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긴귀윗수염박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긴귀윗수염박쥐는 연한 갈색 또는 보리짚색을 띠며 검은색 귀와 비막, 얼굴을 가진 박쥐이다. 반건조 관목 지대, 초원 지대, 아고산성 숲 등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하며, 나무 구멍, 바위틈, 동굴 등에서 둥지를 튼다. 식충성 동물로 곤충을 사냥하며, 반향정위를 통해 먹이를 탐지한다. 윗수염박쥐속에 속하며, 계통 분류상 신북구 분류군에 속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64년 기재된 포유류 - 유령얼굴박쥐
    붉은 갈색에서 짙은 갈색을 띠는 중간 크기의 유령얼굴박쥐는 찌그러진 듯한 독특한 얼굴 외형과 주변 온도보다 높은 체온을 유지하는 특징을 가지며 습윤, 건조, 반건조 지역에 서식하고 큰 나방을 주식으로 하는 무리 생활을 하는 박쥐이다.
  • 1864년 기재된 포유류 - 대륙사슴
    대륙사슴은 꽃사슴의 아종으로, 몸길이는 155cm, 어깨높이는 75–110cm이며, 과거 만주, 한반도, 러시아 극동 지역에 분포했으나 현재는 러시아 프리모르스키 지방에 소수가 서식하고, 한반도에서는 멸종 위기에 놓여 있다.
  • 윗수염박쥐속 - 호지슨박쥐
    호지슨박쥐는 윗수염박쥐속에 속하는 박쥐의 일종으로, 과거 넓은 지역에 분포하는 단일 종으로 여겨졌으나 2014년 연구를 통해 여러 종으로 분리되었으며, 현재 IUCN 적색 목록에서 준위협종으로 분류되어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 윗수염박쥐속 - 붉은박쥐
    붉은박쥐는 동아시아에 분포하는 중형 박쥐로, 오렌지색 털과 검은색 부위를 특징으로 하며, 산지 숲, 아열대 숲 등 다양한 서식지에 적응하여 살아가며, 대한민국에서는 천연기념물 및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긴귀윗수염박쥐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긴귀윗수염박쥐
긴귀윗수염박쥐
상태관심 필요 (LC)
상태 기준IUCN3.1
학명Myotis evotis
명명자(H. Allen, 1864)
이명Vespertilio evotis H. Allen, 1864
Vespertilio chrysonotus J. A. Allen, 1896
Myotis milleri Elliot, 1903
Myotis micronyx Nelson & Goldman, 1909
긴귀윗수염박쥐의 분포 지역
긴귀윗수염박쥐의 분포 지역

2. 특징

긴귀윗수염박쥐는 연한 갈색 또는 보리짚색을 띠며 귀와 비막은 검다. 얼굴도 검다. 해안가를 따라 발견되는 표본은 보통 더 검은색을 띠며, 아종 ''Myotis evotis pacificus''로 간주되기도 한다.[9]

3. 분포 및 서식지

긴귀윗수염박쥐는 해수면에서 2830m 사이의 반건조 관목 지대와 짧은 풀이 자라는 대초원 지대, 아고산성 숲 등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한다.[10][3] 나무 구멍 속과 바위틈, 동굴, 심지어 방치된 건물 등을 포함한 다양한 곳에서 둥지를 튼다.[10][3] 바위틈을 선호하지만 북부 분포 지역에서는 폰데로사 소나무와 로지폴 소나무를 좋아한다.[11][4] 번식하는 암컷은 보통 2cm 너비의 좁은 바위틈에 둥지를 튼다.[12] 긴귀윗수염박쥐가 사용하는 대부분의 바위틈은 수직으로 되어 있고, 입구 위로 돌출부가 있다. 무리 전체가 둥지를 가끔 바꾸기도 한다. 둥지는 보통 물가와는 거리가 멀고 바위가 많은 지역에 있으며 나무와 풀이 거의 없다.[12][5]

4. 습성

긴귀윗수염박쥐는 식충성 동물로 강한 어금니와 높은 위치의 관절돌기를 갖고 있어 곤충을 사냥하는 데 특히 유리하다. 높은 관절돌기는 박쥐가 씹는 동안에 더 큰 분쇄력을 갖게 한다. 관절돌기로 많은 딱정벌레에서 발견되는 딱딱한 등딱지를 뚫을 수 있어 유리하다.[14] 긴귀윗수염박쥐는 땅이나 나무에서 먹이를 잡거나 공중에서 사냥을 한다. 공중에서 먹이를 잡을 때는 항상 반향정위를 통해 먹이를 탐지한다. 땅에서는 반향정위 신호의 에너지 비용 때문에 반향정위를 자주 사용하지 않거나 낮은 빈도로 사용한다.[15]

5. 계통 분류

다음은 윗수염박쥐속의 계통 분류이다.[13]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 넓은주둥이윗수염박쥐

|-

|

{| class="wikitable"

|-

! 구대륙 분류군

! 신대륙 분류군

|-

|

{| class="wikitable"

|-

! 신북구 분류군

|-

|

{| class="wikitable"

|-

| 서부작은발박쥐, 캘리포니아윗수염박쥐, 동부작은발박쥐

|-

|

{| class="wikitable"

|-

| 남서부윗수염박쥐, 북부윗수염박쥐

|-

|

{| class="wikitable"

|-

| 인디애나박쥐, 긴발윗수염박쥐

|-

|



|}

|}

|}

|}

|-

|

{| class="wikitable"

|-

! 구북구 분류군

! 신열대구 분류군

|-

|

{| class="wikitable"

|-

| 큰수염박쥐, 우수리윗수염박쥐

|-

|

{| class="wikitable"

|-

| 털다리윗수염박쥐

|-

| 붉은윗수염박쥐, 벨벳윗수염박쥐, 물가윗수염박쥐, 엘리겐트윗수염박쥐

|-

|

{| class="wikitable"

|-

| 고기잡이박쥐

|-

|

{| class="wikitable"

|-

| 회색박쥐, 남동부윗수염박쥐

|-

| 슈바르츠윗수염박쥐, 도미니카윗수염박쥐, 아타카마윗수염박쥐

|-

| 동굴윗수염박쥐, 유마윗수염박쥐

|-

|



|}

|}

|}

|}

|}

|}

|}

|}

참조

[1] 간행물 "''Myotis evotis''" 2017
[2] 저널 Myotis evotis http://www.science.s[...] 2015-04-06
[3] 저널 Morphological Differences among Western Long-Eared Myotis (''Myotis evotis'') Populations in Different Environments 2006-10-17
[4] 저널 Thermoregulatory ecology of a solitary bat, Myotis evotis, roosting in rock crevices 2002-03-13
[5] 저널 Maternity Roost Site Selection of Long-Eared Myotis, Myotis evotis 2005-02-15
[6] 저널 Character Displacement and Ecomorphological Analysis of Two Long-Eared Myotis (M. auriculus and M. evotis) 2006-02-20
[7] 저널 Substrate-gleaning versus aerial-hawking: plasticity in the foraging and echolocation behaviour of the long-eared bat, Myotis evotis 1994-05
[8] 간행물 Myotis evotis
[9] 저널 Myotis evotis http://www.science.s[...] 2015-04-06
[10] 저널 Morphological Differences among Western Long-Eared Myotis (''Myotis evotis'') Populations in Different Environments http://jmammal.oxfor[...] 2015-03-31
[11] 저널 Thermoregulatory ecology of a solitary bat, Myotis evotis, roosting in rock crevices 2002-03-13
[12] 저널 Maternity Roost Site Selection of Long-Eared Myotis, Myotis evotis http://jmammal.oxfor[...] 2015-04-06
[13] 문서 Molecular phylogeny of New World ''Myotis'' (Chiroptera, Vespertilionidae) inferred from mitochondrial and nuclear DNA genes http://dx.doi.org/10[...] 2007
[14] 저널 Character Displacement and Ecomorphological Analysis of Two Long-Eared Myotis (M. auriculus and M. evotis) 2006-02-20
[15] 저널 Substrate-gleaning versus aerial-hawking: plasticity in the foraging and echolocation behaviour of the long-eared bat, Myotis evotis 1994-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