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리제 581 e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글리제 581 e는 2009년 4월 21일 발표된 외계 행성으로, 스위스 제네바 천문대 연구진이 칠레 라 실라 천문대의 HARPS 관측기구를 이용하여 발견했다. 시선 속도법을 사용하여 모항성의 미세한 흔들림을 감지하여 행성을 찾아냈으며, 발견 당시까지 알려진 외계 행성 중 질량이 가장 작았다. 지구형 행성으로 추정되지만, 모항성에 매우 가깝고 강한 복사 에너지를 받아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하기 어려워 생명체 거주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글리제 581 - 글리제 581 c
글리제 581 c는 적색 왜성 글리제 581을 공전하는 외계 행성으로, 발견 당시 생물권 내 최초의 지구형 행성으로 주목받았으며 지구의 5.36배의 최소 질량을 가지고 약 13일의 공전 주기를 가진다. - 글리제 581 - 글리제 581 b
글리제 581 b는 2005년 발견된 외계 행성으로, 적색 왜성 글리제 581 주위를 공전하며, 최소 질량은 지구의 약 16배이고 5.4일 만에 항성을 공전하는 특징을 가진다. - 천칭자리 - HE 1523-0901
HE 1523-0901은 태양 질량의 약 80%이며 약 132억 년 된 것으로 추정되는 분광쌍성으로, 초기 우주 연구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 천칭자리 - HD 140283
HD 140283은 "메투셀라 항성"으로도 불리는 오래된 저금속성 항성으로, 추정 나이가 우주의 나이와 비슷하여 논란이 있으며, 왜소은하에서 기원했을 가능성과 낮은 금속 함량을 특징으로 하지만, 나이 측정에는 불확실성이 존재하며, 최근 연구들은 우주의 나이와의 모순을 줄이는 방향으로 나이를 재평가하고 있다. - 지구형 행성 - 금성
금성은 지구와 유사한 크기와 질량을 가진 지구형 행성이지만, 짙은 이산화탄소 대기와 높은 표면 온도, 강력한 표면 압력, 그리고 활발한 화산 활동으로 특징지어지며, 지구의 미래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연구 대상이다. - 지구형 행성 - 얼음 행성
얼음 행성은 표면이 얼음으로 덮여 극저온 환경을 가지지만, 지열로 인해 지하에 액체 바다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어 외계 생명체의 서식지가 될 수 있는 천체로, 태양계 내외에서 여러 위성, 엣지워스-카이퍼 대 천체 및 외계 행성 후보들이 발견되었다.
글리제 581 e | |
---|---|
기본 정보 | |
![]() | |
명칭 | 글리제 581 e |
별자리 | 천칭자리 |
분류 | 외계 행성 |
다른 이름 | 2MASS J15192689-0743200 e BD-07 4003 e HIP 74995 e 천칭자리 HO 별 e LHS 394 e TYC 5594-01093-1 e WISE J151925.96-074321.2 e |
발견 | |
발견일 | 2009년 4월 21일 |
발견자 | 마요르 연구진 |
발견 장소 | 라 실라 천문대, 칠레 |
발견 방법 | 시선 속도법 |
참고 자료 | mayor |
궤도 특성 | |
궤도 긴반지름 | 0.02799 ± 0.0003 AU |
궤도 이심률 | 0.012 ± 0.015 +0.008 |
공전 주기 | 3.1481 ± 0.0004 일 |
궤도 경사 | 47 ± 15 +13 도 |
근점 통과 시각 | 2454752.33 ± 0.05 |
근일점 인수 | 226 ± 91 +55 도 |
반진폭 | 1.8 ± 0.1 m/s |
항성 | 글리제 581 |
참고 자료 | vonStauffenberg2024 |
물리적 특성 | |
질량 | 2.48 ± 0.70 +0.42 지구 질량 |
참고 자료 | vonStauffenberg2024 |
위치 정보 | |
거리 | 20.55 ± 0.05 광년 (6.304 ± 0.014 pc) |
2. 발견
글리제 581 e는 스위스 제네바 천문대 소속 천문학자 마이클 메이어 연구진이 칠레 라 실라 소재 유럽 남방 천문대 3.6미터 망원경에 있는 HARPS 관측기구를 이용하여 발견했으며, 2009년 4월 21일 유럽 우주과학주간 회의를 맞아 하트퍼드셔 대학에서 공식 발표되었다.[5] 연구진은 행성의 중력이 어머니 항성을 미묘하게 좌우로 흔드는 현상을 이용한 시선 속도법을 사용했다.[4]
2. 1. 발견 과정
글리제 581 e는 스위스 제네바 천문대 소속 천문학자 마이클 메이어 연구진이 칠레 라 실라 소재 유럽 남방 천문대 3.6미터 망원경에 있는 HARPS 관측기구를 이용하여 발견했다. 2009년 4월 21일 유럽 우주과학주간 회의를 맞아 하트퍼드셔 대학에서 공식 발표되었다.[5] 연구진은 행성의 중력이 어머니 항성을 미묘하게 좌우로 흔드는 현상을 이용한 시선 속도법을 사용, 이 행성을 찾아냈다.[4]2. 2. 공식 발표
글리제 581 e는 스위스 제네바 천문대 소속 천문학자 마이클 메이어 연구진이 칠레 라 실라 소재 유럽 남방 천문대 3.6미터 망원경에 있는 HARPS 관측기구를 이용하여 발견했다. 2009년 4월 21일 유럽 우주과학주간 회의를 맞아 하트퍼드셔 대학에서 공식 발표되었다.[5] 연구진은 행성의 중력이 어머니 항성을 미묘하게 좌우로 흔드는 현상을 이용한 시선 속도법을 사용, 이 행성을 찾아냈다.[4]3. 물리적 특징
글리제 581 e는 글리제 581 계에서 발견된 네 번째 행성으로, 발견 당시 평범한 항성 주위를 도는 외계 행성 중 가장 질량이 작았다. 지구 질량의 1.9배에서 최대 3배를 넘지 않을 것으로 추정된다.[4][6][7][8]
지구형 행성으로 추정되지만, 생명체가 존재하기에는 부적합한 환경으로 보인다. 태양과 수성 거리의 10분의 1도 안 되는 가까운 거리에서 모항성을 공전하며, 자체 질량이 작고 항성의 복사 에너지가 강해 표면에 액체 물이 존재하기 어렵기 때문이다.[4][6][7][8]
3. 1. 질량 및 궤도
e가 발견되기 전까지 글리제 581 계(系)에는 이미 3개의 행성이 발견되어 있는 상태였기 때문에 e는 글리제 581의 네 번째 행성으로 기록되었다. 발견 시점 기준으로 글리제 581 e는 직전까지 발견된 '평범한 항성 주위를 도는 외계 행성들' 중 질량이 가장 작은데, 구체적인 값은 최소 지구 질량의 1.9배이며, 아무리 무거워도 지구 질량의 3배는 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덩치는 지구형 행성으로 보임에도 불구하고, 이 행성은 생명체가 존재할 환경으로는 부적합할 것으로 추측된다. 그 이유로 글리제 581 e는 어머니 항성으로부터 태양~수성 간격의 10분의 1도 안 되는 아주 가까운 거리를 돌고 있으며, 자체 질량이 작고, 항성의 복사 에너지가 강렬하여 표면에 액체 물이 존재할 수 없는 바싹 마른 환경이 형성되어 있을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4][6][7][8]
3. 2. 생명체 존재 가능성
e가 발견되기 전까지 글리제 581 계(系)에는 이미 3개의 행성이 발견되어 있는 상태였기 때문에 e는 글리제 581의 네 번째 행성으로 기록되었다. 발견 시점 기준으로 글리제 581 e는 직전까지 발견된 '평범한 항성 주위를 도는 외계 행성들' 중 질량이 가장 작은데, 구체적인 값은 최소 지구 질량의 1.9배이며, 아무리 무거워도 지구 질량의 3배는 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덩치는 지구형 행성으로 보임에도 불구하고, 이 행성은 생명체가 존재할 환경으로는 부적합할 것으로 추측된다. 그 이유로 글리제 581 e는 어머니 항성으로부터 태양~수성 간격의 10분의 1도 안 되는 아주 가까운 거리를 돌고 있으며, 자체 질량이 작고, 항성의 복사 에너지가 강렬하여 표면에 액체 물이 존재할 수 없는 바싹 마른 환경이 형성되어 있을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4][6][7][8]
참조
[1]
웹사이트
Lightest exoplanet is discovered
http://news.bbc.co.u[...]
BBC
2009-04-21
[2]
뉴스
Astronomers Find Planet Closer to Size of Earth
https://www.nytimes.[...]
2009-04-21
[3]
논문
Tidal Limits to Planetary Habitability
2009-06-09
[4]
저널
The HARPS search for southern extra-solar planets - XVIII. An Earth-mass planet in the GJ 581 planetary system
http://obswww.unige.[...]
2009-04-23
[5]
웹인용
지구와 가장 유사한 외부행성 발견
http://nownews.seoul[...]
나우뉴스
2009-04-23
[6]
웹인용
Lightest exoplanet is discovered
http://news.bbc.co.u[...]
BBC
2009-04-23
[7]
웹인용
Two planets identified as most similar to Earth
http://www.latimes.c[...]
2009-04-23
[8]
웹인용
Most Earthlike Planet Yet Found May Have Liquid Oceans
http://news.national[...]
2009-04-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