지, 부산 제8부두
MSCO영어 디에고가르시아1984년[5]디에고가르시아 해군지원시설
SSU영어불명불명
SSU영어 싱가포르불명PSA Sembawang Wharves
SSU영어 요코하마불명[6]요코하마 북부선착장
제2해상선위치선박전대디에고가르시아 해군지원시설
제3해상선위치선박전대괌 해군기지


3. 1. 지휘부

주어진 자료에는 극동 군사해상운송사령부의 지휘부에 대한 정보가 없다.

3. 2. 참모

직책설명
행정
카운슬
인적 자원
공보
작전 (N3+)
군수 (N4+)
통신 (N6+)
재무관리 (N8+)


3. 3. 예하 부대

참조

[1] 저널 The U.S. Navy’s MILITARY SEALIFT COMMAND Standard Operating Manual https://imlive.s3.am[...] 2024-06-08
[2] 웹인용 Military Sealift Command’s leadership at Yokohama operations hub changes hands during ceremony https://www.dvidshub[...] 2024-06-08
[3] 웹인용 Military Sealift Command Office Okinawa https://web.archive.[...] 2024-06-08
[4] 웹인용 Military Sealift Command Office Korea https://web.archive.[...] 2024-06-08
[5] 웹인용 Military Sealift Command Office Diego Garcia https://web.archive.[...] 2024-06-08
[6] 웹인용 Military Sealift Command Office Yokohama https://web.archive.[...] 2024-06-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