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모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모아는 오세아니아의 폴리네시아에 위치한 섬나라로, 1962년 뉴질랜드로부터 독립했다. 사모아는 오스트로네시아 계열의 라피타인들이 멜라네시아에서 이주해 정착했으며, 1899년 독일과 미국에 의해 분할 통치되다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뉴질랜드의 지배를 받았다. 1975년 유엔에 가입했으며, 1997년 국호를 서사모아에서 사모아로 변경했다. 사모아는 입헌군주국이며, 2021년 피아메 나오미 마타아파가 사모아 최초의 여성 총리가 되었다. 주요 산업은 농업이며, 타로, 바나나, 코코넛 등이 재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모아 제도 - 아메리칸사모아
    아메리칸사모아는 남태평양에 위치한 미국의 자치령으로, 사모아 문화를 공유하며 미국 대통령을 국가 원수로 두고, 주지사가 행정을, 자치 의회가 입법을 담당하며, 주민은 미국 국민이지만 시민권은 공식적으로 부여되지 않고, 참치 통조림, 관광, 미국의 지원에 경제를 의존하며 기후 변화에 취약하다.
  • 영연방 회원국 - 나우루
    나우루는 남서 태평양의 작은 섬나라 공화국으로, 미크로네시아와 폴리네시아 민족의 역사를 가지며 인광석 채굴 호황 이후 자원 고갈과 환경 파괴로 어려움을 겪고, 현재는 난민 수용 시설 운영 등으로 경제 회복을 모색하는 대통령 중심제 국가이다.
  • 영연방 회원국 - 세이셸
    세이셸은 인도양 서부 마다가스카르 북동쪽에 있는 115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섬나라 공화국으로, 포르투갈에 의해 발견된 후 프랑스, 영국을 거쳐 독립했으며, 관광업이 주요 산업이고 크레올 혼혈인들이 주로 거주하며 세 가지 언어를 공용어로 사용한다.
  • 섬나라 - 나우루
    나우루는 남서 태평양의 작은 섬나라 공화국으로, 미크로네시아와 폴리네시아 민족의 역사를 가지며 인광석 채굴 호황 이후 자원 고갈과 환경 파괴로 어려움을 겪고, 현재는 난민 수용 시설 운영 등으로 경제 회복을 모색하는 대통령 중심제 국가이다.
  • 섬나라 - 팔라우
    팔라우는 태평양에 위치한 섬나라로, 스페인, 독일, 일본의 지배를 거쳐 미국의 신탁통치를 받았으며 1994년 독립하여 대통령 중심의 민주 공화국 체제를 갖추고 관광 산업, 특히 스쿠버 다이빙과 스노클링이 발달했으며 팔라우어와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모계 사회의 전통이 강하다.
사모아 - [지명]에 관한 문서
위치 정보
사모아 위치
사모아의 위치
사모아 지도
사모아 지도
기본 정보
공식 명칭사모아 독립국
현지 명칭Malo Saʻoloto Tutoʻatasi o Sāmoa
사모아 국기
사모아 국기
사모아 국장
사모아 국장
국가 표어Faʻavae i le Atua Sāmoa (사모아는 하느님을 기반으로 한다)
국가 (국가)자유의 깃발
수도아피아
최대 도시아피아
공용어사모아어
영어
종교기독교 (97.9%)
개신교 (54.9%)
가톨릭교 (18.8%)
몰몬교 (16.9%)
기타 기독교 (7.3%)
무종교 (1.7%)
기타 (0.4%)
민족 구성사모아인 (92.6%)
유럽계 혼혈인 (7.0%)
유럽인 (0.3%)
기타 (0.1%)
통화사모아 탈라 (WST)
시간대UTC+13:00
국제 전화 코드+685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ws
정치
정치 체제단일제 의회 공화국
국가 원수투이말레알리이파노 발레토아 수알라우비 2세
총리피아메 나오미 마타아파
입법부 의장파팔리이 리오 타에우 마시파우
입법부사모아 입법 의회
역사
독립뉴질랜드로부터 독립
베를린 조약1889년 6월 14일
삼자 협정1900년 2월 16일
독일 식민지1900년 3월 1일
뉴질랜드 점령1914년 8월 30일
국제 연맹 위임 통치1920년 12월 17일
유엔 신탁 통치1946년 12월 13일
서사모아 법1961년 1월 1일
유엔 가입1976년 12월 15일
서사모아에서 사모아로 국명 변경1997년 7월 4일
지리
면적2,831 km²
면적 순위167위
수역 비율0.3%
인구
인구 조사 (2021년)205,557명
인구 순위176위
인구 밀도70명/km²
경제
구매력 평가 기준 GDP12억 2500만 달러
구매력 평가 기준 1인당 GDP5,962 달러
명목 GDP9억 856만 달러
명목 1인당 GDP4,420 달러
지니 계수38.7 (2013년)
인간 개발 지수0.702
인간 개발 지수 순위116위
기타 정보
차량 운전 방향좌측 통행
ISO 3166-1WS
ISO 3166-2WSM
국제 전화 번호+685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ws

2. 역사

사모아의 역사는 약 3,000년 전 폴리네시아 계통의 라피타인이 정착하면서 시작되었다.[154][18] 초기 사모아 사회는 피지, 통가 등 주변 섬들과 교류하며 독자적인 문화와 정치 체제를 발전시켰다.[156][20]

1722년 네덜란드의 야코프 로게벤이 처음으로 섬을 발견한 이후 유럽인과의 접촉이 시작되었고,[157] 19세기에는 독일, 미국, 영국 등 서구 열강의 각축장이 되었다.[26][27] 열강 간의 내전 개입과 갈등 끝에 1899년 삼국 협약으로 사모아 제도는 분할되어, 서부는 독일령 사모아가 되고 동부는 아메리칸사모아가 되었다.[31][32][33]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직후인 1914년 뉴질랜드가 독일령 사모아를 점령하였고, 전쟁 후 국제 연맹과 유엔의 신탁통치 하에 통치를 이어갔다.[32][37] 뉴질랜드 통치 시기에는 행정 당국의 과실로 스페인 독감이 크게 유행하여 많은 희생자가 발생했으며,[40][32][41] 독립을 요구하는 비폭력 저항 운동인 마우 운동이 1929년 흑토요일 사건과 같이 강경하게 탄압받기도 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사모아는 1962년 1월 1일 뉴질랜드로부터 독립하여 '''서사모아'''라는 이름으로 주권을 회복했다. 1970년 영국 연방에, 1975년 유엔에 가입했으며, 1997년 국호를 '''사모아'''로 변경했다. 독립 이후 입헌군주국 체제를 유지하며 정치, 경제, 사회적 변화를 겪고 있다. 2009년에는 지진과 쓰나미 피해를 입었고,[140] 2011년에는 국제 날짜 변경선을 기준으로 표준시를 변경하는 등[141][142][143] 현대 사회의 도전에 적응하고 있다.

2. 1. 초기 역사

사모아는 오세아니아 언어를 사용하는 오스트로네시아 계열의 라피타 사람들이 멜라네시아에서 이주하여 발견하고 정착한 곳이다. 사모아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인류 유적은 약 2,900년에서 3,500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물리파누아의 라피타 유적지에서 발견되어 1974년에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154][18] 사모아인의 기원은 현대 폴리네시아인유전학, 언어학, 인류학 연구를 통해 조사되고 있으며 여러 이론이 있다. 그중 하나는 초기 사모아인들이 오스트로네시아인으로, 기원전 2,500년에서 1,500년 사이 동남아시아멜라네시아에서 라피타인들이 동쪽으로 확장하는 마지막 시기에 도착했다는 것이다.[155][19]

사모아, 피지, 통가 사이에는 긴밀한 사회문화적 및 유전적 유대가 유지되었으며, 고고학적 증거는 이들 섬 간의 항해와 혼인 관계를 보여주는 구전 역사와 원주민 계보를 뒷받침한다. 사모아 역사에서 주목할 만한 인물로는 투이 마누아 가문, 살라마시나 여왕, 포노티 왕 등이 있다. 나파누아는 고대 사모아 종교에서 신격화된 유명한 여전사로, 역대 사모아 통치자들은 그녀의 가호를 중요하게 여겼다.[156][20]

오늘날 사모아는 두 주요 왕족 가문인 사 말리에토아(13세기에 통가인들을 물리친 고대 말리에토아 가문의 후손)와 사 투푸아(살라마시나 여왕의 후손) 아래 통합되어 있다. 사모아의 최고 직분 네 개(고대의 말리에토아와 투푸아 타마세세, 그리고 19세기 전쟁에서 두드러진 마타아파와 투이말레알리이파노)를 이 두 가문이 가지고 있으며, 이들은 오늘날 사모아 마타이 시스템의 정점에 위치한다.[156][20]

유럽인들과의 접촉은 18세기 초에 시작되었다. 네덜란드인 야코프 로게빈은 1722년 사모아 제도를 최초로 목격한 비폴리네시아인이었으며, 이후 1768년 프랑스 탐험가 루이 앙투안 드 부갱빌이 이 섬들을 "네비게이터 제도"라고 명명했다. 유럽인과의 접촉은 1830년대까지 제한적이었으나, 이후 런던 선교회 소속의 영국 선교사들, 고래잡이들, 상인들이 도착하기 시작했다.[157][21]

2. 2. 유럽인과의 접촉

유럽인들과의 접촉은 18세기 초에 시작되었다. 네덜란드인 야코프 로게빈은 1722년 사모아 제도를 처음으로 목격한 비폴리네시아인이었으며, 이후 1768년 프랑스 탐험가 루이 앙투안 드 부갱빌이 이 섬들을 방문하여 "네비게이터 제도"라고 명명했다. 초기 접촉은 제한적이었으나, 1830년대부터 런던 선교회 소속의 영국 선교사들, 고래잡이들, 상인들이 사모아에 도착하면서 본격적인 교류가 시작되었다.[157]

미국 무역선과 포경선의 방문은 사모아의 초기 경제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 1821년 10월, 세일럼의 브릭선 ''로스코''호가 사모아에 기항한 최초의 미국 무역선으로 기록되었고, 1824년 낸터킷 출신의 ''마로''호는 사모아에서 기록된 최초의 미국 포경선이었다.[22] 포경선들은 식수, 땔나무, 식량을 구하고, 때로는 선원으로 일할 현지인들을 모집하기 위해 사모아를 찾았다. 마지막으로 기록된 포경선 방문은 1870년 ''거버너 모튼''호였다.[23]

기독교 선교 활동은 1830년 런던 선교회 소속 존 윌리엄스가 쿡 제도와 타히티를 거쳐 사바이 섬에 도착하면서 시작되었다.[24] 한편, 인류학자 바바라 A. 웨스트에 따르면, 당시 사모아 사회에는 전사가 전투에서 죽인 적의 머리를 지도자에게 바쳐 용맹함을 증명하는 '머리 사냥' 의식이 존재했다고 한다.[25]

사모아 주택 내부, 아피아, 1842년 뒤몽 뒤르빌 그림


사모아 아바 의식 준비를 묘사한 스튜디오 사진 (1911년경)


19세기 후반, 독일, 미국, 영국 등 서구 열강들은 사모아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경쟁했다. 특히 독일은 독일 회사들이 코프라와 카카오콩 가공을 독점한 우폴루 섬을 중심으로 큰 상업적 이익을 추구했다. 미국은 하와이의 진주만과 유사하게 사모아 동부 파고파고 만의 상업적, 전략적 가치에 주목하며 투투일라와 마누아 섬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했고, 이는 훗날 아메리칸사모아가 형성되는 배경이 되었다. 영국 역시 자국 기업 보호와 항만 권리 확보를 위해 군대를 파견하며 개입했다.[26][27]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의 생일 축하 행사, 바이리마, 1894년


스코틀랜드 출신의 작가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은 말년에 사모아에 거주하며 당시 열강들의 각축과 그로 인한 사모아 사회의 혼란상을 기록으로 남겼다. 그는 사모아에서의 8년간의 분쟁: 역사의 각주 등에서 열강의 개입과 사모아 내부 파벌 간의 정치적 갈등을 자세히 묘사했다.[26][27] 스티븐슨은 특히 사모아인들이 외세에 경제적으로 종속될 것을 우려하며, 스스로 땅을 경작하고 생산물을 현명하게 판매하여 경제적 자립을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28]

열강의 개입은 사모아 내부의 정치적 갈등을 더욱 심화시켰고, 결국 8년간의 사모아 내전으로 이어졌다. 이 과정에서 세 열강은 각자 지지하는 사모아 파벌에게 무기, 훈련을 제공하고 때로는 직접 전투 병력까지 지원하며 내전에 깊숙이 관여했다. 사모아 위기는 1889년 3월, 세 열강이 경쟁적으로 아피아 항구에 군함을 파견하면서 최고조에 달했다. 대규모 군사 충돌이 임박한 상황이었으나, 1889년 3월 15일에 발생한 강력한 사이클론이 항구에 정박 중이던 군함 대부분을 파괴하거나 손상시키면서 극적으로 전쟁 위기가 해소되었다.[29]

독일, 미국, 영국의 합동 위원회가 1899년 6월 사모아 왕정을 폐지하는 모습.


사이판으로 망명 가는 독일 군함에 탑승한 추방된 연설가 라우아키 나물라울루 마모에(왼쪽에서 세 번째, 연설자 지팡이를 들고 서 있음)와 다른 추장들, 1909년


그러나 갈등은 완전히 봉합되지 않았고, 1898년 제2차 사모아 내전이 발발했다. 1899년 3월 아피아 공방전에서는 마타아파 이오세포를 지지하는 사모아 세력이 타누 왕자를 지지하는 세력을 포위했다. 이에 영국과 미국은 타누 왕자를 지원하기 위해 군함 4척에서 상륙 부대를 파견했고, 며칠간의 전투 끝에 마타아파 측이 패배했다.[30] 같은 해 3월 15일에는 USS ''필라델피아''호를 포함한 미국과 영국 군함이 아피아를 포격하기도 했다.[31][32]

결국 독일, 영국, 미국은 사모아에서의 소모적인 경쟁을 끝내기로 합의하고, 1899년 12월 2일 워싱턴 D.C.에서 삼국 협약을 체결했다 (1900년 2월 16일 비준). 이 협약에 따라 사모아 제도는 서구 열강에 의해 임의로 분할되었다. 국토 면적이 더 넓은 서부 섬들(우폴루, 사바이 등)은 독일령 사모아가 되었고, 동부 섬들(투투일라, 마누아 등)은 미국의 영토인 아메리칸사모아로 편입되었다. 영국은 사모아에 대한 모든 권리를 포기하는 대가로 통가에서의 독일 권리 포기, 부건빌 남쪽의 솔로몬 제도 대부분, 그리고 서아프리카에서의 영토 조정 등을 얻었다.[31][32][33] 이로써 사모아는 외세에 의해 동서로 나뉘는 비극을 맞게 되었다.

2. 3. 식민지 시대

유럽인들과의 접촉은 18세기 초에 시작되었다. 네덜란드인 야코프 로게빈은 1722년에 사모아 제도를 최초로 목격한 비폴리네시아인이었으며, 그 후 1768년에 프랑스 탐험가 루이 앙투안 드 부갱빌이 이 섬들을 "항해자의 섬"(Îles des Navigateurs|일 데 나비가퇴르프랑스어)으로 명명했다. 유럽인들과의 접촉은 1830년대까지 제한적이었으나, 그때부터 런던 선교회 소속의 영국 선교사들, 고래잡이들, 상인들이 사모아에 도착하기 시작했다.[157]

미국 무역선과 포경선의 방문은 사모아의 초기 경제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1821년 10월, 세일럼(Salem)의 브릭선 ''로스코''호(선장: 벤자민 반더포드)가 사모아에 기항한 것으로 알려진 최초의 미국 무역선이었고, 1824년 낸터킷(Nantucket) 출신의 ''마로''호(선장: 리처드 메이시)는 사모아에서 기록된 최초의 미국 포경선이었다.[22] 포경선들은 식수, 땔나무, 식량을 구하고, 나중에는 선원으로 일할 현지인들을 모집하기 위해 사모아에 왔다. 마지막으로 기록된 포경선 방문은 1870년 ''거버너 모튼''호였다.[23]

사모아에서의 기독교 선교 활동은 1830년 런던 선교회의 존 윌리엄스가 쿡 제도와 타히티에서 사바이섬에 도착하면서 시작되었다.[24]

사모아에서의 8년간의 분쟁: 역사의 각주(1892)에서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은 사모아에서 영향력을 놓고 다투던 미국, 독일, 영국 등 열강들의 활동과 그들의 토착 정치 체제 내 다양한 사모아 파벌들의 정치적 책략을 자세히 설명했다.[26][27] 스티븐슨이 가장 우려했던 것은 사모아인들의 경제적 무지였다. 사망 몇 달 전인 1894년, 그는 섬의 수장들에게 다음과 같이 말했다.

: 사모아를 방어할 방법은 하나뿐입니다. 너무 늦기 전에 들어주십시오. 길을 만들고, 정원을 가꾸고, 나무를 돌보고, 그 산물을 현명하게 팔고, 한마디로 여러분의 나라를 점유하고 사용하는 것입니다… 여러분이 여러분의 나라를 점유하고 사용하지 않는다면, 다른 사람들이 그렇게 할 것입니다. 여러분이 아무것도 하지 않고 그것을 점유한다면, 그것은 계속해서 여러분이나 여러분의 자녀들의 것이 되지 않을 것입니다. 그렇게 된다면 여러분과 여러분의 자녀들은 칠흑 같은 어둠 속으로 내던져질 것입니다.

그는 버려진 원주민 교회들이 "백인들의 사탕수수밭 한가운데 있는 무덤 위에 있는 묘비"처럼 서 있는 하와이에서 "하나님의 심판"을 보았다.[28]

특히 독일사모아 제도, 특히 독일 회사들이 코프라와 카카오콩 가공을 독점한 우폴루 섬에 큰 상업적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다. 미국은 하와이의 진주만과 사모아 동부의 파고파고 만에 있는 상업적 해운 이익을 근거로 자체 영유권을 주장했고, 특히 투투일라와 마누아 섬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동맹을 강요하여 아메리칸사모아가 되었다.

영국도 영국 기업, 항만 권리 및 영사관 사무소를 보호하기 위해 군대를 파병했다. 이어서 8년간의 내전이 일어났는데, 세 열강 모두 전쟁 중인 사모아 당사자들에게 무기, 훈련을 제공하고 일부 경우에는 전투 병력까지 지원했다. 사모아 위기는 1889년 3월 세 식민지 경쟁국 모두 아피아 항에 군함을 파견하면서 결정적인 국면에 이르렀고, 대규모 전쟁이 임박한 것처럼 보였다. 1889년 3월 15일 발생한 대폭풍으로 군함들이 손상되거나 파괴되어 군사적 충돌이 종식되었다.[29]

제2차 사모아 내전은 1898년 독일, 영국, 그리고 미국이 사모아 제도의 지배권을 놓고 분쟁을 벌이면서 절정에 달했다. 아피아 공방전은 1899년 3월에 발생했다. 타누 왕자에게 충성하는 사모아군은 마타아파 이오세포에게 충성하는 더 큰 사모아 반군에게 포위되었다. 타누 왕자를 지원하기 위해 영국과 미국의 군함 4척에서 상륙 부대가 파견되었다. 며칠간의 전투 끝에 사모아 반군은 결국 패배했다.[30]

1899년 3월 15일, 미국과 영국의 군함이 USS ''필라델피아''호를 포함하여 아피아를 포격했다. 독일, 영국, 미국은 적대 행위를 종식시키기로 신속하게 결정하고 1899년 12월 2일 워싱턴에서 체결되어 1900년 2월 16일 비준서가 교환된 1899년 삼국 협약에서 섬들을 분할했다.[31][32]

동부 섬들은 미국의 영토가 되었고(1900년 투투일라 제도, 1904년 공식적으로 마누아), 아메리칸사모아로 알려졌다. 서부 섬들은 훨씬 더 큰 육지였고 독일령 사모아가 되었다. 영국은 사모아에 대한 모든 권리를 포기했고, 그 대가로 (1) 통가에서 독일의 권리 종식, (2) 부겐빌 남쪽의 솔로몬 제도 전체, (3) 서아프리카의 영토 배치를 받았다.[33]

독일 제국은 1900년부터 1914년까지 사모아 제도 서부를 통치했다. 빌헬름 솔프가 식민지 초대 총독으로 임명되었다. 1908년 비폭력 마우 운동(Mau a Pule)이 일어나자 솔프는 주저 없이 마우 지도자 라우아키 나물라울루 마모에를 독일령 북마리아나 제도의 사이판으로 추방했다.[34]

독일 식민 정부는 "섬에는 정부가 하나뿐이다"라는 원칙으로 통치했다.[35] 따라서 사모아의 투푸(Tupu, 왕)나 알리이 실리(alii sili, 총독과 유사한 직책)는 없었고, 식민 정부가 두 명의 파우투아(Fautua, 고문)를 임명했다. 투무아(Tumua)와 풀레(Pule, 우폴루와 사바이이의 전통 정부)는 한동안 침묵했으며, 토지와 작위에 관한 모든 결정은 식민 총독의 통제하에 있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시작된 달인 1914년 8월 29일, 뉴질랜드 원정군이 우폴루에 무혈 입성하여 영국이 뉴질랜드에 요청한 "중대하고 긴급한 제국적 임무"[36]를 수행하여 독일 당국으로부터 통제권을 장악했다(독일령 사모아 점령).

1914년부터 1962년까지 뉴질랜드제1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국제 연맹의 위임통치하에, 그리고 이후 유엔을 통해 서사모아를 C급 위임통치령으로 통치했다.[32][37] 1919년부터 1962년까지 사모아는 뉴질랜드의 섬 지역과 사모아를 감독하기 위해 특별히 설립된 정부 부처인 대외 관계부(후에 섬 지역부로 개칭)에 의해 관리되었다.[38][39] 뉴질랜드 통치 기간 동안, 그들의 행정관들은 두 가지 주요 사건에 책임이 있었다.

첫 번째 사건에서 사모아 인구의 약 5분의 1이 1918~1919년 인플루엔자 유행으로 사망했다.[40][32] 1918년, 제1차 세계 대전의 최종 단계에서 스페인 독감이 큰 피해를 입히며 국가 간에 빠르게 확산되었다. 사모아에서는 1918년 11월 7일 오클랜드에서 온 SS ''탈루네''호가 도착하기 전까지 서사모아에서 폐렴성 인플루엔자 유행이 없었다. 뉴질랜드 행정부는 검역 규정을 지키지 않고 배가 정박하도록 허용하는 중대한 과실을 범했다. 이 배가 도착한 지 7일 이내에 인플루엔자는 우폴루에서 유행병이 되었고, 그 후 영토 전역으로 빠르게 확산되었다.[41] 사모아는 태평양 섬들 중 가장 큰 피해를 입었으며, 인구의 90%가 감염되었고, 성인 남성의 30%, 성인 여성의 22%, 어린이의 10%가 사망하는 비극을 겪었다.[42] 1919년 유행병에 대한 왕립 위원회 조사에서 유행병의 원인이 확인되었고, 1918년 11월 7일 오클랜드에서 ''탈루네''호가 도착하기 전까지 서사모아에는 폐렴성 인플루엔자 유행이 없었다는 결론을 내렸다.[41] 이 유행병은 뉴질랜드의 행정 능력과 역량에 대한 사모아인들의 신뢰를 크게 훼손시켰다.[32] 일부 사모아인들은 섬의 통치권을 미국이나 영국에 이양할 것을 요구하기도 했다.[32]

두 번째 주요 사건은 마우 운동에 대한 탄압이었다. 1926년 제2차 마우 운동이 발발하자 뉴질랜드 행정부는 강경하게 대응했다. 1929년 12월 28일, 아피아에서 비무장 평화 시위를 벌이던 마우 운동 지지자들에게 뉴질랜드 경찰이 발포하여, 사모아의 4대 최고 족장(타마 아 아이가) 중 한 명인 투푸아 타마세세 레알로피 3세를 포함한 다수의 사모아인들이 사망하는 흑토요일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은 뉴질랜드 식민 통치의 폭력성을 드러내는 상징적인 사건으로 남았다.

뉴질랜드 군인들의 흑토요일 학살 이후, 1929년 마우 운동 지도자 투푸아 타마세세 레알로피 3세의 사망을 애도하는 사모아 전역의 족장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사모아는 1945년 국제 연합 신탁통치령이 되었고, 마침내 1962년 1월 1일뉴질랜드로부터 독립하여 '''서사모아'''라는 국호로 주권을 회복했다.

2. 4. 독립과 현대

유럽인들과의 접촉은 18세기 초 네덜란드인 야코프 로게빈이 1722년 사모아 제도를 목격하면서 시작되었고, 1768년 프랑스 탐험가 루이 앙투안 드 부갱빌이 "네비게이터 제도"라고 명명했다. 본격적인 접촉은 1830년대부터 영국 선교사, 고래잡이, 상인들이 도착하면서 이루어졌다.[157]

19세기 후반 아피아가 포경선의 보급항으로 번성하면서 독일, 영국, 미국의 세력 다툼이 벌어졌다. 1889년부터 영국의 영향력이 있었으나, 1899년 삼국 조약을 통해 독일이 서사모아(독일령 사모아)를, 미국이 동사모아(아메리칸사모아)를 분할 영유하게 되었다. 독일 통치 시기에는 제1차 마우 운동이라 불리는 독립 운동이 일어났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독일이 패배하자, 뉴질랜드는 1914년부터 서사모아를 점령했다. 전쟁 후 1919년부터는 국제 연맹의 위임통치령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유엔신탁통치령으로 뉴질랜드가 통치를 이어갔다(서사모아 신탁통치령).[32][37] 뉴질랜드 통치는 1962년 독립까지 지속되었으며, 이 기간 동안 뉴질랜드 행정 당국의 관리 소홀과 강압적인 통치는 여러 비극적인 사건을 낳았다.

대표적인 사건은 1918-1919년 인플루엔자 유행이다. 1918년 11월, 뉴질랜드 행정부가 검역 절차를 무시하고 오클랜드에서 온 증기선 SS ''탈루네''의 입항을 허가하면서 스페인 독감이 사모아에 상륙했다.[41] 유행병은 급속도로 퍼져 인구의 90%가 감염되었고, 성인 남성의 30%, 성인 여성의 22%, 어린이의 10%, 전체 인구의 약 5분의 1이 사망하는 참혹한 결과를 낳았다.[40][32][42] 1919년 유행병에 대한 왕립 위원회 조사에서는 뉴질랜드 행정부의 책임을 명확히 했다.[41] 이 사건은 뉴질랜드 통치에 대한 사모아인들의 불신을 깊게 만들었으며,[32] 일부는 통치권을 미국이나 영국에 이양할 것을 요구하기도 했다.[32]

뉴질랜드의 통치에 저항하는 제2차 마우 운동이 1926년 발발했다. 1929년 12월 28일, 아피아에서 비폭력 시위를 벌이던 마우 운동 지지자들에게 뉴질랜드 경찰이 발포하여 주요 지도자 중 한 명인 투푸아 타마세세 레아로피오아나 2세를 포함한 다수의 사모아인이 사망하는 '흑색 토요일' 사건이 발생했다. 이는 사모아인들의 독립 의지를 더욱 강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오랜 독립 운동 끝에 서사모아는 1962년 1월 1일 뉴질랜드로부터 독립하여 오세아니아 지역 최초의 독립 국가 중 하나가 되었다. 독립 당시 국호는 '''서사모아'''였으며, 이후 영국 연방과 유엔에 가입하였다. 1997년에는 공식 국호를 '''사모아'''로 변경하였으나, 동쪽의 아메리칸사모아와 구별하기 위해 여전히 서사모아라고 불리기도 한다.

말리에토아 타누마필리 2세(1913년~2007년)가 서거한 이후에도 입헌군주국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사모아는 현대에 들어 여러 변화와 도전을 겪었다. 2009년에는 자동차 통행 방식을 좌측 통행으로 변경하고[139], 큰 피해를 남긴 지진과 쓰나미를 겪었다.[140] 2011년에는 주요 교역국과의 시간대 격차를 줄이기 위해 국제 날짜 변경선의 서쪽으로 표준시를 변경하는 과감한 결정을 내렸다.[141][142][143] 2019년에는 백신 접종 거부 움직임 속에 홍역이 크게 유행하여 국가 비상사태가 선포되었고(2019년 사모아 홍역 유행), 2023년에는 세계은행으로부터 과잉 부채 위험이 높다는 지적을 받기도 했다.[144]

연도주요 사건
1899년독일-미국, 사모아 분할 영유 (독일령 사모아, 아메리칸사모아). 제1차 마우 운동 발생.
1914년뉴질랜드, 서사모아 점령.
1918년-1919년스페인 독감 유행, 인구 약 20% 사망.
1919년뉴질랜드, 국제 연맹 위임통치령으로 서사모아 통치 시작.
1926년제2차 마우 운동 발발.
1929년흑색 토요일 사건: 뉴질랜드 경찰 발포로 투푸아 타마세세 레아로피오아나 2세 등 사망.
1945년유엔 신탁통치령으로 변경 (뉴질랜드 통치 지속).
1962년1월 1일, 뉴질랜드로부터 독립 (국호: 서사모아).
1970년영국 연방 가입.
1975년12월 15일, 유엔 가입.
1997년국호를 사모아로 변경.
2007년종신 국가원수 말리에토아 타누마필리 2세 서거, 입헌군주국 유지.
2009년자동차 좌측 통행 변경, 지진 및 쓰나미 발생.
2011년국제 날짜 변경선 서쪽으로 표준시 변경 (12월 30일 생략).
2019년홍역 대유행, 국가 비상사태 선포.
2023년세계은행, 과잉 부채 위험 경고.


2. 5. 한국과의 관계

사모아는 원래 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모두와 수교 관계를 맺고 있었다. 그러나 1983년 미얀마(당시 버마)에서 발생한 아웅산 묘역 테러 사건 이후, 사모아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외교 관계를 단절하고 현재까지 대한민국과 단독으로 수교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대한민국 관련 외교 업무는 주 뉴질랜드 대한민국 대사관이 겸임하고 있다.

한편, 한국 전쟁 중이던 1950년대 초반, 당시 주한 미국 제8군 사령관이었던 월튼 워커 장군은 전쟁 상황이 악화될 경우를 대비하여 이승만 대통령을 포함한 대한민국 정부 주요 인사와 그 가족들을 사모아로 피신시켜 망명 정부를 수립하는 비상 계획을 구상하기도 했다. 그러나 1953년 한국 전쟁이 정전 협정으로 휴전 상태에 들어가면서 대한민국의 패망이라는 최악의 상황은 피할 수 있었고, 이 계획은 실행되지 않았다.[167]

3. 정치

아피아의 정부 건물


사모아는 영연방 소속 국가로, 1962년 뉴질랜드로부터 독립하며 공식 발효된 1960년 헌법에 따라 통치된다. 이 헌법은 영국의 의원내각제를 기반으로 하되, 사모아의 전통 관습인 파아마타이(Faʻamatai)를 반영하여 수정되었다.[73] 사모아의 현대 정부는 '말로'(Malo)라고 불린다. 국가의 정체에 대해서는 선거군주제로 보는 시각과 공화제로 보는 시각이 공존한다.
국가원수국가원수는 사모아어로 오 레 아오 오 레 말로(O le Ao o le Malo)라고 불리며, 입법회(Fono)에서 5년 임기로 선출된다. 헌법상으로는 입법의원 피선거권을 가진 누구나 국가원수 후보가 될 수 있지만, 실제로는 사모아 사회의 4대 대족장(타마 아 아이가, Tama-a-Aiga) 가문 출신 중에서 선출하는 것이 관례이다. 초대 국가원수 중 한 명인 말리에토아 타누마필리 2세는 예외적으로 종신 임기를 보장받았다. 국가원수는 명목상의 권한을 가지며, 총리와 내각의 조언에 따라 권한을 행사한다. 현 국가원수는 2017년과 2022년에 선출된 투이말레알리이파노 발레토아 수알라우비 2세(Tuimalealiʻifano Vaʻaletoʻa Sualauvi II)이다.[74]
행정부행정부 수반은 총리이며, 입법회 다수결로 선출된 후 국가원수에 의해 임명된다. 총리는 12명의 각료를 지명하고, 국가원수가 이들을 임명하여 내각을 구성한다. 내각은 입법회의 신임을 받아야 한다.
입법부입법회(Fono)는 단원제 의회로, 총 51명의 의원으로 구성되며 임기는 5년이다. 이 중 49명은 각 지역구에서 선출된 마타이(matai, 족장) 칭호 소유자이며, 나머지 2명은 별도의 선거인 명부를 통해 선출되는 비사모아인(주로 유럽계) 대표이다. 1990년 보통선거권이 도입되어 만 21세 이상 모든 국민이 투표권을 갖지만, 의원 피선거권은 여전히 마타이에게만 주어진다. 사모아에는 약 25,000명 이상의 마타이가 있으며, 이 중 약 5%가 여성이다.[76] 또한, 국회의원의 최소 10%는 여성이어야 한다는 규정이 있다.[75]
사법부사법 제도는 영국 관습법과 사모아 지역 관습을 통합하여 운영된다. 최고 법원은 사모아 대법원이며, 사모아 대법원장은 총리의 추천을 받아 국가원수가 임명한다.
정치사 및 주요 정당1982년 총선 이후 인권보호당(Human Rights Protection Party, HRPP)이 약 40년간 장기 집권했으나, 2021년 총선에서 신생 정당인 파아투아투아 일레 아투아 사모아 우아 타시(Faʻatuatua i le Atua Samoa ua Tasi, FAST) 당이 승리하였다. 선거 후 헌법 위기를 겪었으나, 대법원의 판결로 FAST당 대표인 피아메 나오미 마타아파(Fiamē Naomi Mataʻafa)가 사모아 최초의 여성 총리로 취임하며 HRPP의 장기 집권이 막을 내렸다.[71][72][145] 피아메 나오미 마타아파는 사모아 초대 총리인 피아메 마타아파 파우무이나 물리아누우 2세의 딸이기도 하다.
주요 정치적 변화

  • 1997년: 국명을 '서사모아'에서 '사모아'로 변경.[60]
  • 2009년: 차량 통행 방식을 우측 통행에서 좌측 통행으로 변경.[64]
  • 2011년: 표준시를 UTC−11에서 UTC+13으로 변경하여 국제 날짜 변경선 동쪽으로 이동.[66]
  • 2017년: 유엔 핵무기 금지 조약 서명.[69]


뉴질랜드 통치 시기의 저항 운동이었던 마우 운동과 관련된 인권 문제 및 기독교 국교 지정 등은 인권 문제 섹션에서 상세히 다룬다.

3. 1. 인권 문제

사모아의 주요 인권 문제로는 여성의 정치 및 사회적 대표성 부족, 만연한 가정 폭력, 열악한 교도소 환경 등이 지적된다. 또한, 동성애 행위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다.[78]

역사적으로 뉴질랜드의 식민 통치 기간 동안 인권 침해가 발생했다. 특히 마우 운동 과정에서 1929년 12월 28일 평화 시위대를 향한 뉴질랜드 경찰의 발포로 투푸아 타마세세 레알로피 3세 최고 족장을 포함한 다수가 사망한 '검은 토요일' 사건은 대표적인 사례이다.[47][48] 2002년, 뉴질랜드 총리 헬렌 클락은 1918년 스페인 독감 유행 관리 실패와 '검은 토요일' 학살에 대해 공식적으로 사과하며 과거의 책임을 인정했다.[62][63]

2017년 6월, 사모아 의회는 헌법 제1조를 개정하여 기독교를 국교로 지정했다.[109][70]

4. 행정 구역

사모아 지도


사모아는 11개의 행정구역으로 구성된다. 인구가 가장 많은 행정구역은 수도 아피아가 있는 투아마사가이며, 사모아 인구의 절반 가까이가 거주한다.

5. 지리

사모아는 오세아니아폴리네시아 지역에 위치한 섬나라로, 날짜변경선 동쪽, 피지 북동쪽 약 800km 해상에 자리 잡고 있다. 적도 남쪽, 하와이뉴질랜드의 중간 지점에 있으며, 동쪽으로는 아메리칸사모아를 사이에 두고 쿡 제도, 남쪽으로는 통가, 북쪽으로는 뉴질랜드령 토켈라우 제도와 접한다.

사모아 지도


사모아 지형


총 육지 면적은 2842km2[83]로, 사모아 제도의 일부이다. 국토는 주로 두 개의 큰 섬인 사바이섬(사바이, 면적 1700km2)과 우폴루섬(우폴루, 면적 1115km2)으로 구성되며, 이 두 섬이 국토 면적의 99%를 차지한다. 두 섬 사이에는 18km 너비의 아폴리마 해협이 있으며, 이 해협에는 마노노섬아폴리마섬이라는 두 개의 작은 유인도가 있다. 이 외에도 사람이 살지 않는 6개의 작은 섬들이 있다.

작은 섬 목록[84]
위치섬 이름
아폴리마 해협마노노섬
아폴리마섬
누울로파섬
알레이파타 제도 (우폴루 동쪽 끝)누우텔레
누울루아
나무아
파누아타푸
우폴루 남쪽 해안누우사페에섬 (면적 1ha 미만)



주요 섬인 우폴루섬에는 사모아 전체 인구의 약 4분의 3이 거주하며, 수도인 아피아도 이 섬에 있다. 우폴루섬에는 높이 1100m의 피토산이 솟아 있다. 반면, 사바이섬은 사모아 제도에서 가장 큰 섬이자 폴리네시아에서 여섯 번째로 큰 섬이다. 사바이섬의 인구는 약 4만 2천 명이며, 사모아 최고봉인 실리실리산(해발 1858m)이 이 섬에 있다. 사바이섬은 넓은 지역이 용암류로 덮여 있어, 섬의 크기에 비해 거주 인구는 전체의 1/3에 불과하다.

사모아 폭포


사모아 제도는 화산군도로, 모든 섬이 화산 활동의 결과로 형성되었다. 섬들은 미오세 시대부터 형성되기 시작했으며, 지난 200만 년 동안 맨틀 플룸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되는 사모아 열점과 관련된 화산 활동을 경험해 왔다.[17][85][86] 현재는 사모아 제도에서 가장 서쪽에 있는 사바이섬만이 활화산이다. 가장 최근의 분화 기록으로는 마타바누 산(1905~1911년 분화), 마타 오 레 아피(1902년 분화), 마우가 아피(1725년 분화) 등이 있다. 특히 마타바누 산 분화는 사바이섬 중앙 북쪽 해안에 살레아울라 용암 지대를 형성시켰는데, 이곳에는 50km2에 달하는 굳은 용암이 남아 있다.[87]

해안 지형은 산호초가 발달한 곳이 많으며, 산호초와 섬 사이의 좁은 해안 평야에 주로 마을이 형성되어 있다. 일부 지역에서는 갑자기 300m 이상의 높은 해안 절벽이 나타나기도 한다.

사모아는 적도성 기후대에 속하며, 연평균 기온은 26.5°C이다.[88] 주요 우기는 11월부터 4월까지이지만, 연중 어느 달에도 폭우가 내릴 수 있다.[88][89]

6. 경제

사모아 중앙은행


사모아 전력 생산량(출처별)


타로(Taro), 뿌리채소. 전통적으로 사모아 최대 수출품이었으나 1993년 수출 수익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으나, 곰팡이병으로 인해 1994년 이후 수출 수익의 1% 미만을 차지하게 되었다.


국제연합(UN)은 2014년부터 사모아를 경제 개발 도상국으로 분류하고 있다.[92] 2017년 기준, 사모아의 구매력평가(PPP) 기준 국내총생산(GDP)은 11.299999999999999억달러로 추산되며, 세계 204위를 기록했다. 서비스업 부문이 GDP의 66%를 차지했고, 다음으로 제조업 23.6%, 농업 10.4% 순이었다.[93] 같은 해 사모아의 노동 인구는 50,700명으로 추산되었다.[93] 1999년 통계 기준으로 1인당 국민총생산(GNP)은 1300USD이다.

사모아 경제는 전통적으로 지역 차원의 농업과 어업에 의존해왔다. 현대에 들어서는 개발 원조, 해외 거주 가족의 해외 송금, 농산물 수출이 국가 경제의 주요 요인이 되었다. 농업은 노동 인구의 약 3분의 2(약 60%)를 고용하고 수출의 90%를 담당한다.[2] 주요 농산물은 타로감자, 얌감자, 빵나무 등이며, 19세기 말부터는 코코야자를 심기 시작하여 코프라(말린 코코넛 과육), 코코넛 크림, 코코넛 오일 등이 중요한 수출품이 되었다.[2] 바나나, 카카오 콩(초콜릿용), 노니(사모아어 '노누') 주스, 고무 등도 주요 수출 품목이다.[2][98] 사모아 카카오 콩은 품질이 매우 우수하여 고급 뉴질랜드 초콜릿에 사용되며, 대부분 크리올로-포라스테로 잡종이다. 커피도 잘 자라지만 생산량은 일정하지 않으며, 서사모아 신탁 재산 공사(WSTEC)가 가장 큰 커피 생산업체이다. 바나나와 코프라의 연간 생산량은 13000ton에서 15000ton 사이였다. 사모아의 코코넛 코끼리 장수풍뎅이가 박멸된다면 사모아는 40000ton 이상의 코프라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과거 타로는 최대 수출품이었으나, 1993년 곰팡이병 발생 이후 수출이 급감했다.

19세기 후반 독일 식민지 시대 이전 사모아는 주로 코프라를 생산했다. 독일 상인과 정착민들은 대규모 농장 운영을 도입하고 카카오 콩과 고무와 같은 새로운 산업을 개발했으며, 중국멜라네시아에서 온 이주 노동력에 의존했다.[96] 사탕수수 생산도 20세기 초 독일인들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사탕수수 운반을 위한 오래된 기찻길 유적이 아피아 동쪽 일부 농장에서 발견된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뉴질랜드 통치 하에서는 천연 고무 가격 하락으로 인해 뉴질랜드 시장 수요가 큰 바나나 생산을 장려했다.[96] 파인애플은 사모아에서 잘 자라지만 지역 소비를 넘어 주요 수출품이 되지는 못했다.[99][100]

고도 차이로 인해 사모아는 다양한 열대 및 아열대 작물을 재배할 수 있다. 총 토지 면적 2934km2 중 약 24.4%가 영구 작물 재배지이고 21.2%가 경작지이다. 토지는 일반적으로 외부인에게 제공되지 않으며, 약 4.4%는 서사모아 신탁 재산 공사(WSTEC) 소유이다.[97]

근해는 가다랭이, 다랑어의 좋은 어장으로 어획량이 많다. 1998년 통계에 따르면 관광 수입은 3800만달러로, 관광산업 역시 사모아 경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사모아 전력의 60%는 재생 가능한 수력발전, 태양열, 풍력에서 나오며, 나머지는 디젤 발전기로 생산된다. 사모아 전력청은 2021년까지 100% 재생 가능 에너지 달성을 목표로 설정한 바 있다.[95]

사모아 중앙은행은 사모아의 통화인 사모아 탈라를 발행하고 규제한다.[94]

1994년부터 추진된 경제 구조 개혁 정책을 통해 물가 안정, 수출 증가 등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으며 국민 생활 수준도 점차 향상되고 있다. 그러나 경제 생산의 80% 이상이 자급용이며, 전통적 농업에 노동 인구의 약 60%가 종사하고 있다. 국제수지는 항상 적자 상태여서 외국의 차관과 원조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1999년 통계 기준 수출 규모는 1780만달러, 수입 규모는 1.1262억달러이다. 뉴질랜드미국(하와이주, 캘리포니아주) 등 해외에 거주하는 사모아인(사모아 국내 인구보다 많은 규모)들이 보내는 송금이 경상수지 적자를 메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모아는 사모아 열대 습윤림 생태 지역의 일부를 형성한다.[90] 인간 거주 이후 저지대 열대 우림의 약 80%가 사라졌다. 이 생태 지역 내 식물의 약 28%, 육상 조류의 84%가 고유종이다.[91]

7. 사회

사모아 사회의 주요 우려 사항으로는 여성의 정치적 과소대표, 가정 폭력, 열악한 교도소 환경 등이 지적된다. 동성애 행위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다.[78]

사모아는 일반적으로 "안전한 나라"로 여겨지지만, 마타이(Matai, 족장)의 사회적 권력이 강하여 방문 시에는 이들에게 인사를 하는 것이 중요한 예절로 간주된다. 시골 지역 주민들은 전통적으로 벽이 없는 개방된 형태의 가옥(팔레(Fale))에 거주하는 경우가 많다. 강력 범죄 발생률은 낮은 편이나, 기본적인 범죄 예방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공동체 의식이 강한 문화적 특성상 개인 소유물에 대한 경계가 낮아 절도가 종종 발생하지만, 마타이에게 알리면 도난당한 물건을 돌려받는 경우도 많다고 알려져 있다.

7. 1. 인구

사모아는 2016년 인구 조사에서 194,320명의 인구를 기록했으며,[102] 이 수치는 2021년 인구 조사에서 205,557명으로 증가했다.[1] 인구의 약 4분의 3이 주요 섬인 우폴루에 거주하고 있다.[73]

사모아의 가족


주민의 대다수는 폴리네시아계 사모아인이다. 2011년 CIA 월드 팩트북 추산에 따르면 사모아인은 전체 인구의 96%를 차지하며, 사모아인과 뉴질랜드인혼혈이 2%, 기타 민족이 1.9%를 구성한다.[93] 다른 자료에서는 사모아인이 90% 이상이며, 사모아인과 유럽인 또는 중국인의 혼혈이 약 7%, 순수 유럽인은 1% 미만이라고 보기도 한다. 종교적으로는 주민의 50% 이상이 기독교를 믿는다.

2019년 10월에는 홍역이 발생하기 시작하여 이듬해 1월 초 진정될 때까지 83명의 사망자(인구 201,316명 기준 1,000명당 0.31명)[103]가 발생했다. 사모아에서는 4,460건 이상(인구의 2.2%)의 홍역 환자가 발생했으며,[104][105] 주로 4세 미만의 어린이들이 피해를 입었다. 인접국 피지에서도 10건의 환자가 보고되었다.[106]

7. 2. 언어

공용어사모아어영어이다. 제2언어 사용자를 포함하면 주민들은 일상 생활에서 사모아어를 더 많이 사용하며,[161] 영어는 관광 장소에서 널리 통용된다. 공문서는 사모아어로 작성되지만, 학술적인 문서나 기록에는 영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사모아는 문맹률이 상당히 낮은 나라에 속한다.

사모아의 청각 장애인들 사이에서는 사모아 수화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수화를 통한 완전한 포용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2017년 국제 청각 장애인의 주간 동안 사모아 경찰청, 적십자사, 그리고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기본적인 사모아 수화 교육이 이루어졌다.[162]

7. 3. 종교

2017년 6월, 삼위일체(Trinity)에 대한 언급을 포함하도록 헌법을 개정하는 법률이 통과되었다. 개정된 사모아 헌법 제1조는 "사모아는 하나님 아버지와 아들, 그리고 성령께서 세우신 기독교 국가이다"라고 명시하고 있다.[79][109] ''디플로맷''(The Diplomat)에 따르면, "사모아가 한 것은 기독교에 대한 언급을 헌법 본문으로 옮겨 법적 절차에서 훨씬 더 활용될 가능성을 높인 것이다."[80] 헌법 전문에는 이미 국가를 "기독교 원칙과 사모아의 관습 및 전통에 기반한 독립 국가"로 묘사하고 있었다.[80]

아피아에 위치한 로마 가톨릭 성모 마리아의 원죄 없으신 잉태 대성당


202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사모아의 주요 종교 집단 분포는 다음과 같다.

2021년 인구 조사 기준 종교 분포[1]
종교비율 (%)
사모아 기독교 회중 교회27
로마 가톨릭19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18
감리교12
하나님의 조립 교회10
기타 종교16



2007년까지 국가 수반이었던 말리에토아 타누마필리 2세는 바하이교 신자였다. 사모아에는 세계에서 7번째(현재 총 9개 중 하나)로 지어진 바하이교 성전이 있다. 이 성전은 1984년에 완공되어 당시 국가 수반이었던 말리에토아 타누마필리 2세에 의해 봉헌되었으며, 수도 아피아에서 약 8km 떨어진 티아파파타에 위치한다.

사모아에서 종교는 일상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친다. 도시와 마을에는 다른 건물들과 비교될 수 없을 정도로 웅장한 교회 건물들이 세워져 있다. 일요일안식일로 여겨져 대부분의 상점과 사업체가 문을 닫으며, 가족들은 잘 차려입고 예배미사에 참석한다. 오후에는 보통 일을 하지 않고 산책(사바리)을 하거나 휴식을 취한다. 심지어 교도소의 수감자들도 일요일에는 예배미사에 참석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석방되었다가 저녁에 다시 돌아오는 것이 허용된다.

7. 4. 교육

사모아 정부는 8년 과정의 초등 및 중등 교육을 제공하며, 수업료는 무료이고 만 16세까지 의무 교육으로 지정되어 있다.[110]

사모아의 주요 고등 교육 기관으로는 1984년에 설립된 사모아 국립대학교가 있다. 또한 다국적 대학인 남태평양 대학교와 오세아니아 의과대학교(Oceania University of Medicine)의 분교도 운영되고 있다.[111]

2012년 유네스코 보고서에 따르면 사모아 성인의 문해율은 99%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 교육 시스템의 효과를 보여준다.[112]

인권 측정 이니셔티브(HRMI)[113]는 사모아가 교육받을 권리에 대해 국가 소득 수준을 기준으로 기대되는 목표치의 88.0%만을 충족하고 있다고 분석했다.[114] HRMI는 초등 교육과 중등 교육에 대한 권리를 모두 고려하여 교육받을 권리를 평가한다. 사모아의 소득 수준을 고려하면, 초등 교육은 가용 자원 대비 달성 가능한 수준의 97.7%를 충족하고 있으나, 중등 교육은 78.3%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114]

8. 문화

우폴루 동쪽 레 마파 패스에서 바라본 팔레파 계곡 풍경


'이에 토가를 입은 젊은 남성


사모아의 전통적인 생활 방식인 파아 사모아(Faʻa Sāmoa)는 사모아인의 삶과 정치에 여전히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는 가장 오래된 폴리네시아 문화 중 하나로, 약 3,000년에 걸쳐 발전해 왔으며, 오랜 유럽의 영향 속에서도 고유한 관습, 사회 및 정치 체계, 사모아어를 지켜왔다. 중요한 문화적 관습으로는 아바 의식(ʻava ceremony)이 있으며, 이는 마타이 족장 칭호 수여식과 같은 중요한 행사에서 엄숙하게 거행된다. 또한 정교하게 짜인 직물인 'ie toga는 문화적으로 매우 중요한 물품으로 여겨진다.[163][164][115][116]

사모아 신화에는 창조 이야기와 함께 타갈로아(Tagaloa)와 같은 전설적인 인물, 그리고 영혼의 세계 풀로투(Pulotu)를 다스리는 사베아시울레오(Saveasi'uleo)의 딸이자 전쟁의 여신인 나파누아(Nafanua) 등 여러 신들이 등장한다. 첫 코코넛 나무의 기원을 설명하는 시나와 뱀장어 전설 역시 사모아 신화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많은 사모아인들은 영적이며 종교적인 성향을 지니고 있으며, 기독교를 파아 사모아와 조화롭게 받아들였다. 고대 신앙은 특히 전통 관습 및 의식과 관련하여 기독교와 공존하고 있다. 사모아 문화는 사람들 간의 관계를 의미하는 '바페알로아이'(vāfealoa'i) 원칙을 중요하게 여기며, 이는 '파알로알로'(fa'aaloalo)라고 불리는 상호 존경을 바탕으로 한다. 기독교가 전파된 후 대부분의 사모아인이 개종하여, 현재 인구의 약 98%가 기독교인이다.[165][117]

일부 사모아인들은 공동체적인 삶을 살아가며, 전통 가옥인 팔레(fale)는 이러한 생활 방식을 잘 보여준다. 팔레는 벽이 없이 기둥과 지붕만으로 이루어져 통풍이 잘 되도록 설계되었으며, 필요에 따라 코코넛 잎으로 만든 가림막을 사용한다.[149]

전통적인 말루를 한 사모아 여성


하와이, 타히티, 마오리 등 다른 폴리네시아 문화처럼 사모아인들에게도 문신은 중요한 문화적 의미를 지닌다. 남성의 경우, 무릎에서 갈비뼈까지 복잡하고 기하학적인 문양을 새기는 페아(Pe'a)를 하며, 이 문신을 한 남성을 '소가이미티'(Sogaimiti)라고 부른다. 여성의 경우, 무릎 바로 아래부터 허벅지 위쪽까지 말루(Malu)라는 문신을 새긴다.[119]

전통 음악과 춤 역시 사모아 문화의 중요한 부분이다. 마을 주민들이 공연하는 전통 음악 공연인 '피아피아'(fiafia)는 오늘날 호텔 등에서 축제 형태로 이어지고 있다. 사모아의 가장 큰 축제인 테우일라 축제(Teuila Festival)는 매년 9월에 열리며 합창, 불·칼 춤, 시바(전통 춤), 파우타시(긴 배) 경주 등이 펼쳐진다. 시바는 음악에 맞춰 부드러운 몸짓으로 이야기를 전달하는 춤이며, 남성들의 춤은 더 활기찬 경향이 있다.[118] 사사(Sasa)는 나무 북(파테)이나 말린 매트의 리듬에 맞춰 무용수들이 빠르고 동시적인 움직임을 보여주는 춤이다. 남성들이 추는 또 다른 춤인 파아타우파티(Fa'ataupati) 또는 슬랩 댄스는 몸의 여러 부위를 쳐서 리듬을 만드는 춤이다.

음식으로는 타로 뿌리, 바나나, 코코넛, 해산물 등을 즐겨 먹으며, 돼지고기는 주로 기념일이나 축제 때 먹는다. 많은 음식에는 소금 넣은 코코넛 크림인 '페페'라는 양념을 사용한다.

현대 사모아 문화에서는 문학, 음악, 예술, 영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 문학: 알버트 웬트(Albert Wendt)는 사모아인의 경험을 그린 소설과 단편으로 유명하며, 그의 작품 《자유의 나무 위의 날 여우》(Flying Fox in a Freedom Tree)와 《귀향을 위한 아들들》(Sons for the Return Home)은 영화로도 제작되었다.[120][121] 미국령 사모아 출신의 극작가 존 크뇌부흘(John Kneubuhl)의 희곡 《정원을 생각하며》(Think of Garden)는 1929년 사모아 독립 투쟁을 다룬다.[122][123] 시아 피겔(Sia Figiel)은 소설 "Where We Once Belonged"로 코먼웰스 작가상을 수상했으며, 모모에 말리에토아 폰 라이체(Momoe Malietoa Von Reiche), 투시아타 아비아(Tusiata Avia), 댄 타울라파파 맥멀린(Dan Taulapapa McMullin) 등도 활발히 활동하는 작가 및 시인이다.
  • 음악: 더 파이브 스타즈(The Five Stars), 페니나 오 티아파우(Penina o Tiafau), 푸니알라바아(Punialava'a) 등의 지역 밴드가 인기가 있으며, 얀달 자매(The Yandall Sisters)의 노래 "Sweet Inspiration"는 1974년 뉴질랜드 차트 1위를 기록했다. 힙합 음악 또한 사모아 청소년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으며[125], 킹 카피시(King Kapisi), 스크라이브(Scribe), 데이 하모(Dei Hamo), 새비지(Savage), 더 필스타일(Tha Feelstyle) 등의 아티스트들이 성공을 거두었다.
  • 무용: 레미 포니파시오(Lemi Ponifasio)의 무용단 MAU와 닐 이에레미아(Neil Ieremia)의 단체 블랙 그레이스(Black Grace)는 국제적인 명성을 얻고 있다.[124] 힙합 댄스 역시 사모아 전통과 융합되며 젊은 세대에게 중요한 문화적 표현 방식으로 자리 잡고 있다.[126][125]
  • 예술: 타우타이 태평양 예술 신탁(Tautai Pacific Arts Trust)은 파투 페우(Fatu Feu'u), 조니 페니술라(Johnny Penisula), 시게유키 키하라(Shigeyuki Kihara), 미셸 투페리(Michel Tuffery), 릴리 라이타(Lily Laita) 등 많은 태평양 예술가들을 지원하는 주요 단체이다.[127][128] 마릴린 콜하우스(Marilyn Kohlhase), 앤디 렐레이시우아오(Andy Leleisi'uao), 레이먼드 사가폴루텔레(Raymond Sagapolutele) 등도 주목받는 현대 예술가이다.[129][130][131]
  • 영화: 시마 우랄레(Sima Urale) 감독의 단편 영화 "O Tamaiti"는 베니스 영화제에서 수상했으며, 장편 영화 "Apron Strings"는 뉴질랜드 국제 영화제 개막작으로 선정되었다. 오스카 카이트리(Oscar Kightley)가 공동 집필한 《시오네의 결혼식》(Sione's Wedding)은 상업적으로 성공했으며, 투시 타마세세(Tusi Tamasese) 감독의 《웅변가》(The Orator)는 사모아어로 제작된 최초의 완전 사모아 영화로 국제적인 호평을 받았다.


스포츠에서는 럭비 유니언이 국기(國技)로 여겨질 만큼 인기가 높다. '마누 사모아'(Manu Samoa)라는 애칭으로 불리는 국가대표팀은 인구가 훨씬 많은 나라들과 경쟁하며 럭비 월드컵에 꾸준히 참가하여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사모아는 월드럭비 태평양 네이션스컵에도 참가한다. 축구 또한 인기가 있으며, 1979년에 창설된 사모아 내셔널 리그가 운영되고 있다. 사모아 축구 국가대표팀OFC 네이션스컵에 두 차례 출전한 경험이 있다. 경기장으로는 톨리아포아 J. S. 블라터 사커 스타디움을 사용한다.

스코틀랜드의 작가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은 말년을 사모아에서 보냈으며, 그의 묘지가 아피아 근처에 있다.

8. 1. 명절

날짜한국어 표기현지어 표기비고
1월 1일신년New Year’s Day
1월 2일신년 다음 날Day after New Year's Day
부활절 전전일성금요일Good Friday
부활절 전일성토요일Holy Saturday
춘분 후 첫 번째 만월 다음의 일요일부활절Easter Sunday
부활절 다음 날부활절 월요일Easter Monday
5월 둘째 일요일어머니의 날Mother’s Day
6월 1일독립기념일Independence Day
8월 둘째 일요일아버지의 날Father’s Day
10월 둘째 일요일로투 아 타마이티 (Lotu a Tamaiti)Lotu a Tamaiti
12월 25일크리스마스Christmas Day
12월 26일박싱 데이Boxing Day



이 외에도 일요일로 고정된 공휴일의 다음 날은 항상 대체 공휴일이 된다.

참조

[1] 웹사이트 Samoa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21 https://www.sbs.gov.[...] 2023-01-10
[2] 웹사이트 Samoa https://www.cia.gov/[...] 2021-10-26
[3] 웹사이트 Samoa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23-02-27
[4] 웹사이트 Samoa http://www.imf.org/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5] 웹사이트 Gini Index coefficient https://www.cia.gov/[...] CIA World Factbook
[6]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Report 2023/2024 https://hdr.undp.org[...]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24-03-13
[7] 뉴스 Samoa skips Friday in time zone change https://web.archive.[...] 2011-12-31
[8] 뉴스 In Samoa, Drivers Switch to Left Side of the Road http://wheels.blogs.[...] 2009-09-08
[9] 뉴스 The 22 places you're probably pronouncing incorrectly https://www.stuff.co[...] 2016-01-29
[10] 웹사이트 Samoa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11] DPCE
[12] 웹사이트 Definition of 'Samoa' https://www.collinsd[...] Collins
[13] 뉴스 List of Member States: S https://www.un.org/m[...]
[14] 뉴스 The Navigator Islands http://nla.gov.au/nl[...] 1882-01-02
[15] 뉴스 Samoa https://web.archive.[...]
[16] 웹사이트 League of Nations Mandate for German Samoa https://nzhistory.ne[...]
[17] 논문 Genesis of the Western Samoa seamount province: Age, geochemical fingerprint and tectonics https://www.research[...]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18] 학술지 New Information for the Ferry Berth Site, Mulifanua, Western Samoa http://www.jps.auckl[...]
[19] 서적 The Political Economy of Ancient Samoa: Basalt Adze Production and Linkages to Social Status
[20] 서적 Su'esu'e manogi in search of fragrance : Tui Atua Tupua Tamasese Ta'isi Efi and the Samoan indigenous reference http://worldcat.org/[...] Huia Publishers 2017-11
[21] 서적 International Dictionary of Historic Places, Volume 5: Asia and Oceania Fitzroy Dearborn Publishers
[22] 서적 Samoa's forgotten whaling heritage; American whaling in Samoan waters 1824-1878 Lithographic Services
[23] 서적 Where the whalers went; an index to the Pacific ports and islands visited by American whalers (and some other ships) in the 19th century Pacific Manuscripts Bureau
[24] 서적 History of Samoa: THE ADVENT OF THE MISSIONARY. (1830.1839) http://www.samoa.co.[...]
[25] 서적 Encyclopedia of the Peoples of Asia and Oceania Infobase Publishing
[26] 웹사이트 A Footnote to History: Eight Years of Trouble in Samoa, 1892 https://web.archive.[...] RLS website
[27] 서적 A Footnote to History: Eight Years of Trouble in Samoa Gutenberg
[28] 서적 The Works of Robert Louis Stevenson Vol 25, Appendix II https://www.readcent[...] Chatto and Windnes 1911
[29] 서적 A Footnote to History: Eight Years of Trouble in Samoa BiblioBazaar
[30] 서적 The Statistician and Economist: Volume 23
[31] 서적 The Foreign Policy of the United States in Relation to Samoa Octagon Books
[32] 서적 The Guardians: The League of Nations and the Crisis of Empir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33] 서적
[34] 웹사이트 World History at KMLA http://www.zum.de/wh[...]
[35] 서적 Life, Land and Agriculture to Mid-Century Whitcomb & Tombs Ltd
[36] 뉴스 New Zealand goes to war: The Capture of German Samoa http://www.nzhistory[...] 2007-11-27
[37] 뉴스 Imperialism as a Vocation: Class C Mandates http://www.jamesrmac[...] 2007-11-27
[38] 간행물 External Affairs Bill 1919-10-03
[39] 서적 An Eye, An Ear, and a Voice: 50 Years in New Zealand's External Relations, 1943–1993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1993
[40] 뉴스 The 1918 flu pandemic http://www.nzhistory[...] 2007-11-26
[41] 웹사이트 Guardians and Wards: (A study of the origins, causes, and the first two years of the Mau in Western Samoa.) http://www.nzetc.org[...] 2008-03-20
[42] 저널 The Influenza Epidemic of 1918-19 in Western Samoa
[43] 뉴스 Wartime administration – capture of German Samoa http://www.nzhistory[...] 2010-10-18
[44] 저널 West Samoans between Germany and New Zealand 1914–1921
[45] 웹사이트 Nelson, Olaf Frederick 1883 – 1944 2011-06-29
[46] 뉴스 The Mau Movement http://www.globaled.[...] 2007-11-27
[47] 서적 Black Saturday: New Zealand's tragic blunders in Samoa Reed Publishing (NZ)
[48] 뉴스 History and migration: Who are the Samoans? http://www.teara.gov[...] 2007-11-27
[49] 웹사이트 New Zealand in Samoa, pp. 7–8 https://nzhistory.go[...] 2022-12-12
[50] 간행물 Restless Samoan Mau https://nla.gov.au/n[...] 1936-10
[51] 간행물 A Step Towards Self-Government https://nla.gov.au/n[...] 1959-09
[52] 법률 Western Samoa Act 1961 http://www.nzlii.org[...] 1961-11-24
[53] 웹사이트 Chapter XII. International Trusteeship System https://www.un.org/e[...]
[54] 웹사이트 Celebration of Samoa's Independence Day http://www.teara.gov[...] 2014-06-01
[55] 웹사이트 Independence Day http://www.un.int/sa[...] United Nations 2014-06-01
[56] 간행물 T.T. Suatipatipa II https://nla.gov.au/n[...] 1974-09
[57]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Independent State of Western Samoa 1960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the South Pacific 2007-12-28
[58] 웹사이트 General Assembly admits Western Samoa as 147th United Nations member state https://search.archi[...] United Nations 2022-06-03
[59] 서적 The Happy Isles of Oceania: Paddling the Pacific G.P. Putnam's Sons (NZ)
[60] 웹사이트 Constitution Amendment Act (No 2) 1997 http://www.paclii.or[...] 2016-11-09
[61] 웹사이트 Samoan History https://ws.usembassy[...] 2017-01-17
[62] 뉴스 New Zealand's apology to Samoa http://www.nzherald.[...] 2002-06-04
[63] 웹사이트 Prime Minister Helen Clark's Historic Apology http://192.54.242.12[...]
[64] 뉴스 Samoa switches smoothly to driving on the left https://www.theguard[...] Associated Press 2009-09-08
[65] 뉴스 Samoa switches to driving on left http://news.bbc.co.u[...] 2009-09-07
[66] 뉴스 Samoa to jump forward in time by one day https://www.bbc.co.u[...] 2011-05-09
[67] 뉴스 Samoa Sacrifices a Day for Its Future https://www.nytimes.[...] 2011-12-29
[68] 웹사이트 Samoa Scraps Daylight Saving Time (DST) https://www.timeandd[...] 2021-10-11
[69] 웹사이트 Chapter XXVI: Disarmament – No. 9 Treaty on the Prohibition of Nuclear Weapons https://treaties.un.[...] United Nations Treaty Collection 2019-08-15
[70] 뉴스 Constitutional Amendment Passes; Samoa Officially Becomes 'Christian State' https://web.archive.[...] Pacific Islands Report 2017-06-16
[71] 웹사이트 Samoa set to appoint first female prime minister https://www.reuters.[...] 2021-05-17
[72] 웹사이트 Pacific island swears in its first female PM in a tent after she is locked out of Parliament https://edition.cnn.[...] 2021-05-25
[73] 웹사이트 Background Note: Samoa https://2009-2017.st[...] U.S. State Department
[74] 웹사이트 Samoan Parliament re-elects Head of State https://www.rnz.co.n[...] 2022-08-23
[75] 뉴스 Samoa: Key Facts: Political http://www.mfat.govt[...]
[76] 웹사이트 Samoa: Country Reports on Human Rights Practices in 2006 https://2001-2009.st[...] 2007-03-06
[77] 웹사이트 About Samoa http://www.samoagovt[...] Government of Samoa 2014-07-15
[78] 웹사이트 Homosexuality to remain illegal in Samoa, Solomon Islands and PNG http://www.radioaust[...] Radio Australia 2011-10-21
[79]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Samoa https://www.palemene[...]
[80] 잡지 Samoa Officially Becomes a Christian State https://thediplomat.[...] 2017-06-16
[81] 웹사이트 New Zealand and Western Samoa: Treaty of Friendship https://treaties.un.[...] United Nations 1962-08-01
[82] 웹사이트 Samoa: New Approval Guidelines for Arming Police Passed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017-03-14
[83] 웹사이트 Demographic Yearbook—Table 3: Population by sex, rate of population increase, surface area and density http://unstats.un.or[...] United Nations Statistics Division
[84] 뉴스 Samoa an Overview http://www.donbosco.[...]
[85] 논문 Samoa reinstated as a primary hotspot trail 2008-06
[86] 웹사이트 GSA Press Release – GEOLOGY/GSA Today Media Highlights https://www.geosocie[...] Geosociety.org 2008-05-27
[87] 웹사이트 Savai'i – An Introduction http://www.samoa.tra[...] Samoa Tourism Authority
[88] 웹사이트 Samoa: Climate http://www.britannic[...]
[89] 웹사이트 World Weather Information Service – Apia http://worldweather.[...]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90] 논문 An Ecoregion-Based Approach to Protecting Half the Terrestrial Realm
[91] WWF
[92] 웹사이트 Samoa graduates from the LDC category https://www.un.org/l[...] United Nations Committee for Development Policy 2014-01-08
[93] 웹사이트 Samoa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94] 웹사이트 Introduction http://www.cbs.gov.w[...]
[95] 웹사이트 Samoa making progress on renewable energy goal https://www.radionz.[...] 2018-05-24
[96] 웹사이트 FAO Fisheries & Aquaculture - Country Profile https://www.fao.org/[...]
[97] 웹사이트 About Us https://www.samoalan[...]
[98] 논문 Implementing STD on a small island: Development and use of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indicators in Samoa 2002
[99] 웹사이트 Pineapples in Paradise https://pacificfarme[...] 2019-02-06
[100] 웹사이트 Samoa: Pineapples in Paradise https://asiapacificf[...] 2018-10-12
[101] 웹사이트 Catching the Ferry | Samoa Plan and Book | Pacific Island https://www.samoa.tr[...]
[102] 웹사이트 Population & Demography Indicator Summary https://www.sbs.gov.[...] Samoa Bureau of Statistics
[103] 웹사이트 Australia - Oceania :: Samoa — The World Factbook - Central Intelligence Agency (July 2018 est.) https://www.cia.gov/[...]
[104] 웹사이트 Measles death toll rises to 68 in Samoa https://www.rnz.co.n[...] 2019-12-08
[105] 웹사이트 Latest update: 4,357 measles cases have been reported since the outbreak with 140 recorded in the last 24 hours. To date, 63 measles related deaths have been recorded. https://twitter.com/[...] 2019-12-05
[106] 뉴스 Two more deaths from measles in Samoa over New Year period https://www.rnz.co.n[...] 2020-01-07
[107] 웹사이트 Samoa http://www.ethnologu[...] 2016-09-04
[108] 뉴스 Historic training for Samoa Police on International Week of the Deaf http://www.samoaplan[...] 2017-09-25
[109] 간행물 Samoa Officially Becomes a Christian State https://thediplomat.[...] 2017-06-16
[110] 웹사이트 Samoa http://www.dol.gov/i[...] U.S. Bureau of International Labor Affairs
[111] 웹사이트 Education in Samoa http://www.commonwea[...] Nexus Commonwealth Network
[112] 웹사이트 Pacific Education for All 2015 Review https://uis.unesco.o[...] 2015
[113] 웹사이트 Human Rights Measurement Initiative – The first global initiative to track the human rights performance of countries https://humanrightsm[...] 2022-03-26
[114] 웹사이트 Samoa - HRMI Rights Tracker https://rightstracke[...] 2022-03-26
[115] 학술지 KIE HINGOA 'NAMED MATS', 'IE TŌGA 'FINE MATS' AND OTHER TREASURED TEXTILES OF SAMOA AND TONGA https://www.jstor.or[...] 1999-06
[116] 웹사이트 'Ie Toga (Fine Mat): Samoan Traditions of Weaving - Teachers (U.S. National Park Service) https://www.nps.gov/[...]
[117] 웹사이트 Samoa Officially Becomes a Christian State https://thediplomat.[...]
[118] 뉴스 Dance: Siva http://www.samoa.co.[...]
[119] 뉴스 Worn With Pride – Tatau (Tatoo) http://www.oma-onlin[...]
[120] 웹사이트 NZ Feature Project: Flying Fox in a Freedom Tree – The New Zealand Film Archive http://www.filmarchi[...]
[121] 웹사이트 NZ Feature Project: Sons For the Return Home – The New Zealand Film Archive http://www.filmarchi[...]
[122] 웹사이트 Think of a Garden https://tadb.otago.a[...]
[123] 웹사이트 Samoan history play 'Think of a Garden' to be staged, literally, in a garden https://www.stuff.co[...] 2018-01-17
[124] 웹사이트 Home http://www.mau.co.nz[...] 2016-11-09
[125] 웹사이트 Dances of Life | American Samoa https://web.archive.[...]
[126] 서적 Dancing Between Islands: Hip Hop and the Samoan Diaspora Pluto Press 2000
[127] 웹사이트 Appointment of new Tautai Director, Aanoalii Rowena Fuluifaga New Zealand Society of Authors (PEN NZ Inc) Te Puni Kaituhi O Aotearoa https://authors.org.[...]
[128] 서적 Talking Story about Art and Life: Narratives of Contemporary Oceanic Artists and Their Work 2014
[129] 웹사이트 The Okaioceanikart Story https://pantograph-p[...]
[130] 뉴스 Andy Leleisi'uao wins 2017 Wallace Art Award https://www.nzherald[...] 2023-12-07
[131] 뉴스 Aua e te fefe: Art exhibition challenges audience 'Don't be afraid' https://www.rnz.co.n[...] 2022-10-12
[132] 뉴스 Rugby in Samoa http://www.manusamoa[...]
[133] 웹사이트 Samoa http://rugbyleaguepl[...]
[134] 웹사이트 2019 Oceania Cup Preview - Toa Samoa https://www.rugbylea[...] 2020-02-13
[135] 뉴스 American football, Samoan style https://www.espn.com[...]
[136] 웹사이트 UNdata http://data.un.org/e[...] 국련
[137] 웹사이트 IMF Data and Statistics https://www.imf.org/[...] 2021-10-24
[138] 웹사이트 https://www.library.[...]
[139] 뉴스 Samoan cars ready to switch sides(サモアの車左側通行へ準備) http://news.bbc.co.u[...] 英国放送協会
[140] 뉴스 サモア地震の死者数、183人に http://www.xinhua.jp[...] 毎日中国経済 2009-10-08
[141] 웹사이트 Samoa's Daylight Saving Starts in September 2010 http://www.timeandda[...] 2011-12-30
[142] 웹사이트 サモア、日付変更線の西側へ移行 日の出が最も早い国へ http://www.cnn.co.jp[...] CNN.CO.jp 2011-12-28
[143] 뉴스 サモアが日付変更…30日飛ばして大みそかに http://www.yomiuri.c[...] 読売新聞社 2011-12-30
[144] 웹사이트 太平洋島しょ国6カ国、過剰債務のリスク高い 世銀 https://jp.reuters.c[...] ロイター 2023-05-18
[145] 간행물 世界年鑑2024 共同通信社
[146] 웹사이트 サモア独立国 https://www.mofa.go.[...] 외務省 2023-11-26
[147] 웹사이트 サモア独立国 https://www.mofa.go.[...] 외務省 2024-05-13
[148] 웹사이트 サモア政府、はしか対策で2日間閉鎖へ 死者50人超 https://www.cnn.co.j[...] CNN 2019-12-03
[149] 웹사이트 日本と太平洋の島国 https://www.mofa.go.[...] 외務省 2021-10-31
[150] 웹사이트 サモア島の歌 https://www.nhk.or.j[...] NHK 2018-08-18
[151] 뉴스 List of Member States: S https://www.un.org/m[...] 2007-11-27
[152] 뉴스 The Navigator Islands http://nla.gov.au/nl[...] 2017-05-01
[153] 뉴스 Samoa http://www.polynesia[...]
[154] 저널 New Information for the Ferry Berth Site, Mulifanua, Western Samoa http://www.jps.auckl[...] 2011-01-30
[155] 논문 The Political Economy of Ancient Samoa: Basalt Adze Production and Linkages to Social Status
[156] 서적 Su'esu'e manogi in search of fragrance : Tui Atua Tupua Tamasese Ta'isi Efi and the Samoan indigenous reference http://worldcat.org/[...] Huia Publishers 2020-06-17
[157] 서적 International Dictionary of Historic Places, Volume 5: Asia and Oceania Fitzroy Dearborn Publishers
[158] 뉴스 Samoa to jump forward in time by one day https://www.bbc.co.u[...] 2011-05-09
[159] 뉴스 Samoa Sacrifices a Day for Its Future https://www.nytimes.[...] 2017-02-16
[160] 웹사이트 Samoa Scraps Daylight Saving Time (DST) https://www.timeandd[...] 2021-10-11
[161] 웹사이트 Samoa http://www.ethnologu[...] 2016-09-04
[162] 뉴스 Historic training for Samoa Police on International Week of the Deaf http://www.samoaplan[...] 2018-06-21
[163] 저널 KIE HINGOA 'NAMED MATS', 'IE TŌGA 'FINE MATS' AND OTHER TREASURED TEXTILES OF SAMOA AND TONGA https://www.jstor.or[...] 2022-04-22
[164] 웹사이트 'Ie Toga (Fine Mat): Samoan Traditions of Weaving - Teachers (U.S. National Park Service) https://www.nps.gov/[...] 2022-04-22
[165] 웹사이트 Samoa Officially Becomes a Christian State https://thediplomat.[...] 2021-09-06
[166] 웹사이트 World Weather Information Service – Apia http://worldweather.[...]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12-10-15
[167] 웹사이트 군사도시 영천, 호국안보체험 관광지로 발돋움 http://www.kitv.kr/b[...] 2016-02-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