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싱가포르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싱가포르군은 싱가포르의 주권과 영토를 보호하고, 역내 평화와 안보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군대이다. 1965년 독립 이후 이스라엘의 지원을 받아 창설되었으며, 징병제를 통해 병력을 유지한다. 육군, 해군, 공군, 디지털 인텔리전스 서비스로 구성되며, 최신 무기 체계를 갖추고 있다. 주요 국방 전략으로는 '독새우' 전략, '호저' 전략, 총체적 방위 전략을 거쳐왔으며, 파이브 파워 국방 협정 회원국으로서 영국, 호주 등과 협력하고, 미국과 군사 협력을 통해 국제적인 인도주의적 지원 임무에도 참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싱가포르-영국 관계 - 5개국 방위 협정
    5개국 방위 협정은 1971년 오스트레일리아, 말레이시아, 뉴질랜드, 싱가포르, 영국이 체결한 안보 협정으로, 회원국들은 상호 협의를 통해 공동 대응을 약속하며 군사 협력 및 상호 운용성을 강화하고 사이버 보안 및 우주 안보 등 새로운 위협에 대한 공동 대응 능력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 싱가포르의 군사 - 싱가포르 공군
    싱가포르 공군은 동남아시아 최고 수준의 공군력을 보유하고, F-15SG 전투기를 중심으로 뛰어난 전투력을 자랑하며, 국제 군사 작전 참여 및 꾸준한 현대화를 통해 전력 증강을 지속하고 있다.
싱가포르군
개요
싱가포르군 휘장
싱가포르군 휘장
싱가포르군 깃발
싱가포르군 깃발
국가싱가포르
창설일1965년 8월 9일
현재 형태1972년 6월 15일
표어양 페르타마 단 우타마 (Yang Pertama dan Utama)
표어 (번역)최초이자 최우선 (The First and Foremost)
본부싱가포르
병역 연령17세 (부모 동의 하), 18세 (동의 없이 전투 복무 가능)
징병 기간22–24개월
지휘부
최고 통수권자타르만 샨무가라트남
최고 통수권자 직함싱가포르의 대통령
국방부 장관응 엥 헨
국방부 장관 소속싱가포르 국방부
국방 참모총장아론 벵 VADM
국방 참모총장 직함국방 참모총장 (싱가포르)
사병 주임 원사추아 혹 관 (Chua Hock Guan)
사병 주임 원사 직함싱가포르군 주임 원사
병력 현황
동원 가능 인력 (남성)1,255,902명 이상
복무 적합 인력 (남성)2,105,973명 이상
징병 가능 인력 (남성, 매년)52,466명 이상
현역 병력51,000명
예비군 병력252,500명
재정
국방 예산(2023 회계연도)
구성군
군종싱가포르 육군
싱가포르 해군
싱가포르 공군
디지털 및 정보 서비스 (싱가포르)
군수
해외 공급 업체미국
독일
프랑스
스페인
이스라엘
유럽 연합
대한민국
영국
국내 공급 업체ST 엔지니어링
ST 키네틱스
ST 에어로스페이스
ST 마린
ST 일렉트로닉스
ST 다이내믹스
역사
관련 항목싱가포르의 군사 역사
계급
관련 항목싱가포르군의 계급

2. 역사

싱가포르는 파이브 파워 국방 협정 회원국으로, 영국, 호주, 뉴질랜드, 말레이시아와 함께한다. 이 협정은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에 대한 외부 위협 발생 시 회원국 간 협의 의무를 규정하며, 말레이시아 부터워스에 통합 방공 시스템을 구축하여 5개국 장교들이 본부에 배치되어 있다.

1975년 장징궈 중화민국 총통과 리콴유 싱가포르 총리는 싱가포르군이 대만에서 훈련을 실시하는 "별빛 계획"(星光計畫, Hsing Kuang) 협정을 체결했다. 이 훈련에는 최대 10,000명이 참여하며, 장교들에게 전쟁 상황 시뮬레이션 및 대규모 작전 지휘 경험을 제공한다.[48]

싱가포르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 미군 주둔을 지지해왔다.[49] 1990년 양국은 양해 각서(MOU)를 체결, 미국은 파야 레바 공군 기지와 셈바왕 부두를 이용하게 되었다. 1992년 미 해군 물류 부대가 싱가포르에 설립, 미군 전투기 훈련 및 선박 방문이 이루어진다. 제73 기동부대/서태평양 물류사령관은 셈바왕에 위치한다. 1999년 MOU 수정으로 2001년 완공된 창이 해군 기지에 미 해군 선박 정박이 가능해졌다.

싱가포르는 국제 인도주의적 지원 임무에도 국방 자원을 활용했다. 코소보, 쿠웨이트, 동티모르유엔 평화 유지 임무,[50] 다국적군 – 이라크 참여,[51]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 후 인도네시아 지원, 허리케인 카트리나 후 미국 지원, 네팔 지진, 아프가니스탄 지원 등에 군사 장비와 인력을 파견했다.[52] 싱가포르 해군은 25개국 연합 연합 해군 일원으로 소말리아 아덴만 해적 퇴치에 기여하며, SAF 최고위 장교 일부는 해외 작전 경험을 보유한다.[53][54] 싱가포르는 ISIS 격퇴 연합에 참여한 유일한 아시아 국가로, 2017년 5월부터 갈란트 피닉스 작전에 참여했다.

싱가포르 공군 부대 다수는 해외에 위치한다. 제130 비행대(호주),[55] 제150 비행대(프랑스),[56] 제425 비행대 및 제428 비행대(미국) 등이 있다.[57][58] 2009년부터 매년 최대 90명이 독일 베르겐-호네 훈련장 등에서 최대 7주간 훈련받는다.[59]

2. 1. 독립 이전

싱가포르국가로 독립하기 전, 영국 식민군이 싱가포르를 방어했다.[10]

싱가포르 의용 소총대(SVRC)는 1854년 총독이 초대 대령을 맡는 사설 조직으로 처음 창설되었으며, 1857년에 관보에 게재되었다. 그러나 SVRC 참여는 저조했고, 대신 포병대를 창설하기 위해 1887년 12월 16일에 해산되었다.[11] 1888년에 싱가포르 주변의 포진지를 운용하기 위해 창설된 싱가포르 의용 포병대(SVA)는,[11] 싱가포르군 포병 부대의 전신으로도 여겨진다.[12] 1901년에는 중국 보병 중대, 유라시아 보병 중대, 싱가포르 의용 공병대를 포함한 추가적인 비포병 부대가 창설되었으며, 이로 인해 부대는 싱가포르 의용군(SVC)으로 개칭되었다. 이 부대는 1915년 싱가포르 반란 진압을 지원했다. 1921년, SVC는 해협 식민지 의용군(SSVF)으로 말라카와 페낭의 다른 의용군과 통합되었다.[11]

제2차 세계 대전 중, 싱가포르의 의용 군사력은 막대한 피해를 입었고, 1949년에 재건되었다.[10]

2. 2. 독립 이후

1965년 8월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 분리를 알리는 기사


싱가포르군은 영국군의 일부로 운용되다가 1957년 말레이시아 자치정부 수립 후 연방군에 통합되어 운용되었다. 1963년 말레이시아는 싱가포르 지역 정규군과 자원대로 보병여단을 창설하였다.[89] 1965년 싱가포르를 공화국으로 공표하며 독립국가임을 알렸지만, 내부는 그렇지 않았다. 독립국가로서 스스로 방위할 수 있는 무력은 경찰 일부뿐이었다. 당시 말레이시아는 싱가포르를 무력으로 공격할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었다. 리콴유는 "영연방 군대가 싱가포르에 있는 동안에는 말레이시아가 우리를 공격하지 않을 것"이라고 회고한 것을 보면 말레이시아의 공격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90] 싱가포르 독립 이후에도 여전히 말레이시아 연방 소속 제1, 2 보병연대가 머물러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장 시급한 것은 싱가포르 국군을 창설하는 것이었다.[91]

1965년 8월 싱가포르는 말레이시아 연방으로부터 분리하였다. 1966년 리콴유이스라엘 사절단의 도움을 받아 군을 창설하는데 성공했다. 이때 이스라엘 군사 자문하에 싱가포르 시민군과 예비군 개념을 도입하고 군사를 조직하고 훈련했다. 1969년 2개 여단과 6개 현역 보병대대를 창설했고, 1971년 영연방 5개국 방위협정(FPDA)를 체결했다.[89]

리콴유는 군대의 운영원칙에 '평등'을 가장 우선시했다. 첫째로 싱가포르의 남자는 부모의 신분이나 지위에 관계없이 군대에 갔다 와야 한다는 '국가병역제도' 징병제를 실시했다. 둘째로 모든 민족이 인종이나 언어, 종교와 상관없이 평등하도록 모든 종교의식을 존중했다. 민족 출신에 따라 다른 언어로 인해 의사소통 문제가 대두되자, 군 공식 언어로 영어를 채택하였고, 이는 싱가포르의 공용어로 안착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91]

1965년 이스라엘 군사 자문단이 싱가포르에 도착하여 이후 9년 동안 이 나라에 머물렀다. 이스라엘 군사 자문단의 지도 아래 싱가포르군(SAF)은 조직, 교리, 훈련, 장비 및 병기를 구축했다. 싱가포르군은 징병제와 막대한 공공 지출의 혜택을 받았다. 1970년대 중반, 싱가포르군은 정규 군인, 징집 군인 및 예비군 군인을 포함하여 30만 명의 병력을 보유했다. 싱가포르군의 정치적 목적은 역사적으로 싱가포르에 적대적인 두 이웃 국가에 대한 합리적인 억지력을 제시하는 것이었다.[13] 싱가포르는 1970년대 중반 경전차, M113 장갑차, A-4 스카이호크, F-5 전투기를 구매하면서 "지구상에서 가장 무장한 국가"로 알려지게 되었다.[14]

1980년대 싱가포르군은 싱가포르의 해상 생명선을 방어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기 위해 무장했다.[15] 1980년대 중반 싱가포르는 8대의 F-16 전폭기를 구매하여 싱가포르군을 동남아시아에서 독보적인 위치로 유지하려는 의도를 보여주었다.[14] 1990년대 초 싱가포르군은 해상 1,000마일까지 싱가포르를 방어하고 필요한 경우 이 지역의 모든 분쟁에 대응할 수 있는 군사력을 갖추었다.[13]

싱가포르는 "동남아시아 최고의 공군과 해군을 보유한 군사 강국"으로 묘사되어 왔다.[16] 싱가포르의 부는 최고급 장비를 획득하고 제작할 수 있게 해주며, 첨단 기술 장비를 국가 군대에 통합할 수 있게 한다.[16] 싱가포르군(SAF)은 또한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 국가 중 가장 기술적으로 진보된 군대"라고 불린다.[17]

최근의 주요 사례는 싱가포르가 록히드 마틴의 F-35B Joint Strike Fighter 4대를 인수하기로 결정한 것이며, 이는 미국 의회의 승인을 받았고, 추가로 8대 이상을 더 인수할 수 있는 옵션이 있다.[18][19] 이 인수는 "싱가포르가 이 지역에서 가장 진보된 전투기 전력을 운용하게 될 것"이며, 이는 미국과의 안보 관계를 반영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19] 또한 싱가포르는 "매우 높은 수준의 역량으로 작동"하고 "모두 하나의 응집력 있는 전투 부대로 통합"된 기술적 정교함과 장비를 통해 동남아시아의 다른 모든 국가들과 차별화된다.[16]

국군의 날은 매년 7월 1일에 싱가포르군에 의해 기념되며, SAFTI 군사 훈련소에서 퍼레이드가 열린다.

2018년 7월 1일, 응엥헨 국방부 장관은 싱가포르군이 무기고를 개편하여 현재의 3세대 기술에서 차세대 4세대 기술로 전환할 것이라고 발표했다.[20] 2019년 2월 27일, 2017년 이후 18개월 만에 훈련 관련 사망 사고로 알로이시우스 팡이 사망한 후 군 전체에서 안전 프로토콜이 적용되고 시행되도록 하기 위해 국군 감찰관 사무실이 설치되었다.[21]

3. 국방 정책

싱가포르의 국방 목표는 싱가포르의 주권영토를 보호하고 역내 평화와 안보에 기여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방위력과 억제력을 견지하는 것이다. 자국 방위산업 육성 및 주변국과 비대칭적인 서방의 최신 무기 체계 도입을 통해 억제력을 증대하고 있다. 외교로 안보를 담보하기 위해 아세안·ARF 등 다자안보 체제 내의 지역안보 협의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싱가포르 국방부는 다음 3가지 국방정책 목표를 제시했다.

# 주권영토의 통합성 수호

# 평화와 안정의 향유 보장

# 지역의 평화와 안전에 기여

국방정책 목표 달성을 위해 '외교와 억지(Diplomacy and Deterrence)'를 국방정책의 양대 축으로 삼았다. 핵심 임무로서 평시 방위력과 작전태세의 유지를 통한 전쟁 억지, 유사시 신속하고 결정적인 승리 달성을 명시하였다.

싱가포르의 안보, 국방정책 기조는 자국의 생존을 위협할 수 있는 어떠한 유형과 수준의 분쟁도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최선이며,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외교를 통한 평화적 해결뿐만 아니라 군사력 운용 및 발전에도 주력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준다.

건국 초기 싱가포르 국방당국은 '독새우'(Poisonous shrimp)라는 별칭의 군사전략 노선을 채택했었다. 이는 크기와 힘이 작은 새우를 잡아먹으려다가 강대국도 크게 다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한 것이다.[88]

싱가포르가 지원한 아프가니스탄 바미안 지역 보건 훈련 센터 부지에서 현지 계약업체와 대화하는 싱가포르군 병사들


억지력과 외교는 싱가포르 군사 방위 정책의 근본적인 원칙이다. 수년간 싱가포르군은 다른 국가의 군대와 광범위한 관계를 발전시켜 왔다. 최근 몇 년 동안에는 평화 유지 및 국제적인 비상 구호 작전에 대한 강조도 증가했다. 싱가포르군의 아프가니스탄, 동티모르, 페르시아만에서의 평화 유지 작전, 2004년 인도양 지진, 2005년 니아스-시믈루에 지진, 2006년 욕야카르타 지진, 허리케인 카트리나, 2008년 쓰촨 지진 등에서의 재난 대응 기여는 주목할 만하다.

싱가포르의 군사 장비 지출은 싱가포르군이 방어적이고 패배주의적인 "독이 든 새우" 전략에서 지속적인 경제 성장과 함께 전진 방어 군사 전략으로 발전할 수 있게 했다. 1980년대부터 싱가포르 정부는 싱가포르군을 육상에서의 재래식 전쟁이 가능한 현대적이고 기술적으로 숙련된 군대로 유지해 왔다.[14] 싱가포르군의 공식적인 사명 선언은 "억지력과 외교를 통해 싱가포르의 평화와 안보를 증진하고, 만약 이것들이 실패할 경우 침략자에 대한 신속하고 결정적인 승리를 확보하는 것"이다.[33]

싱가포르의 주요 이웃인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와 종교적, 민족적 유대감을 공유하는 말레이족에 대한 싱가포르군의 정책은 수년간 논란의 원인이 되어 왔다. 말레이족은 1967년 징병이 시작된 이래 1977년까지 사실상 징병에서 제외되었으며, 이 정책이 완화된 후에는 주로 싱가포르 경찰청과 싱가포르 민방위군에서 복무하도록 배정되었으며, 실제 전투 역할은 맡지 않았다.[34]

1987년, 리센룽 (당시 국방부 제2장관)은 "만약 분쟁이 발생하고 싱가포르군이 조국을 방어하라는 요청을 받는다면, 우리는 군인 중 누구라도 국가에 대한 감정이 그의 종교와 충돌할 수 있는 어려운 상황에 처하게 하고 싶지 않다"라고 말했다.[35] 군사 분석가 션 월시는 "말레이족에 대한 공식적인 차별은 공공연한 비밀로 남아 있다"고 주장했다.[38] 국방부는 "말레이족 조종사, 특공대원, 방공 병력이 있다"는 점을 언급하며 이 주장에 이의를 제기하고, "전문가 및 장교 훈련을 위해 선발된 자격을 갖춘 말레이족의 비율은 자격을 갖춘 비말레이족의 비율과 유사하다"고 밝혔다.[36]

4. 안보 환경

싱가포르군(SAF)이 직면하는 국가안보 문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첫째, 지리적으로 가까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의 존재이다. 싱가포르는 건국 직후 이들 국가와 외교 관계를 맺고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아세안) 및 5개국 방위 협정(FPDA)에 참여했다.

그러나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 내에서 화교에 대한 반감이 높아 이들 국가가 안보 위협으로 남을 가능성이 있다. 화교가 다수인 싱가포르는 이질적인 존재로 여겨지며, 페드라브랑카 섬 영유권 분쟁도 있었다.

둘째, 믈라카 해협의 지정학적 중요성이다. 믈라카 해협을 통과하는 선박이 많아 해협 분쟁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해상 분쟁은 싱가포르 안보에 치명적 위협이 될 수 있다.[92]

5. 안보 전략

억지력과 외교는 싱가포르 군사 방위 정책의 근본적인 원칙이다.[33] 수년간 싱가포르군은 다른 국가의 군대와 광범위한 관계를 발전시켜 왔다. 최근에는 평화 유지 및 국제적인 비상 구호 작전에 대한 강조도 증가했다. 싱가포르군은 아프가니스탄, 동티모르, 페르시아만에서의 평화 유지 작전에 참여했고, 2004년 인도양 지진, 2005년 니아스-시믈루에 지진, 2006년 욕야카르타 지진, 허리케인 카트리나, 2008년 쓰촨 지진 등에서의 재난 대응에도 기여했다.

싱가포르는 "동남아시아 최고의 공군과 해군을 보유한 군사 강국"이자[16]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 국가 중 가장 기술적으로 진보된 군대"로 묘사된다.[17] 싱가포르의 부는 최고급 장비를 획득하고 제작하며, 첨단 기술 장비를 국가 군대에 통합할 수 있게 한다.[16]

1965년 이스라엘 군사 자문단의 지도 아래 싱가포르군은 조직, 교리, 훈련, 장비 및 병기를 구축했다.[13] 징병제와 막대한 공공 지출 덕분에 1970년대 중반에는 정규 군인, 징집 군인, 예비군을 포함하여 30만 명의 병력을 보유하게 되었다. 싱가포르군은 역사적으로 싱가포르에 적대적인 두 이웃 국가에 대한 합리적인 억지력을 목표로 했다.[13] 1970년대 중반 싱가포르는 경전차, M113 장갑차, A-4 스카이호크, F-5 전투기를 구매하면서 "지구상에서 가장 무장한 국가"로 알려졌다.[14]

1980년대 싱가포르군은 싱가포르의 해상 생명선을 방어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기 위해 무장했다.[15] 1980년대 중반에는 8대의 F-16 전폭기를 구매하여 동남아시아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유지하려는 의도를 보였다.[14] 1990년대 초 싱가포르군은 해상 1,000마일까지 싱가포르를 방어하고 필요한 경우 이 지역의 모든 분쟁에 대응할 수 있는 군사력을 갖추었다.[13]

최근 싱가포르는 록히드 마틴의 F-35B Joint Strike Fighter 4대를 인수하기로 결정했으며, 미국 의회의 승인을 받았고, 추가로 8대 이상을 더 인수할 수 있는 옵션이 있다.[18][19] 이 인수는 "싱가포르가 이 지역에서 가장 진보된 전투기 전력을 운용하게 될 것"이며, 미국과의 안보 관계를 반영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19]

싱가포르의 군사 장비 지출은 싱가포르군이 방어적이고 패배주의적인 "독새우" 전략에서 벗어나, 지속적인 경제 성장과 함께 전진 방어 군사 전략으로 발전할 수 있게 했다. 1980년대부터 싱가포르 정부는 싱가포르군을 육상에서의 재래식 전쟁이 가능한 현대적이고 기술적으로 숙련된 군대로 유지해 왔다.[14] 싱가포르군의 공식적인 사명 선언은 "억지력과 외교를 통해 싱가포르의 평화와 안보를 증진하고, 만약 이것들이 실패할 경우 침략자에 대한 신속하고 결정적인 승리를 확보하는 것"이다.[33]

2018년 7월 1일, 응엥헨 국방부 장관은 싱가포르군이 무기고를 개편하여 현재의 3세대 기술에서 차세대 4세대 기술로 전환할 것이라고 발표했다.[20]

싱가포르군은 "매우 높은 수준의 역량으로 작동"하고 "모두 하나의 응집력 있는 전투 부대로 통합"된 기술적 정교함과 장비를 통해 동남아시아의 다른 모든 국가들과 차별화된다.[16]

5. 1. 독새우(Poisoned Shrimp) 전략

1970년대와 1980년대 초반까지 싱가포르의 억제 전략은 '독새우(Poisoned Shrimp)'였다. 이는 "삼키기는 쉬우나 소화시킬 수는 없다."는 의미를 가진다. 이 전략은 유사시 연안과 영토 주변에서 적의 침공을 막는 데 주력하고, 적이 영토 내부로 진입하면 정규군예비 전력을 포함한 다수의 인구가 시가지 등에서 저항하여 적의 병력 손실을 최대화하고 싱가포르 점령을 좌절시켜 철수하도록 유도하는 개념이다. 당시 싱가포르군에게는 최선의 선택이었지만, 싱가포르군이 발전하면서 이 전략의 효용성에 대한 의문과 변화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싱가포르군 기초 군사 훈련 수료식

5. 2. 호저(Porcupine) 전략

리셴룽은 1982년 당시 싱가포르군 참모장으로 재직하면서, 기존의 ‘독이 든 새우’ 전략은 싱가포르 영토 내에서 벌어지는 전쟁을 상정하고 있어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죽느냐 항복하느냐(Suicide or Surrender)'라는 선택지밖에 없다”고 비판하며, 보다 능동적인 ‘호저(Porcupine)’ 전략으로의 전환을 주장했다. ‘호저’ 전략은 제한적이나마 싱가포르 외부에서 위협에 대응하고, 무력을 투사하여 침입한 적을 격퇴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에 따라 1982년 싱가포르의 억제 전략은 ‘독이 든 새우’에서 ‘호저’로 변경되었다.

5. 3. 총체적 방위(Total Defence)

싱가포르군과 싱가포르의 억제 전략이 싱가포르의 안보를 영위하고 있었지만, 그것만으로는 싱가포르의 본질적인 안보 불안을 해소하기는 어려웠다. 여전히 싱가포르는 작은 크기와 적은 인구, 자원의 부족, 다민족ㆍ다인종ㆍ다종교 인구 분포 등 크고 작은 불안 요소들을 가지고 있었으며, 군사적 능력만으로는 그러한 위협에 대응하기 어려웠다. 주권국가로서 억제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내부적으로도 안정되어야 했으며, 위협의 발생을 애초에 막고 신속 정확한 문제 해결 및 피해 복구 또한 요구되었다. 이에 등장한 것이 ‘총체적 방어(Total Defence)’ 개념이다. 총체적 방어 개념의 핵심은 모든 싱가포르인과 사회 제반 분야가 국가 방위 제고에 기여하고 위협과 도전에 맞서 각자 맡은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싱가포르군이 수행하는 군사적 방위는 싱가포르 방위의 한 측면이며, 국가의 안전과 번영에는 모든 싱가포르인이 무관하지 않기 때문에 각자가 기여할 부분이 있다는 것이었다. 싱가포르는 이러한 논리로 1984년 총체적 방어 개념을 공식화했고, 총체적 방위는 싱가포르 억제 전략의 초석이 되었다. 총체적 방위는 군사(Military), 민간(Civil), 경제(Economic), 사회(Social), 디지털(Digital), 심리(Psychological) 총 6개의 국가 제반 분야에 대한 방위를 제고하고 국가 안보 불안을 경감하고자 하였다. 또한 1998년부터는 매년 2월 15일을 ‘총체적 방어의 날’로 지정하고 교육 및 훈련을 실시하는 등 총체적 방위 태세를 유지ㆍ발전시키기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기울이고 있다.[93]

6. 군사력 규모

싱가포르의 전체 인구는 약 600만명이다. 인구 대비 1.2%에 해당하는 정규군을 보유하고 있다. 병력의 39%가 넘는 28,500명이 직업군인(간부)이다. 운용가능 병력은 총 38만여 명으로 상비군 73,000여 명, 예비군 313,000여 명이다.

병력
구분육군해군공군
상비군(명)50,000 (68.5%)9,000 (12.3%)14,000 (19.2%)
예비군(명)300,000 (95.8%)5,000 (1.6%)8,000 (2.6%)
주요부대(개)사단 (3)함대사 (1)사령부 (5)



육군은 상비군 병력 중 68.5%로 가장 많고 공군이 19.2%, 해군이 12.3% 순으로 많다. 예비군 또한 95.8%로 육군이 가장 많다. 주요 부대로는 육군은 3개의 사단을 보유하고 있고, 해군은 1개의 함대사, 공군은 5개의 사령부를 보유하고 있다.[77]

7. 지휘 통제

1960년대에는 병력 전체를 총괄지휘하는 사령관 직책이 없었다. 1967년까지 초대 내무·국방부 장관을 역임한 고켕쉬(Goh Keng Swee, 吳慶瑞중국어)가 군 사령관의 역할을 했다. 싱가포르군의 규모가 확장되고 육·해·공 3군 구조가 정립되면서, 군 참모국장(Director of General Staff)이 신설되었다. 1974년 참모총장(Chief of General Staff)으로 변경되었고, 1990년에 국방총장(Chief of Defence Force)으로 개칭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국방총장은 싱가포르군의 최고위 선임 장성이며, 계급은 중장이다. 군사위원회, 국방위원회 등 군부의 대표로서 국가안보 관련 정책의 수립, 결정에 기여한다. 가장 핵심적인 역할은 예하의 육·해·공 3군의 총장을 두어, 군 전체를 지휘통제하는 것이다. 각 군 참모총장의 계급은 소장이다.[94] 국방장관은 민간 정부 관료로서 군정, 군령을 통할하고, 국방총장은 육군·해군·공군에 대한 군정, 군령권을 행사한다. 각 군 총장은 국방총장의 지휘 계선상에서 각 군을 지휘한다.

싱가포르군 역대 국방총장
복무년도이름
1990보이 탁 합(Boey Tak Hap)
1990-1992엥 쥬이 핑(Ng Jui Ping)
1992-1995림 네오 치안(Lim Neo Chian)
1995-1998한 엥 후안(Han Eng Juan)
1998-2000림 추안 포(Lim Chuan Poh)
2000-2003엥 앗 충(Ng Yat Chung)
2003-2007데스먼드 크익(Desmond Kuek)
2007-2010네오 키안 홍(Neo Kian Hong)
2010-2011찬 춘 싱(Chan Chun Sing)
2011-2014라빈더 싱(Ravinder Singh)
2014-2015페리 림(Perry Lim)
2015-2018멜빈 옹(Melvyn Ong)
2018-2022고 시 후(Goh Si Hou)
2022- 현재데이비드 네오(David Neo)



싱가포르군법에 따라,[60] 싱가포르 대통령은 싱가포르군(SAF)을 창설하고 유지할 권한을 가진다. 대통령은 또한 싱가포르군 내의 부대를 창설, 해산 또는 통합할 권한을 가진다.

싱가포르군과 관련된 문제는 싱가포르군법에 따라 국군위원회(AFC)에서 관할한다. 국군위원회는 다음으로 구성된다.


  • 국방부 장관 및 국방 관련 업무를 담당하거나 그들을 지원하도록 배정된 기타 장관
  • 국방부의 상임 차관
  • 국방 참모총장(CDF)
  • 육군 참모총장(COA)
  • 공군 참모총장(CAF)
  • 해군 참모총장(CNV)
  • 디지털 및 정보 참모총장(CDI)
  • 대통령이 재량에 따라 싱가포르 총리의 조언에 동의하는 경우, 대통령이 임명할 수 있는 4명 이하의 다른 위원


국방참모총장 직위는 1990년에 신설되었으며, 초대 국방참모총장은 이전에 참모총장을 역임했던 추윈스턴이었다. 싱가포르군(SAF)은 국방참모총장이 지휘하며, 국방참모총장은 계급상 3성 장성이며, 3성 계급을 가질 수 있는 유일한 현역 싱가포르군(SAF) 장성이다. 그는 각 군의 참모총장 4명의 보좌를 받으며, 이들은 계급상 2성 장군/제독이다. 싱가포르군(SAF)에는 현재 최고 상사 계급을 가진 주임원사가 있다.[64] 국방참모총장은 또한 합동참모차장, 합동작전국, 합동계획 및 변환부, 합동인력부, 합동군수부, 합동정보국, 그리고 국군감찰관실의 지원을 받는다.[65]

8. 병역 제도

싱가포르군은 징병제로 병역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일반 병사로서 의무 복무 기간은 2년(22~24개월), 장교는 최소 2년 6개월(30개월)이다. 예비역 복무 기간은 10년이다.[95] 병역 대상자는 시민권 및 영주권을 보유한 18세 이상 남자이다. 영주권자의 2세 남자도 병역 대상자에 포함된다. 영주권자의 2세가 병역을 기피하면 영주권 취소 등 체류 상 불이익을 받는다.[95]

병사는 군 입대 후 첫 3개월 동안 신병 훈련을 이수하고, 나머지 기간은 자택에서 출퇴근하는 형식으로 군 복무를 수행한다. 2년의 의무 복무가 끝나면 예비 전력으로 편입된다. 예비군은 10년간 연간 40일 예비군 동원 훈련을 실시하며, 해외 체류 등으로 동원 훈련이 불가능할 경우에도 40세까지 10년간 예비군 동원 훈련을 받아야 한다. 장교는 50세, 사병은 40세까지 소집한다. 훈련 기간에는 회사에서 임금을 지급해 준다.[96]

입대 시 신체 우수 판정자는 훈련 기간 2개월 단축 혜택이 있고, 과체중자는 8주 기간의 훈련을 추가한다. 군, 경찰, 소방대 세 가지 방법으로 복무가 가능하다.[95]

초기에는 장교는 GCE A 레벨을 마쳤거나 고등 교육을 시작한 싱가포르인들 중에서만 선발되었다.[47] 이후 요건이 수정되었지만, 싱가포르군은 "입증된 능력보다는 교육과 장학금에 더 기반한 승진 시스템을 사용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38]

9. 주요 무기 체계

싱가포르는 "동남아시아 최고의 공군과 해군을 보유한 군사 강국"이자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 국가 중 가장 기술적으로 진보된 군대"로 묘사된다.[16][17] 싱가포르군은 첨단 기술 장비를 군대에 통합하고 있으며,[16] C4I 통합을 통해 육군, 공군, 해군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협력 공격 및 지원을 수행한다.[66][67]

최근 싱가포르는 미국 의회의 승인을 받아 록히드 마틴 F-35B 4대를 인수하기로 결정했으며, 추가로 8대를 더 인수할 수 있는 옵션이 있다.[18][19]

싱가포르는 국방 연구 개발(R&D)에 상당한 자원을 투입하며, 국방 예산의 각각 5%와 1%를 연구 개발 및 실험에 사용한다. 싱가포르의 교육 시스템은 군 장비를 운용할 수 있는 국방 의무 복무자들을 배출한다.

싱가포르는 군사 제조 산업을 구축하여 다음과 같은 장비를 설계 및 개발했다.


  • PRIMUS – 자주포
  • Bionix II – 보병전투차 (Bionix AFV의 업그레이드)
  • MATADOR – 비유도 단거리 대전차 무기
  • Terrex I, II, III – 보병 수송 장갑차
  • PEGASUS – 경량 곡사포
  • SAR 21 & 불펍 다목적 전투 소총 – 불펍 돌격소총
  • 포미더블급 스텔스 호위함
  • 인디펜던스급 연안 임무 함정


BR18, ST 키네틱스에서 설계 및 생산

9. 1. 육군

싱가포르 육군은 3개의 합동 군사 사단(제3사단, 제6사단, 제9사단)과 2개의 육군 작전 예비 사단(제21사단, 제25사단), 그리고 1개의 도서 방어 사령부(제2국민방위군)로 구성되어 있다.[62] 2023년 기준으로 병력은 40,000명이며, 이 중 26,000명은 징병된 병력이다.[77]

싱가포르 육군은 C4I 통합 분야에서 기술을 "전력 증강 요소"로 활용하여 다양한 부대가 통합된 방식으로 전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66] 육군, 공군, 해군은 첨단 데이터 링크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협력 공격 및 지원을 가능하게 한다.[67]

싱가포르는 정교하고 우수한 무기 체계에 대한 지출을 유지하는 데 집중해 왔으며,[68] 군사 제조 산업을 구축하여 다음과 같은 군사 장비를 설계하고 개발했다.

  • PRIMUS – 자주 곡사포
  • Bionix II – 보병전투차 (Bionix AFV의 업그레이드)
  • MATADOR – 비유도 단거리 대전차 무기
  • Terrex I, II, III – 보병 수송 장갑차
  • PEGASUS – 경량 곡사포
  • SAR 21 & 불펍 다목적 전투 소총 – 불펍 돌격소총


SSPH1 자주포


AMX-10P 보병전차


싱가포르 육군의 주요 무기 체계는 다음과 같다.

종류모델수량비고
장갑 수송차Terrex ICV영어135대[79]
장갑 수송차LAV-150/V-200 코만도영어250대보관 중[79]
장갑 수송차V-100 코만도영어30대보관 중[79]
경장갑차마로더 (장륜 장갑차)|벨렉스영어74대[79]
경장갑차맥스프로 (MRAP)|맥스프로 대시영어15대[79]
경장갑차피스 키퍼51대[79]
전투 공병차량CET18대[79]
전투 공병차량FV180 Combat Engineer Tractor영어54대[79]
전투 공병차량코디악영어14대[79]
전투 공병차량M728영어8대[79]
장갑 구난차량바이오닉스 보병전투차|바이오닉스영어불명[79]
장갑 구난차량뷔펠영어불명[79]
장갑 구난차량LAV-150영어불명[79]
장갑 구난차량LAV-300영어불명[79]
가교차량바이오닉스 보병전투차|바이오닉스영어불명[79]
가교차량LAB 30불명[79]
가교전차레구안영어불명[79]
가교차량M2불명[79]
가교차량M360대[79]
가교전차M60 패튼영어12대[79]
지뢰 제거차량Hydrema|하이드레마영어 910-MCV-2불명[79]
지뢰 제거차량Aardvark JSFU|트레일블레이저영어불명[79]
105mm 곡사포LG1영어37문보관 중[79]
155mm 곡사포SLWH 페가수스영어18문추정[79]
155mm 곡사포FH-2000영어18문[79]
155mm 곡사포FH-88영어52문[79]
박격포81mm× 500문[79]
120mm 박격포M-65영어× 36문[79]
160mm 박격포M-58 템펠라영어× 12문[79]
자율 로켓 발사기HIMARS영어× 18대[79]
155mm 자주 곡사포SSPH-1 프리무스영어× 54문[79]
120mm 자주 박격포브론코 ATTC× 40문[79]
120mm 자주 박격포M113× 50문[79]



분류:싱가포르군

9. 2. 해군



싱가포르는 군사 제조 산업을 구축하여 다음 군사 장비를 설계하고 개발했다.

함종이름수량비고
호위함포미더블급 호위함(라파예트급 호위함의 파생형)6척[83]
코르벳빅토리급 코르벳6척[79]
연안 임무함Independence-class littoral mission vessel영어8척[79]
초계정센티넬급 초계정 (피어리스급 초계정을 개수, 재취역)4척[86]
초계정SMC TYPE1형 초계정2척[82][79]싱가포르 자체 제작 40톤급 스텔스 요격정[82]
초계정SMC TYPE2형 초계정6척[82][79]동상[82]
상륙함엔듀어런스급 상륙함4척[79]
상륙정33척[83]
기뢰제거함베독급 기뢰제거함(Bedok class mine countermeasures vessel)4척[79]
잠수함 구난함MV Swift Rescue영어1척[79]
연습정1척[83]
잠수함챌린저급 잠수함(구 셰르멘급 잠수함)2척[83]
잠수함아처급 잠수함(구 베스테르예틀란드급 잠수함)2척[83]
잠수함인빈시블급 잠수함(독일 218SG형)2척 (2척 건조 중)[83][84][85]
무인정프로텍터 USV[82]
무인정비너스 USV싱가포르 국산 무인정[82]
무인기스캔이글[82]



과거에 취역한 함정에 관해서는 싱가포르 해군 함정 목록을 참조하십시오.

9. 3. 공군

싱가포르는 "동남아시아 최고의 공군"을 보유한 군사 강국으로 묘사되어 왔다.[16] 싱가포르의 부는 최고급 장비를 획득하고 제작할 수 있게 해주며, 첨단 기술 장비를 국가 군대에 통합할 수 있게 한다.[16]

병력은 6,000명이며, 이 중 3,000명이 징병이다.[79] 조기 경보기 등을 보유하는 등 장비가 충실하며, 최신 F-35 전투기 도입도 결정되었다. 미국이나 오스트레일리아에서도 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F-16D


싱가포르 공군 주요 장비[79]
종류기종대수
전폭기F-15SG40대
전투기F-16C Block 5220대
F-16D Block 5220대
F-16D Block 52+20대
조기경보기걸프스트림 G550 CAEW4기
해상초계기포커 50 마리타임 엔포서 (하푼 공대함 미사일어뢰 장착)5기
공중급유기A330 MRTT6대
KC-130B 허큘리스4대
KC-130H 허큘리스1대
수송기C-130H 허큘리스 (ELINT형 2대 포함)5대
포커 504대
훈련기M-34612대
훈련기PC-2119대
다목적 헬기S-7041대
공격 헬기AH-64D 아파치 롱보우19대
해상 헬기S-70B 시호크8대
수송 헬기CH-47D 치누크6대
CH-47SD 치누크10대
CH-47F 치누크2대 이상
다목적 헬기H225M3대 이상
AS332M 슈퍼 퓨마 (SAR형 5대 포함)18대
다목적 헬기AS532UL 쿠거12대
훈련용 헬기H120 콜리브리 (리스 기)5대
무인 정찰기헤론8기 이상
헤르메스 4509기 이상
오비터 4다수
지대공 미사일SAMP/T(아스터 미사일)4기 이상
SPYDER-SR
9K38 이글라 (자주식 포함)
지대공 미사일미스트랄
지대공 미사일RBS-70
대공포GAI-C01 20mm 기관포 (자주식 포함)
GDF 35mm 기관포
공대공 미사일AIM-9P/S 사이드와인더
파이톤 4
AIM-9X 사이드와인더 II
공대공 미사일AIM-7P 스패로우
AIM-120C5/7 AMRAAM
공대지 미사일AGM-65B/G 매버릭
AGM-114K/L 헬파이어
공대지 미사일AGM-154A/C JSOW
공대함 미사일AGM-84 하푼
AM39 엑조세
유도폭탄GBU-10/12 페이브웨이 II
GBU-49 향상형 페이브웨이 II
유도폭탄GBU-54 LJDAM
GBU-31 JDAM


10. 국제 관계

싱가포르는 1965년 독립 이후 이스라엘 군사 자문단의 도움을 받아 군대를 건설했다. 징병제와 국방 예산 투자를 통해 1970년대 중반에는 정규군, 징집병, 예비군을 포함하여 30만 명의 병력을 보유하게 되었으며,[13] 경전차, M113 장갑차, A-4 스카이호크, F-5 전투기 등을 구매하여 "지구상에서 가장 무장한 국가" 중 하나로 알려지기도 했다.[14]

1980년대에는 해상 수송로 방어 능력을 강화하고,[15] F-16 전폭기 8대를 구매하여 동남아시아에서 군사적 우위를 유지하려는 의지를 보였다.[14] 1990년대 초에는 해상 1,000마일까지 방어하고 지역 분쟁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되었다.[13]

싱가포르는 "동남아시아 최고의 공군과 해군을 보유한 군사 강국"으로 평가받으며,[16] 첨단 기술 장비를 도입하여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 국가 중 가장 기술적으로 진보된 군대"로 불리기도 한다.[17] 최근에는 F-35B 전투기 4대를 인수하기로 결정했으며, 이는 미국과의 안보 관계를 강화하는 의미를 가진다.[18][19]

국군의 날은 매년 7월 1일에 기념되며, SAFTI 군사 훈련소에서 기념 퍼레이드가 열린다. 2018년, 싱가포르군은 무기고를 3세대 기술에서 4세대 기술로 전환할 것이라고 발표했다.[20] 2019년에는 훈련 관련 사망 사고 이후 안전 프로토콜을 강화하기 위해 국군 감찰관 사무실이 설치되었다.[21]

싱가포르는 영국, 호주, 뉴질랜드, 말레이시아와 함께 파이브 파워 국방 협정의 회원국이다. 이 협정은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에 대한 외부 위협 발생 시 회원국들이 협의할 의무를 규정하며, 이를 위해 말레이시아에 통합 방공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다.

싱가포르는 미군의 아시아 태평양 지역 주둔을 지지해 왔다. 1990년 양해 각서(MOU)를 체결하여 미군이 싱가포르 시설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고, 1992년에는 미 해군 물류 부대가 설립되었다. 미군 전투기 훈련 및 함정 방문이 정기적으로 이루어지며, 창이 해군 기지 건설로 미 해군 함정 정박이 가능해졌다.

싱가포르군은 국제 인도주의적 지원 임무에도 참여하여 코소보, 쿠웨이트, 동티모르 등에서 평화 유지 활동을 수행했다.[50] 다국적군 – 이라크에 참여하고,[51]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 허리케인 카트리나 피해 복구 지원, 네팔 지진 피해 지원 등에도 참여했다.[52] 또한, 연합 해군의 일원으로 아덴만 해적 퇴치 활동에 기여하고 있으며, ISIS 격퇴를 위한 글로벌 연합에도 참여했다.

싱가포르 공군 부대 중 일부는 호주, 프랑스, 미국 등에 주둔하고 있으며,[55][56][57][58] 독일에서도 훈련을 실시한다.[59]

10. 1. 대만과의 군사 협력

싱가포르군은 챌린저급 잠수함(구 셰르멘급 잠수함) 2척, 아처급 잠수함(구 베스테르예틀란드급 잠수함) 2척, 인빈시블급 잠수함(독일 218SG형) 2척(2척 건조 중)을 보유하고 있다.[83][84][85]

참조

[1] 웹사이트 History https://www.mindef.g[...] 2021-10-09
[2] 웹사이트 Singapore Armed Forces Act https://sso.agc.gov.[...] 2021-10-09
[3] 서적 The Military Balance 2023 Routledge 2023-02-15
[4] 웹사이트 Singapore boosts 2023 defence budget by nearly 6% https://www.janes.co[...] Jane's 2023-02-27
[5] 간행물 Singapore's Defence: Capabilities, Trends, and Implications https://www.jstor.or[...] 1999
[6] 웹사이트 Overseas Operations https://www.mindef.g[...] Ministry of Defence 2022-04-16
[7] 웹사이트 Flashback: 12 years after Hurricane Katrina, RSAF to lend US a helping hand again in disaster relief https://www.todayonl[...] 2017-08-30
[8] 웹사이트 International Peacekeeping https://www.mfa.gov.[...]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22-04-16
[9] 웹사이트 Mindef History https://www.mindef.g[...]
[10] 서적 The Armed Forces In Contemporary Asian Societies Taylor & Francis
[11] 뉴스 A BRIEF HISTORY OF THE VOLUNTEER FORCES IN SINGAPORE https://www.mindef.g[...]
[12] 웹사이트 History of Singapore Artillery http://www.mindef.go[...] Ministry of Defence, Singapore 2008-09-17
[13] 서적 Strategy And Defense Policy For Small States: Problems And Prospects World Scientific Publishing Company
[14] 서적 Globalization and Defence in the Asia-Pacific: Arms Across Asia Routledge
[15] 서적 Strategy And Defense Policy For Small States: Problems And Prospects World Scientific Publishing Company
[16] 웹사이트 How a tiny city-state became a military powerhouse with the best air force and navy in Southeast Asia https://www.business[...]
[17] 웹사이트 Singapore's Military Modernization https://thediplomat.[...]
[18] 뉴스 Defense News https://www.defensen[...]
[19] 웹사이트 Explaining Singapore's Interest in the F-35B https://thediplomat.[...]
[20] 웹사이트 SAF acquires new fighting machines to do more with less, will reveal replacement for F-16 fighter jets soon https://www.channeln[...] 2019-03-14
[21] 웹사이트 Tan Chee Wee appointed SAF's first Inspector-General https://www.channeln[...] 2019-03-14
[22] 웹사이트 Hotel New World 1986 https://www.mindef.g[...] 2020-05-08
[23] 웹사이트 'SQ117 owes me a glass of fresh milk': The Singapore Airlines hijacking, 30 years on https://www.channeln[...] 2021-04-07
[24] 웹사이트 CNN.com - Singapore calls military for SARS - Apr. 8, 2003 https://edition.cnn.[...] 2020-05-08
[25] 웹사이트 10 Neo Kian Hong Facts You Should Know Before He Takes Over As SMRT CEO https://mustsharenew[...] 2020-05-08
[26] 웹사이트 SAF making thousands of calls a day to contact trace, check stay-home compliance as COVID-19 fight hits 'critical juncture' https://www.channeln[...] 2020-06-18
[27] 웹사이트 MINDEF Runs National Call Centre for Mask Collection https://www.facebook[...] 2020-06-11
[28] 뉴스 Wuhan virus: SAF working round the clock to ensure 5.2m masks to be given out are packed by Saturday https://www.straitst[...] 2020-05-08
[29] 웹사이트 How Singapore's Military Is Fighting COVID-19 https://thediplomat.[...] 2020-05-10
[30] 웹사이트 Ex-SAF regulars called upon as 'personnel with operational experience' needed to tackle Covid-19 at dorms: Mindef https://www.todayonl[...] 2020-05-08
[31] 웹사이트 SAF deploys medical personnel at Singapore Expo's community isolation centre https://mothership.s[...] 2020-05-08
[32] 뉴스 3,000 Covid-19 patients housed at six community recovery facilities in SAF camps https://www.straitst[...] 2020-05-08
[33] 웹사이트 MINDEF Singapore https://www.mindef.g[...] www.mindef.gov.sg 2019-03-14
[34] 웹사이트 A Question of Loyalty: Ethnic Minorities, Military Service and Resistance http://www.wcfia.har[...] 1993-03-03
[35] 뉴스 Straits Times 1987-04-02
[36] 뉴스 US soldier takes potshots at SAF http://www.todayonli[...] Today (Singapore newspaper) 2008-09-17
[37] 웹사이트 Singapore: Recruitment and Training of Personnel http://www.country-d[...] 2007-09-30
[38] 간행물 The Roar of the Lion City: Ethnicity, Gender, and Culture in the Singapore Armed Forces
[39] 웹사이트 Women in the Armed Forces Exhibition – The Spirit of Patriotism http://www.mindef.go[...] 2007-06-06
[40] 웹사이트 Chan Luo Er, SAF promotes first female to Brigadier-General rank, (26 Jun 2015), ''Channel NewsAsia''. Retrieved 8 Oct 2016 http://www.channelne[...] 2016-10-09
[41] 웹사이트 SAFVC Index Page http://www.mindef.go[...] 2015-09-12
[42] 웹사이트 Strengthening NS http://www.mindef.go[...] 2015-09-12
[43] 웹사이트 Enlistment Act http://statutes.agc.[...] 2010-09-14
[44] 웹사이트 NS Matters http://www.mindef.go[...] 2015-09-12
[45] 웹사이트 Fact Sheet - Basic Military Training Centre (BMTC) School V https://www.mindef.g[...] 2019-10-20
[46] 뉴스 Parliament: All NSFs, except those in elite and support roles, to do Basic Military Training together http://www.straitsti[...] 2018-03-27
[47] 서적 No Man is an Island Allen & Unwin Australia
[48] 뉴스 Presidential Office mum on 'Starlight' http://www.taipeitim[...] 2017-09-26
[49] 뉴스 Singapore to join coalition against Islamic State http://features.insi[...] 2014-11-04
[50] 웹사이트 Peacekeepers : In the Service of Peace http://www.mindef.go[...] 2006-05-01
[51] 뉴스 Singapore to send 192 military personnel to Iraq http://www.singapore[...] Agence France Presse 2008-09-17
[52] 뉴스 SAF to provide medical aid, set up dental clinic in Afghanistan http://www.channelne[...] Channel NewsAsia 2008-09-17
[53]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rsis.edu.[...] 2011-03-17
[5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rsis.edu.[...] 2011-03-17
[55] 웹사이트 RAAF Base Pearce http://www.defence.g[...] Australian Government 2017-08-18
[56] 웹사이트 MFA Press Statement: State Visit by President of the French Republic François Hollande to Singapore, 26 to 27 March 2017 https://www.mfa.gov.[...] Ministry of Foreign Affairs 2017-12-28
[57] 웹사이트 A premier alliance: 425th Fighter Squadron > Luke Air Force Base > Display http://www.luke.af.m[...] Luke Air Force Base 2017-12-28
[58] 웹사이트 Speech by Minister for Defence Dr Ng Eng Hen https://www.mindef.g[...] Ministry of Defence 2013-12-12
[59] 문서 BGBl. II Bundesgesetzblatt (Germany) 2021-02-09
[60] 문서 Singapore Armed Forces Act https://sso.agc.gov.[...]
[61] 문서 Enlistment Act https://sso.agc.gov.[...]
[62] 웹사이트 Key Perspectives on Special Forces http://www.mindef.go[...] Pointer (journal) 2015-10-24
[63] 웹사이트 gov.sg – Directory http://app.sgdi.gov.[...] 2011-07-16
[64] 웹사이트 The Singapore Army – News Archive – New SMA Appointed; former SMA becomes SAF SM http://www.mindef.go[...] 2014-02-25
[65] 웹사이트 gov.sg – Directory http://app.sgdi.gov.[...] 2011-09-28
[66] 서적 Singapore in the New Millennium: Challenges Facing the City-Stat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67] 웹사이트 MINDEF – The 3rd Generation SAF http://www.mindef.go[...] MINDEF 2008-02-25
[68] 보고서 Singapore Defence and Security Report Q1 2009 Business Monitor International
[69] 웹사이트 News – Lunch Talk on "Defending Singapore: Strategies for a Small State" by Minister for Defence Teo Chee Hean (21 Apr 05) http://www.mindef.go[...] MINDEF 2013-08-06
[70] 웹사이트 cyberpioneer – News – Features of the new SAF combat uniform http://www.mindef.go[...] Mindef.gov.sg 2013-01-26
[71] 웹사이트 Army combat soldiers get new uniforms that cool, dry faster https://www.channeln[...] 2019-03-14
[72] 웹사이트 Soldiers wear new tropical uniforms and boots in jungle ACU field-test https://www.armytime[...] 2017-08-07
[73] 웹사이트 Singapore Armed Forces pixilated desert camouflage https://strikehold.w[...] 2019-03-14
[74] 문서 VYZ v VZA [2022] SGFC 4
[75] 문서 UHG v UHH [2017] SGFC 116
[76] 웹사이트 Army Careers https://www.mindef.g[...] 2024-04-14
[77] 서적 The Military Balance 2023 Routledge 2023-02-15
[78] 웹사이트 Singapore Army equips active units with new Infantry Automatic Rifle https://www.janes.co[...] 2024-07-18
[79] 서적 The Military Balance 2023: The International Institute for Strategic Studies Routledge 2023-02-15
[80] 웹사이트 Singapore Army commissions TPQ-53 S-band WLR system https://www.janes.co[...] 2021-07-05
[81] 웹사이트 Singapore Army inducts surveillance UAV https://www.janes.co[...] 2024-09-11
[82] 서적 世界の艦船増刊 第922集 ネーバル・レビュー2020―世界の海軍力総覧― 海人社 2020-03-16
[83] 서적 世界の艦船増刊 第1016集 世界の海軍 2024-2025 海人社 2024-03-14
[84] 웹사이트 東南ア、軍備増強へ動く シンガポールは独から潜水艦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電子版2017年5月17日 2017-05-17
[85] 웹사이트 Singapore commissions first two Invincible-class submarines https://www.janes.co[...] 2024-09-24
[86] 웹사이트 Sentinel-class Maritime Security and Response Vessels https://www.mindef.g[...] シンガポール海軍 2024-09-16
[87] 서적 싱가포르역사 다이제스트 100 가람기획 2017-08-18
[88] 서적 세계 5대 강소국과 한국의 자주국방 북코리아 2020-06-25
[89] 뉴스 A BRIEF HISTORY OF THE VOLUNTEER FORCES IN SINGAPORE https://www.mindef.g[...] 2024-05-15
[90] 서적 내가 걸어온 일류국가의 길 문학사상 2001-09-30
[91] 서적 초일류 국가 건설의 모델 싱가포르를 다시 보다 일곡문고 2009-12-17
[92] 서적 세계 5대 강소국과 한국의 자주국방 북코리아 2020-06-25
[93] 간행물 21세기 싱가포르군의 3세대 군사변환 2023
[94] 간행물 Defending the Lion City: The Armed Forces of Singapore AU: Allen&Unwin 2000
[95] 웹인용 싱가포르 병역의무 제도(영주권자의 2세 남자 해당) https://overseas.mof[...] 2016-01-05
[96] 서적 Military Balance 2018 Oxfordshire: Routledge 2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