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리제 667 Cb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글리제 667 Cb는 도플러 분광법으로 발견된 외계 행성으로, 최소 질량이 지구의 5.6배인 슈퍼 지구일 것으로 추정된다. 항성과의 거리가 가까워 표면 온도가 높고 액체 상태의 물은 존재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갈자리 - 안타레스
안타레스는 붉은색을 띠는 M형 초거성이며, 화성과 유사한 색으로 인해 '아레스의 대적자'라는 이름을 가지며, 쌍성계를 이루는 전갈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이다. - 전갈자리 - OGLE-2005-BLG-390Lb
OGLE-2005-BLG-390Lb는 지구로부터 6.6 ± 1.0 파섹 떨어진 전갈자리에 위치한 외계 행성으로, 미시중력렌즈 효과로 발견되었으며 지구 질량의 약 5.5배이고, 어머니 항성으로부터 2.0 ~ 4.1 천문단위 거리에서 공전하며 표면 온도는 약 50 켈빈으로 추정되는 매우 추운 행성이다. - 2009년 발견한 외계 행성 - WASP-19b
WASP-19b는 '뱅크시아'로 명명된 뜨거운 목성형 외계 행성으로, 모항성 '와틀'인 WASP-19를 공전하며, 목성과 비슷한 질량에 비해 큰 반경과 낮은 밀도를 가지고, 이산화 티타늄과 헤이즈가 있는 대기, 그리고 과거에 물이 감지되었으며, 조석력으로 인해 항성에 낙하할 것으로 예상된다. - 2009년 발견한 외계 행성 - 글리제 581 e
글리제 581 e는 2009년 미셸 마요르 연구진이 시선 속도법으로 발견한 글리제 581 항성계의 행성으로, 지구 질량의 약 1.9배이며 항성과의 매우 가까운 거리로 생명체 존재 가능성은 낮다.
| 글리제 667 Cb | |
|---|---|
| 기본 정보 | |
![]() | |
| 별자리 | 전갈자리 |
| 발견 | 2009년 |
| 발견 방법 | 시선 속도법 (유럽 남방 천문대) |
| 공표 여부 | 공표됨 |
| 궤도 정보 | |
| 궤도 장반경 | 0.050432 ± 0.000001 AU |
| 이심률 | 0.112 |
| 공전 주기 | 7.2006 일 |
| 궤도 경사 | 30° 초과 |
| 준진폭 | 3.8 |
| 모항성 | 글리제 667 C |
| 근점 인수 | 0.10 ± 0.75 라디안 |
| 평균 근점각 | 3.42 ± 1.18 라디안 |
| 평균 황경 | 201 ± 49° |
| 준진폭 | 3.93 ± 0.40 m/s |
| 위치 정보 | |
| 거리 | 22.2 광년 (6.8 pc) |
| 물리적 특징 | |
| 질량 | 5.94–~12 지구 질량 |
| 기타 명칭 | |
| 기타 명칭 | HD 156384b, 2MASS J17185868-345983b, WISE J171859.79-345950.9b, LHS 443b |
2. 특징
글리제 667 Cb는 도플러 분광법으로 발견되어 최소 질량만 알려져 있으며, 이 값은 지구의 5.6배이다. 질량으로 미루어 볼 때 슈퍼 지구로 추정된다. 그러나 이 행성은 생명 가능 구역보다 항성에 더 가깝기 때문에 표면 온도는 지구보다 높고, 액체 상태의 물은 존재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2. 1. 물리적 특성
글리제 667 Cb는 도플러 분광법으로 발견되어 최소 질량만 알려져 있으며, 이 값은 지구의 5.6배이다. 질량으로 미루어 볼 때 글리제 667 Cb는 지구보다 큰 암석 행성, 즉 슈퍼 지구로 추정된다. 그러나 이 행성은 생명 가능 구역보다 항성에 더 가깝기 때문에 표면 온도는 지구보다 높고, 액체 상태의 물은 존재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2. 2. 표면 온도 및 물의 존재 가능성
글리제 667 Cb의 물리적 특징은 발견 방법인 도플러 분광법의 특성상 최소 질량만 구할 수 있으며, 그 최소 질량은 지구의 5.6배이다. 질량으로 볼 때, 글리제 667 Cb는 지구보다 큰 암석 행성, 슈퍼 지구로 생각된다. 그러나 생명 가능 구역보다 주성에 가깝기 때문에 표면 온도는 지구보다 높으며, 액체 물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여겨진다.참조
[1]
논문
A dynamically-packed planetary system around GJ 667C with three super-Earths in its habitable zone
http://www.eso.org/p[...]
2013-06-25
[2]
웹사이트
The high multiplicity systems Gliese 667C and KOI 3158
http://nexsci.caltec[...]
Second Kepler Science Conference
2018-02-27
[3]
웹사이트
Potentially Habitable Planets of Star Gliese 667C Explained (Infographic) - Space.com
https://www.space.co[...]
2018-06-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