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안타레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타레스는 전갈자리에 있는 붉은색 초거성으로, '아레스의 대적자'라는 뜻의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했다. 바이어 명명법으로는 전갈자리 알파, 플램스티드 명명법으로는 전갈자리 21로 표기되며, 동양에서는 심수이 또는 대화성으로 불렸다. 5월 31일 전후로 해 뜨기 전까지 관측 가능하며, 안타레스는 쌍성계로 주성과 반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안타레스는 M1.5Iab-Ib 분광형의 적색초거성으로 태양의 약 10만 배의 복사광도를 가지며, 반성은 청백색 주계열성으로 보인다. 안타레스는 초신성 폭발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으며, 주변에는 IC 4606, Cr302 등의 천체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항성종족 I - 데네브
    데네브는 백조자리의 알파별로, 아랍어로 꼬리를 뜻하며, 국제천문연맹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별의 고유 명칭이며, 여름철 대삼각형을 이루는 청색 초거성으로 약 2,600광년 거리에 있고, 밝기가 변하며 수백만 년 안에 초신성 폭발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 항성종족 I - 베텔게우스
    베텔게우스는 오리온자리에서 가장 밝은 적색 초거성이자 'α Orionis'로 불리며, 1603년 요한 바이어에 의해 명명되었고, 아랍어에서 유래한 이름이 중세 라틴어 번역 과정에서 오역되었으며, 2019년 말부터 2020년 초까지 감광 현상으로 주목받았고, 2016년 국제천문연맹(IAU)에 의해 공식 명칭으로 승인되었다.
  • 소천성표 천체 - 궁수자리 VX
    궁수자리 VX는 천문학 연구 대상인 변광성으로, 관련 데이터는 미국 변광성 관측자 협회 웹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하고 연구 결과는 학술지에 발표된다.
  • 소천성표 천체 - HD 37974
    HD 37974는 대마젤란 은하에 있는 밝은 별들의 집단으로, 태양 질량의 350배에 달하는 WN6-w형 울프-레이에별 R126을 포함하며, 주변에는 먼지 원반이 존재하고 R126은 밝기가 불규칙하게 변동하는 백조자리 알파형 변광성이다.
  • TIC 천체 - GCIRS 7
    GCIRS 7은 우리 은하 중심부 궁수자리 A* 근처에 위치하며 은하 중심에서 약 0.06 광년 떨어진 항성이다.
  • TIC 천체 - 궁수자리 VX
    궁수자리 VX는 천문학 연구 대상인 변광성으로, 관련 데이터는 미국 변광성 관측자 협회 웹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하고 연구 결과는 학술지에 발표된다.
안타레스
개요
유럽 남방 천문대의 초거대 망원경 VLT 간섭계로 관측된 안타레스 (2017년 8월 23일 공개)
유럽 남방 천문대의 초거대 망원경 VLT 간섭계로 관측된 안타레스 (2017년 8월 23일 공개)
화합명안타레스
영어명Antares
그리스어(안타레스)
별칭알파 스코르피아이 (α Sco)
사수자리 21 (21 Sco)
코르 스코르피아이 (Cor Scorpii)
칼브 알 아크라브 (Kalb al Akrab)
전갈의 심장 (Scorpion's Heart)
베스페르틸리오 (Vespertilio)
관측 정보
기원J2000.0
별자리전갈자리
겉보기 등급A: 0.6–1.6, B: 5.5
시선 속도-3.4 km/s
고유 운동 (적경)-12.11 밀리초/년
고유 운동 (적위)-23.30 밀리초/년
연주 시차5.89 mas
특징
분광형A: M1.5Iab-Ib, B: B2.5V
색 지수 (B-V)+1.83
색 지수 (U-B)+1.34
변광성 유형Lc
물리적 특징
반지름A: , B:
질량A: , B:
광도A: |link=y}}, B:
표면 중력 (B)3.9 cgs
유효 온도A: 3,660±120 K, B: 18,500 K
자전 속도A: 20 km/s, B: 250 km/s
나이A: 11-15 백만 년
기타 명칭
식별 번호 (A)HD 148478
AAVSO 1623-26
식별 번호 (B)HD 148479
기타 목록사수자리 21 (21 Sco)
코르 스코르피아이 (Cor Scorpii)
칼브 알 아크라브 (Kalb al Akrab)
전갈의 심장 (Scorpion's Heart)
베스페르틸리오 (Vespertilio)
FK5 616
WDS 16294-2626
CCDM J16294-2626
밝은 별 목록HR 6134
소천성표CD−26°11359
히파르코스 목록HIP 80763
스미소니언 천문대 목록SAO 184415

2. 명칭

안타레스(Antares)는 '아레스(화성)의 대적자'라는 뜻의 고대 그리스어 Ἀντάρης에서 유래했다. 붉은 빛깔이 화성과 비슷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안타레스는 여러 천문 목록에 등재되어 있는데, 그 목록은 다음과 같다.

목록등재명
바이어 명명법전갈자리 알파(α Scorpii)
플램스티드 명명법전갈자리 21
밝은 별 목록HR 6134
헨리 드레이퍼 항성목록HD 148478
2MASS2MASS J16292443-2625549
IRAS 성표IRAS 16262-2619
WDSWDS J16294-2626
CCDMCCDM J16294-2626



동양에서는 창룡자리의 심장부에 위치한다하여 심수이(心宿二) 또는 대화성(大火星)이라 불렀다. 상나라에서 신성시 여겼다고 전해진다.[15]

한국에서는 '적성(赤星)', '대화(大火)', '화(火)' 등으로 불렸다. 《시경》의 "칠월 유화" 구절에 등장하는 '화(火)'는 안타레스를 가리킨다.

3. 관측

안타레스는 매년 5월 31일경 태양의 정반대 위치에 있어 해 뜨기 전까지 관측할 수 있다. 이때 적도에서는 안타레스가 초저녁에 떠서 새벽에 지는 것처럼 보인다. 반대로 매년 11월 30일경에는 태양과 의 위치에 있어 밤하늘에서 볼 수 없다.

고위도 지역에서는 안타레스가 여름철 남쪽 하늘 낮은 곳에서 보인다. 북위 64º보다 고위도 지역에서는 안타레스가 지평선 위로 떠오르지 않는다. 반면 남극 대륙은 남위 64º보다 남쪽에 있어 전 지역에서 안타레스가 주극성처럼 보인다.

3. 1. 관측 역사

20세기 초 안타레스의 스펙트럼에서 시선 속도 편차를 관측했으며, 분광학적 궤도를 도출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작은 편차는 궤도 운동이 아닌 항성 대기의 맥동 때문에 생기는 것으로 밝혀졌다. 1928년 계산 결과, 안타레스의 크기가 약 20% 정도 변동한다는 결론이 나왔다.

1819년 4월 13일 요한 토비아스 뷔르크가 엄폐 현상 관측 중 안타레스의 반성을 최초로 발견했으나, 이는 널리 인정받지 못했고 대기 효과로 인한 착각으로 여겨졌다. 이후 1844년 7월 23일 스코틀랜드 천문학자 제임스 윌리엄 그랜트가 인도에서 안타레스의 반성을 관측했다. 1846년 옴스비 M. 미첼이 반성을 재발견했고, 1847년 4월 윌리엄 러터 도스가 이를 확인했다.

1952년 안타레스의 사진 등급이 3.00에서 3.16 사이에서 변화함이 기록되었다. 1945년부터 미국 변광성 관측자 협회가 안타레스의 밝기를 관측했으며, 안타레스는 LC형 느린 불규칙 변광성으로 분류되었다. 안타레스는 겉보기등급이 +0.6에서 +1.6 사이에서 천천히 변하지만, 일반적인 밝기는 +1.0 정도이다. 명확한 규칙성은 없지만, 통계 분석 결과 1733일 또는 1650±640일의 변광 주기가 추정된다. 별도의 장기 2차 주기는 감지되지 않았으나, 1000일 이상의 1차 주기가 장기 2차 주기와 유사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2018년 연구에 따르면 남호주의 응가린제리 원주민들은 안타레스의 밝기 변화를 관측하여 '와이융가리'(붉은 인간) 이야기로 구전에 포함시켰다.

2012년 11월 30일 태양 근처의 안타레스

3. 2. 엄폐와 합

안타레스는 황도에서 남쪽으로 4.57도 떨어져 있어서 황도와의 거리가 6도 이내에 드는 1등성 넷 중 하나이다. 나머지 셋은 스피카, 레굴루스, 알데바란이다. 따라서 달이 안타레스를 가릴 수 있다. 2009년 7월 31일 이 안타레스를 가리는 현상이 남아시아중동 지역 대부분에서 관측되었다. 매년 12월 2일 무렵 태양은 안타레스 북쪽 5도를 지나간다. 사로스 주기에 따라 달이 안타레스를 엄폐하는 사건은 꽤 자주 발생한다. 마지막 주기는 2010년에 끝났고 다음 주기는 2023년에 시작한다.

2006년 5월 14일 오스트레일리아 블루 마운틴스에서 촬영된 달의 안타레스 엄폐 장면(영상은 가려져 있던 안타레스가 다시 나타나는 부분임). 안타레스 B가 먼저 나타나며 7.53초 지나서 A가 뒤따라 나타난다.


매우 드물지만 금성과 같은 행성들이 안타레스를 가리기도 한다. 금성이 가장 최근 안타레스를 가린 사건은 기원전 525년 9월 17일에 있었으며 다음 사건은 2400년 11월 17일에 발생할 것이다. 다른 행성들은 지난 천년기 동안 안타레스를 가린 적이 없었고 다음 천년기 동안에도 가리지 않을 것이다. 금성은 2117년 10월 19일 안타레스에 아주 가까이 접근할 것이며 이후 2157년 10월 29일까지 8년에 한 번씩 항성의 남쪽을 통과할 것이다.[16]

4. 항성계

안타레스는 쌍성계(이중성)로, 주성인 안타레스 A와 반성인 안타레스 B로 구성되어 있다. 두 별의 궤도는 아직 정확하게 분석되지 않았는데, 최근 연구에 따르면 A와 B의 공전 주기는 880년부터 2562년까지 다양하게 예상된다. 초기 관측 자료에 따르면 두 별 사이의 간격은 약 3.5초 (1847~1849년) 또는 2.5초 (1848년)였으나, 이후 관측에서는 2.6초에서 2.8초 사이로 측정되었다.

두 별 사이의 최소 거리는 약 529 천문단위(AU) (약 800억 킬로미터)이다. 분광 관측 결과, 안타레스 B는 주성으로부터 이보다 220AU 이상 더 멀리 떨어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약 1100억 킬로미터 이상) 안타레스 B는 겉보기 등급 5.2의 B형 주계열성으로, 주성으로부터 550AU 거리에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안타레스 A는 붉은색, B는 청백색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색 대비 효과로 인해 B가 녹색으로 보이는 경우가 많다. B는 안타레스의 370분의 1 밝기이지만, 태양보다는 170배 밝다.

4. 1. 안타레스 (주성)

안타레스는 분광형 M1.5Iab-Ib의 적색초거성이며 해당 분광형의 표준 천체이다. 가시광선 파장에서 안타레스의 밝기는 태양의 약 10000 배이나, 안타레스는 방출하는 에너지 대부분을 스펙트럼상 적외선 영역에서 복사하고 있기 때문에 진정한 복사광도는 태양의 약 10만 배에 이른다.

안타레스의 질량은 태양의 12 배, 또는 태양의 11 ~ 14.3 배로 측정되어 왔다. 안타레스의 유효온도와 광도를 고질량 항성의 이론적 진화 경로와 비교하면, 주계열 시절 질량은 태양의 17 배, 나이는 1200만 년이 나오며, 초기 질량을 태양의 15 배, 나이를 1100만 ~ 1500만 년으로 잡은 논문도 있다. 안타레스처럼 질량이 큰 항성들은 초신성 형태로 폭발할 것으로 보인다.

적색초거성 안타레스와 주계열성 태양(우상단 점)을 비교한 그림. 중간 크기 별은 오렌지색 거성 아크투루스.


대다수 차가운 초거성들과 마찬가지로 안타레스의 크기는 확장된 외포층 대기의 경계가 명확하지 않고 반투명하기 때문에 불확실성이 매우 크다. 대기 내 여러 층이 분광선들을 각자 생산하며 관측되는 파장에 따라 선형 측정치들이 다른 결과들을 내기 때문에 유효 온도를 정의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안타레스는 반지름의 19% 또는 165 만큼 맥동하는 것으로 보인다. 맥동의 결과 시선속도상에 변화가 발생하고, 70일 뒤 유효온도도 150 켈빈 정도 변화한다.

안타레스의 지름은 간섭계를 이용하거나 달 엄폐 사건을 관측하여 가장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엄폐로부터 구한 겉보기 지름은 41.3 ± 0.1 밀리초각이다. 히파르코스 위성이 측정한 삼각 시차는 로, 이로부터 계산한 항성의 반지름은 태양의 약 680 배이다. 안타레스는 확장된 껍질 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이 구조는 특정 파장들에서 복사 에너지를 강력하게 방출한다. 안타레스의 덩치는 태양과 비교하면 거대하나 큰개자리 VY(부피가 안타레스의 30배임), 세페우스자리 VV A, 세페우스자리 뮤 등 훨씬 거대한 적색초거성들에는 압도당한다.

안타레스는 오리온자리에 있는 비슷한 크기의 초거성 베텔게우스와 마찬가지로 앞으로 1만 년 내에 초신성 폭발로 생을 마감할 것임이 유력하다. 초신성 폭발을 일으킨 안타레스는 몇 달 동안 보름달보다 광도가 올라가 대낮에도 볼 수 있을 것이다.

4. 2. 안타레스 B (반성)

안타레스 B는 청백색 주계열성으로 겉보기등급은 +5.5이다. 분광형은 B2.5 V로, 주성 안타레스 A가 방출한 물질에 오염된 결과로 보이는 특이한 분광선들이 다수 검출된다. 안타레스 B는 질량이 태양의 약 7배, 표면 온도는 , 반지름은 태양의 약 5배인 전형적인 뜨거운 B형 주계열성이다.

안타레스 A의 밝기가 매우 강하여 작은 망원경으로는 B를 관측하기 어렵지만, 구경 150mm(5.9인치) 이상의 망원경으로는 관측이 가능하다. 달이 안타레스 앞을 지나가는 엄폐 현상이 일어날 때에는 작은 망원경으로도 수 초 동안 B를 관측할 수 있다.

안타레스 B는 주성 A의 오렌지색-적색 빛과 대비되어 짙은 푸른색 또는 청록색으로 보인다. B의 색이 초록색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대비 효과 또는 A와 B를 망원경으로 함께 볼 때 두 별이 너무 가까워서 빛이 섞여 보이는 현상 때문일 수 있다.

5. 문화

안타레스는 여러 고대 문명에서 다양한 이름과 상징으로 불렸다.


  • 바빌로니아에서는 '가바 기르.타브'(GABA GIR.TAB)로 불렸으며, 이는 '전갈의 가슴'을 의미한다. 기원전 1100년에서 700년 사이에 만들어진 물.아핀에서는 남쪽 하늘에서 '에아의 별들' 중 하나이며 전갈의 여신 이샤라의 가슴에 해당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 고대 메소포타미아에서는 우르바트, 빌루-샤-지리('씨앗의 주인'), 카크-시사('번영의 창조자'), 다르 루갈('왕'), 마수 사르('영웅과 왕'), 카크카브 비르('붉은 색의 별')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 고대 이집트에서는 전갈 여왕 세르케트를 상징했으며, '뱃머리의 붉은 것'을 뜻하는 ''tms n hntt''로 불렸다.
  • 페르시아에서는 '왕의 별들' 중 하나인 사테비스(Satevis)로 불렸다.
  • 인도에서는 전갈자리 시그마, 전갈자리 타우와 함께 즈예슈타(Jyeshtha, '가장 큰 것' 또는 '최연장자')로 불렸으며, 이는 힌두의 월수(月宿, Nakshatra) 중 하나였다.
  • 동양에서는 창룡자리의 심장부에 위치하여 심수이(心宿二) 또는 대화성(大火星)이라 불렀고, 상나라에서 신성시했다.[15] 특히 화성이 안타레스 근처에서 역행 운동하는 것을 두고 '형혹성(화성)이 심성을 지킨다'고 하였다.[18]
  • 뉴질랜드마오리족은 안타레스를 레후아(Rēhua)로 부르며 모든 별들의 지도자로 간주했다. 레후아는 푸안가/푸아카(Puanga/Puaka, 리겔)의 아버지로 마오리족의 달력 계산에 중요한 별이다.[7]
  •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부족 중 왓조발루크쿠리족은 안타레스를 드주이트(Djuit)로 불렀으며, 쿨린쿠리스족은 발라양(Balayang)으로 불렀다.
  • 안타레스는 브라질의 국기에 등장하며, 피아우이주를 상징한다.

6. 안타레스와 관련된 천체

안타레스 주변에는 여러 천체들이 존재한다. IC 4606은 안타레스 주변을 붉게 빛나게 하는 HII 영역으로, 'vdB107'로도 불린다. 주로 1차 전리된 철에 의한 빛선으로 빛나는 성운이다.

Cr302는 안타레스를 중심으로 전갈자리-켄타우루스자리 연관성(전갈자리-켄타우루스자리 운동성단 또는 전갈자리-켄타우루스 성류라고도 불림)에 속한 별들의 집단이다. 산개성단으로 분류되지만, 밝은 별이 많아도 성기므로 볼만한 가치는 크지 않다.

6. 1. IC 4606

IC 4606은 안타레스 주변을 둘러싸고 붉게 빛나는 HII 영역이다. '''vdB107'''로도 불린다. 다른 HII 영역처럼 Hα선도 관측되지만, 주로 1차 전리된 철에 의한 빛선으로 빛나는 성운이다.

6. 2. Cr302

Cr302는 안타레스를 중심으로 전갈자리-켄타우루스자리 연관성(전갈자리-켄타우루스자리 운동성단 또는 전갈자리-켄타우루스 성류라고도 불림)에 속한 전갈자리, 천칭자리, 뱀주인자리의 별들을 포함하는 집단이다. Cr302는 산개성단으로 분류되지만, 밝은 별이 많아도 산개성단으로는 성기므로 볼만한 가치는 크지 않다.

6. 2. 1. Cr302의 주요 구성원


참조

[1] MW Antares
[2] 논문 MSC - a catalogue of physical multiple stars https://aas.aanda.or[...] 1997-07-01
[3] 논문 Science News https://www.jstor.or[...] 1925
[4] 논문 The Diameter of Alpha Scorpii by the Interferometer Method https://www.jstor.or[...] 1921
[5] 간행물 The Biggest Stars of All 2009-09-01
[6] 논문 A physical interpretation of the 'red Sirius' anomaly 1999-12-01
[7] 서적 Matariki Huia Publishers
[8] 웹사이트 Oldsmobile Antares https://www.allcarin[...] 2024-07-26
[9] 웹사이트 大辞林 第三版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2-04
[10] 웹사이트 Star-Names and Their Meanings https://www.google.c[...] G. E. Stechert 2021-04-18
[11] 문서 フラムスティード星図』のフランス語に基づく『フラムスチーヂ天球図譜』にはフランス語で {{lang-fr|le Cœur du Scorpion}}(ル・クール・デュ・スコルピヨン)とある。
[12] 웹사이트 大阪大学言語文化研究科杉村博文教授エッセイ https://web.archive.[...] 2016-06-07
[13] 뉴스 七月流火 - 中国国際放送局 http://japanese.cri.[...] 2016-06-07
[14] MW Antares
[15] 문서 心為大火,陶唐氏之火正閼伯,居商丘,祀大火而火紀時焉. 相火因之,故商主大火. 좌전
[16] 웹사이트 https://www.skyandte[...]
[17] 서적 전정판 천문류초 대유학당
[18] 서적 담헌서 담헌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