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급류는 수문학적 특징으로, 잔잔한 구간과 폭포 사이에 위치하며, 강이 얕아지고 암석이 노출되는 지형적 특징을 갖는다. 흐르는 물이 바위를 넘으면서 공기 방울이 섞여 표면이 흰색을 띠는 백색 급류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급류는 하천의 구배, 유량, 하천의 수축, 하상 물질 등에 의해 형성되며, 국제 하천 난이도 등급에 따라 I급에서 VI급으로 분류된다. 래프팅과 같은 스포츠 활동이 이루어지기도 하며, 한국의 급류와 관련된 역사적 기록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천 지형 - 충적 평야
충적 평야는 하천의 운반 작용으로 형성된 평야로, 농업에 적합하지만 홍수 위험이 높고, 연약 지반으로 인해 자연재해에 취약하다. - 하천 지형 - 삼각주
삼각주는 강이 운반한 침전물이 하구나 하천 끝에서 쌓여 형성되는 지형으로, 그리스 문자 델타(Δ)와 유사한 형태를 띠며, 하천, 파랑, 조석 등의 요인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나고, 비옥한 토지와 풍부한 수자원, 독특한 생태계로 인간과 생물에게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육수학 - 심해
심해는 수심 200m 이상의 깊은 바다로, 태양광이 희박하고 높은 수압, 낮은 수온, 부족한 영양분 등 극한 환경을 가지며, 독특한 심해 생물과 생태계가 존재하지만 최근 인간 활동으로 위협받고 있고, 탐사를 통해 새로운 종과 자원이 발견되고 있다. - 육수학 - 물웅덩이
물웅덩이는 빗물 등으로 인해 지표면에 일시적으로 고인 물로, 자연적으로 사라지기도 하지만 도로 등 인공적인 요인으로 발생하기도 하며, 야생동물에게 수분 공급원이 되거나 질병 매개체가 되기도 하고, 교통사고나 아이들의 놀이 공간이 되기도 한다. - 강 - 유역
유역은 분수계를 경계로 빗물이 모여 하천을 이루는 지역으로, 형태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나뉘며 홍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수문학적으로 중요한 개념이다. - 강 - 지류
지류는 본류로 합류하는 하천을 지칭하며, 본류 흐름 방향 기준으로 우안과 좌안 지류로 나뉘고, 하천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과 인간에게 다양한 편익을 제공하지만, 수질 오염 등의 문제로 효과적인 관리 방안이 요구된다.
급류 | |
---|---|
일반 정보 | |
정의 | 물의 흐름이 빨라지고 난류가 발생하는 강의 구간 |
특징 | 강의 바닥이 불규칙하거나 좁아지는 지점에서 발생 급류의 강도는 수량, 강바닥 경사, 바위 유무에 따라 달라짐 |
급류의 등급 (International Scale of River Difficulty) | |
Class 1 | 빠르지만 작은 파도가 있는 곳 약간의 장애물 존재 초보자에게 적합 |
Class 2 | 비교적 완만한 급류, 넓고 쉬운 통로 약간의 훈련이 필요 |
Class 3 | 중간 정도의 불규칙한 파도 좁은 통로 또는 큰 바위 존재 상당한 경험이 필요 |
Class 4 | 강력하고 예측 불가능한 급류 큰 파도와 구멍 존재 정확한 조작 기술과 경험이 필수적 |
Class 5 | 매우 격렬하고 위험한 급류 크고 복잡한 파도, 연속적인 난관 전문가 수준의 기술, 장비, 경험이 필요 |
Class 6 | 극도로 위험하고 예측 불가능한 급류 생존 가능성이 희박 탐험 시도 자체가 생명을 위협 |
2. 지형적 특징
유럽 국가와 비교하여 일본의 강은 급류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7] 영국의 일본 연구가 바질 홀 체임벌린은 『일본사물지』에서 "국토가 좁기 때문에, 대부분의 일본 하천은 강(리버)이라기보다는 차라리 급류(트렌츠)이다"라고 기술했다. 하천 기술자로서 일본에 초청된 네덜란드 토목 기사 요하니스 데 레이케는 1891년 7월 대홍수 이후의 조간지강을 보고 "이것은 강이 아니라 폭포다"라고 표현했다고 알려져 있다.[7]
그러나 2020년 토야마현 회의록 조사에서 이 발언을 한 것은 데 레이케가 아니라 로웬호르스트 뮬더이며, 대상 강은 조간지강이 아니라 하야츠키강이었다고 결론 내려졌다.[8]
2. 1. 수문학적 특성
급류는 수문학적 특징으로, 부드럽게 흐르는 부분인 '런'과 캐스케이드 사이에 위치한다. 급류는 강이 얕아지고 흐름 표면 위로 일부 암석이 노출되는 특징을 갖는다.[1] 흐르는 물이 바위를 넘고 주변으로 튀면서 공기 방울이 섞여 표면의 일부가 흰색을 띠게 되는데, 이를 "백색 급류"라고 한다. 급류는 하상 물질이 급류 하류의 하상보다 강의 침식력에 매우 강하게 저항하는 곳에서 발생한다. 단단한 바위를 가로질러 흐르는 매우 젊은 강은 길이의 대부분이 급류일 수 있다. 급류는 강의 물 통기를 유발하여 수질을 개선한다.[2]급류가 형성되려면 강이나 하천의 하향 경사인 구배가 있어야 한다. 강이 더 큰 구배를 가질수록 물은 더 빠르게 아래로 흐른다.[3] 구배는 일반적으로 1마일당 피트 단위로 측정한다.[4] 이는 강의 유량 또는 방류량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단위 시간당 물의 부피로 측정된다. 물이 더 빠르게 흐를수록 급류가 형성될 가능성이 더 높다.[3]
급류는 일반적으로 I에서 VI까지의 등급으로 분류된다.[2] 5급 급류는 5.1-5.9급으로 분류될 수 있다. 1급 급류는 항해가 쉽고 기동이 거의 필요하지 않지만, 6급 급류는 구조의 기회가 거의 또는 전혀 없이 생명을 위협한다.[5] 래프팅 스포츠는 코스에 많은 급류가 있는 곳에서 수행된다.
수축은 강이 좁은 채널을 통과하여 물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는 퇴적물 이동 및 침식으로 인해 장애물이 생성될 수도 있다. 장애물은 인간의 활동, 자연적인 산사태 및 지진, 또는 퇴적물이나 파편의 축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이 네 가지 요인이 강에 더 두드러질수록 그 강이 급류를 이룰 가능성이 높아진다.[6]
2. 2. 급류의 형성 요인
급류는 강이 얕아지고 흐름 표면 위로 일부 암석이 노출되는 특징을 갖는다.[1] 흐르는 물이 바위를 넘고 주변으로 튀면서 공기 방울이 섞여 표면의 일부가 흰색을 띠게 되는데, 이를 "백색 급류"라고 한다. 급류는 하상 물질이 급류 하류의 하상보다 강의 침식력에 매우 강하게 저항하는 곳에서 발생한다. 단단한 바위를 가로질러 흐르는 매우 젊은 강은 길이의 대부분이 급류일 수 있다.[2]급류가 형성되려면 강이나 하천의 하향 경사인 구배가 있어야 한다. 강이 더 큰 구배를 가질수록 물은 더 빠르게 아래로 흐른다.[3] 구배는 일반적으로 1마일당 피트 단위로 측정한다.[4] 이는 강의 유량 또는 방류량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단위 시간당 물의 부피로 측정된다. 물이 더 빠르게 흐를수록 급류가 형성될 가능성이 더 높다.[3]
수축은 강이 좁은 채널을 통과하여 물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는 퇴적물 이동 및 침식으로 인해 장애물이 생성될 수도 있다. 장애물은 인간의 활동, 자연적인 산사태 및 지진, 또는 퇴적물이나 파편의 축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이 네 가지 요인이 강에 더 두드러질수록 그 강이 급류를 이룰 가능성이 높아진다.[6]
3. 국제 하천 난이도 등급
급류는 국제 하천 난이도 등급에 따라 I에서 VI까지 분류된다.[2] I급은 항해가 쉽고 기동이 거의 필요하지 않지만, VI급은 구조 기회가 거의 없거나 전혀 없어 생명을 위협한다.[5] V급은 5.1에서 5.9까지 더 세분화될 수 있다. 래프팅은 코스에 많은 급류가 있는 곳에서 하는 스포츠이다.
4. 한국의 급류
일본의 강은 유럽 국가와 비교하여 급류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7] 영국의 일본 연구가 바질 홀 체임벌린은 『일본사물지』에서 "국토가 좁기 때문에, 대부분의 일본 하천은 강(리버)이라기보다는 차라리 급류(트렌츠)이다"라고 기술했다. 일본에 초청된 네덜란드 토목 기사 요하니스 데 레이케도 1891년 7월 대홍수 이후의 조간지강을 보고 "이것은 강이 아니라 폭포다"라고 표현했다고 알려져 왔다.[7]
그러나 2020년 토야마현 회의록 조사에서 이 발언을 한 것은 데 레이케가 아니라 로웬호르스트 뮬더이며, 대상 강은 조간지강이 아니라 하야츠키강이었다고 결론 내려졌다.[8]
5.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Rapids
https://education.na[...]
2024-02-20
[2]
웹사이트
Rapids - redzet.lv
https://www.redzet.l[...]
2024-05-01
[3]
웹사이트
Rapids
https://education.na[...]
2024-05-01
[4]
서적
Stream Gradient
https://sitesmedia.s[...]
Creek Connections Topographic Map Module
[5]
웹사이트
Whitewater Rapid Classification System - River Difficulty Classification
https://kayakbase.co[...]
2022-08-21
[6]
서적
Streams and Drainage Systems
https://www2.tulane.[...]
2015-11-03
[7]
서적
日本の地形 -特質と由来-
岩波新書
1977
[8]
뉴스
「川ではない。滝だ」実は別人 明治の技師デ・レイケ発言 論争決着か
https://news.yahoo.c[...]
北日本新聞
2020-09-12
[9]
웹사이트
International Scale of River Difficulty
https://www.american[...]
2018-06-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