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루다-렌제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글루다-렌제선은 1873년 옐가바에서 리투아니아의 마제이캬이까지 연결하기 위해 건설된 철도 지선이다. 1868년 리가-옐가바 선 완공 이후 건설되었으며, 리에파예-마제이캬이-카이샤도리스 간 노선 연결을 목적으로 했다. 1925년 옐가바-글루다 구간에 1524mm 궤간이 설치되었고, 소련 시기에는 전 구간이 광궤로 개궤되어 리가-마제이캬이, 리가-클라이페다, 리가-칼리닌그라드 간 열차가 운행되었다. 라트비아 재독립 이후 렌제까지 운행 구간이 단축되었으며, 2010년 2월 22일 마지막 열차 운행 이후 여객 운송은 중단되었다. 현재는 라트비아 국경-마제이캬이 간 궤도가 철거되어 리투아니아 국경을 넘는 기능은 상실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트비아의 철도 노선 - 리가-루가지선
리가-루가지선은 리가와 루가를 잇는 철도 노선으로, 세계 대전과 독립의 영향, 독일군 보급로 사용, 소련 붕괴 후 경제적 어려움, 사고로 인한 전철화 구간 단축 등의 역사를 거쳐 현재 라트비아와 에스토니아의 여러 도시를 경유하며 다양한 지역에 역이 위치해 있다. - 라트비아의 철도 노선 - 토르냐칼른스-투쿰스 II선
리가에서 벤츠필스까지 이어지는 토르냐칼른스-투쿰스 II선은 1876년 리가-투쿰스 구간 개통 후 1912년 벤츠필스까지 연장되었고, 제1차 세계 대전 피해 복구 후 1950년대 유르말라 지역 관광 개발로 승객이 증가하여 라트비아 최초로 전철화가 이루어진 철도 노선이다.
글루다-렌제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개요 | |
노선 이름 | 글루다-렌제 선 |
원어 이름 | Dzelzceļa līnija Glūda – Reņģe |
노선 종류 | 철도 노선 |
노선 상태 | 운영 중 |
운영 기관 | 라트비아 철도 |
노선 정보 | |
기점 | 글루다 역 |
종점 | 렌제 역 |
역 수 | 9개 |
노선 길이 | 60km |
선로 수 | 단선 |
개통 및 폐쇄 | |
개통 | 1873년 |
폐쇄 | 정보 없음 |
2. 역사
1868년 리가-옐가바 선이 완공된 후, 1872년 옐가바에서 리투아니아의 마제이캬이까지 연결하는 지선 노선 건설이 시작되어 1873년 11월 1일에 완료되었다. 이 구간은 95km였으며, 표준궤를 사용하였다. 이 노선은 주로 리가-옐가바 구간을 리에파예-마제이캬이-카이샤도리스 간 노선과 연결하기 위해 건설되었으나, 후자의 노선은 중요도가 낮아져 주로 리에파야로 가는 데 사용되었다. 1916년 옐가바-샤울랴이 간 철도 노선이 건설되었다. 1925년 옐가바-글루다 구간에는 1524mm 궤간 노선이 설치되었다.
소련 시기에는 전 구간이 1524mm 표준궤로 개궤되었고, 리가-마제이캬이, 리가-클라이페다, 리가-칼리닌그라드 간 열차가 이 노선을 경유하였다. 재독립 이후 모든 열차 운행 구간은 렌제까지로 단축되었다. 2010년 2월 22일 리가-렌제 간 마지막 열차가 운행한 후,[3][4] 전 노선에서 여객 열차 운행이 중단되었다. 또한 라트비아 국경-마제이캬이 간 궤도가 철거되어[5] 리투아니아 국경을 넘는 기능도 상실하였다.[6]
2. 1. 초기 건설 및 운영 (1868년-1916년)
리가-옐가바 선이 1868년에 완공된 후, 1872년에 옐가바에서 리투아니아의 마제이캬이까지 연결하는 지선 노선 건설이 시작되어 1873년 11월 1일에 완료되었다. 이 구간은 95km였으며, 표준궤를 사용하였다. 이 노선의 주된 목적은 리가-옐가바 구간을 이전에 건설된 리에파예-마제이캬이-카이샤도리스 간 노선과 연결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후자의 노선은 중요도가 낮았고, 1916년에 옐가바-샤울랴이 간 철도 노선이 건설되면서 이 노선은 주로 리에파야로 가는 데 사용되었다.2. 2. 라트비아 독립 및 소련 시기 (1916년-1991년)
1925년 옐가바-글루다 구간에 1524mm 궤간 노선이 설치되었다.소련 시기에는 전 구간이 1524mm 표준궤로 개궤되었으며, 리가-마제이캬이, 리가-클라이페다, 리가-칼리닌그라드 간 열차가 이 노선을 경유하여 운행하였다.[3][4][5][6]
2. 3. 재독립 이후 (1991년-현재)
1991년 재독립 이후 모든 열차 운행 구간은 렌제까지로 단축되었다. 2010년 2월 22일 리가-렌제 간 마지막 열차가 운행하였으며,[3][4] 이후 전 노선에 여객 열차는 운행하지 않는다. 또한 라트비아 국경-마제이캬이 간 궤도가 철거되어[5] 리투아니아 국경을 넘는 기능도 상실하였다.[6]3. 역 목록
역명 | 개통일 | 비고 |
---|---|---|
글루다 | 1887년 | |
크리무나스 | 노선 설치 당시 | |
아우리 | 1929년 | |
아프굴데 | 1887년 | |
펭쿨레 | 1919년 | |
베네 | 노선 설치 당시 | |
락테 | 1939년 | 1946년 폐쇄 |
아우체 | 노선 설치 당시 | |
바닥스테 | 1929년 | |
렌제 | 노선 설치 당시 |
라트비아-리투아니아 국경은 렌제역 다음 구간(60km 지점)에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Publiskās lietošanas dzelzceļa infrastruktūras pārskats 2011
http://www.ldz.lv/te[...]
Latvian Railways
2010-06-05
[2]
웹사이트
Latvijas dzelzceļu līnijas
http://www.railwaymu[...]
Latvian Railway History Museum
[3]
웹사이트
Izmaiņas pasažieru vilcienu kustības sarakstā
http://www.ldz.lv/?o[...]
[4]
웹사이트
Uz Ventspili un Reņģi vilciens vairs nekursēs
http://www.diena.lv/[...]
[5]
웹인용
Geležinkelio linija Mažeikiai-Jelgava
http://www.miestai.n[...]
2012-11-17
[6]
웹인용
Uz leišu nekaunību atbildes nav
http://www.db.lv/sod[...]
2012-11-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