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 동위 원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금의 동위 원소는 원자 번호 79번인 금의 다양한 형태를 의미한다. 금은 안정 동위 원소 197Au를 가지며, 자연에서 발견되는 금은 모두 이 동위 원소로 구성된다. 195Au는 반감기가 186.098일이며, 198Au는 반감기가 2.69517일로, 의학적 용도로 사용되기도 한다. 금의 동위 원소들은 핵종 형태로 표기되며, 붕괴 방식과 생성물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금 - 금박
금박은 5000년 전 고대 이집트에서 처음 만들어진 금속 박편으로, 내구성과 가소성을 이용하여 장식, 건축, 불상 제작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소량으로 넓은 면적을 장식할 수 있고 식용으로도 사용되지만 순도 및 과다 섭취에 유의해야 한다. - 금 - 금메달
금메달은 경쟁 활동에서 1위에게 수여되는 승리와 우승의 상징으로, 올림픽에서는 은에 금을 도금한 형태로 수여되며, 금메달을 깨무는 행위는 미디어 요구와 관련된 문화적 현상으로 분석된다. - 원소별 동위 원소 목록 - 탄소 동위 원소
탄소 동위원소는 양성자 수는 6개로 같지만 중성자 수가 다른 탄소의 여러 형태로, 자연계에는 안정 동위원소인 탄소-12, 탄소-13과 방사성 동위원소인 탄소-14가 존재하며, 각각 원자 질량 단위 기준, 핵자기 공명 분광법, 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 등에 활용되고 비율 분석은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과거 환경 연구에 사용된다. - 원소별 동위 원소 목록 - 베릴륨 동위 원소
베릴륨 동위 원소는 자연계에 주로 존재하는 안정 동위원소 베릴륨-9와 방사성 동위원소로 구성되며, 베릴륨-7과 베릴륨-10은 우주선에 의해 생성되어 연구에 활용되고, 베릴륨은 안정 동위원소가 하나뿐인 특이한 원소이다.
금 동위 원소 | |
---|---|
동위 원소 정보 | |
원소 기호 | Au |
참고 테이블 | https://en.wikipedia.org/wiki/Template:Ref-table |
참고 - Nubase2020 | 예 |
핵종 정보 | |
핵종 | 195Au |
존재 비율 | 합성 |
반감기 | 186.01일 |
붕괴 방식 | 전자 포획 |
붕괴 생성물 | 195Pt |
핵종 | 196Au |
존재 비율 | 합성 |
반감기 | 6.165일 |
붕괴 방식 1 | 양전자 방출 |
붕괴 생성물 1 | 196Pt |
붕괴 방식 2 | 베타 붕괴 |
붕괴 생성물 2 | 196Hg |
핵종 | 197Au |
존재 비율 | 100% |
안정성 | 안정 |
핵종 | 198Au |
존재 비율 | 합성 |
반감기 | 2.69464일 |
붕괴 방식 | β⁻ |
붕괴 생성물 | 198Hg |
핵종 | 199Au |
존재 비율 | 합성 |
반감기 | 3.139일 |
붕괴 방식 | β⁻ |
붕괴 생성물 | 199Hg |
추가 정보 | |
각주 | https://www.journal.au.edu/au_techno/2003/apr2003/aujt6-4_article07.pdf https://doi.org/10.1140/epja/i2019-12823-2 |
2. 동위 원소
금(골드/gold영어)은 원자 번호 79번의 화학 원소로, 홑원소 물질은 보통 노란색을 띤다. 금의 동위 원소 중 안정 동위 원소는 197Au가 유일하며, 자연에서 발견되는 금은 모두 197Au이다.[10][11]195Au는 반감기가 186.098일로, ε을 통해 195Pt로 붕괴한다.[4][5]198Au는 반감기가 2.69517일이며, β- 붕괴를 통해 198Hg로 붕괴한다.[4][5] 중성자 조사로 생성할 수 있으며, 암 치료 등 의학적 용도로 사용되기도 한다.
핵종은 AAu 형태로 표기하며, 여기서 A는 질량수를 나타낸다. 들뜬 상태의 핵종은 AmAu와 같이 m을 추가하여 표기한다.
금의 동위 원소들의 붕괴 방식은 다음과 같다.[7][8][9]
핵종 | 붕괴 방식 | 붕괴 생성물 |
---|---|---|
169Au | ||
170Au | ||
170mAu | ||
171Au | p, α (드묾) | 170Pt, 167Ir |
171mAu | α (54%), p (46%) | 167Ir, 170Pt |
172Au | α (98%), p (2%) | 168Ir, 171Pt |
173Au | α, β+ (드묾) | 169Ir, 173Pt |
173mAu | α (96%), β+ (4%) | 169Ir, 173Pt |
174Au | α, β+ (드묾) | 170Ir, 174Pt |
174mAu | ||
175Au | α (82%), β+ (18%) | 171Ir, 175Pt |
175mAu | α, β+ | 171Ir, 175Pt |
176Au | α (60%), β+ (40%) | 172Ir, 176Pt |
176mAu | ||
177Au | β+ (60%), α (40%) | 177Pt, 173Ir |
177mAu | ||
178Au | β+ (60%), α (40%) | 178Pt, 174Ir |
179Au | β+ (78%), α (22%) | 179Pt, 175Ir |
179mAu | ||
180Au | β+ (98.2%), α (1.8%) | 180Pt, 176Ir |
181Au | β+ (97.3%), α (2.7%) | 181Pt, 177Ir |
182Au | β+ (99.87%), α (0.13%) | 182Pt, 178Ir |
183Au | β+ (99.2%), α (0.8%) | 183Pt, 179Ir |
183m1Au | ||
183m2Au | ||
184Au | β+ | 184Pt |
184mAu | β+ (70%), IT (30%), α (0.013%) | 184Pt, 184Au, 180Ir |
185Au | β+ (99.74%), α (0.26%) | 185Pt, 181Ir |
185mAu | ||
186Au | β+ (99.9992%), α (8×10−4%) | 186Pt, 182Ir |
186mAu | ||
187Au | β+ (99.997%), α (0.003%) | 187Pt, 183Ir |
187mAu | IT | 187Au |
188Au | β+ | 188Pt |
189Au | β+ (99.9997%), α (3×10−4%) | 189Pt, 185Ir |
189m1Au | β+, IT (드묾) | 189Pt, 189Au |
189m2Au | ||
189m3Au | ||
190Au | β+, α (10−6%) | '190Pt' , 186Ir |
190mAu | IT, β+ (드묾) | 190Au, '190Pt' |
191Au | β+ | 191Pt |
191m1Au | IT | 191Au |
191m2Au | ||
192Au | β+ | 192Pt |
192m1Au | IT | 192Au |
192m2Au | IT | 192Au |
193Au | β+ (100%), α (10−5%) | 193Pt, 189Ir |
193m1Au | IT (99.97%), β+ (0.03%) | 193Au, 193Pt |
193m2Au | ||
194Au | β+ | 194Pt |
194m1Au | IT | 194Au |
194m2Au | IT | 194Au |
195Au | ε | 195Pt |
195mAu | IT | 195Au |
196Au | β+ (93.05%), β- (6.95%) | 196Pt, 196Hg |
196m1Au | IT | 196Au |
196m2Au | IT | 196Au |
197Au | 관측상 안정 | |
197mAu | IT | 197Au |
198Au | β- | 198Hg |
198m1Au | IT | 198Au |
198m2Au | IT | 198Au |
199Au | β- | 199Hg |
199mAu | ||
200Au | β- | 200Hg |
200mAu | β- (82%), IT (18%) | 200Hg, 200Au |
201Au | β- | 201Hg |
202Au | β- | 202Hg |
203Au | β- | 203Hg |
204Au | β- | 204Hg |
205Au | β- | 205Hg |
Z는 양성자 수를 나타내며, N은 중성자 수를 나타낸다. u는 원자 질량 단위를 나타낸다.
2. 1. 주요 동위 원소
금(골드/gold영어)은 원자 번호 79번의 화학 원소로, 홑원소 물질은 보통 노란색을 띤다. 금의 동위 원소 중 안정 동위 원소는 197Au가 유일하며, 자연에서 발견되는 금은 모두 197Au이다.[10][11]195Au는 반감기가 186.098일로, 전자 포획을 통해 195Pt로 붕괴한다.[4][5]198Au는 반감기가 2.69517일이며, β- 붕괴를 통해 198Hg로 붕괴한다.[4][5] 중성자 조사로 생성할 수 있으며, 암 치료 등 의학적 용도로 사용되기도 한다.2. 2. 동위 원소 목록
핵종은 AAu 형태로 표기하며, 여기서 A는 질량수를 나타낸다. 들뜬 상태의 핵종은 AmAu와 같이 m을 추가하여 표기한다.금의 동위 원소들의 붕괴 방식은 다음과 같다.[7][8][9]
핵종 | 붕괴 방식 | 붕괴 생성물 |
---|---|---|
169Au | ||
170Au | ||
170mAu | ||
171Au | p, α (드묾) | 170Pt, 167Ir |
171mAu | α (54%), p (46%) | 167Ir, 170Pt |
172Au | α (98%), p (2%) | 168Ir, 171Pt |
173Au | α, β+ (드묾) | 169Ir, 173Pt |
173mAu | α (96%), β+ (4%) | 169Ir, 173Pt |
174Au | α, β+ (드묾) | 170Ir, 174Pt |
174mAu | ||
175Au | α (82%), β+ (18%) | 171Ir, 175Pt |
175mAu | α, β+ | 171Ir, 175Pt |
176Au | α (60%), β+ (40%) | 172Ir, 176Pt |
176mAu | ||
177Au | β+ (60%), α (40%) | 177Pt, 173Ir |
177mAu | ||
178Au | β+ (60%), α (40%) | 178Pt, 174Ir |
179Au | β+ (78%), α (22%) | 179Pt, 175Ir |
179mAu | ||
180Au | β+ (98.2%), α (1.8%) | 180Pt, 176Ir |
181Au | β+ (97.3%), α (2.7%) | 181Pt, 177Ir |
182Au | β+ (99.87%), α (0.13%) | 182Pt, 178Ir |
183Au | β+ (99.2%), α (0.8%) | 183Pt, 179Ir |
183m1Au | ||
183m2Au | ||
184Au | β+ | 184Pt |
184mAu | β+ (70%), IT (30%), α (0.013%) | 184Pt, 184Au, 180Ir |
185Au | β+ (99.74%), α (0.26%) | 185Pt, 181Ir |
185mAu | ||
186Au | β+ (99.9992%), α (8×10−4%) | 186Pt, 182Ir |
186mAu | ||
187Au | β+ (99.997%), α (0.003%) | 187Pt, 183Ir |
187mAu | IT | 187Au |
188Au | β+ | 188Pt |
189Au | β+ (99.9997%), α (3×10−4%) | 189Pt, 185Ir |
189m1Au | β+, IT (드묾) | 189Pt, 189Au |
189m2Au | ||
189m3Au | ||
190Au | β+, α (10−6%) | '190Pt' , 186Ir |
190mAu | IT, β+ (드묾) | 190Au, '190Pt' |
191Au | β+ | 191Pt |
191m1Au | IT | 191Au |
191m2Au | ||
192Au | β+ | 192Pt |
192m1Au | IT | 192Au |
192m2Au | IT | 192Au |
193Au | β+ (100%), α (10−5%) | 193Pt, 189Ir |
193m1Au | IT (99.97%), β+ (0.03%) | 193Au, 193Pt |
193m2Au | ||
194Au | β+ | 194Pt |
194m1Au | IT | 194Au |
194m2Au | IT | 194Au |
195Au | ε | 195Pt |
195mAu | IT | 195Au |
196Au | β+ (93.05%), β- (6.95%) | 196Pt, 196Hg |
196m1Au | IT | 196Au |
196m2Au | IT | 196Au |
197Au | 관측상 안정 | |
197mAu | IT | 197Au |
198Au | β- | 198Hg |
198m1Au | IT | 198Au |
198m2Au | IT | 198Au |
199Au | β- | 199Hg |
199mAu | ||
200Au | β- | 200Hg |
200mAu | β- (82%), IT (18%) | 200Hg, 200Au |
201Au | β- | 201Hg |
202Au | β- | 202Hg |
203Au | β- | 203Hg |
204Au | β- | 204Hg |
205Au | β- | 205Hg |
Z는 양성자 수를 나타내며, N은 중성자 수를 나타낸다. u는 원자 질량 단위를 나타낸다.
2. 2. 1. 핵종 표기
핵종은 AAu 형태로 표기하며, 여기서 A는 질량수를 나타낸다. 들뜬 상태의 핵종은 AmAu와 같이 m을 추가하여 표기한다.2. 2. 2. 붕괴 방식
금의 동위 원소들의 붕괴 방식은 다음과 같다.[7][8][9]핵종 | 붕괴 방식 | 붕괴 생성물 |
---|---|---|
171Au | p, α (드묾) | 170Pt, 167Ir |
171mAu | α (54%), p (46%) | 167Ir, 170Pt |
172Au | α (98%), p (2%) | 168Ir, 171Pt |
173Au | α, β+ (드묾) | 169Ir, 173Pt |
173mAu | α (96%), β+ (4%) | 169Ir, 173Pt |
174Au | α, β+ (드묾) | 170Ir, 174Pt |
175Au | α (82%), β+ (18%) | 171Ir, 175Pt |
175mAu | α, β+ | 171Ir, 175Pt |
176Au | α (60%), β+ (40%) | 172Ir, 176Pt |
177Au | β+ (60%), α (40%) | 177Pt, 173Ir |
178Au | β+ (60%), α (40%) | 178Pt, 174Ir |
179Au | β+ (78%), α (22%) | 179Pt, 175Ir |
180Au | β+ (98.2%), α (1.8%) | 180Pt, 176Ir |
181Au | β+ (97.3%), α (2.7%) | 181Pt, 177Ir |
182Au | β+ (99.87%), α (0.13%) | 182Pt, 178Ir |
183Au | β+ (99.2%), α (0.8%) | 183Pt, 179Ir |
184Au | β+ | 184Pt |
184mAu | β+ (70%), IT (30%), α (0.013%) | 184Pt, 184Au, 180Ir |
185Au | β+ (99.74%), α (0.26%) | 185Pt, 181Ir |
186Au | β+ (99.9992%), α (8×10−4%) | 186Pt, 182Ir |
187Au | β+ (99.997%), α (0.003%) | 187Pt, 183Ir |
187mAu | IT | 187Au |
188Au | β+ | 188Pt |
189Au | β+ (99.9997%), α (3×10−4%) | 189Pt, 185Ir |
189m1Au | β+, IT (드묾) | 189Pt, 189Au |
190Au | β+, α (10−6%) | '190Pt' , 186Ir |
190mAu | IT, β+ (드묾) | 190Au, '190Pt' |
191Au | β+ | 191Pt |
191m1Au | IT | 191Au |
192Au | β+ | 192Pt |
192m1Au | IT | 192Au |
192m2Au | IT | 192Au |
193Au | β+ (100%), α (10−5%) | 193Pt, 189Ir |
193m1Au | IT (99.97%), β+ (0.03%) | 193Au, 193Pt |
194Au | β+ | 194Pt |
194m1Au | IT | 194Au |
194m2Au | IT | 194Au |
195Au | ε | 195Pt |
195mAu | IT | 195Au |
196Au | β+ (93.05%), β- (6.95%) | 196Pt, 196Hg |
196m1Au | IT | 196Au |
196m2Au | IT | 196Au |
197Au | 관측상 안정 | |
197mAu | IT | 197Au |
198Au | β- | 198Hg |
198m1Au | IT | 198Au |
198m2Au | IT | 198Au |
199Au | β- | 199Hg |
200Au | β- | 200Hg |
200mAu | β- (82%), IT (18%) | 200Hg, 200Au |
201Au | β- | 201Hg |
202Au | β- | 202Hg |
203Au | β- | 203Hg |
204Au | β- | 204Hg |
205Au | β- | 205Hg |
2. 2. 3. 기타
Z는 양성자 수를 나타내며, N은 중성자 수를 나타낸다. u는 원자 질량 단위를 나타낸다.3. 응용 분야
3. 1. 의료
3. 2. 산업
3. 3. 장신구 및 투자
4. 역사와 문화 속의 금
5. 한국과 금
5. 1. 경제적 측면
5. 2. 정책적 측면
5. 3. 문화적 측면
참조
[1]
논문
Experimental searches for rare alpha and beta decays
2019
[2]
논문
Decay studies of Au 170 , 171 , Hg 171 – 173 , and Tl 176
https://journals.aps[...]
2004-05-28
[3]
문서
Order of ground state and isomer is uncertain.
[4]
문서
Potential material for [[salted bomb]]s
[5]
문서
Theoretically predicted to undergo α decay to '''193Ir'''
[6]
간행물
Weapons of Mass Destruction
http://www.journal.a[...]
Assumption University Journal of Technology
2003
[7]
웹사이트
http://www.nucleonic[...]
[8]
문서
약자:
ε: [[전자 포획]]
IT: [[이성질핵 전이]]
[9]
문서
굵은 글꼴은 안정 동위 원소, 굵은 기울임꼴은 감기가 우주의 나이보다 긴 동위 원소(거의 안정적)
[10]
문서
[[핵무기]] 제조에 이용될 가능성이 있는 핵종이다.
[11]
문서
'''193Ir'''으로 붕괴할 것으로 추정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