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필 (1839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김병필은 여러 동명이인이 있습니다. 질문하신 1839년 출생의 김병필에 대해 답변드리겠습니다.
김병필(金炳弼, 1839년 ~ 1870년)은 조선 후기의 문신입니다. 자는 경량(景良), 시호는 효정(孝貞)이며, 본관은 안동입니다. 영돈령부사 김문근의 아들이자 철종의 비 철인왕후 김씨의 동생입니다.
주요 생애 및 활동:
- 1851년(철종 2년) 누이가 철종비로 책봉되면서 음보로 관직에 올라 사과(司果)에 기용되었습니다.
- 1855년(철종 6년) 사용(司勇)으로 있을 때 정시문과에 갑과로 급제, 규장각대교(待敎)가 되었습니다.
- 1859년(철종 10년) 홍문관부제학, 대사성, 이조참의를 역임했습니다.
- 1860년(철종 11년) 호조참판, 1861년(철종 12년) 이조참판, 1862년(철종 13년) 대사헌을 역임했습니다.
- 1863년(철종 14년) 홍문관부제학을 거쳐 행호군(行護軍)이 되었고, 철종 사망 후 존호도감옥책관(尊號都監玉冊官)을 겸했습니다.
- 고종 즉위 후 흥선대원군 집권 시기에는 관직에서 물러났다가, 1866년(고종 3년) 상호도감제조(上號都監提調)로 기용되어 이조참판, 검교부제학, 홍문관부제학을 지냈습니다.
- 1868년(고종 5년) 예조판서에 올랐습니다.
김병필은 누이가 왕비가 되면서 아버지 김문근을 필두로 한 일족이 요직을 독점하는 상황에서, 15세에 관직에 나아가 20세에 당상관, 30세에 판서를 역임하는 등 빠르게 승진했습니다.
김병필 (1839년) | |
---|---|
기본 정보 | |
이름 | 김병필(金炳弼) |
자(字) | 문여(文汝) |
본관 | 안동 김씨 |
생년월일 | 1839년 |
사망일 | 미상 |
묘소 위치 | 경기도 양주군 아동면 고령동(高嶺洞) 신좌(辛坐)에 있다. |
가족 관계 | |
아버지 | 김흥근 |
어머니 | 정경부인 남양 홍씨 |
배우자 | 정부인(貞夫人) 파평 윤씨 |
아들 | 김석진(金奭鎭) |
딸 | 이규완에게 출가 |
손자 | 김영수(金永洙) |
관력 | |
주요 관직 | 이조판서, 공조판서, 형조판서, 한성부판윤 |
기타 | 지경연사, 지춘추관사, 판의금부사, 도총관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