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이페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클라이페다는 발트해 연안에 위치한 리투아니아의 도시로, 12세기에 발트족에 의해 건설되었다. 오랫동안 프로이센의 지배를 받으며 메멜(Memel)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1919년 베르사유 조약 이후 프랑스령이 되었다가, 1923년 리투아니아에 합병되었다. 1939년에는 독일로 다시 편입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후 소련에 점령되어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속하게 되었고, 현재는 리투아니아의 주요 도시로 남아있다. 클라이페다는 중요한 항구 도시이자, 다양한 문화 유적과 축제를 보유하고 있으며, 교육 및 경제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로이센의 지리 - 클라이페다 지역
클라이페다 지역은 발트해 연안에 위치하며, 독일 기사단 국가의 지배를 거쳐 리투아니아에 병합되었다가 독일로 편입되었고, 현재는 리투아니아의 일부이다. - 프로이센의 지리 - 구독일 동부 영토
제2차 세계 대전 후 폴란드와 소련으로 관할이 이양된 오데르-나이세 선 동쪽의 옛 독일 영토인 구독일 동부 영토는 독일인 추방과 폴란드인 재정착을 겪으며 현재 폴란드, 러시아, 리투아니아의 일부를 구성하고 독일-폴란드 국경 조약으로 경계가 확정되었다. - 클라이페다주 - 팔랑가시
팔랑가는 리투아니아의 도시이며, 1970년 이후 주변 지역이 편입되어 1995년에 현재 형태의 시가 조성되었고, 슈벤토이 촌구역을 포함하여 부팅게, 네미르세타, 팔랑가, 스벤토이가 주요 정착촌이다. - 클라이페다주 - 네링가시
네링가는 리투아니아 클라이페다 남쪽에 위치한 도시로, 쿠로니아 석호에 의해 리투아니아 본토와 분리되어 있으며, 1961년 4개의 정착지가 통합되어 도시가 되었고, 니다, 유오드크란테, 프레일라, 페르발카 등의 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 리투아니아의 도시 - 빌뉴스
빌뉴스는 리투아니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빌니아 강과 네리스 강 합류 지점에 위치하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구시가지와 다양한 문화, 활발한 경제 활동을 특징으로 하는 현대 유럽 도시이다. - 리투아니아의 도시 - 비사기나스
비사기나스는 리투아니아에 위치한 도시로, 과거 이그나리나 원자력발전소에 경제적으로 의존했으나 현재는 산업 다변화를 추구하며 다양한 민족과 종교가 공존하고 여러 도시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클라이페다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클라이페다 |
다른 이름 | |
별칭 | 우스타미에스티스 (항구 도시) |
위치 | 리투아니아 |
하위 행정 구역 | 소리투아니아 클라이페다 주 클라이페다 시 자치체 |
설립 | 1252년 (문헌에 첫 등장) 1254년 (시로 제정) |
옛 이름 | 메멜 (Memel) |
창설자 | 독일 기사단 |
시장 | 비타우타스 그루블리아우스카스 |
총 면적 | 110km² |
도시 면적 | 98.2 km² |
도시권 면적 | 1434km² |
해발 고도 | 21m |
시간대 | 동유럽 시간 (EET) |
협정 세계시와 시차 | +2 |
여름 시간대 | 동유럽 여름 시간 (EEST) |
여름 시간대 협정 세계시와 시차 | +3 |
우편 번호 | LT-91001 (중심부), 91100-96226 |
지역 번호 | (+370) 46 |
공식 웹사이트 | 클라이페다 공식 웹사이트 |
기후 | 해양성 기후 (Cfb) |
인구 | |
총 인구 (2024년) | 160,357명 |
도시권 인구 | 228,748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도시권 인구 밀도 | 146명/km² |
거주민 명칭 | (영어) (리투아니아어) |
경제 | |
도시권 GDP (2022년) | 70억 유로 |
기타 | |
![]() | |
![]() | |
![]() | |
브랜드 마크 | 브랜드마크 |
도시 예산 | 3억 6200만 유로 |
2. 역사
12세기에 발트족이 클라이페다를 세웠다. 오랫동안 프로이센의 지배를 받으면서 메멜(Memel)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1252년 튜턴 기사단이 발트해에 항구를 건설했고, 라틴어로는 'Castrum Memele'(독일어로 'Memelburg')로 기록되었다. 튜턴 기사단에 의해 이 지역은 기독교로 개종되었다. 1422년 멜노 조약으로 프로이센과 리투아니아의 국경이 확정되면서 1919년까지 메멜은 프로이센에 속했다. 이 국경은 유럽 역사상 가장 오랫동안 변하지 않은 경계선이다.
1629년부터 1635년까지 스웨덴의 공격을 받았다. 이후 오랫동안 복구되었으나, 75년 후에는 전염병으로 많은 사람들이 죽었다. 1871년 통일된 독일 제국이 형성되면서 메멜은 독일 최북동단 도시가 되었다. 옛 독일 국가인 독일인의 노래에도 독일의 가장 끝에 있는 지방으로 등장한다.
1919년 베르사유 조약 체결 후 메멜은 프랑스령이 되었다. 1923년 리투아니아가 공격하자 프랑스군은 도시를 떠났고, 1939년 3월 22일 다시 독일령이 되었다.[23]
제2차 세계 대전 중이던 1944년, 메멜 주민 대부분은 도시를 떠났다. 1945년 1월 붉은 군대에 점령되면서 도시는 다시 소비에트 연방의 리투아니아 영토가 되었다. 남아 있던 독일인들은 대부분 시베리아나 독일로 추방되었다.
2. 1. 초기 역사
12세기에 발트족이 클라이페다를 세웠다. 오랫동안 동프로이센에 속했으며, 그동안 '''메멜'''로 불렸다.발트해에 있는 이 항구는 1252년 튜턴 기사단이 건설했으며, 라틴어로는 '카스트룸 메멜레'(Castrum Memele), 독일어로는 '메멜부르크'(Memelburg) 또는 '밈멜부르크'(Mimmelburg)로 기록되었다. 1254년 메멜은 한자 자유 도시가 되었고, 1257년에는 뤼베크법을 부여받았다. 이 지역은 튜턴 기사단에 의해 기독교로 개종되었다. 1422년 멜노 조약으로 프로이센 공국과 리투아니아의 국경이 확정되었다. 메멜은 프로이센 영토가 되었고, 이 국경선은 1919년까지 변하지 않았다. 이것은 유럽에서 가장 오랫동안 변하지 않은 국경선 중 하나이다.
1474년 초, 메멜은 프로이센 주의 도시로서 쿨름법에 따라 통치되었다. 1525년 메멜 공국은 알브레히트(알브레히트 폰 브란덴부르크=안스바흐=프로이센)에 의해 루터파 지역이 되었다. 이로써 도시와 항구의 오랜 발전이 시작되었다. 프로이센 공국은 폴란드의 봉신령이었고, 나중에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일부가 되었기 때문이다. 다네강 어귀에 위치한 이점을 활용하여, 이 국경 도시는 인근 리투아니아에 무역항으로서의 역할을 했다. 번영의 시대는 1629년부터 1635년까지 메멜이 스웨덴의 공격으로 피해를 입고 점령되면서 끝났다. 메멜은 여러 번 재건되었지만, 75년 후에는 많은 사람들이 페스트로 사망했다. 18세기 초에 다시 스웨덴에 점령되었지만, 1720년에 프로이센 왕국의 영토로 확정되었다.
2. 2. 17세기~20세기 초
1252년 튜턴 기사단이 발트해에 항구를 건설하면서 클라이페다는 '카스트룸 메멜레'(Castrum Memele, 독일어로 Memelburg 또는 Mimmelburg)로 기록되었다. 1254년 메멜은 한자 동맹 도시가 되었고, 1257년에는 뤼베크법을 승인받았다. 튜턴 기사단에 의해 이 지역은 기독교로 개종되었다. 1422년 멜노 조약으로 프로이센 공국과 리투아니아의 국경이 확정되면서, 메멜은 1919년까지 프로이센에 속하게 되었다. 이 국경은 유럽 역사상 가장 오랫동안 변하지 않은 경계선 중 하나이다.1474년 초, 메멜은 프로이센 주의 도시로서 쿨름법에 따라 통치되었다. 1525년, 메멜 공국은 알브레히트에 의해 루터파 지역이 되었다. 다네강 어귀에 위치한 이점을 활용하여, 인근 리투아니아와의 무역항 역할을 수행하며 발전했다. 그러나 1629년부터 1635년까지 스웨덴의 공격으로 피해를 입고 점령되면서 번영의 시대는 끝났다. 메멜은 여러 번 재건되었지만, 75년 후 많은 사람들이 페스트로 사망했다. 18세기 초에 다시 스웨덴에 점령되었지만, 1720년에 프로이센 왕국의 영토로 확정되었다.
1871년 통일된 독일 제국이 형성되면서 메멜은 독일의 최북동단 도시가 되었다. 옛 독일의 국가에도 독일에서 가장 끝에 있는 지방으로 등장한다.
2. 3. 제1차 세계 대전과 전간기
1919년 베르사유 조약이 맺어지면서 클라이페다는 프랑스령이 되었다. 1923년 리투아니아의 공격을 받아 프랑스 군은 도시를 떠났다. 1939년 3월 22일에는 다시 독일령이 되었다.[23]
제1차 세계 대전 후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클라이페다와 그 주변의 클라이페다 지역(메멜 영토)은 독일에서 분리되어 협상국의 보호령이 되었다. 프랑스는 보다 영구적인 해결책이 마련될 때까지 지역의 임시 행정관이 되었다. 리투아니아와 폴란드 모두 이 지역에 대한 권리를 주장했다. 그러나 이 지역은 단치히 자유시와 유사한 자유 도시가 될 것으로 보였다. 불리한 결정을 기다리지 않고 리투아니아인들은 클라이페다 봉기를 일으켜 무력으로 지역을 장악하고 협상국에 사실상 완료된 사실을 제시하기로 결정했다. 이 봉기는 1923년 1월 서유럽이 루르 점령으로 분산되어 있는 동안 일어났다. 독일인들은 이 행동을 암묵적으로 지지했고 프랑스는 제한적인 저항만을 제공했다.[29] 이 봉기는 1922년 12월 22일부터 클라이페다를 중심으로 활동한 프로이센 리투아니아인 마르티나스 얀쿠스가 의장을 맡은 리투아니아 소 지역 최고 구조위원회의 지원을 받았다.[30] 국제 연맹은 이 봉기에 항의했지만 1923년 2월 이 양도를 수락했다. 공식적인 클라이페다 협약은 1924년 5월 8일 파리에서 체결되어 이 지역에 광범위한 자치권을 확보했다.[31]


이 도시의 합병은 리투아니아 경제와 외교 관계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이 지역은 이후 리투아니아 전체 경제 생산량의 최대 30%를 차지했다. 외국 무역의 70~80%가 클라이페다를 통해 이루어졌다. 리투아니아 영토의 약 5%에 불과한 이 지역에는 산업의 3분의 1이 있었다.[32]
나치 독일은 이 지역을 다시 얻고자 했고 긴장이 고조되었다. 친독일 정당은 클라이페다 의회의 모든 선거에서 명확한 과반수를 차지하여 리투아니아가 임명한 클라이페다 국장과 종종 충돌했다. 1932년 의회와 국장 간의 갈등은 국제사법재판소가 해결해야 했다. 1934~1935년 리투아니아는 반리투아니아 반란을 조직하려는 음모 혐의로 120명 이상의 나치 활동가를 체포하고 기소하여 이 지역에서 증가하는 나치의 영향력에 대처하려고 시도했다.[33] 이러한 다소 가혹한 판결에도 불구하고 노이만-사스 사건의 피고인들은 나치 독일의 압력으로 곧 석방되었다.[34] 클라이페다 협약에서 보장된 광범위한 자치권으로 인해 리투아니아는 이 지역에서 증가하는 친독일 태도를 막을 수 없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전 유럽의 긴장이 고조됨에 따라 독일이 이 지역을 다시 얻기 위해 리투아니아에 대해 조치를 취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독일 외무장관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는 1939년 3월 20일 리투아니아 외무장관에게 최후통첩을 전달하여 클라이페다 항복을 요구했다. 리투아니아는 자국의 대의를 위해 국제적 지원을 확보할 수 없어 최후통첩에 굴복했고, 새로운 항만 시설을 자유항으로 사용할 권리와 맞바꾸어 1939년 3월 22일 늦은 저녁에 분쟁 지역을 독일에 양도했다.[23] 아돌프 히틀러는 항구를 방문하여 시민들에게 연설했다. 이것은 제2차 세계 대전 전 히틀러의 마지막 영토 확장이었다.[35]
2. 4. 제2차 세계 대전
1939년 3월 22일 독일은 리투아니아에 최후통첩을 전달하여 클라이페다 항복을 요구했고, 리투아니아는 이에 굴복하여 클라이페다는 다시 독일령이 되었다. 아돌프 히틀러는 항구를 방문하여 시민들에게 연설했다.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전 히틀러의 마지막 영토 확장이었다.[35]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은 도시에 강제 노동 부대를 운영했고, 슈탈락 I-A의 연합군 포로 수용소도 있었다.[36] 독일 점령 폴란드에서 추방된 폴란드인들은 도시 주변에서 강제 노동을 했다.[37]
1944년 말부터 1945년 초까지 연합군의 승리가 가까워지고 동부 전선의 전선이 다가오자, 독일인 주민들은 철수를 강요당했다. 1945년 1월 28일, 클라이페다는 소비에트 연방의 붉은 군대에 점령되었다. 대전 후, 메멜 지역은 칼리닌그라드주의 일부가 되지 않고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편입되어 '''클라이페다'''가 되었다. 남아 있던 독일계 주민들은 시베리아로 보내지거나 독일로 추방되었다(독일인 추방).

소련은 발트해 동해안의 불동항인 클라이페다를 유럽 지역 최대의 어업 기지이자 소련 해군 기지로 삼았다. 1950년경까지 현대적인 대조선소와 어항이 재정비되었고, 1950년대 말까지 인구는 전쟁 전의 2배로 증가하여 1989년에는 20만 3천 명에 달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의 영향으로 대부분의 주민은 러시아,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리투아니아 등지에서 유입되었다. 처음에는 러시아어 사용자가 시정을 담당했지만, 요시프 스탈린 사후 리투아니아에서 더 많은 사람들이 모여들면서 리투아니아인이 가장 많은 민족이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리투아니아에서 인구 10만 명을 넘는 도시 중 클라이페다가 러시아어를 모국어로 하는 사람의 비율이 가장 높다.
1970년대까지 클라이페다의 경제적 중요성만 강조되었고, 문화 및 종교 활동은 최소한으로 제한되었다. 많은 교회가 제2차 세계 대전 중 피해를 입었고, 소련 점령 중에 철거되었으며, 로마 가톨릭 교회를 널리 전파하려는 사람들은 체포되었다. 그 후 문화 활동은 1970년대부터 1980년대에 걸쳐 발전하기 시작하여 바다 축제 등이 개최되었다.
2. 5. 현대
1919년 베르사유 조약 체결 후, 메멜은 프랑스령이 되었다. 1923년 리투아니아의 공격으로 프랑스군은 도시에서 철수했고, 1939년 3월 22일에는 다시 독일령이 되었다.[27]제2차 세계 대전 중 1944년 메멜 거주자 대부분은 도시를 떠났다. 1945년 1월 붉은 군대에 점령되어 다시 소비에트 연방의 리투아니아 영토가 되었다. 남아 있던 독일인들은 대부분 시베리아나 독일로 추방되었다.[27]
소련은 발트해 동해안의 부동항인 클라이페다를 유럽 최대 어업 기지이자 소련 해군 기지로 활용했다. 1950년경까지 현대적인 대형 조선소와 어항이 재정비되었고, 1950년대 말 인구는 전쟁 전의 2배인 20만 3천 명(1989년)에 달했다. 주민 대부분은 러시아,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리투아니아 등지에서 유입되었다. 초기에는 러시아어 사용자가 시정을 담당했으나, 요시프 스탈린 사후 리투아니아인 유입이 늘면서 리투아니아인이 다수 민족이 되었다. 그럼에도 클라이페다는 리투아니아 10만 명 이상 도시 중 러시아어 모어 화자 비율이 가장 높았다.[27]
1970년대까지 클라이페다는 경제적 중요성만 강조되었고, 문화 및 종교 활동은 제한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많은 교회가 피해를 보았고, 소련 점령기에 철거되었으며, 로마 가톨릭 교회 전파 시도는 체포로 이어졌다. 이후 1970~80년대 문화 활동이 발전하며 바다 축제 등이 개최되었다.[27]
1990년 리투아니아 독립 선언 후, 1991년 클라이페다 대학교가 설립되었다. 현재 독일어-리투아니아어 2개 국어 협회인 "Hermann-Sudermann-Schule"도 운영 중이다.[27]
3. 지리
클라이페다의 공원과 숲은 다음과 같다:
공원 | |
---|---|
숲 |
3. 1. 기후
클라이페다의 기후는 -3°C 등온선을 사용하는 경우 해양성 기후(쾨펜 Cfb) 기후로, 0°C 등온선을 사용하는 경우 따뜻한 습윤 대륙성 기후(쾨펜 Dfb) 기후로 간주된다.[6] 가장 더운 계절인 7월과 8월의 최고 기온 평균은 20°C이고, 최저 기온 평균은 14°C이다. 공식적으로 기록된 최고 기온은 2014년 8월 36.6°C였다. 가장 추운 계절인 1월과 2월의 최고 기온 평균은 0°C이고, 최저 기온 평균은 -5°C이다. 클라이페다에서 기록된 최저 기온은 1956년 2월 -33.4°C였다.[7]강수량은 8월에 가장 많으며 평균 96.8mm이고, 4월에 가장 적으며 평균 36.2mm이다.[9]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최고 기온 기록 (°C) | 11.7°C | 15.4°C | 18.6°C | 28.9°C | 31.2°C | 33.8°C | 34°C | 36.6°C | 30.4°C | 22.9°C | 15.4°C | 11.5°C | 36.6°C |
평균 최고 기온 (°C) | 1.2°C | 1.4°C | 4.5°C | 10.8°C | 16°C | 19.3°C | 22.1°C | 22.2°C | 17.8°C | 11.8°C | 6.3°C | 3.2°C | 11.5°C |
평균 기온 (°C) | -0.8°C | -0.8°C | 1.8°C | 7°C | 11.8°C | 15.5°C | 18.4°C | 18.5°C | 14.3°C | 8.9°C | 4.3°C | 1.3°C | 8.5°C |
평균 최저 기온 (°C) | -2.9°C | -3°C | -1°C | 3.1°C | 7.4°C | 11.6°C | 14.7°C | 14.6°C | 10.8°C | 6.1°C | 2.3°C | -0.7°C | 5.3°C |
최저 기온 기록 (°C) | -32°C | -33.4°C | -20.8°C | -12.8°C | -5.2°C | -2.8°C | 5.2°C | 2.9°C | -3.3°C | -7.5°C | -14.6°C | -24.1°C | -33.4°C |
평균 강수량 (mm) | 73.4mm | 50.7mm | 47.1mm | 36.2mm | 43.7mm | 59.7mm | 74.1mm | 96.8mm | 89.5mm | 108.3mm | 90.1mm | 79.9mm | 853.1mm |
평균 강수일수 | 14.77 | 11.35 | 10.05 | 7.45 | 7.59 | 9.22 | 9.42 | 11.67 | 11.55 | 14.86 | 14.49 | 15.39 | 138.72 |
평균 일조시간 | 34 | 65 | 122 | 180 | 264 | 285 | 274 | 252 | 167 | 100 | 40 | 28 | 1811 |
평균 상대 습도 (%) | 85 | 84 | 79 | 76 | 76 | 78 | 78 | 76 | 80 | 82 | 88 | 87 | 80.75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해수온도 (°C) | 3.2°C | 2.4°C | 1.6°C | 4.2°C | 9.6°C | 15°C | 18.6°C | 19.3°C | 17°C | 12.6°C | 9°C | 5.8°C | 9.9°C |
4. 인구
클라이페다는 독일 십자군을 위한 전초기지로 설립되었으나,[23] 초기 발전은 더뎠다. 13세기~15세기에는 약 20번이나 불타거나 파괴되었다.[23]
15세기 후반, 주민들은 옛 Akmena (upė)|아크메나 강lt의 오른쪽 강둑 반도에 있는 구도시 클라이페다 영역에 정착하기 시작했다.[23] 곧 클라이페다 성의 재건이 시작되었고, 모든 주민들이 그 반도로 이주했다.[23]
클라이페다의 발전은 리투아니아 대공국과 서구 국가들 간의 무역 증가 덕분이었다. 1589년에는 클라이페다에 143가구가 있었다.[23][22] 리투아니아인과 쿠르슈인은 독일 식민지 개척자들과 함께 살았지만, 행정관은 비독일인들이 장인 조합에 가입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고, 시민들에게 주어지는 권리를 그들에게 부여하지 않았다.[23]
1700년~1721년 대북방 전쟁 전염병 발생으로 클라이페다와 다른 리투아니아 카운티의 프로이센 리투아니아인 인구가 급격히 감소했다. 이 전염병으로 소리투아니아 주민 16만 명(53%)이 사망했으며(사망자의 90% 이상이 프로이센 리투아니아인이었다).[47][51] 그 후 프로이센 당국은 소리투아니아의 대규모 독일 식민지화를 조직했다.[47][52]
1855년 Vitė|비테lt가 클라이페다 시에 편입되어 인구가 1만 7천 명 이상으로 증가했고, 1875년에는 약 2만 명에 달했다.
1923년 클라이페다 봉기 이후 클라이페다 지역은 리투아니아에 편입되었고, 이주로 인해 클라이페다의 리투아니아 인구가 증가했다(1925년 클라이페다 인구 35,845명 중 리투아니아인은 30.3%, 독일인은 57.3%를 차지했다).[23][52][22] 1939년 독일의 리투아니아 최후통첩으로 인해 리투아니아는 클라이페다 지역을 나치 독일에 할양했지만, 곧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었고 클라이페다 주민들은 독일로 대피했다.[23]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거의 모든 새로운 주민들이 리투아니아, 러시아, 벨라루스, 우크라이나에서 클라이페다로 이주하여 이전의 독일어 사용 인구를 대체했다(전쟁 후 도시에는 6명의 옛 주민만 남았다).[23]
년 클라이페다 인구는 154,332명이었다.[55] 최근 자료에 따르면 도시에는 여성이 더 많다. 여성은 54.89%(84,717명), 남성은 45.11%(69,615명)을 차지한다.[55] 2022년 클라이페다 인구의 80%는 리투아니아인이었다.[56]
5. 정치
클라이페다 시정촌 의회는 클라이페다 시정촌의 행정 기관이다.[65] 의회는 시정촌 법률을 담당한다. 의회는 31명(시의원 30명과 시장 1명)으로 구성되며 4년 임기로 직접 선출된다.[66][67]
의회는 리투아니아 지방자치단체 협회의 회원이다.
임기 | 이름 |
---|---|
1990년–1992년 | 포빌라스 바실리아우스카스(Povilas Vasiliauskas) |
1992년–1994년 | 베네딕타스 페트라우스카스(Benediktas Petrauskas) |
1994년–1995년 | 유르기스 아우슈라(Jurgis Aušra) |
1995년–1997년 | 실베리주스 슈키스(Silverijus Šukys) |
1997년–2000년 및 2000년–2001년 | 에우게니우스 겐트빌라스(Eugenijus Gentvilas) |
2001년–2003년, 2003년–2007년, 2007년–2011년 | 리만타스 타라슈케비추스(Rimantas Taraškevičius) |
2011년–2015년, 2015년–2019년, 2019년–2023년 | 비타우타스 그루블리아우스카스(Vytautas Grubliauskas) |
2023년–현재 | 아르비다스 바이트쿠스(Arvydas Vaitkus) |
6. 경제
클라이페다 항(Port of Klaipėda)은 발트 해 동부 해안에 위치한 주요 결빙되지 않는 항구이자,[68][69] 동서를 잇는 해상, 육상 및 철도 루트를 연결하는 리투아니아의 중요한 교통 중심지이다.[68] 클라이페다 항은 다목적이고 범용적인 심해항으로,[68] 19개의 하역 회사와 조선소 및 선박 수리소가 항구 내에서 운영되며 해양 사업 및 화물 취급 서비스를 제공한다. 연간 항만 화물 처리 용량은 최대 6,000만 톤이며,[70] 2022년에는 3,610만 톤의 화물을 처리했으며 5,605척의 선박이 입항했다.[71] 항구는 연중무휴 24시간 운영된다.[70]
클라이페다는 리투아니아 GDP의 약 12%, 리투아니아 서부 GDP의 약 80%를 생산하며,[125] 경제의 상당 부분은 클라이페다 항(Port of Klaipėda) 무역의 영향을 받는다. 도시 동부에는 최초 6년간 0% 세금 혜택을 제공하는 클라이페다 자유경제구역(Klaipėda Free Economic Zone)이 있다.
클라이페다는 발트 해 연안 국가(Baltic States) 최초의 지열 발전소가 위치한 곳으로, 이 발전소는 지열 난방(geothermal heating)과 클라이페다 열병합발전소(Klaipėda Combined Heat and Power Plant)에 에너지를 공급한다. 2014년에는 독립(FSRU Independence) 선박을 이용한 클라이페다 LNG 부유식 저장 및 재기화 설비(Klaipėda LNG FSRU)가 개장하여 국가의 대체 가스 공급 방식을 보장했다.[126]
도시 GDP의 대부분은 서비스 부문에서 창출되며, 클라이페다 시민의 소득은 리투아니아 평균보다 높다. 클라이페다의 주요 기업으로는 BLRT 서부 조선소(BLRT Western Shipyard), DFDS 리스코(DFDS Lisco), 스비투리스(Švyturys), 클라이페다 해상화물회사(Klaipėdos jūrų krovinių kompanija), 그리게오 클라이페다(Grigeo Klaipėda), 발티쿰 TV(Balticum TV) 등이 있다.
리투아니아 통계청에 따르면, 2017년 2분기 GDP는 2017년 1분기 대비 7.7% 증가했으며, 2016년 2분기 대비 4.0% 증가했고, 향후 몇 년 동안에도 증가세가 예상된다.[125]
7. 문화
클라이페다에서는 매년 클라이페다 성 재즈 페스티벌(Klaipėda Castle Jazz Festival), 클라이페다 해양 축제(Klaipėda Sea Festival) 등 다양한 행사가 열린다.[74][75][76] 파르베글라이벨리스(Parbėg laivelis) 민속 축제도 정기적으로 개최된다.[77]
7. 1. 역사적 장소
12세기에 발트 민족이 클라이페다를 세웠다. 오랫동안 프로이센의 지배를 받으면서 메멜(Memel)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1252년 튜턴 기사단이 발트해에 접한 항구를 만들었고 라틴어로 'Castrum Memele'(독일어로 'Memelburg')라 기록되고 있다.
클라이페다의 주요 관광지는 13세기부터 18세기에 이르는 도시 중심부의 역사적인 건물들이다. 일부 오래된 건물들은 독일, 프랑스, 영국, 덴마크 및 스웨덴 남부에서 볼 수 있는 것과 유사한 골조 건축 양식을 보여준다.
주요 역사적 장소는 다음과 같다.
- 클라이페다 성: 13세기에 튜턴 기사단에 의해 건설되었다. 성벽과 벽돌로 된 성채로 둘러싸인 네모꼴의 탑을 가지고 있었다. 1756년부터 1762년까지 러시아 점령 이후 중요성을 잃고 쇠퇴하기 시작했다.
- 스밀텔레 강 우안에 위치한 "자르데 고대 유적지": 후기 철기 시대(10세기)에 해당하며 16세기까지 거주지였다.
- 17세기-18세기 도시 전체를 둘러싼 소위 "네덜란드식" 방어 시스템의 유적.
- 쿠르슈 해협 끝에 19세기 말에 건설된 빌헬름 요새에 있는 해양 박물관.
- 구시가지
- 클라이페다 성
- 스밀티네 (해양 박물관, Kuršių Nerija National Park|쿠르슈 해협 국립공원영어 박물관)
- 쿠르슈 해협 국립공원 (옆 네린가 행정구역까지 이어져 있다)
7. 2. 문화 시설

- 아르르키나스(Arlekinas)
- 포럼 시네마스(Forum cinemas)
- 클라이페다 뮤지컬 극장
- 클라이페다 드라마 극장
- 클라이페다 인형극장
- 아페이로나스 극장(Apeironas theater)
- 춤극장 "쇼키오 테아트라스"(Dance theater "Šokio teatras")
- 클라이페다 청소년 극장 "클라이페도스 야우니모 테아트라스"(Klaipėda youth theater "Klaipėdos jaunimo teatras")
- -[72]
- "39–45"
- 호박 여왕 호박 박물관 (Amber Queen museum of amber)
- 대장간 박물관 (Blacksmiths museum)
- 성 박물관 (Castle museum)
- 시계 박물관 (Clocks museum)
- 저항 운동 및 강제 이송 전시관 (Exposition of resistance movement and deportation)
- 리투아니아 미술관 프라나스 돔샤이티스 갤러리 (Lithuanian Art Museum Pranas Domšaitis gallery)
- 소리타니아 역사 박물관 (The History Museum of Lithuania Minor)
- 해양 박물관 및 돌핀 해양관 (Maritime museum and Dolphinarium)
리투아니아 해양 박물관은 19세기 쿠르슈 해협 갯벌의 요새 건물에 자리 잡고 있다. 박물관에는 해양 동물, 포유류, 바닷새 전시를 하는 수족관이 있다. 수족관에는 무척추동물과 리투아니아의 담수어, 다양한 열대어가 있다. 박물관 마당에는 물개, 바다사자, 펭귄이 있는 수영장이 있다. 해양 동물 전시에는 연체동물 껍데기, 다양한 화석, 해조류 및 선사 시대 유기체를 포함한 기타 특별 전시품 등 다양한 전시물이 있다.[73]
7. 3. 축제
매년 개최되는 행사로는 클라이페다 뮤직 스프링(Klaipėda Music Spring), 클라이페다 성 재즈 페스티벌(Klaipėda Castle Jazz Festival), 박물관의 밤, 국제 거리극 페스티벌, 국제 단편영화제, 클라이페다 해양 축제(Klaipėda Sea Festival) 등이 있다.[74][75][76] 콘서트, 선박 전시 및 연극 공연이 포함된 파르베글라이벨리스(Parbėg laivelis) 민속 축제도 정기적으로 개최된다.[77]8. 도시 경관
클라이페다의 주요 지역은 다네 강 좌안의 구시가지와 1945년 이후 건설된 펨피닌카이, 나우야키에미스, 알크스니네, 게드미나이 등의 신흥 주거 지역이다.[78]
클라이페다 구시가지는 독일과 스칸디나비아 건축 양식이 풍부하며, 리투아니아의 다른 도시들과 차별화된다. 독특한 Fachwerk(목골조) 건축 양식과 계획적인 거리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거리는 기하학적으로 매우 정확하게 배치되어 있고 교차각은 직각이다.
클라이페다 구시가지에서 가장 인기 있는 곳 중 하나는 극장 광장이다. 이곳에서는 다양한 콘서트, 바다 축제, 국제 재즈 축제 등 여러 행사가 열린다. 극장 광장의 중심에는 시모나스 다차스를 기념하여 세워진 타라보스 아니케(Taravos Anikė) 조각상이 있다. 이 조각상은 맨발의 젊은 여성을 묘사하며, 시인이 묘사한 영웅 중 한 명을 영속화하고 있다.[124]
8. 1. 건축
도시 계획은 쿠르슈 해협과 발트 해 해안을 따라 길게 뻗어 있는 선형 구조이다.[78] 항구 도시의 특징은 부두, 창고, 골조 건축 양식의 건물과 클라이페다 지방의 전형적인 산업 건물에서 강조된다.[78] 클라이페다 구시가지에는 13세기~15세기에 다네 강 우안에 있는 나우야미에스티스(Naujamiestis)를 포함하여 직사각형의 거리망이 형성되었다.20세기 이전에 건설된 일부 요새 시설들이 남아있다. 13세기부터 18세기까지 사용되었던 클라이페다 성과 1559년에 건설된 부속 성채는 다네 강 좌안에 남아있다.[79] 15세기부터 18세기까지 건설된 클라이페다 성의 성채는 다네 강 우안에 여전히 남아있다.[78] 1857년 화재로 소실된 신고전주의 양식 건물 자리에 건설된 극장 궁전을 포함한 오래된 공공 건물들이 클라이페다 구시가지에 남아있다. 골조 건축과 벽돌로 된 창고와 주택들이 클라이페다 전역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78]
1854년 화재 이후 도시는 집중적으로 재건되었다.[78] 19세기 후반부터 형성되기 시작한 나우야미에스티스 지역에는 국가은행(1858년), 법원(1862년), 기차역(1875년), 루이제 김나지움(1891년), 신고딕 양식 우체국(1890년, 건축가 H. Schoede), 병영 단지(1907년, 현재 클라이페다 대학교 중앙 궁전[80]), 교사 양성학교(1908년), 시립병원(1902년), 장인 보호소(1910년) 등 주목할 만한 역사적 건물들이 있다.[78]

또한 이 기간 동안 많은 주택과 다양한 건물들이 건설되었다. 예를 들어, 리에푸 거리(Liepų Street)에는 주택들이 건설되었고, 리에푸 거리 12번지에는 신고전주의 궁전이 건설되었다. 이 궁전은 1820년경과 19세기 후반에 확장되었으며, 현재 클라이페다 시계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81] 1861년 건축가 J. 하르트만(J. Hartmann)이 건설한 가스 공장, 1869년~1880년에 건설된 골조 건축 양식의 유니온 화학 비료 공장, 1900년에 건설된 후 1994년 클라이페다 판지 회사로 확장된 펄프 공장을 포함한 산업 시설들도 광범위하게 건설되었다. 1855년 성과 다네 강 사이의 운하 위에 도개교가 건설되었다.[78]

20세기 초에는 유겐트슈틸 양식의 건물들이 도시에 건설되었다.[78] 리투아니아 독립 회복과 클라이페다 봉기 이후에는 적십자 병원(1933년, 현재 클라이페다 군 병원), 비타우타스 마그누스 김나지움(1934년), 클라이페다 사범대학교 체육관(1937년, 2005년부터 클라이페다 체육 문화 레크리에이션 센터), 시립 저축은행(1938년), 발전소 단지(20세기 3~40년대)가 건설되었고, 이 건물들은 합리주의적 특징을 보여준다.[78]
제2차 세계 대전 중 클라이페다 건물의 60%가 파괴되었다.[78]
소련 점령 기간 동안 클라이페다의 역사적인 부분은 재설계되었다.[78] 1957년 평화의 성모 마리아 성당 건설이 시작되었으나 1960년 신자들에게서 빼앗겼고, 대신 1963년 리투아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필하모닉 지부가 설립되었다. 이 건물은 1988년 다시 예배 장소로 사용되었다.[83] 이 시대의 다른 주목할 만한 건물로는 문화 궁전(1963년, 현재 클라이페다 뮤지컬 극장), 결혼 궁전(1980년), 리투아니아 해양 박물관과 수족관(1979년, 코프갈리스 요새(1866년)에 위치), 호텔 클라이페다(1986년, 현재 엠버턴 클라이페다)가 있다.[78] 리투아니아 국가 재건 이후에는 리투아니아 해양 박물관 돌핀 센터(1994년), 대형 쇼핑센터, 행정 건물, 호텔, 주택 등이 건설되었다.[78]

클라이페다에서 가장 높은 건물은 34층 건물인 필소타스(Pilsotas)이다.
이름 | 층수 | 높이 | 준공 | 용도 | 상태 |
---|---|---|---|---|---|
필소타스(Pilsotas) | 34 | 111.9m | 2007 | 주거 | 준공 |
BIG 2 콤플렉스 | 25 | 72m–82m | 2009 | 복합용도 | 준공 |
K 타워(K Tower) | 20 | 71.9m | 2006 | 사무실 | 준공 |
D 타워(D Tower) | 20 | 71.9m | 2006 | 주거 | 준공 |
클라이페다 부레(Klaipėdos burė) | 22 | 66m | 2009 | 주거 | 준공 |
아우크슈토지 스멜테(Aukštoji Smeltė) | 20 | 66m | 2009 | 주거 | 건설 중 |
미니야스 방가(Minijos Banga) | 20 | 62.2m | 2007 | 주거 | 준공 |
네아폴리스 비즈니스 센터(Neapolis Business Centre) | 16 | 56.7m | 2007 | 사무실 | 준공 |
발티야스 애비뉴 타워(Baltijos Avenue Tower) | 15 | 50m | 2002 | 주거 | 준공 |
베트룽게(Vėtrungė) | 13 | 42m | 소매 | 준공 |
클라이페다의 구시가지는 독일과 스칸디나비아 건축 양식이 풍부하게 남아 있어 리투아니아의 다른 도시들과 차별화된다. 클라이페다 구시가지는 독특한 Fachwerk(목골조) 건축 양식과 계획적인 거리 구조를 가지고 있다. 거리는 기하학적으로 매우 정확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교차각은 직각이다.
클라이페다 구시가지에서 가장 인기 있는 곳 중 하나는 극장 광장이다. 이곳에서는 다양한 콘서트, 바다 축제, 국제 재즈 축제 등 여러 행사가 열린다. 극장 광장의 중요한 중심물은 맨발의 젊은 여성을 묘사한 타라보스 아니케(Taravos Anikė) 조각상이다. 이 조각상은 시모나스 다차스(Simonas Dachas)를 기념하여 세워졌다.[124]
9. 교육
14세기부터 클라이페다는 리투아니아 미노르의 교육 중심지였다.[84] 테우토닉 기사단 시대에는 클라이페다 지역 북부, 쿠르슈족이 거주하는 필소타스(Pilsotas) 지역의 도시 교회 근처에 라틴 학교가 있었지만, 대부분의 학교는 삼비아 반도에 설립되었다.[85][86]
프로이센 공국 시대에는 리투아니아 미노르의 학교가 교회 당국의 규정에 따라 설립되었다.[85] 16세기에는 프로이센 공국에서 12개의 리투아니아 교구 학교가 운영되었다.[85] 1590년경 리투아니아 공동체가 독립하면서, 1620년경에는 리투아니아 교회 사제 소유 부지에 세워진 집에 별도의 클라이페다 교구 학교가 문을 열었지만, 이 교회와 학교는 1627년에 철거되었다.[88][87] 1687년에는 프리드리히 교외에 새로운 리투아니아 교회가 건립되었고, 그 옆에 리투아니아 교구 학교도 설립되었다.[88] 19세기 초 클라이페다 리투아니아 교구 학교의 중요성이 감소하면서, 1817년 클라이페다 행정관이 건물을 점거하여 거의 300년간 운영되던 학교는 문을 닫았다.[88]
18세기 전반기,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 국왕은 프로이센 교육 제도 개혁을 단행하여 유럽 최초로 보편적 초등 교육을 실시하려고 시도한 군주 중 한 명이었다.[85] 새롭게 설립된 1160개의 초등학교 중 275개가 클라이페다를 포함한 리투아니아 주에 설립되었다.[85] 루터교 규정은 교회 학교를 포함한 공공 생활에서 지역 주민의 언어 사용을 장려했으며, 18세기에는 리투아니아 군의 초등학교 수가 결국 449개로 증가했다(그중 340개 학교에서는 리투아니아어 또는 독일어로만 수업을 진행했다).[85] 그러나 리투아니아 어린이들이 공부하는 데 큰 장애물이 된 것은 농노제였는데, 이는 프로이센에서 1763년에야 폐지되었다.[85] 19세기에는 혼합 학교로 인해 이중 언어 학교가 결국 독일어 단일 언어 학교가 되면서 리투아니아 학생들의 독일화가 진행되었다.[85] 전간기 클라이페다는 1923년부터 리투아니아의 일부가 되었지만, 이 기간 동안 클라이페다 지역 전체 102개 학교 중 리투아니아어 학교는 4개, 독일어-리투아니아어 혼합 학교는 7개에 불과했다.[89]
17세기 말에는 클라이페다 최초의 고등학교인 대학교(또는 라틴 학교)가 설립되었고, 1850년경에는 김나지움으로 승격되었으며, 1891년에는 루이제 여왕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87][90] 1829년에는 항해사와 선장을 양성하기 위해 클라이페다 항해학교가 설립되었다.[87][91] 1902년에는 리투아니아어를 아는 교사를 양성하기 위해 클라이페다 교원 양성학교가 설립되었다.[92] 1923년에는 작곡가 스타시스 쉼쿠스(Stasys Šimkus)의 주도로 전문 음악가를 양성하기 위한 클라이페다 음악원이 설립되어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93][87]
현재 클라이페다에는 김나지움 12개, 초등학교 3개, 프로김나지움(progymnasium) 17개, 기초학교 4개가 있다.[95] 또한 에두아르도 발시오 예술 김나지움(Eduardo Balsio Gymnasium of Arts)이 있다.[96] 클라이페다 학생 대부분은 대학이나 전문대학에서 학업을 계속하는데, 리투아니아는 OECD 통계에 따르면 고등 교육을 받은 인구 비율이 세계 최고 수준의 국가 중 하나이다(2022년 기준 25~34세 인구의 58.15%).[97]
초기 클라이페다에는 대학교가 없었기 때문에 많은 클라이페다 시민들과 소 리투아니아(Lithuania Minor)와 리투아니아 본토(Lithuania proper) 출신의 저명한 리투아니아인들은 쾨니히스베르크 대학교(University of Königsberg)에서 공부하고 강의했다.[85][98]
전간기에 클라이페다에는 세 개의 고등학교가 설립되었다.[87] 클라이페다 무역학교(1934년 설립)는 은행, 상업, 영사 세 개의 학과를 두고 있었다.[100] 클라이페다 사범학교(1935년 설립)는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고급 자격 과정을 제공했다.[101] 클라이페다 지역 사범학교(1935년 설립)는 지역 독일 학교 교사를 위한 고급 자격 과정을 제공했다.[102] 클라이페다에 대학을 설립하려는 제안도 있었지만, 1939년 독일의 클라이페다 지역 합병과 그 이후에 발생한 리투아니아의 소비에트화로 인해 실현되지 못했다.[103][104]
소비에트 시대에는 카우나스 공과대학교(1959년)와 시아울라이 사범대학교(1971년)의 분교 등이 클라이페다에 설립되었다.[104] 1990년 리투아니아 국가 재건 이후 이들은 통합되어 클라이페다 대학교(Klaipėda University)를 설립했다.[104] 클라이페다 대학교는 해양 기술 및 자연 과학부, 사회 과학 및 인문학부, 보건 과학부 세 개의 학부와 해양 연구소, 발트 지역 역사 및 고고학 연구소 두 개의 연구소를 두고 있다.[105] 매년 3,000명 이상의 학생들이 클라이페다 대학교에서 공부하고 있으며, 약 40,000명의 동문이 있다.[106]
클라이페다에서 운영되는 또 다른 대학교는 자유주의 교육(liberal arts education)을 제공하는 에큐메니컬 기독교 대학교인 LCC 국제대학교(LCC International University)이다.[107]
클라이페다에는 클라이페다 응용과학대학교, 리투아니아 비즈니스 칼리지, SMK 고등학교, 리투아니아 해양 아카데미 등 네 개의 대학이 있다.[108][109][110][111] 또한 빌뉴스 예술 아카데미(Vilnius Academy of Arts)와 리투아니아 음악극 아카데미(Lithuanian Academy of Music and Theatre)도 클라이페다에 학부를 두고 있다.[112][113]
클라이페다에는 여러 도서관이 있으며, 가장 주목할 만한 곳은 클라이페다 대학교 도서관(1991년 설립),[114] 클라이페다 시립 이마누엘 칸트 공공도서관(1920년 설립),[115] 클라이페다 주 이에바 시모나이티테 공공도서관(1950년 설립) 등이 있다.[116]
10. 교통
클라이페다는 리투아니아의 주요 항구 도시로서, 다양한 교통 수단을 갖추고 있다.
철도는 1878년 프로이센 철도망이 클라이페다에 연결되면서 시작되었으며, 1923년 클라이페다 봉기 이후 리투아니아에 합병되면서 크게 확장되었다. 현재는 리투아니아 철도가 빌뉴스와 라드빌리슈키스 등으로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공항으로는 팔랑가 국제공항이 있으며, 국내선 및 국제선 정기 항공편을 제공한다. 클라이페다 시내와는 버스로 연결된다. 또한, 소규모 민간 비행장인 클라이페다 비행장도 있다.
페리는 쿠르슈 해협을 건너 쿠르슈 사주의 스밀티네(Smiltynė)로 연결되며, 구 페리 터미널과 신 페리 터미널 두 곳에서 이용할 수 있다. DFDS Seaways와 TT-Line 두 회사가 독일, 스웨덴 등으로 페리를 운항한다.
버스는 클라이페다 시내와 다른 도시 및 마을을 연결하는 주요 대중교통 수단이다. 쿠르슈 해협 연안을 따라 남북축으로 배치된 주요 도로를 기반으로 편리한 노선망을 갖추고 있다. 클라이페다 버스 터미널에서는 다른 도시로 가는 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스밀티네에서는 쿠르슈 사주의 니다와 유오드크란테로 가는 버스를 탈 수 있다.
과거의 트램은 1904년부터 1967년까지 운영되었으며, 리투아니아 역사상 유일한 트램 시스템이었다. 현재 시 당국은 클라이페다의 트램 시스템 재활성화를 위한 계획을 세우고 있으며, 팔랑가 국제공항과 팔랑가를 경유하여 클라이페다를 슈벤토이와 연결하는 트램 노선이 제안되었다. 2017년에는 헤르쿠스 만토(Herkus Manto) 거리와 타이코스(Taikos) 거리에 첫 번째 트램 노선에 대한 타당성 조사가 시작되었다.[121][122][123]
10. 1. 철도
클라이페다 기차역(Klaipėdos geležinkelio stotislt)은 구시가지 북쪽 Priestočio g. 1에 있다.기차역은 두 개의 건물로 구성되어 있다. 노란색 벽돌로 지어진 고풍스러운 건물은 고전 건축 양식을 반영하고 있으며 1881년에 건립되었다. 현재 이 건물에는 다양한 소규모 사업체들이 입주해 있다. 새로운 기차역 건물은 1983년에 붉은 벽돌로 지어졌다.
당시 프로이센의 철도망은 1878년 클라이페다에 도달했다. 처음에는 클라이페다-실루테 및 클라이페다-실루테-파게기아이 노선의 목재 및 어류 화물 운송에 사용되었던 리투아니아 소 지역의 철도망은 1923년 클라이페다 봉기와 리투아니아에 의한 지역 합병 이후 크게 확장되었다.
2017년 기준으로 리투아니아 철도는 클라이페다 기차역에서 두 개의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클라이페다-빌뉴스 노선은 하루 4회, 클라이페다-라드빌리슈키스 노선은 하루 2회 운행된다. 기차표는 역에서 구입하거나[117] 추가 요금을 지불하고 기차 안에서 구입할 수 있다.
다음은 기차역을 경유하는 클라이페다 시내 여객 운송 버스 노선이다.
노선 번호 | 노선 |
---|---|
9번 | 시내 남쪽 – 시립 병원 (중앙 클라이페다 터미널 경유) |
6번 | 시내 남쪽 – 멜나그레 지역 (멜나그레 해변) |
8번 | 시내 남쪽 – 버스 터미널 (구시가지 경유) |
15번 | 시내 남쪽 – 시립 병원 |
100번 | 버스 터미널 – 팔랑가 국제공항 (PLQ) |
클라이페다에는 1875년에 철도가 개통되었다. 파게기아이(Pagėgiai)와 포게겐(Pogėgiai)으로 향하는 노선은 제1차 세계 대전까지 유일한 철도 노선이었다. 오늘날에는 근교 노선만 운행되고 있다. 현재 가장 중요한 철도 노선은 샤우레이(Šiauliai)를 경유하여 빌뉴스(Vilnius)로 향하는 노선이다. 이 노선에는 매일 3편의 장거리 열차(그중 1편은 야간 열차)와 3편의 지역 열차가 운행된다. 운행 주체는 리투아니아 철도(Lietuvos Geležinkeliai)이다.
- 빌뉴스(Vilnius)행 (하루 3편, 소요시간 약 5시간)
10. 2. 공항

팔랑가 국제공항은 국내선 및 국제선 정기 항공편을 운항한다. 이 공항은 시내버스로 클라이페다와 연결되어 있다.
클라이페다에는 스포츠 항공 및 전세 항공편을 주로 서비스하는 소규모 민간 비행장도 있다.
10. 3. 페리
클라이페다는 쿠르슈 해협 옆에 위치하며, 반도의 일부(스밀티네(Smiltynė))는 클라이페다에 속해 있다. 두 개의 터미널 중 하나를 이용하여 페리를 통해 반도에 도착할 수 있다.- 구 페리 터미널 (Danės st. 1) – 도보 또는 자전거를 이용하는 승객을 위한 시내 중심부 페리
- 신 페리 터미널 (Nemuno st. 8) – 자동차를 이용하는 사람들을 위한 페리
클라이페다에는 세 개의 페리 노선과 DFDS Seaways(DFDS 시웨이즈), TT-Line(TT-라인) 두 개의 페리 회사가 있다.
페리는 클라이페다 중앙 터미널(CKT)에서 출발한다. DFDS는 킬(독일)과 칼스함(스웨덴)로 향하는 페리를 운항하고, TT-Line 페리는 트렐레보리(스웨덴)로 향한다.
독일(키일(킬) 및 Sassnitz|자스니츠de), 덴마크, 스웨덴, 폴란드(그단스크)로 향하는 항로가 있다.

10. 4. 버스


클라이페다의 버스 대중교통은 쿠르슈 해협 연안을 따라 달리는 세 개의 평행한 주요 도로를 기반으로 남북축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이는 통근에 있어 논리적이고 편리한 그리드를 만든다.[119]
상점과 신문 가판대에서 교통비 지불을 위한 전자 카드를 구입할 수 있다. 대중교통은 클라이페다 시 승객 수송이 운영, 감독 및 조정한다.
다른 도시와 마을로 가는 버스는 클라이페다 버스 터미널(Butkų Juzės g. 9)에서 출발한다. 쿠르슈 사주 마을 니다와 유오드크란테로 가는 버스는 스밀티네(구 페리 터미널 옆)의 버스 정류장에서 출발한다.
근교 대중교통망으로 버스가 운행된다. 버스는 볼보사 또는 다임러-벤츠사의 차량이 자주 사용된다. 또한 노선택시도 이용된다. 노선택시는 포드 트랜짓 버스와 같은 크기로 특정 노선을 운행하는 것이다. 요금은 승객 1인당으로 정해져 있다. 노선택시 요금은 1일 1리타스, 심야 요금은 2리타스이다. 이용 거리에는 제한이 없다.
- 도선: 구시가지(Old Castle Port) ~ 스밀티네 (30분에 1회 정도, 소요시간 약 10분)
- 노선버스: 스밀티네 ~ 니다 (1일 10회 정도, 소요시간 약 1시간)
- 노선버스: 클라이페다 버스터미널 ~ 팔랑가 (30분에 1회 정도, 소요시간 약 45분)
버스터미널에서는 샤울라이(Šiauliai), 실루테(Silute), 빌뉴스(Vilnius) (카우나스(Kaunas) 경유), 리가(Riga), 리예파야(Liepaja), 폴란드, 독일, 칼리닌그라드(Kaliningrad) (러시아)행 노선버스가 운행된다. 버스터미널은 클라이페다 중앙역 바로 옆에 있으며, 근교 도시를 오가는 많은 노선버스도 운행한다.
- 리가행 유로라인즈(Eurolines) 버스 중 1대는 파랑가(Palanga), 리예파야(Liepaja) 경유
10. 5. 트램 (과거)
클라이페다의 트램은 1904년부터 1934년까지, 그리고 1950년부터 1967년까지 운영되었다. 이는 리투아니아 역사상 유일한 트램 교통 시스템으로, 최초의 독립 리투아니아의 마지막 시기와 소비에트 리투아니아 시대를 아우른다. 메멜 클라인반(Memeler Kleinbahn AG) 회사가 운영했던 도시 간 교통수단이었다.[120]트램 시스템은 12km의 선로와 17대의 트램으로 구성된 두 개의 노선을 가지고 있었다. 첫 번째 노선은 구시가지(등대와 슈트란트빌라(Strandvilla) 레스토랑)를 출발하여 도심과 북쪽 교외를 지나 로열 비테(Royal (Didžioji) Vitė)와 보멜리오 비테(Bomelio Vitė) 지역을 포함했으며, 결국 해변으로 이어져 휴양지인 멜나그레까지 운행되었다. 두 번째 노선은 구시가지를 출발하여 로열 스멜테(Royal Smeltė), 산업 교외 지역을 거쳐 남쪽으로 빌헬름 운하(Wilhelm Channel)와 우든 베이(Wooden Bay)까지 이어졌다. 모든 트램 노선은 도심의 증권거래소와 연결되어 있었다. 트램 노선의 지선은 리에파야(현재 만토(Manto) 거리) 거리와 리에파야(현재 리에투브닌쿠 광장) 광장을 통해 도심과 기차역을 연결했다. 또 다른 트램 노선은 비테 지역을 통과하여 윈터 포트(Winter Port) 근처를 지났다. 1950년부터 1967년까지는 스멜테(Smeltė)로 가는 노선만 운영되었다. 트램 노선은 철도와 항구에서의 화물 운송에도 사용되었다. 결국 트램은 마모와 재생 및 개발을 위한 자금 부족으로 인해 운행이 중단되었다.[120]
11. 자매 도시
클라이페다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127]
도시 | 국가 |
---|---|
클리블랜드 | Cleveland|클리블랜드영어 |
그디냐 | Gdynia|그디냐pl |
칼스크로나 | Karlskrona|칼스크로나sv |
코트카 | Kotka|코트카fi |
쿠지 | 久慈|쿠지일본어 |
리예파야 | Liepāja|리예파야lv |
뤼베크 | Lübeck|뤼베크de |
만하임 | Mannheim|만하임de |
노스타인사이드 | North Tyneside|노스 타인사이드영어 |
오데사 | Одеса|오데사uk |
자스니츠 | Sassnitz|자스니츠de[128] |
슈체친 | Szczecin|슈체친pl |
메르신 | Mersin|메르신tr[129] |
이 도시는 이전에 다음 도시들과 자매결연을 맺었었다.[130]
참조
[1]
웹사이트
Resident population on 1 July
https://osp.stat.gov[...]
2024-07-19
[2]
웹사이트
BENDRASIS VIDAUS PRODUKTAS PAGAL APSKRITIS 2022 M.
https://osp.stat.gov[...]
[3]
뉴스
Kviečiame susipažinti su 2024 m. biudžeto projektu
https://www.klaipeda[...]
[4]
웹사이트
Klaipėda
https://www.vle.lt/s[...]
2023-03-26
[5]
웹사이트
Klaipėdos jūrų uostas
https://www.vle.lt/s[...]
2023-03-26
[6]
웹사이트
Total area and population by administrative territory – Database of Indicators – data and statistics
http://db1.stat.gov.[...]
2015-09-10
[7]
웹사이트
Department of Statistics
https://osp.stat.gov[...]
2020-12-30
[8]
웹사이트
The Best Resorts in Lithuania
http://www.truelithu[...]
2023-04-15
[9]
웹사이트
Mažosios Lietuvos istorijos muziejus
http://www.mlimuziej[...]
2019-08-02
[10]
웹사이트
www.klaipedainfo.lt
http://www.klaipedai[...]
2015-05-31
[11]
웹사이트
Kas užšifruota Klaipėdos miesto herbe?
https://www.atvirakl[...]
2022-11-11
[12]
서적
Neris ir jos krantai: hidrografiniu, istoriniu, archeologiniu ir etnografiniu požiūriu
https://archive.org/[...]
Internet Archive
[13]
웹사이트
History
https://web.archive.[...]
2006-04-11
[14]
서적
Historical Atlas of Central Europ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02
[15]
Youtube
Klaipėdos pilis. Gynybinis paveldas Lietuvoje. I dalis
https://www.youtube.[...]
2023-01-09
[16]
웹사이트
Gediminas
https://www.vle.lt/s[...]
2023-03-26
[17]
서적
Places of Fighting for Lithuania's Freedom: in the expanse of Nemunas, Vistula and Dauguva Rivers
http://www.tb.lt/Lei[...]
General Jonas Žemaitis Military Academy of Lithuania
2010
[18]
간행물
Preußische Urkunden in Rußland
https://books.google[...]
1907
[19]
웹사이트
Melno taika
https://www.vle.lt/s[...]
2023-04-10
[20]
서적
Związek Pruski i poddanie się Prus Polsce: zbiór tekstów źródłowych
Instytut Zachodni
1949
[21]
서적
[22]
웹사이트
Klaipėda
https://www.mle.lt/s[...]
2023-04-10
[23]
웹사이트
Klaipėdos istorija
https://www.vle.lt/s[...]
2023-03-26
[24]
뉴스
Karalienės Luizės žingsnius primena medžiai ir pastatai
https://kultura.lryt[...]
2015-11-27
[25]
웹사이트
Apie baudžiavos panaikinimą Lietuvoje
https://blog.lnb.lt/[...]
2024-09-09
[26]
서적
Bitwy i potyczki 1863–1864. Na podstawie materyałów drukowanych i rękopiśmiennych Muzeum Narodowego w Rapperswilu
Fundusz Wydawniczy Muzeum Narodowego w Rapperswilu
1913
[27]
웹사이트
Klaipėdos pašto rūmai (Liepų g. 16)
http://www.uostas.in[...]
2018-02-15
[28]
웹사이트
http://gauss.suub.un[...]
2020-10-02
[29]
웹사이트
Visa Lietuvių tauta atsiėmė Klaipėdą
http://www.muziejai.[...]
[30]
웹사이트
Vyriausiasis Mažosios Lietuvos gelbėjimo komitetas
https://www.vle.lt/s[...]
2023-06-30
[31]
간행물
[32]
서적
Lithuania in European Politics: The Years of the First Republic, 1918–1940
St. Martin's Press
1999
[33]
웹사이트
Klaipėdos krašto istorijos vingiuose
http://www.mazoji-li[...]
[34]
웹사이트
Neumanno-Sasso byla
https://www.vle.lt/s[...]
2023-03-26
[35]
서적
Sean Lester: The Guardian of a Small Flickering Light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6
[36]
서적
The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Encyclopedia of Camps and Ghettos 1933–1945. Volume IV
Indiana University Press,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37]
서적
Wysiedlenia ludności polskiej z okupowanych ziem polskich włączonych do III Rzeszy w latach 1939–1945
Institute of National Remembrance
[38]
웹사이트
Istorija – Memelio miestas
http://memelcity.lt/[...]
2022-01-11
[39]
웹사이트
Lietuvos sovietinimas, rusinimas ir kolonizavimas
https://www.vle.lt/s[...]
2023-04-08
[40]
웹사이트
Lietuvos gyventojai
https://www.vle.lt/s[...]
2023-04-08
[41]
웹사이트
Lietuvoje – pirmasis milžinas iš 64-ių
https://www.delfi.lt[...]
2019-08-02
[42]
웹사이트
Météo Climat stats for Klaipėda
http://meteo-climat-[...]
Météo Climat
2017-10-17
[43]
웹사이트
Klaipeda Climate Normals 1961–1990
https://www.ncei.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3-02-02
[44]
웹사이트
Climate & Weather Averages in Rybnik
https://www.timeandd[...]
Time and Date
2022-07-25
[45]
웹사이트
Klaipėda Sea Temperature
https://live.seatemp[...]
2023-04-30
[46]
간행물
Tarybų Lietuvos enciklopedija
Vyr. enciklopedijų redakcija
[47]
웹사이트
Mažoji Lietuva
https://www.vle.lt/s[...]
2023-04-08
[48]
웹사이트
Lietuvos provincija
https://www.vle.lt/s[...]
2023-04-08
[49]
웹사이트
Prūsijos lietuviai
https://www.vle.lt/s[...]
2023-04-08
[50]
웹사이트
Lietuvininkai
https://www.mle.lt/s[...]
2023-04-10
[51]
웹사이트
Maras Lietuvoje
https://www.vle.lt/s[...]
2023-04-08
[52]
웹사이트
Kolonizacija
https://www.vle.lt/s[...]
2023-04-08
[53]
웹사이트
Lietuvos departamentas
https://www.vle.lt/s[...]
2023-04-08
[54]
서적
Identities In-Between in East-Central Europe
Routledge
2023-04-08
[55]
웹사이트
Gyventojų skaičius (administraciniai duomenys)
https://osp.maps.arc[...]
2023-04-08
[56]
웹사이트
Klaipėdoje 80 proc. gyventojų – lietuviai
https://www.atvirakl[...]
2022-03-15
[57]
웹사이트
Istorija
https://www.svjono.l[...]
2023-04-10
[58]
웹사이트
Klaipėdos parapija
https://www.liuteron[...]
2023-04-10
[59]
웹사이트
Klaipėdos lietuvininkų parapija
https://www.mle.lt/s[...]
2023-04-10
[60]
웹사이트
Jonas Pipiras
https://www.mle.lt/s[...]
2023-04-10
[61]
웹사이트
Pradingusi itališko stiliaus Tiltų gatvės puošmena
https://www.atvirakl[...]
2019-11-03
[62]
웹사이트
Lietuvos Evangelikų Liuteronų Bažnyčia
https://www.vle.lt/s[...]
2023-04-10
[63]
웹사이트
Klaipėdos krašto Katalikų Bažnyčia
https://www.mle.lt/s[...]
2023-04-10
[64]
웹사이트
Grįžta Liuteroniškos kultūros dienos: 20 renginių per 5 mėnesius
https://www.liuteron[...]
2024-08-25
[65]
웹사이트
Klaipėdos miesto savivaldybės taryba
https://www.klaipeda[...]
2023-03-26
[66]
웹사이트
Apie tarybą
https://www.klaipeda[...]
2023-03-26
[67]
웹사이트
Tarybos nariai
https://www.klaipeda[...]
2023-03-26
[68]
웹사이트
Klaipėdos jūrų uostas
https://www.vle.lt/s[...]
2023-03-26
[69]
웹사이트
Veiklos sritys
https://portofklaipe[...]
2023-04-08
[70]
웹사이트
Klaipėdos uosto pristatymas
http://www.uostas.in[...]
2023-04-08
[71]
웹사이트
Klaipėdos uosto statistika
https://portofklaipe[...]
2023-04-08
[72]
웹사이트
Lithuanian Sea Museum official website
https://web.archive.[...]
2011-06-15
[73]
웹사이트
Lithuanian Maritime Museum
http://muziejus.lt/e[...]
2017-08-03
[74]
웹사이트
Biggest culture events in Klaipėda 2016–2018
http://www.klaipedai[...]
Klaipėdos turizmo ir kultūros informacijos centras (Klaipėda Tourism and Culture Information Centre)
2017-08-03
[75]
웹사이트
Jūros Šventė
http://jurossvente.l[...]
2017-11-10
[76]
웹사이트
Klaipėda Castle Jazz festival
http://jazz.lt/en/
2017-11-10
[77]
웹사이트
Klaipėdą užliejo tarptautinio folkloro festivalio "Parbėg laivelis" bangos
https://www.lrytas.l[...]
2023-05-05
[78]
웹사이트
Klaipėdos architektūra
https://www.vle.lt/s[...]
2022-01-08
[79]
웹사이트
The Castle Museum
https://www.mlimuzie[...]
2022-01-08
[80]
웹사이트
Klaipeda University – History
https://www.ku.lt/en[...]
2022-01-08
[81]
웹사이트
Clock Museum {{!}} Lietuvos nacionalinis dailės muziejus
https://www.lndm.lt/[...]
2022-01-08
[82]
웹사이트
Klaipėdos Biržos tiltas
https://www.pamatykl[...]
2022-01-09
[83]
웹사이트
Istorija – Klaipėdos Marijos Taikos Karalienės parapija
https://taikoskarali[...]
2022-01-08
[84]
웹사이트
Klaipėdos miesto savivaldybės administracija – Education
https://web.archive.[...]
2017-11-11
[85]
웹사이트
Mažoji Lietuva
https://www.mle.lt/s[...]
2023-06-30
[86]
웹사이트
Pilsotas
https://www.mle.lt/s[...]
2023-06-30
[87]
웹사이트
Klaipėdos mokyklos
https://www.mle.lt/s[...]
2023-06-30
[88]
웹사이트
Klaipėdos lietuvininkų parapinė mokykla
https://www.mle.lt/s[...]
2023-06-30
[89]
웹사이트
Tarpukario Klaipėda: maištas prieš lietuvišką sistemą, Kudirkos šuolis, svastikos ir medaliais apdovanota tekstilė
https://www.lrt.lt/n[...]
2023-06-30
[90]
웹사이트
Klaipėdos Luizės gimnazija
https://www.mle.lt/s[...]
2023-06-30
[91]
웹사이트
Klaipėdos navigacijos mokykla
https://www.mle.lt/s[...]
2023-06-30
[92]
웹사이트
Klaipėdos mokytojų seminarija
https://www.mle.lt/s[...]
2023-06-30
[93]
웹사이트
Istorija
https://klaipedoskon[...]
2023-06-30
[94]
웹사이트
Klaipėdos spartesnioji mokykla
https://www.mle.lt/s[...]
2023-06-30
[95]
웹사이트
Mokyklų žemėlapis
https://svietimas.kl[...]
2023-06-30
[96]
웹사이트
Vizija, misija, veiklos sritis ir ugdymo programos
https://www.balsiogi[...]
2023-06-30
[97]
웹사이트
Population with tertiary education
https://data.oecd.or[...]
2023-06-30
[98]
웹사이트
Karaliaučiaus universitetas
https://www.mle.lt/s[...]
2023-06-30
[99]
웹사이트
Karaliaučiaus universiteto Lietuvių kalbos seminaras
https://www.vle.lt/s[...]
2023-06-30
[100]
웹사이트
Prekybos institutas
https://www.vle.lt/s[...]
2023-06-30
[101]
웹사이트
Klaipėdos pedagoginis institutas
https://www.mle.lt/s[...]
2023-06-30
[102]
웹사이트
Klaipėdos krašto pedagoginis institutas
https://www.mle.lt/s[...]
2023-06-30
[103]
웹사이트
Klaipėdos universitetas geopolitiniame kontekste
https://sc.bns.lt/vi[...]
2023-06-30
[104]
웹사이트
Klaipėdos universitetas
https://www.mle.lt/s[...]
2023-06-30
[105]
웹사이트
Departments
https://www.ku.lt/en[...]
2023-06-30
[106]
웹사이트
About University
https://www.ku.lt/en[...]
2023-06-30
[107]
웹사이트
About LCC
https://lcc.lt/about[...]
2023-06-30
[108]
웹사이트
Klaipėda University of Applied Sciences
https://www.kvk.lt/e[...]
2023-06-30
[109]
웹사이트
Lithuania Business College
https://ltvk.lt/en/h[...]
2023-06-30
[110]
웹사이트
SMK High School
https://www.smk.lt/e[...]
2023-06-30
[111]
웹사이트
Short LMA History
https://www.lajm.lt/[...]
2023-06-30
[112]
웹사이트
Faculty of Klaipėda
https://www.vda.lt/e[...]
2023-06-30
[113]
웹사이트
Klaipėda Faculty
https://lmta.lt/en/f[...]
2023-06-30
[114]
웹사이트
About the Library
https://biblioteka.k[...]
2023-07-02
[115]
웹사이트
Apie mus
https://biblioteka.l[...]
2023-07-02
[116]
웹사이트
Klaipėdos apskrities Ievos Simonaitytės viešoji biblioteka
https://www.vle.lt/s[...]
2023-07-02
[117]
웹사이트
LTG Link {{!}} E. bilietas
https://web.archive.[...]
2021-11-16
[118]
웹사이트
Metai su "Dancer" autobusais Klaipėdoje: įrodė patikimumą ir tvarumą
https://www.fez.lt/l[...]
2021-04-23
[119]
웹사이트
Map
http://www.klaipedat[...]
2019-08-02
[120]
서적
Senoji Klaipėda. Urbanistinė raida ir architektūra iki 1939 metų.
Vilnius
1994
[121]
웹사이트
Vizija: ateityje po pajūrį keliausime greituoju tramvajumi ir elektrobusais
https://web.archive.[...]
2013-11-29
[122]
웹사이트
Klaipėdos tramvajus – dešimtmečio utopija
http://www.ve.lt/nau[...]
2010-04-10
[123]
웹사이트
Klaipėda gaivina tramvajaus tradicijas
https://web.archive.[...]
2020-10-08
[124]
웹사이트
Klaipeda's Old Town – Explore the City
http://www.lithuania[...]
2015-05-31
[125]
웹사이트
Klaipėdos miesto savivaldybės administracija – Ekonominė situacija
https://web.archive.[...]
2017-11-11
[126]
웹사이트
SGD terminalas oficialiai atidarytas: pradėjo suktis skaitiklis už "Independence" nuomą
https://www.15min.lt[...]
2014-12-03
[127]
웹사이트
Miestai partneriai
https://www.klaipeda[...]
Klaipėda
2019-08-28
[128]
웹사이트
Stadt Sassnitz: Partnerstädte
https://www.sassnitz[...]
City of Sassnitz
2020-09-06
[129]
웹사이트
Kardeş Şehirlerimiz
http://www.mersin.be[...]
Mersin Provincial Council
2022-08-08
[130]
웹사이트
Nutrauktas bendradarbiavimas su Rusijos ir Baltarusijos miestais
https://www.klaipeda[...]
2022-03-01
[131]
웹사이트
Lietuvos Respublikos Prezidentas – "Turime ieškoti ne tik glaudesnių ekonominių bei politinių ryšių, bet ir siekti geriau pažinti savitas abiejų valstybių kultūras", – sakė Prezidentas V. Adamkus
https://web.archive.[...]
2007-06-01
[132]
서적
Tarybų Lietuvos enciklopedija
Vyr. enciklopedijų redakcija
1986
[133]
웹인용
Météo Climat stats for Klaipėda
http://meteo-climat-[...]
Météo Climat
2017-10-17
[134]
웹인용
Klaipeda Climate Normals 1961–1990
https://www.ncei.noa[...]
미국 해양대기청
2013-02-02
[135]
웹인용
Climate & Weather Averages in Rybnik
https://www.timeandd[...]
Time and Date
2022-07-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