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난은 바이어 명명법으로 남십자자리 엡실론(ε Crucis)으로 표기되는 별의 고유 명칭이다.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와다만족의 언어로 "노래 자루"를 의미하며, 주황색의 거성이다. 남십자자리를 상징하는 국기 및 단체 깃발에 등장하며, 오스트레일리아, 파푸아뉴기니, 사모아, 브라질 국기에 포함되어 있다. 브라질 국기에서는 에스피리투산투 주를 상징하며, 브라질의 국장, 여권, 빅토리아 주의 기, 유레카 깃발, 미국 제1 해병사단 휘장 등에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십자자리 - 가크룩스
    남십자자리에서 가장 밝은 붉은색 거성인 가크룩스는 준규칙 변광성으로, 여러 국가의 국기에 남십자자리의 별로서 나타난다.
  • 남십자자리 - 아크룩스
    아크룩스는 남십자자리의 알파별로, 대한민국에서는 관측할 수 없으며, 겉보기 등급 1.40의 아크룩스 A와 2.09의 아크룩스 B로 이루어진 쌍성이다.
  • 변광성 후보 - 쉐다르
    쉐다르는 카시오페이아자리의 별로, 아랍어로는 "가슴", 중국에서는 '왕량사'로 불리며, 북반구에서 쉽게 관측할 수 있는 적색 초거성이다.
  • 변광성 후보 - 마이아 (항성)
    마이아는 황소자리에 위치하며 플레이아데스 자매의 이름을 딴 별로, 특정 원소 과잉과 흑점 활동에 의한 밝기 변화를 보이며 반사 성운에 둘러싸여 맨눈으로도 관측 가능한 항성이다.
  • K형 거성 - 쉐다르
    쉐다르는 카시오페이아자리의 별로, 아랍어로는 "가슴", 중국에서는 '왕량사'로 불리며, 북반구에서 쉽게 관측할 수 있는 적색 초거성이다.
  • K형 거성 - 사자자리 뮤
    사자자리 뮤는 사자자리에 위치한 K형 적색 거성으로, 라살라스라는 고유 명칭을 가지며, 2014년에 외계 행성 사자자리 뮤 b가 발견되었다.
기난
위치 정보
남십자자리 성도
엡실론별 위치
명칭
이름기난
영어 이름Epsilon Crucis
바이어 명명법남십자자리 엡실론, ε Cru
기타 명칭CD -59° 4221
FK5 2989
Gaia DR2 6058271964879640448
HD 107446
HIP 60260
HR 4700
NSV 5568
SAO 251862
관측 정보
별자리남십자자리
겉보기 등급3.58
시선 속도-4.60 km/s
고유 운동 (적경)-170.93 mas/년
고유 운동 (적위)91.67 mas/년
시차14.19 ± 0.17 mas/년
특징
분광형K3 III
B-V 색지수+1.42
U-B 색지수+1.63
변광성 여부변광성 의심 천체
물리적 특성
질량1.52 태양질량
반지름28.41 태양반경
광도302 태양광도
표면 온도4294 켈빈
표면 중력1.91
중원소 함량-0.21
자전 속도3.14 km/s
나이21억 7천만 년

2. 명칭

'''남십자자리 엡실론'''(ε Crucis)은 바이어 명명법으로 표기한 이름이다.

고유명칭 '''기난'''(Ginan)은 오스트레일리아 북부에 거주하는 와다만족이 부르는 이름이다.[12] 2016년 국제천문연맹은 항성명칭심의위원회(WGSN)를 구성하여[13] 항성들의 고유명칭을 공식 등재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기난은 2017년 11월 19일 발표한 공고문에 포함되었으며 현재 국제천문연맹 공식 항성목록에 등재되어 있다.[10]

포르투갈어로는 인트로메치다(Intrometida|참견하기 좋아하는 것pt)라고 불리기도 한다.[14]

3. 특징

기난은 주황색 거성이다. 남십자자리의 밝은 4개의 별과 함께, 오스트레일리아, 파푸아뉴기니, 사모아, 브라질 국기에 그려져 있다. 브라질 국기에서는 에스피리투산투 주를 상징하는 별로 여겨지고 있다.

4. 문화

2017년 11월 17일, 국제천문연맹의 항성 명명에 관한 워킹 그룹(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은 남십자자리 ε별의 고유명칭으로 '기난(Ginan)'을 정식으로 정했다.[15] '기난'은 오스트레일리아노던 준주에 사는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인 Wardaman족의 창세 신화에 등장하는 "노래 벌레"에서 유래했다.

포르투갈어로 "참견하기 좋아하는 사람", "오지랖 넓은 사람"을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한 인트로메티다(Intrometidapt)라고 불리기도 했다.

4. 1. 국기

기난은 남십자성을 상징물로 쓰는 여러 국기나 단체 깃발에 등장한다.(다만 나머지 네 별만 표시하고 기난을 빼는 경우도 있다.)

  • 기난은 오스트레일리아, 파푸아 뉴기니, 사모아 국기에 등장한다.
  • 브라질 국기에 등장하며 이스피리투산투 주를 상징한다.[15] 브라질의 국장, 구 브라질 여권(국장 문양을 그대로 실었음), 2015년에 도입된 브라질 전자 여권 표지에 기난이 나온다.
  •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 주기(州旗)에 기난이 실려 있다.
  • 기난은 유레카 깃발에 실려 있는데, 실제 위치와는 달리 십자가 중앙에 나머지 별 넷과 같은 모양으로 그려져 있다.
  • 미국 제1 해병사단 휘장에 기난이 새겨져 있다.


4. 2. 기타

기난은 남십자성을 상징물로 사용하는 여러 국기나 단체 깃발에 등장한다. (다만 나머지 네 별만 표시하고 기난을 빼는 경우도 있다.)

  • 기난은 오스트레일리아, 파푸아 뉴기니, 사모아 국기에 등장한다.
  • 브라질 국기에 등장하며 이스피리투산투 주를 상징한다.[15] 브라질의 국장, 구 브라질 여권(국장 문양을 그대로 실었음), 2015년에 도입된 브라질 전자 여권 표지에 기난이 나온다.
  •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 주기(州旗)에 기난이 실려 있다.
  • 기난은 유레카 깃발에 실려 있는데, 실제 위치와는 달리 십자가 중앙에 나머지 별 넷과 같은 모양으로 그려져 있다.
  • 미국 제1 해병사단 휘장에 기난이 새겨져 있다.


2017년 11월 17일, 국제천문연맹의 항성 명명에 관한 워킹 그룹(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은 남십자자리 ε별의 고유명칭으로 ''Ginan''을 정식으로 정했다. ''Ginan''은 오스트레일리아의 노던 준주에 사는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인 Wardaman족의 창세 신화에 등장하는 "노래 벌레"에서 유래한다.

포르투갈어로 "참견하기 좋아하는 사람", "오지랖 넓은 사람"을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한 인트로메티다(Intrometidapt)라고 불리기도 했다.

참조

[1] 간행물 6058271964884299520
[2] Simbad eps Cru
[3] 웹사이트 Naming Stars https://www.iau.org/[...] IAU.org 2017-12-16
[4] 간행물 A catalogue of multiplicity among bright stellar systems 2008-09
[5] 보도자료 IAU Approves 86 New Star Names From Around the World https://www.iau.org/[...] IAU.org 2017-12-11
[6] 보도자료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http://www.pas.roche[...] IAU.org
[7] 웹사이트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https://www.iau.org/[...] 2016-05-22
[8] 문서 "Crux Australis: o Cruzeiro do Sul" http://www.asterdomu[...]
[9] 웹사이트 Astronomy of the Brazilian Flag https://flagspot.net[...] FOTW Flags Of The World website
[10] 웹인용 Naming Stars https://www.iau.org/[...] IAU.org 2017-12-16
[11] 인용 A catalogue of multiplicity among bright stellar systems 2008-09
[12] 보도자료 IAU Approves 86 New Star Names From Around the World https://www.iau.org/[...] IAU.org 2017-12-11
[13] 웹인용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https://www.iau.org/[...] 2016-05-22
[14] 문서 "Crux Australis: o Cruzeiro do Sul" http://www.asterdomu[...]
[15] 웹인용 Astronomy of the Brazilian Flag https://flagspot.net[...] FOTW Flags Of The World websit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