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충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충호는 14세에 서당에서 글을 배우기 시작하여, 양재 권순명 선생에게 유학을 수학했다. 31세에 서울로 상경하여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조선역사자료 번역 및 정리 업무를 맡았고, 민족문화추진회와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에서 한한대사전 편찬에 참여했다. 43세부터 성균관 부설 한림원에서 학생들을 지도했으며, 64세부터 순창 훈몽재 산장을 맡아 후학을 양성하고 있다. 70세부터는 중국 남창대학교 초청으로 백록동서원에서 강학하며, 훈몽재에서 중국 학생들에게 유학을 가르치고 있다. 단국대학교 교수로 정년퇴임 후, 성균관대학교와 상지대학교에서 강의를 진행했으며, 2011년 1월부터 훈몽재 산장을 맡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유학자 - 백관수
    백관수는 호를 근촌이라 하며,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언론인, 대한민국의 정치인으로, 2·8 독립 선언을 주도하고 조선일보와 동아일보에서 활동했으며, 광복 후 한국민주당 창당에 참여하고 제헌 국회의원을 지냈으나 한국 전쟁 때 납북되었다.
  • 1948년 출생 - 시아오시 투포우 5세
    시아오시 투포우 5세는 통가의 제23대 국왕으로, 외무장관을 역임하며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다 2006년 즉위 후 민주주의 개혁을 추진하고 권력을 이양하는 등 통가의 정치 개혁에 힘썼으나 결혼하지 않아 왕위 계승권이 있는 자녀는 없었다.
  • 1948년 출생 - 김희옥
    김희옥은 검사 출신 법조인으로서 법무부 차관과 헌법재판소 재판관을 역임하고 동국대학교 총장,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위원장, 새누리당 혁신비상대책위원장, KBL 프로농구연맹 총재, 한국프로스포츠협회 회장 등을 지낸 대한민국의 교육자, 스포츠인, 정치인이다.
  • 살아있는 사람 - 릴 테르셀리우스
    릴 테르셀리우스는 위키백과 문서에서 관련 문서와 추가 자료를 제시하는 데 사용되는 구성 요소이다.
  • 살아있는 사람 - 마그달레나 툴
    폴란드의 가수 마그달레나 툴은 2007년 데뷔 앨범 발매 후 2011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폴란드 대표로 참가했으며, 이후에도 앨범 발매와 유로비전 관련 활동, 방송 출연 등 다양한 음악 활동을 하고 있다.
김충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김충호
원어 이름金忠浩
출생일1948년 12월 19일
출생지대한민국 전라도 광주 북구 충효동
국적대한민국
본관광산 김씨
필명자(字) 맹서(孟恕), 호(號) 고당(古堂)
직업유학자
종교유교
배우자청송 심씨
자녀2남 1녀

2. 생애

14세 되던 해, 할아버지가 주신 막걸리 1병과 봉초 (담배잎) 2봉을 수업료로 들고 서당에 가서 글을 읽기 시작하였다.[2] 20세가 넘어서며 전북 고부에 살던 양재 권순명 선생에게 스스로 찾아가 체계적인 유학 공부를 시작하였다.[2] 25세 되던 해엔 가족들과 고부로 옮겨 글을 읽고 동시에 농사지으며 살기 시작하였다.[2]

31세 되던 해에 할머니와 아버지가 병환이 나시게 되나, 약 한재 해드리려해도 돈이 없어 서울행을 결심한다. 때마침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조선역사자료를 번역/정리할 인력을 구하는 중이었고, 이에 합격하여 서울 생활을 시작하였다.[2] 35세 되던 해, 민족문화추진회로 옮겨 약 3개월, 그리고 단국대 동양학연구소에서 한한대사전/漢韓大辭典중국어을 만든다 하여, 단국대로 옮겨 이후 약 20여년을 지냈다.[2]

43세 되던 해부터 성균관 부설로 시작한 한림원에서 다양한 과정을 열어 학생들을 지도하였다. 기초과정인 ‘학정계재’가 2년, 고급과정인 ‘한림계재’가 3년, 도합 5년과정을 지도하며 후학들을 양성하였다.[2] 64세부터 순창군 훈몽재 산장을 맡아 후학들을 양성하고 있다.[2]

70세 되던 해부터 중국 강서성 [https://en.wikipedia.org/wiki/Nanchang_University 남창대학교] 초청으로 [https://ja.wikipedia.org/wiki/%E7%99%BD%E9%B9%BF%E6%B4%9E%E6%9B%B8%E9%99%A2 백록동서원]에 들어가 강학하고 돌아오며, 매년 여름철마다 중국 남창대학교 이외 여러 대학교 교수 및 석/박사생들이 순창군 훈몽재로 나와 유학하고 들어간다.[2]

훈몽재에서 산책 중인 김충호 산장


배우자 청송 심씨의 환갑 잔치에서


순창 훈몽재에서 자녀, 손자, 손녀들과 함께 (최우측이 김충호 산장)

2. 1. 유년 시절

김충호는 14세에 할아버지가 주신 막걸리와 봉초를 수업료로 내고 서당에서 글을 읽기 시작했다.[2] 20세가 넘어 전북 고부의 양재 권순명 선생에게서 유학을 공부했으며, 25세에는 가족과 함께 고부로 이주하여 글을 읽고 농사를 지었다.[2]

31세에 할머니와 아버지의 병환으로 약값을 마련하기 위해 서울로 상경,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조선역사자료 번역 및 정리 업무를 맡게 되었다.[2] 35세에는 민족문화추진회를 거쳐 단국대 동양학연구소에서 <한한대사전> 편찬 작업에 참여, 약 20여 년간 근무하였다.[2]

43세부터는 성균관 부설 한림원에서 기초과정인 ‘학정계재’(2년)와 고급과정인 ‘한림계재’(3년)를 지도하며 후학 양성에 힘썼다.[2] 64세부터는 순창군 훈몽재 산장을 맡아 후학들을 가르치고 있다.[2]

70세부터는 중국 강서성 [https://en.wikipedia.org/wiki/Nanchang_University 남창대학교]의 초청으로 [https://ja.wikipedia.org/wiki/%E7%99%BD%E9%B9%BF%E6%B4%9E%E6%9B%B8%E9%99%A2 백록동서원]에서 강학하고 돌아왔으며, 매년 여름마다 중국 남창대학교를 비롯한 여러 대학교의 교수 및 석·박사생들이 순창군 훈몽재를 방문하여 유학하고 있다.[2]

2. 2. 청년 시절

14세에 할아버지가 주신 막걸리와 봉초를 수업료로 내고 서당에서 글을 읽기 시작했다.[2] 20세가 넘어 전북 고부의 양재 권순명 선생에게 유학을 배웠고, 25세에는 가족과 함께 고부로 이주하여 글을 읽고 농사를 지었다.[2]

31세에 할머니와 아버지의 병환으로 약값을 구하기 위해 서울로 올라가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조선역사자료 번역 및 정리 업무를 맡았다.[2] 35세에는 민족문화추진회를 거쳐 단국대 동양학연구소에서 한한대사전/漢韓大辭典중국어 편찬에 참여, 약 20여 년간 근무했다.[2]

43세부터 성균관 부설 한림원에서 학생들을 지도하며 후학 양성에 힘썼다.[2] 64세부터는 순창군 훈몽재 산장을 맡아 후학들을 양성하고 있다.[2]

70세에는 중국 강서성 [https://en.wikipedia.org/wiki/Nanchang_University 남창대학교] 초청으로 [https://ja.wikipedia.org/wiki/%E7%99%BD%E9%B9%BF%E6%B4%9E%E6%9B%B8%E9%99%A2 백록동서원]에서 강학하고 돌아왔으며, 매년 여름 중국 남창대학교 교수 및 석/박사생들이 순창군 훈몽재를 방문하여 유학하고 있다.[2]

2. 3. 중장년 시절

14세에 할아버지가 주신 막걸리와 봉초를 수업료로 내고 서당에서 글을 읽기 시작했다.[2] 20세가 넘어 전북 고부의 양재 권순명 선생에게 유학을 배웠고, 25세에는 가족과 함께 고부로 이주하여 글을 읽고 농사를 지었다.[2]

31세에 할머니와 아버지의 병환으로 약값을 마련하기 위해 서울로 상경,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조선역사자료 번역 및 정리 업무를 맡게 되었다.[2] 35세에는 민족문화추진회를 거쳐 단국대 동양학연구소에서 한한대사전/漢韓大辭典중국어 편찬 작업에 참여, 약 20여 년간 근무했다.[2]

43세부터 성균관 부설 한림원에서 '학정계재'(2년)와 '한림계재'(3년) 과정을 지도하며 후학을 양성했다.[2] 64세부터는 순창군 훈몽재 산장을 맡아 후학 양성에 힘쓰고 있다.[2]

70세부터는 중국 강서성 [https://en.wikipedia.org/wiki/Nanchang_University 남창대학교] 초청으로 [https://ja.wikipedia.org/wiki/%E7%99%BD%E9%B9%BF%E6%B4%9E%E6%9B%B8%E9%99%A2 백록동서원]에서 강학하고 돌아왔으며, 매년 여름마다 중국 남창대학교를 비롯한 여러 대학교 교수 및 석/박사생들이 순창군 훈몽재를 방문하여 유학하고 있다.[2]

2. 4. 노년 시절

김충호는 64세부터 순창군 훈몽재 산장을 맡아 후학들을 양성하고 있다.[2] 70세부터는 중국 강서성 [https://en.wikipedia.org/wiki/Nanchang_University 남창대학교] 초청으로 [https://ja.wikipedia.org/wiki/%E7%99%BD%E9%B9%BF%E6%B4%9E%E6%9B%B8%E9%99%A2 백록동서원]에서 강학하고 돌아왔으며, 매년 여름철마다 중국 남창대학교 이외 여러 대학교 교수 및 석/박사생들이 순창군 훈몽재에서 유학하고 있다.[2]

3. 경력

단국대 교수로 정년퇴임하였다.[1] 성균관대상지대에서 강의를 진행하였다.[1] 2011년 1월 이후 순창군 훈몽재 산장을 맡고 있다.[1] 훈몽재에는 국내 초, 중, 고, 대학의 학생/교수들 뿐만 아니라, 중국 여러 대학들의 교수/학생들도 한학을 배우기 위해 꾸준히 방문하고 있다.[1]

3. 1. 주요 경력

단국대 교수로 정년퇴임하였다.[1] 성균관대상지대에서 강의를 진행하였다.[1] 2011년 1월 이후 순창군 훈몽재 산장을 맡고 있다.[1] 훈몽재에는 국내 초, 중, 고, 대학의 학생/교수들 뿐만 아니라, 중국 여러 대학들의 교수/학생들도 한학을 배우기 위해 꾸준히 방문하고 있다.[1]

3. 2. 훈몽재에서의 활동

김충호는 단국대 교수로 정년퇴임 후, 성균관대상지대에서 강의를 진행하였다.[1] 2011년 1월 이후 순창군 훈몽재 산장을 맡고 있다.[1] 훈몽재에는 국내 초, 중, 고, 대학의 학생 및 교수들뿐만 아니라, 중국 여러 대학의 교수와 학생들도 한학을 배우기 위해 꾸준히 방문하고 있다.[1]

4. 관련 기사

1998년 7월 30일, 한학자 김충호에 대한 기사가 보도되었다.[2] 2003년 7월 30일에는 유학의 뿌리와 자연 속 경전 공부에 대한 기사가 있었다.[3][4] 2005년 7월 16일에는 한림원 원생들의 봉암서원 임간수업이 소개되었다.[5]

2011년 1월 27일, 훈몽재 칠야삼경(漆夜三更)의 반딧불 역할에 대한 기사가 보도되었다.[6][7] 2011년 12월 26일에는 순창에서 하서 김인후선생 도학정신을 배우고, 훈몽재에서 전통예절을 배울 수 있다는 내용이 보도되었다.[8][9] 2012년에는 전국 유림들이 훈몽재를 방문하고 옛 서당에서 사서삼경을 공부하는 모습이 소개되었다.[10][11]

2013년 1월 2일, 순창군 공직자를 대상으로 고당 김충호 산장 특강이 진행되었다.[12] 2013년 1월 25일, 하서 김인후 선생의 뜻을 이은 훈몽재 강회가 열렸다.[13] 2013년 7월에는 훈몽재가 예절 및 한학 교육장으로 방문객이 줄을 잇고, 훈몽재 강회를 통해 유학 발전의 초석을 다졌다는 기사가 보도되었다.[14][15] 2014년 3월 1일에는 "맹꽁이 서당 논어" 서평이, 2014년 5월 1일에는 훈몽재의 대나무와 설중매, 그리고 선비정신에 대한 기사가 보도되었다.[16][17] 2014년 5월 19일에는 성년의 날을 맞아 훈몽재에서 나만의 字를 수여하는 행사가 열렸다.[18][19][20] 2014년 8월 1일에는 훈몽재 네 번째 대강회 소식이 전해졌다.[21]

2015년 7월 14일, 한국고전문화연구원 훈몽재 교육프로그램이 소개되었다.[22] 2016년 9월 25일, 우암 송시열 선생 무봉산강학유허비 및 초장유지비 건립식이 거행되었다.[23][24][25][26] 2018년 6월 28일에는 순창을 소개하는 기사에서 훈몽재가 언급되었다.[27]

2019년 2월 21일, 호남 유학의 산실 훈몽재 어암관 건립이 탄력을 받았다는 기사가 보도되었다.[28][29][30] 2019년 이후 삼양그룹 수당재단은 훈몽재에서 장학증서를 수여하고 있다.[31][32][33][34][35][36][37][38][39] 2019년 8월 24일과 10월 26일에는 훈몽재에서 중국 학생들이 유학을 배우는 모습이 보도되었다.[40][41]

2020년 5월 29일, 빛바랜 옛 사진 속 인물들에 대한 기사에서 김충호가 언급되었다.[42] 2021년에는 훈몽재 활성화를 위한 전문가 간담회, 한국의 서원 세계문화유산 자문단의 훈몽재 방문, 훈몽재의 자연과 선비정신에 대한 기사, 순창교육지원청 청렴동아리의 훈몽재 방문, 호남 선비정신의 정수가 깃든 훈몽재 소개 기사 등이 보도되었다.[43][44][45][46][47] 2022년 7월 14일에는 영호남 문화를 잇는 징검다리로 훈몽재를 소개하는 영상 기사가 보도되었다.[48] 2023년 8월에는 훈몽재에서 한문과 예절을 배우는 중국 교수와 학생들에 대한 기사가 보도되었다.[49][50]

참조

[1] 웹사이트 http://www.jjan.kr/n[...]
[2] 웹사이트 http://legacy.h21.ha[...]
[3] 웹사이트 http://h21.hani.co.k[...]
[4] 웹사이트 http://h21.hani.co.k[...]
[5] 웹사이트 http://www.jsnews.co[...]
[6] 웹사이트 http://www.scnp.kr/d[...]
[7] 웹사이트 http://www.jbbreakne[...]
[8] 웹사이트 http://news.mt.co.kr[...]
[9] 웹사이트 https://news.joins.c[...]
[10]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m.smgnews.co.[...] 2019-04-30
[11] 웹사이트 https://www.ytn.co.k[...]
[12] 웹사이트 http://health.suncha[...]
[13] 웹사이트 http://www.sunchang.[...]
[14] 웹사이트 https://www.yna.co.k[...]
[15] 웹사이트 http://news1002.ndso[...]
[16] 웹사이트 http://www.kyobobook[...]
[17]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m.pluskorea.n[...] 2019-04-30
[18] 웹사이트 https://news.unn.net[...]
[19] 웹사이트 http://news1.kr/arti[...]
[20] 웹사이트 http://www.dailytw.k[...]
[21] 웹사이트 http://m.openchang.c[...]
[22] 웹사이트 http://www.clature.k[...]
[23] 웹사이트 http://m.blog.daum.n[...]
[24]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m.hsj.co.kr/2[...] 2019-04-30
[25]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m.ihsnews.com[...] 2019-04-30
[26] 웹사이트 http://www.joongdo.c[...]
[27] 웹사이트 http://www.jbfarmsch[...]
[28] 웹사이트 http://www.jjn.co.kr[...]
[29] 웹사이트 https://www.yna.co.k[...]
[30] 웹사이트 http://www.jjan.kr/n[...]
[31] 웹사이트 http://tapain.com/ne[...]
[32] 웹사이트 http://www.jjilbo.co[...]
[33] 웹사이트 http://www.jlmaeil.c[...]
[34] 웹사이트 http://www.wedding21[...]
[35] 웹사이트 https://www.domin.co[...]
[36] 뉴스 http://www.idjnews.k[...]
[37] 뉴스 http://www.jejutwn.c[...]
[38] 뉴스 https://www.jbyonhap[...]
[39] 뉴스 https://www.jbyonhap[...]
[40] 뉴스 http://www.chookjene[...]
[41] 뉴스 https://www.domin.co[...]
[42] 뉴스 http://www.sisamagaz[...]
[43] 뉴스 https://www.jbyonhap[...]
[44] 뉴스 https://www.jbyonhap[...]
[45] 뉴스 https://www.domin.co[...]
[46] 뉴스 http://www.jbyonhap.[...]
[47] 뉴스 http://www.civilrepo[...]
[48] 뉴스 http://m.mdilbo.com/[...]
[49] 뉴스 http://www.sjbnews.c[...]
[50] 뉴스 https://m.mk.co.kr/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