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년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년균은 1942년 1월 29일에 태어난 대한민국의 시인이다. 1972년 시 "출항"과 수필 "한"을 발표하며 등단한 후, 인간의 존재 의미와 삶의 모습을 탐구하는 시를 주로 발표했다. 1979년 시작된 '사람' 연작은 400편 이상 쓰였으며, 기독교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한 작품 활동을 펼쳐 들소리문학상 대상 등을 수상했다. 주요 작품으로 시집 《장마》, 《갈매기》, 《나는 예수가 좋다》 등이 있으며, 문학 작품을 통해 인간의 고립과 죽음, 슬픔 등을 표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현대시인상 수상자 - 문덕수
문덕수는 1928년 함안 출생으로, 순수 심리주의 경향의 시 세계를 구축한 대한민국의 시인, 문학 평론가, 교육자이다. - 한국현대시인상 수상자 - 권일송
권일송은 일제강점기 출생으로 한국전쟁 후 사회 현실을 다룬 소설가이자 언론인으로, 한국일보와 동아일보 신춘문예 당선 후 한국경제신문 논설위원, 코이즈미 문학상, 현대시인상 수상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다. - 서라벌예술대학 동문 - 정욱 (1938년)
정욱은 1966년 영화 '육체의 산하'로 데뷔한 대한민국의 배우로, 여러 드라마와 영화에 출연했으며 특히 삼성그룹 이병철 회장 전문 배우로 알려졌으나, 2006년 아들 관련 사건으로 방송 출연 정지 처분을 받았다. - 서라벌예술대학 동문 - 이대근
이대근은 1962년 연극 배우로 데뷔하여 1967년 KBS 공채 탤런트로 정식 데뷔한 대한민국의 배우로, 영화, 드라마, 라디오, CF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폭넓은 연기 스펙트럼을 선보였고, '제3공화국', '제4공화국'에서 차지철 역으로 강렬한 인상을 남겼으며, 다수의 영화와 드라마 출연 및 수상 경력을 통해 연기력을 인정받았고, 현재는 연기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 김제시 출신 - 임휘윤
임휘윤은 1944년 전라북도 김제 출생으로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검사, 검사장 등을 역임했으며 변호사로 활동하다 2021년에 사망했다. - 김제시 출신 - 박승
박승은 1936년 출생하여 서울대학교와 뉴욕 주립 대학교에서 경제학을 전공하고 한국은행 총재, 대통령 경제수석비서관, 건설부 장관 등을 역임하며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다.
| 김년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김년균 |
| 원어 이름 | 金年均 |
| 출생일 | 1942년 |
| 출생지 | 일제강점기 전라북도 김제 |
| 언어 | 한국어 |
| 직업 | 작가 |
| 학력 | 서라벌예대 문예창작학과 |
| 활동 기간 | 1963년 ~ 현재 |
| 장르 | 시문학, 수필 |
2. 생애
김년균은 1972년 《풀과 별》에 시 〈출항(出航)〉이 추천 완료되고, 같은 해 《현대문학》에 수필 〈한(限)〉이 발표되어 등단했으며[1], 제24대 한국문인협회 이사장을 역임하였다. 1970년에는 한국문인협회에서 '월간문학' 편집자로 일했다.[2]
2. 1. 유년 시절과 문학적 성장
김년균은 1942년 1월 29일에 태어났다.[1] 책 읽기를 좋아했던 누나의 영향을 받았다. 고등학교 재학 중 인쇄소에 시집 출판을 의뢰했으며, 고등학교 마지막 해에는 지리산의 암자에 머물면서 16일 만에 1,000쪽이 넘는 소설을 썼다. 이후 의무 복무를 위해 군에 입대하여 영화 시나리오를 쓰는 상관을 만나 본격적으로 글을 쓰고 읽기 시작했다. 그 후 작가 김동리의 지도 아래 문학을 전공하기 위해 서라벌예술대학 문예창작과에 입학했다.[2]2. 2. 등단과 작품 활동
김년균은 1972년 《풀과 별》에 시 〈출항(出航)〉이 추천 완료되고, 같은 해 《현대문학》에 수필 〈한(限)〉이 발표되어 등단했다.[1] 등단 후 시인으로 활발하게 활동하며 첫 시집 《장마》(1973)와 《갈매기》(1977)를 출간했다. 그는 주로 "사람"이라는 주제 아래 인간의 존재 의미와 삶의 모습을 탐구하는 시를 발표했다.[1] "사람" 연작은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암살 직후 시작되었다. 그는 "격변하는 세상 속에서 삶에 대한 걱정으로 신문에 시를 게재했는데, 그것이 '사람'이었다"고 설명했다.[3] 이후 30년 동안 그는 "사람"에 관한 시 400편 이상을 썼다.[3] "사람" 연작 중 일부는 《아이에서 어른까지》(1997)와 《사람의 마을》(1997)에 실렸으며, 이 두 시집으로 1997년 한국현대시인상을 수상했다.김년균의 창작 활동의 핵심 주제는 기독교이다. 그는 다윗이 그랬던 것처럼 하나님을 찬양하는 시를 쓰고 싶어[4] 《나는 예수가 좋다》(2001)와 《오래된 습관》(2003)을 포함한 수많은 종교 시를 썼다. 이로 인해 그는 기독교 주간 신문 《들소리 신문》이 제정한 2001년 들소리문학상 대상을 수상했다.
2. 3. '사람' 연작시와 문학적 성취
김년균은 '사람'이라는 주제 아래 인간의 존재 의미와 삶의 모습을 탐구하는 시를 주로 발표했다.[1] '사람' 연작은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암살 직후 시작되었다. 그는 "격변하는 세상 속에서 삶에 대한 걱정으로 신문에 시를 게재했는데, 그것이 '사람'이었다"고 설명했다. 이후 30년 동안 그는 '사람'에 관한 시 400편 이상을 썼다.[3]'사람' 연작시집인 《숙명》에는 가슴, 거머리, 무늬, 병동을 비롯한 다수의 작품들이 수록되어 있다. 김년균은 '사람' 연작 중 일부가 실린 《아이에서 어른까지》(1997)와 《사람의 마을》(1997)로 1997년 한국현대시인상을 수상했다.
2. 4. 기독교 신앙과 문학
김년균은 기독교를 창작 활동의 핵심 주제로 삼았다. 그는 다윗처럼 하나님을 찬양하는 시를 쓰고 싶어했다.[4] 《나는 예수가 좋다》(2001)와 《오래된 습관》(2003) 등 여러 종교 시집을 냈다. 그는 이러한 활동으로 기독교 주간 신문 《들소리 신문》이 제정한 2001년 들소리문학상 대상을 받았다.3. 문학 세계
김년균에게 문학은 시대정신이나 사회 현상에 대한 묘사 이전에, 인간 존재에 대한 질문에서 비롯된다. 그의 첫 시집 《장마》(1973)는 일상생활에서 발견할 수 없는 근원으로서의 고립과 죽음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그의 시적 의지를 담아 죽음으로부터 분리될 수 없는 인간의 운명을 표현하고 있다. 그의 두 번째 시집 《갈매기》(1977) 또한 슬픔으로 가득 찬 인간에 대한 그의 인식과 확인을 표현한다. 그의 시에서 사람들은 내면에 슬픔, 비탄, 절망, 죽음을 간직하고 있기에 아름다운 존재로 묘사된다.[5]
3. 1. '사람' 연작시의 의미
김년균 시의 가장 큰 주제는 인간이다. 그의 시집 대부분은 "사람"이라는 부제가 붙은 시들로 구성되어 있다. 김년균의 오랜 문학 친구이자 소설가인 이문구는 "김년균이 오랫동안 탐구해 온 주제는 놀랍도록 인간적이면서도 놀랍도록 비인간적인 인간에 대한 것이다… 그는 오늘날에도 '사람'에 대해 읊고 있다"고 말했다.[6]2009년, 그는 "사람"이라는 부제가 붙은 90편이 넘는 시로 구성된 시집 『숙명』을 출간하고, 그가 "사람"에 대해서만 쓰고, 사람에 대해 쓰는 것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설명했다. 그는 사람에 대해 쓸 것이 많아서 사람에 대한 일반적인 이야기와 구체적인 사람에 대한 이야기를 썼다고 말했다. 그는 "사람" 연작이 시를 통해 사람에 대한 깨달음에 도달하는 긴 과정이었다고 설명하며, 사람에 대해 쓰는 것을 포기할 수 없으며 따라서 사람에 대해 써야 한다고 강조했다.[3] 아마도 그의 최신 시집 『사람을 생각하며』 (2015) 또한 "인간은 진정 무엇인가"에 대해 생각하게 하는 시들로 가득한 이유일 것이다.
3. 2. 기독교적 세계관
김년균에게 문학은 시대정신이나 사회 현상에 대한 묘사 이전에, 인간 존재에 대한 질문에서 비롯된다. 그의 첫 시집 《장마》(1973)는 일상생활에서 발견할 수 없는 근원으로서의 고립과 죽음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그의 시적 의지를 담아 죽음으로부터 분리될 수 없는 인간의 운명을 표현하고 있다. 그의 두 번째 시집 《갈매기》(1977) 또한 슬픔으로 가득 찬 인간에 대한 그의 인식과 확인을 표현한다.[5] 그의 시에서, 사람들은 내면에 슬픔, 비탄, 절망, 죽음을 간직하고 있기에 아름다운 존재로 묘사된다.이처럼 김년균 시의 가장 큰 주제는 인간이다. 그의 시집 대부분은 "사람"이라는 부제가 붙은 시들로 구성되어 있다. 김년균의 오랜 문학 친구이자 소설가인 이문구는 "김년균이 오랫동안 탐구해 온 주제는 놀랍도록 인간적이면서도 놀랍도록 비인간적인 인간에 대한 것이다… 그는 오늘날에도 '사람'에 대해 읊고 있다"고 말했다.[6]
2009년, 그는 "사람"이라는 부제가 붙은 90편이 넘는 시로 구성된 시집 《숙명》을 출간하고, 그가 "사람"에 대해서만 쓰고, 사람에 대해 쓰는 것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설명했다. 그는 사람에 대해 쓸 것이 많아서 사람에 대한 일반적인 이야기와 구체적인 사람에 대한 이야기를 썼다고 말했다. 그는 "사람" 연작이 시를 통해 사람에 대한 깨달음에 도달하는 긴 과정이었다고 설명하며, 사람에 대해 쓰는 것을 포기할 수 없으며 따라서 사람에 대해 써야 한다고 강조했다.[3] 아마도 그의 최신 시집 《사람을 생각하며》(2015) 또한 "인간은 진정 무엇인가"에 대해 생각하게 하는 시들로 가득한 이유일 것이다.
4. 작품 목록
김년균 시인은 다양한 시집과 수필집을 발표했다. 1974년 《장마》를 시작으로, 《갈매기》(1977), 《바다와 아이들》(1979) 등의 시집을 출간했다. 《나는 나는 것이 두렵다》(1990), 《사람에 관한 명상》(1996) 등의 수필집도 발표했으며, 편저로는 《날마다 싸우는 바람과 해》(1992)가 있다.[1]
4. 1. 시집
| 발간연도 | 제목 | 출판사 | ISBN |
|---|---|---|---|
| 1974 | 《장마》 | 한국문학사 | |
| 1977 | 《갈매기》 | 한일출판사 | |
| 1979 | 《바다와 아이들》 | 우석 | |
| 1983 | 《사람》 | 대영사 | |
| 1986 | 《풀잎은 자라나라》 | 지학사 | |
| 1997 | 《사람의 마을》 | 혜진서관 | |
| 1997 | 《아이에서 어른까지》 | 혜진서관 | |
| 2001 | 《하루》 | 다윗마을 | ISBN 10-8995165324 |
| 2001 | 《나는 예수가 좋다》 | 다윗마을 | ISBN 10-8995165316 |
| 2003 | 《오래된 습관》 | 다윗마을 | ISBN 10-8995165332 |
| 2007 | 《그리운 사람》 | 계간문예 | |
| 2009 | 《숙명》 | 문학사계 | ISBN 10-8993768145 |
| 2012 | 《자연을 생각하며》 | 책만드는집 | |
| 2013 | 《무슨 꽃을 피우는가》 | 문학사계 | |
| 2013 | 《우리들이 사는 법》 | 문학사계 | |
| 2015 | 《사람을 생각하며》 | 계간문예 | |
| 2015 | 《사랑을 말하다》 | 계간문예 |
4. 2. 수필집
- 《나는 나는 것이 두렵다》 (친우, 1990) ISBN 13-2006581000123
- 《사람에 관한 명상》 (세훈, 1996) ISBN 13-2003719000031
4. 3. 편저
5. 수상 경력
| 연도 | 수상 내역 |
|---|---|
| 1967년 | 서라벌문학상 (「동행」) |
| 1997년 | 제20회 한국현대시인상 (「아이에서 어른까지」 및 「사람과 마을」) |
| 2001년 | 제1회 들소리신문 들소리문학상 대상 (「나는」, 「예수가 좋다」)[7] |
| 2005년 | 제19회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예술문화상[8] |
| 2008년 | 제2회 윤병로문학상[9] |
| 2013년 | 제29회 윤동주문학상 (「자연을 생각하며」)[10] |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Modern Korean Literature
https://terms.naver.[...]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2004
[2]
간행물
"Special Feature 1: Kwon Nam-hee's Visit with Authors 14 – Poet Kim Nyeon-gyun, James Joyce’s Portrait of a Young Artist"
http://digital.kyobo[...]
Munpa Munhak (문파문학) Vo. 15 (e-book), Codmedia
2010-05-19
[3]
뉴스
"'The 'People' Series I Wrote for 30 Years Was a Process of Reaching Enlightenment'"
http://www.munhwa.co[...]
Munhwa Ilbo
2009-10-29
[4]
서적
Naneun yesuga jota
https://book.naver.c[...]
[5]
서적
Yakjeoneuro ingneun munhaksa 1-2 Literary History in Brief Sketches 1-2
http://www.krpia.co.[...]
Somyung Books
2008
[6]
뉴스
"'People I long for, Where do they live?'"
http://www.deulsorit[...]
Deulsori Shinmun (들소리 신문)
2007-01-10
[7]
뉴스
"Winners of Deulsori Literature Award and Where They Are Now: Poet Kim Nyeon-gyun, Winner of the 1st Grand Prize"
http://www.deulsorit[...]
Deulsori Shinmun
2005-10-06
[8]
뉴스
"The Federation of Artistic and Cultural Organization of Korea Selects Winner of Arts and Culture Award"
http://www.namdonews[...]
Namdo Ilbo
2005-12-13
[9]
웹사이트
"The Award Ceremony for the 2nd Yun Byeong-ro Literary Award"
http://dsb.kr/detail[...]
Korean Literature Broadcasting (한국문학방송)
[10]
뉴스
"Writers' Association Selects Poets Kang Woo-sik and Kim Nyeon-gyun for the 29th Yun Dongju Literature Award"
http://www.daehanilb[...]
Daehan Ilbo
2013-12-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