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수 (프로게이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동수는 대한민국의 전 프로게이머로, 2000년과 2001년 온게임넷 스타리그에서 우승하며 두 번의 스타리그 우승을 기록했다. 2003년 은퇴 후 해설위원으로 활동했으며, 2006년 프로게이머로 복귀했으나 이렇다 할 성적을 거두지 못했다. 이후 스타크래프트 II 게이머로 복귀를 시도했으나 실패했고, 2012년부터는 리그 오브 레전드 해설 및 팀 감독으로 활동했다. e스포츠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열로더 - 이제동
이제동은 2006년 프로게이머로 데뷔하여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에서 저그 최강자로 군림하며 메이저 개인리그 5회 우승을 차지했고, 스타크래프트 II로 종목을 전환하여 활동하다 2016년 은퇴 후 아프리카TV에서 개인 방송을 시작했다. - 로열로더 - 박성준 (1986년)
박성준은 2002년 데뷔하여 저그 최초 온게임넷 스타리그 우승 및 로열로더 등극,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시절 세 차례 스타리그 우승, 2008년 EVER 스타리그 우승으로 두 번째 골든 마우스 수상 등 괄목할 만한 업적을 남긴 스타크래프트와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다. - 스타리그 우승자 - 이제동
이제동은 2006년 프로게이머로 데뷔하여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에서 저그 최강자로 군림하며 메이저 개인리그 5회 우승을 차지했고, 스타크래프트 II로 종목을 전환하여 활동하다 2016년 은퇴 후 아프리카TV에서 개인 방송을 시작했다. - 스타리그 우승자 - 박성준 (1986년)
박성준은 2002년 데뷔하여 저그 최초 온게임넷 스타리그 우승 및 로열로더 등극,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시절 세 차례 스타리그 우승, 2008년 EVER 스타리그 우승으로 두 번째 골든 마우스 수상 등 괄목할 만한 업적을 남긴 스타크래프트와 스타크래프트 II 프로게이머이다. - 대한민국의 게임 해설가 - 유대현
유대현은 1999년부터 2003년까지 활동한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로, '최강 우주방어 테란'이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GO팀 소속으로 활동하며 다수의 대회에서 우승했고, 군 복무 후에는 다양한 방송에서 스타크래프트 및 리그 오브 레전드 해설가 및 캐스터로 활동했다. - 대한민국의 게임 해설가 - 리라 (프로게이머)
리라는 대한민국의 전직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이머로, 여러 팀에서 선수 생활을 하고 아프리카 프릭스 코치를 거쳐 현재 LCK 해설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김동수 (프로게이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김동수 |
한글 | 김동수 |
로마자 표기 | Gim Dong-su |
문화관광부 표기 | Kim Tong-su |
별명 | 가림토스, 농사꾼토스, 서현토스 |
출생일 | 1981년 3월 1일 (43세) |
출생지 |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
종족 | 프로토스 |
아이디 | 스타크래프트: GARIMTO, 스타크래프트 II: OgsGarimto |
취미 | 영화 감상, 수영 |
키보드 | 삼성키보드(SEM_DT35) |
마우스 | Logitech G1 |
좌우명 | 인생을 걸고 돌아보지 말자 |
프로게이머 정보 | |
역할 | 프로토스 |
소속 리그 | 신한 프로리그 |
코치 | 알 수 없음 |
게임 | 스타크래프트 |
총 상금 | 알 수 없음 |
웹사이트 | 알 수 없음 |
팀 경력 | |
소속 팀 | 한빛 스타즈 (????–2003) |
소속 팀 | KTF (2007) |
소속 팀 | KTF 매직엔스 (2007) |
기타 소속 팀 | MYM (2010) |
기타 정보 | |
해설 활동 | 나이스게임TV 해설자 |
2. 선수 경력
김동수는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로 활동하며 온게임넷 스타리그에서 두 번 우승했다.[10] 프리챌배 온게임넷 스타리그와 SKY배 온게임넷 스타리그에서 우승하여 로열로더로 기록되었다. 2003년 2002 Panasonic배 온게임넷 스타리그를 마지막으로 잠정 은퇴했다가, 2006년 KTF 매직엔스(현 KT 롤스터)에 입단하며 복귀하였다. 그러나 양대 리그 오프라인 예선에서 탈락하였다. 2010년 덴마크 e스포츠 프로게임단 MYM과 계약하며 스타크래프트 II 게이머로 복귀를 선언했지만, 그해 10월 계약 해지 후 GSL 예선 탈락으로 은퇴했다. 2013년 5월에는 리그 오브 레전드 에일리언 웨어 팀의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2. 1. 스타크래프트
김동수는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이머로 활동하며 온게임넷 스타리그에서 두 번 우승했다.[10] 2000년 프리챌배 온게임넷 스타리그와 2001년 SKY배 온게임넷 스타리그에서 우승하여 로열로더로 기록되었다.2. 1. 1. 데뷔와 전성기
2000년 7월, 첫 진출한 대회였던 프리챌배 온게임넷 스타리그에서 우승하며 스타리그 2번째 로열로더로 기록되었다. 그러나 2000년 온게임넷 왕중왕전에서는 3패 2승이라는 부진한 성적을 거두었다. 2001 한빛소프트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예선에서도 탈락하였고, 한빛 스타즈 (현 웅진 스타즈) 창단 멤버로 활동하던 2001년 6월 2001 코카콜라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예선에서 박경태에게 완패하며 탈락하였다.2001년 9월, SKY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예선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며 부활했다. 2001년 12월 28일 장충 체육관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임요환을 꺾고 두 번째 우승을 차지하였다.
2. 1. 2. 은퇴와 복귀
2003년 2002 Panasonic배 온게임넷 스타리그를 마지막으로 선수 생활에서 잠정 은퇴했다. 이후 게임 관련 산업에 종사하던 김동수는 2003년에 출범한 온게임넷 프로리그의 중계진으로 발탁되어 1년여간 해설위원으로 활동하였다. 당시 "저 선수 연습 안하나요?", "스타급 센스" 등의 「김동수 어록」은 당시 각종 커뮤니티에서 많은 화제를 낳았다.병역특례업체 근무로 군 복무를 대체한 김동수는 2006년 12월, KTF 매직엔스(현 KT 롤스터)에 입단하며 현역 프로게이머로 복귀하였다. 그러나 양대 리그 오프라인 예선에서 잇달아 조기 탈락하며 3년의 오랜 공백 기간의 벽을 실감해야 했다.
2007년 10월 24일, 김동수는 윤용태와의 프로리그 경기를 통해 1,770일 만의 공식전을 가졌다. 윤용태의 무난한 승리로 끝난 이날 경기는 김동수의 복귀 이후 처음이자 마지막 방송 경기였다.
2. 1. 3. 스타크래프트 II
2009년 7월 스타크래프트 II 시범 경기 후, 관련 사이트에 스타크래프트 II 게이머로 복귀한다는 기사가 올라오기도 했다.그러나 본인의 홈페이지에서 기사가 조작임을 밝혔고, 결국 스타크래프트 II 복귀설은 거짓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2010년 4월 덴마크 e스포츠 프로게임단 MYM과 계약함으로써 사실상 스타크래프트 II 게이머로 복귀함을 선언했지만, 그해 10월 MYM과의 계약 해지하였으며, 계속되는 GSL 예선 탈락으로 다시 은퇴한 것으로 알려졌다.
2. 2. 리그 오브 레전드
2012년 나이스게임TV의 리그 오브 레전드 해설 및 회사 전반의 마케팅 업무를 맡게 되었다. 2013년 5월에는 에일리언 웨어 팀의 감독으로 선임되었다.3. 주요 기록
김동수는 2000년 프리챌배 온게임넷 스타리그와[10] 2001 SKY배 온게임넷 스타리그에서[10] 우승을 차지했다.
3. 1. 스타크래프트
연도 | 대회명 | 결과 | 상대 | 비고 |
---|---|---|---|---|
2000년 | SBS 2000 PKO 월드 게임 페스티벌 | 준우승 | 강도경 | 1:2 |
2000년 | Game-Q 2차 스타리그 | 16강 | ||
2000년 | 프리챌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 우승 | 봉준구 | 3:0 [10] |
2000년 | CCGF 2000 | 우승 | 한웅렬 | 2:0, 문화부장관상 |
2000년 | 온게임넷 왕중왕전 2000 | 본선 | ||
2001년 | Game-Q 3차 스타리그 | 16강 | ||
2001년 | 천안 사이버게임체전 | 우승 | 강도경 | 2:1 |
2001년 | GGTV 스타워즈 2001 EP2 | 준우승 | 임요환 | 1:2 |
2001년 | 2001 SKY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 우승 | 임요환 | 3:2 [10] |
2002년 | KT배 온게임넷 왕중왕전 2001 | 3위 | ||
2002년 | GhemTV 1차 스타리그 | 16강 | ||
2002년 | 2002 NATE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 16강 | ||
2002년 | 2002 SKY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 16강 | ||
2002년 | 펩시트위스트배 2002 KPGA 3차리그 | 16강 | ||
2002년 | 2002 Panasonic배 온게임넷 스타리그 | 16강 | ||
2012년 | e스포츠 명예의 전당 | 헌액 |
4. 기타 활동
2009년 7월 스타크래프트 II 시범 경기 후, 관련 사이트에 스타크래프트 II 게이머로 복귀한다는 기사가 올라왔다.[1] 그러나 김동수는 본인의 홈페이지에서 기사가 조작임을 밝혔고, 스타크래프트 II 복귀설은 거짓으로 알려졌다.[1]
2010년 4월, 덴마크 e스포츠 프로게임단 MYM과 계약하며 스타크래프트 II 게이머로 복귀를 선언했지만,[1] 그해 10월 MYM과의 계약을 해지했다.[2] 계속되는 GSL 예선 탈락으로 은퇴한 것으로 알려졌다.[1]
2011년, 김동수는 한 의류회사에 다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1] 그는 유니폼을 새로 바꾸는 게임단에게 직접 옷을 디자인하여 의류 협찬을 하는 등 e스포츠 발전에 도움을 주고 있다.[1]
2012년, 나이스게임TV의 리그 오브 레전드 해설 및 회사 전반의 마케팅 업무를 맡게 되었다.[1]
2013년 5월, 에일리언 웨어 팀의 감독으로 선임되었다.[3]
참조
[1]
웹사이트
TLPD - Player Information - Garimto
http://www.teamliqui[...]
Teamliquid.net
2010-04-04
[2]
웹사이트
김동수, 나이스게임TV 해설자로 합류
http://www.thisisgam[...]
2016-09-14
[3]
웹사이트
스타2 과연 뜰까? e스포츠 산증인, 김동수 답하다.
http://m.inven.co.kr[...]
2016-09-14
[4]
웹사이트
김동수 해설 위원 "해설의 '매라신' 되겠다"
http://esports.daily[...]
2016-09-14
[5]
웹사이트
8게임단-웅진 유니폼에 숨은 비밀은?
http://esports.daily[...]
2016-09-14
[6]
웹사이트
웅진 새로운 하계 유니폼 공개
http://esports.daily[...]
2016-09-14
[7]
웹사이트
Garimto about Starcraft 2: "It is not a game like BW where you can win by making a lot of units"
http://www.gosugamer[...]
2016-09-14
[8]
웹사이트
프로게이머로 복귀하는 '가림토' 김동수
http://www.thisisgam[...]
2006-12-22
[9]
웹사이트
김동수 KTF 유니폼 입는다
http://www.dt.co.kr/[...]
2016-09-14
[10]
웹사이트
KTF 매직엔스 조용호, 김동수 동반 은퇴
http://www.nocutnews[...]
2008-01-14
[11]
웹사이트
Garimto returns to the professional leagues
http://www.gosugamer[...]
2016-01-13
[12]
문서
스타리그 2회 우승.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