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지윗수염박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지윗수염박쥐는 윗수염박쥐속에 속하는 박쥐의 일종이다. 윗수염박쥐속은 구대륙, 신대륙 분류군으로 나뉘며, 신대륙 분류군은 신북구, 신열대구 분류군으로 다시 구분된다. 산지윗수염박쥐는 은색작은박쥐, 검은윗수염박쥐, 노랑윗수염박쥐와 함께 신열대구 분류군에 속한다. 윗수염박쥐속의 계통 분류는 지속적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어, 분류 체계가 변경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67년 기재된 포유류 - 남극밍크고래
남극밍크고래는 남극해를 중심으로 남반구에 서식하는 수염고래로, 북방쇠정어리고래와는 다른 종이며, 일반 밍크고래와 형태적 차이를 보이고 크릴을 주식으로 하며, 범고래가 주요 천적이고 국제적인 보호를 받고 있다. - 1867년 기재된 포유류 - 산양
산양은 험준한 산악 지형에 서식하며 2~5마리씩 무리 생활을 하는 우제목/경우제목 소과의 포유류로, 한반도에서는 천연기념물 및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지만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 윗수염박쥐속 - 호지슨박쥐
호지슨박쥐는 윗수염박쥐속에 속하는 박쥐의 일종으로, 과거 넓은 지역에 분포하는 단일 종으로 여겨졌으나 2014년 연구를 통해 여러 종으로 분리되었으며, 현재 IUCN 적색 목록에서 준위협종으로 분류되어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 윗수염박쥐속 - 붉은박쥐
붉은박쥐는 동아시아에 분포하는 중형 박쥐로, 오렌지색 털과 검은색 부위를 특징으로 하며, 산지 숲, 아열대 숲 등 다양한 서식지에 적응하여 살아가며, 대한민국에서는 천연기념물 및 멸종위기 야생생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빌헬름 페테르스가 명명한 분류군 - 바다사자
한국바다사자는 과거 동해와 일본 열도에 서식했으나 무분별한 남획으로 20세기 중반 멸종된 암갈색 또는 회색 털색을 띈 멸종위기 바다사자 종으로, 독도가 주요 번식지였다. - 빌헬름 페테르스가 명명한 분류군 - 파카라나
파카라나는 콜롬비아, 브라질 등 남아메리카 서부에 분포하며, 야행성 초식 동물로 최대 13kg까지 자라며, 식용으로 남획되어 개체 수가 감소하는 설치류이다.
산지윗수염박쥐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 | |
상태 | 최소 관심 종 |
학술적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박쥐목 |
과 | 애기박쥐과 |
아과 | 윗수염박쥐아과 |
속 | 윗수염박쥐속 |
종 | 산지윗수염박쥐 (M. oxyotus) |
학명 | Myotis oxyotus |
명명자 | Peters, 1867 |
이명 | Myotis keaysi oxyotus Myotis nigricans oxyotus |
분포 | |
![]() | |
분포 지역 | 남아메리카 |
보전 상태 | |
IUCN | 최소 관심 종 |
IUCN 상태 참조 | IUCN 적색 목록 |
2. 계통 분류
윗수염박쥐속(Myotis)의 계통 분류는 분자생물학적 및 형태학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3] 이러한 연구에 따르면, 윗수염박쥐속은 여러 하위 그룹으로 나뉘며, 크게 구대륙과 신대륙의 분류군으로 구분될 수 있다.[3]
산지윗수염박쥐는 신대륙 분류군 중 신열대구 지역에 분포하는 그룹에 속한다.[3] 이 그룹에는 산지윗수염박쥐 외에도 은색작은박쥐, 검은윗수염박쥐, 노랑윗수염박쥐 등이 포함되어 가까운 유연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3]
2. 1. 하위 분류
윗수염박쥐속(Myotis)은 유전학적 분석 결과에 따라 여러 하위 그룹으로 분류된다.[3] 계통 분류상 가장 먼저 넓은주둥이윗수염박쥐가 분기되고, 나머지 종들은 크게 구대륙 분류군과 신대륙 분류군으로 나뉜다.[3] 신대륙 분류군은 다시 신북구의 신북구 분류군과 신열대구의 신열대구 분류군으로 세분화된다.[3] 구대륙 분류군은 구북구 분류군을 포함한다.[3]2. 1. 1. 신북구 분류군
신북구 분류군에는 서부작은발박쥐, 캘리포니아윗수염박쥐, 동부작은발박쥐, 남서부윗수염박쥐, 북부윗수염박쥐, 인디애나박쥐, 긴발윗수염박쥐, 애리조나윗수염박쥐, 작은갈색박쥐, 술꼬리박쥐, 킨윗수염박쥐, 긴귀윗수염박쥐 등이 포함된다.[3]2. 1. 2. 신열대구 분류군
다음 종들을 포함한다.[3]- 털다리윗수염박쥐 `M. pilosatibialis`
- 붉은윗수염박쥐 `M. ruber`
- 벨벳윗수염박쥐 `M. simus`
- 물가윗수염박쥐 `M. riparius`
- 엘리겐트윗수염박쥐 `M. elegans`
- 고기잡이박쥐 `M. vivesi`
- 회색박쥐 `M. grisescens`
- 남동부윗수염박쥐 `M. austroriparius`
- 슈바르츠윗수염박쥐 `M. martiniquensis`
- 도미니카윗수염박쥐 `M. dominicensis`
- 아타카마윗수염박쥐 `M. atacamensis`
- 동굴윗수염박쥐 `M. velifer`
- 유마윗수염박쥐 `M. yumanensis`
- 칠레윗수염박쥐 `M. chiloensis`
- 은색작은박쥐 `M. albescens`
- 산지윗수염박쥐 `M. oxyotus`
- 검은윗수염박쥐 `M. nigricans`
- 노랑윗수염박쥐 `M. levis`
2. 1. 3. 구북구 분류군
구북구 분류군에는 큰수염박쥐와 우수리윗수염박쥐가 포함된다.2. 1. 4. 구대륙 분류군
구대륙 분류군에는 구북구 분류군이 포함되며, 여기에 속하는 종은 다음과 같다.[3]- 큰수염박쥐
- 우수리윗수염박쥐
참조
[1]
간행물
Myotis oxyotus
2018
[2]
간행물
Myotis oxyotus
http://www.iucnredli[...]
2008
[3]
간행물
Molecular phylogeny of New World Myotis (Chiroptera, Vespertilionidae) inferred from mitochondrial and nuclear DNA genes
http://dx.doi.org/10[...]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