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금골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금골선은 여해진역과 무학역을 잇는 총 길이 83.4km의 철도 노선이다. 17개의 역이 있으며, 1435mm 표준궤를 사용하고 전 구간이 직류 3000V로 전철화되어 있다. 1943년 사설철도로 개통되었으며, 1977년 전철화가 완료되었다. 2023년 12월 신평역-이파역 구간에서 열차 탈선 사고가 발생했다. 평양에서 금골까지 급행 열차가 운행되며, 화물 운송량이 많은 노선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3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문천항선
    문천항선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강원도 문천시의 옥평역과 답촌역을 잇는 14.8km의 철도 노선으로, 화물 운송을 주 목적으로 하며 필요에 따라 임시 여객열차가 운행되고 과거 옹평역에서 원산북항역까지 개통되었으나 일부 구간은 폐지 후 답촌역까지 연장되었다.
  • 1943년 개통한 철도 노선 - 히로시마 전철 에바선
    히로시마 전철 에바선은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에 위치하며, 미쓰비시 중공업 히로시마 조선소 통근 인원 수송을 위해 건설되었고, 6호선, 8호선, 9호선이 운행한다.
  • 함경남도의 철도 교통 - 평원선
    평원선은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서포역에서 고원역까지 이르는 철도 노선으로, 해방 후 일부 구간이 평라선에 편입되어 현재는 북한 철도망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한다.
  • 함경남도의 철도 교통 - 리원선
    리원선은 리원철산역과 차호역을 연결하는 총 11.2km의 철도 노선으로, 일제강점기 철산선과 차호선을 통합하여 만들어졌으며 일부 구간은 평라선과 공유하고 대한민국에서는 이용할 수 없는 4개의 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철도 노선 - 동해북부선
    동해북부선은 일제강점기 동해선 계획의 일부로 개통되었으나 남북 분단으로 단절, 폐지되었고 현재 강릉~제진 간 연결 사업이 진행 중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철도 노선 - 청년이천선
    청년이천선은 북한에서 두 번째로 건설된 동서 횡단 철도 노선으로, 평산역과 세포청년역을 연결하며 평부선과 강원선을 이어주고, 건설에는 청년돌격대와 정치범 수용소 수용자들이 동원되었으며 1962년부터 1980년까지 단계적으로 개통 및 전철화가 완료되었다.
금골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노선 이름금골선
다른 이름함남선 (함남선)
로마자 표기Geumgolseon
한자 표기금골선 (金골線)
노선 종류중량 철도, 여객/화물 철도, 지역 철도
노선 상태운영 중
위치함경남도
시작점여해진역
종착점무학역
역 개수17개
개통 연도1943년 (여해진–백금산)
1962년 (백금산–금골)
1988년 이후 (금골–무학)
폐쇄 연도해당 없음
소유조선마그네사이트개발철도 (1943–1945)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1945년 이후)
운영자해당 없음
노선 길이83.4 km
선로 수단선
궤간표준궤
이전 궤간해당 없음
건축 한계해당 없음
최소 곡선 반지름해당 없음
최대 경사26‰
랙 시스템해당 없음
노선 번호해당 없음
노선 기호해당 없음
전철화직류 3000V 가공 전차선
속도해당 없음
고도해당 없음
웹사이트해당 없음
노선도
금골선 노선도
금골선 노선도
역 목록
역 이름 (로마자 표기)Yŏhaejin
역 이름 (한글)여해진
비고평라선, 두언선 접속
역 이름 (로마자 표기)Ch'ŏn'gok
역 이름 (한글)천곡
비고터널 (약 65m)
역 이름 (로마자 표기)Taptong
역 이름 (한글)답동
비고터널 (약 235m), 교량 (약 50m), 북대천
역 이름 (로마자 표기)Kaŭng
역 이름 (한글)가웅
비고터널 (약 170m), 교량 (약 175m), 터널 (약 205m)
역 이름 (로마자 표기)Kwangch'ŏn
역 이름 (한글)광천
비고교량 (약 80m), 교량 (약 90m)
역 이름 (로마자 표기)Unjŏn
역 이름 (한글)운전
비고교량 (약 50m), 교량 (약 140m)
역 이름 (로마자 표기)Tongdŏk
역 이름 (한글)동덕
역 이름 (로마자 표기)Tong'am
역 이름 (한글)동암
비고터널 (약 175m), 북대천, 교량 (약 90m)
역 이름 (로마자 표기)Such'on
역 이름 (한글)수촌
비고터널 (약 630m), 북대천, 교량 (약 100m), 북대천, 교량 (약 65m), 터널 (약 375m), 북대천, 교량 (약 100m), 터널 (약 500m), 북대천, 교량 (약 140m), 터널 (약 395m)
역 이름 (로마자 표기)Sinp'yŏng
역 이름 (한글)신평
비고터널 (약 300m), 북대천, 교량 (약 120m), 북대천, 교량 (약 85m), 터널 (약 150m)
역 이름 (로마자 표기)Rip'a
역 이름 (한글)리파
비고터널 (약 550m), 북대천, 교량 (약 115m), 터널 (약 660m), 북대천, 교량 (약 100m), 북대천, 교량 (약 100m), 터널 (약 70m), 북대천, 교량 (약 140m), 터널 (약 195m)
역 이름 (로마자 표기)Sinjŭngsan
역 이름 (한글)신증산
비고북대천, 교량 (약 90m), 터널 (약 280m), 북대천, 교량 (약 180m), 북대천, 교량 (약 130m), 북대천, 교량 (약 90m), 터널 (약 485m), 북대천, 교량 (약 135m), 북대천, 교량 (약 120m), 마그네사이트 광산
역 이름 (로마자 표기)Tonsan
역 이름 (한글)돈산
비고터널 (약 190m), 북대천, 교량 (약 140m), 터널 (약 105m), 터널 (약 350m), 터널 (약 285m), 북대천, 교량 (약 80m), 터널 (약 230m), 터널 (약 80m), 북대천, 교량 (약 105m), 터널 (약 215m)
역 이름 (로마자 표기)Paekkŭmsan
역 이름 (한글)백금산
비고북대천, 교량 (약 120m), 터널 (약 145m), 마그네사이트 광산, 터널 (약 745m), 터널 (약 400m), 북대천, 교량 (약 110m), 터널 (약 140m), 마그네사이트 광산
역 이름 (로마자 표기)Kŭmgol
역 이름 (한글)금골
비고마그네사이트 광산, 북대천, 교량 (약 170m)
역 이름 (로마자 표기)Sindŏk
역 이름 (한글)신덕
역 이름 (로마자 표기)Taesin
역 이름 (한글)대신
비고북대천, 교량 (약 130m), 북대천, 교량 (약 185m), 북대천, 교량 (약 400m), 북대천, 교량 (약 210m), 터널 (약 350m), 북대천, 교량 (약 170m), 북대천, 교량 (약 90m), 북대천, 교량 (약 90m), 북대천, 교량 (약 105m), 북대천, 교량 (약 120m)
역 이름 (로마자 표기)Taehŭng
역 이름 (한글)대흥
비고북대천, 교량 (약 125m), 터널 (약 265m), 북대천, 교량 (약 125m), 터널 (약 380m)
역 이름 (로마자 표기)Muhak
역 이름 (한글)무학
비고지하 시설
역 이름 (로마자 표기)해당 없음
역 이름 (한글)해당 없음
비고대흥청년마그네사이트광산, 터널 (약 195m), 북대천, 교량 (약 65m), 마그네사이트 광산

2. 노선 정보


  • 구간과 거리: 여해진역 - 무학역 (약 83.4km)
  • 역 수: 17개 (양단역 포함)
  • 궤도 간격: 1435mm (표준궤)
  • 전철화 구간: 전 구간 (직류 3000V)
  • 복선 구간: 없음


거리(km)역명옛 역명연결 노선
총계구간음차 표기조선글(한자)음차 표기조선글(한자)
0.00.0여해진여해진 (汝海津)  평라선
1.21.2천곡천곡 (泉谷)  신호장
5.54.3답동답동 (畓洞)   
9.03.5가응가응(加應)  신호장
14.15.1광천광천 (廣泉)용잠용잠 (龍岑) 
19.04.9운전운전 (雲田)  신호장
23.34.3동덕동덕 (東德)함남광천함남광천 (咸南廣泉) 
27.74.4동암동암 (東巖)   
33.86.1수촌수촌 (水村)   
36.72.9신평신평 (新坪)  신호장
42.86.1리파리파 (梨坡)   
50.37.5신증산신증산 (新甑山)   
54.84.5돈산돈산 (-山)함남운송함남운송 (咸南雲松) 
59.74.9백금산백금산 (白金山)용양용양 (龍陽) 
63.43.7금골금골 (金-)   
66.32.9신덕신덕 (新德)   
68.92.6대신대신 (大新)   
77.38.4대흥대흥 (大興)   
83.46.1무학무학 (舞鶴)   


3. 연혁


  • 1943년 3월 25일: 조선마그네사이트개발 주식회사에서 59.7km 전용철도를 사설철도로 전환하는 것을 허가받음.[10]
  • 1943년 3월 30일: 같은 회사에서 여해진~동암 구간(27.7km)을 사설철도로 개통함.[10]
  • 1943년 12월 4일: 같은 회사에서 동암~용양 구간(32.0km)을 연장 개통함.[11]
  • 일자미상 : 금골까지 연장(3.7km).
  • 1977년 : 전철화 개통.
  • 1988년 이후 : 무학까지 연장(거리는 미상).
  • 2023년 12월 하순: 신평-이파 구간에서 급경사를 올라가지 못한 열차가 역주행, 객차가 탈선 전복되어 400명 이상이 사상하는 사고가 발생.[8][9]

4. 역 목록

거리 (km)역명옛 역명연결 노선
총계구간음차 표기조선글 (한자)음차 표기조선글 (한자)
0.00.0여해진여해진 (汝海津)평라선
1.21.2천곡천곡 (泉谷)
5.54.3답동답동 (畓洞)
9.03.5가응가응 (加應)
14.15.1광천광천 (廣泉)용잠용잠 (龍岑)
19.04.9운전운전 (雲田)
23.34.3동덕동덕 (東德)함남광천함남광천 (咸南廣泉)
27.74.4동암동암 (東巖)
33.86.1수촌수촌 (水村)
36.72.9신평신평 (新坪)
42.86.1리파리파 (梨坡)
50.37.5신증산신증산 (新甑山)
54.84.5돈산돈산 (-山)함남운송함남운송 (咸南雲松)
59.74.9백금산백금산 (白金山)용양용양 (龍陽)
63.43.7금골금골 (金-)
66.32.9신덕신덕 (新德)
68.92.6대신대신 (大新)
77.38.4대흥대흥 (大興)
83.46.1무학무학 (舞鶴)



모든 역은 함경남도 단천시 내에 위치한다.

5. 운행 계통

금골선은 광석을 주된 화물로 취급한다. 1980년대 자료[12]에 따르면 백금산역에서 발송되는 수백만 톤의 마그네사이트로 인해 여해진-백금산 구간에서는 여해진 방면 화물이 금골(당시 종점) 방면 화물보다 5.5배나 많았다. 그러나 1990년대 들어 동구권의 붕괴로 마그네사이트 수출이 줄면서 금골선의 화물 수요도 감소했을 것으로 보인다. 하행의 주된 화물은 주민들의 연료로 쓰이는 무연탄, 양곡, 시멘트, 목재 등이다.

1980년대 자료에는 평양에서 당시 종점인 금골역까지 여객 열차가 운행되었으며, 그 밖에 일부 통근열차가 운행되었다고 나와 있다.[1]

5. 1. 화물 운행

광석이 주된 화물이다. 1980년대의 자료[12]에 의하면 백금산역에서 발송되는 수백만 톤의 마그네사이트로 인하여 여해진-백금산 구간에서는 여해진 방면의 화물이 금골(당시 종점) 방면 화물보다 5.5배나 많았다고 한다. 그러나 1990년대 들어 동구권의 붕괴로 인해 마그네사이트의 수출이 줄어들었기 때문에 금골선의 화물 수요 역시 감소했을 것으로 보인다. 하행의 주된 화물은 주민들의 연료로 쓰이는 무연탄, 양곡, 시멘트, 목재 등이다.

금골선에서 화물 운송은 가장 많은 교통량을 차지하며, 이 화물의 대부분은 금골에서 여해진의 평라선 연결 지점으로 이동한다. 이 화물의 대다수는 백금산의 마그네사이트 광석과 검덕 광산 복합체의 비철 광석이다. 북행 화물은 주로 석탄, 건축 자재, 식료품 및 광석 적재를 위한 빈 차량이다.

5. 2. 여객 운행

1980년대 자료에는 평양에서 당시 종점인 금골역까지 여객 열차가 운행되었으며 그 밖에 일부 통근열차가 운행되었다고 나와 있다.[1]

이 노선에서 운행하는 여객 열차는 다음과 같다.

열차 번호운행 구간비고
급행 11/12평양 - 금골여해진-금골 구간 운행
완행 513/516무학 - 금골전 구간 운행
완행 913/914돈산 - 백금산전 구간 운행


6. 문제점

일제강점기에 건설된 조선 마그네사이트 개발 철도를 원형으로 한다. 2020년대에도 1930년대부터 40년대의 레일이 사용되는 등 노후화가 진행되고 있다.[5]

참조

[1] 서적 将軍様の鉄道 Shinchosha 2007
[2] 웹사이트 Kŭmgol Line http://terms.naver.c[...]
[3] 간행물 The Public Journal of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Shōwa No. 4854 1943-04-09
[4] 간행물 The Public Journal of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Shōwa No. 5059 1943-12-13
[5] 뉴스 「日本統治時代の鉄道をそのまま使用」北朝鮮が認める https://dailynk.jp/a[...] DailyNK Japan(デイリーNKジャパン)
[6] 간행물 朝鮮総督部官報昭和第4854号 1943-04-09
[7] 간행물 朝鮮総督部官報昭和第5059号 1943-12-13
[8] 웹사이트 「乗客400体、赤黒く凍り谷底に散乱」北朝鮮列車事故の生々しい現場 https://news.biglobe[...] デイリーNKニュース(biglobe news) 2024-01-18
[9] 웹사이트 北朝鮮で列車事故=数百人死亡か―米メディア https://sp.m.jiji.co[...] 時事通信 2024-01-17
[10]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4854호 1943-04-09
[11] 간행물 조선총독부관보 昭和 5059호 1943-12-13
[12] 웹사이트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