깊은넙다리동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깊은넙다리동맥은 넙다리동맥에서 갈라져 나와 넙다리뼈에 더 가까이 위치하며, 넓적다리를 따라 아래로 주행하는 동맥이다. 두덩근과 긴모음근 사이를 지나 큰모음근을 관통하며, 가쪽넙다리휘돌이동맥, 안쪽넙다리휘돌이동맥, 세 개의 관통동맥 등의 가지를 낸다. 넙다리에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공급하는 주요 동맥의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지의 동맥 - 오금동맥
오금동맥은 넙다리동맥에서 이어져 다리오금을 지나면서 무릎과 다리 근육에 혈액을 공급하고, 앞정강동맥, 뒤정강동맥 등 주요 동맥으로 연결되는 동맥으로, 깊숙이 위치하여 맥박을 촉진하기 어렵고 오금동맥류 등의 질환과 관련될 수 있다. - 하지의 동맥 - 앞정강동맥
앞정강동맥은 오금동맥의 가지로, 정강뼈와 종아리뼈 사이를 지나 발목관절 앞쪽에서 발등동맥으로 이어지며, 여러 가지를 내고 경골 절골술 시 손상될 수 있다.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목동맥고랑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의학 용어집
의학 용어집은 의학 분야의 다양한 용어와 정의를 모아놓은 목록으로, 인체 해부학적 용어인 '복부'와 희귀 유전 질환인 '아르스코그-스콧 증후군' 등이 포함된다.
깊은넙다리동맥 | |
---|---|
개요 | |
이름 | 대퇴심동맥 |
라틴어 이름 | arteria profunda femoris |
영어 이름 | deep femoral artery 또는 deep artery of thigh |
기원 및 분포 | |
기원 | 대퇴동맥 |
분포 | 외측대퇴회선동맥, 내측대퇴회선동맥, 관통동맥 |
해부학적 특징 | |
정맥 | 대퇴심정맥 |
![]() | |
![]() | |
![]() | |
![]() | |
식별 정보 | |
그레이 주제 | 157 |
그레이 페이지 | 629 |
메시 이름 | 해당 없음 |
메시 번호 | 해당 없음 |
돌란드 접두사 | a_61 |
돌란드 접미사 | 12155579 |
2. 구조
깊은넙다리동맥은 넙다리뼈에 더 가까운 쪽에서 넓적다리를 따라 아래쪽으로 주행하며, 두덩근과 긴모음근 사이를 지나간다.[4] 큰모음근을 관통하며 끝부분을 넷째관통동맥이라고 부르기도 한다.[4]
2. 1. 기시부
넙다리동맥의 뒤가쪽에서 갈라져 나온다.[1]2. 2. 주행 경로
깊은넙다리동맥은 넙다리동맥이 시작되는 지점 직후 뒤가쪽에서 갈라진다.[4] 갈라진 이후로는 넙다리동맥보다 넙다리뼈에 더 가까운 쪽(=더 뒤쪽)에서 넓적다리를 따라 아래쪽으로 주행한다.[4] 두덩근과 긴모음근 사이에서 주행하며, 긴모음근보다 뒤쪽에 위치한다.[4] 주행 도중 큰모음근을 관통하며 따라서 깊은넙다리동맥 끝부분을 넷째관통동맥이라고 부르기도 한다.[4] 깊은넙다리동맥은 넓적다리를 떠나지 않고 허벅지 내에서 관통 조직 가지로 끝난다.[2]2. 3. 가지
깊은넙다리동맥은 가쪽넙다리휘돌이동맥[4], 안쪽넙다리휘돌이동맥[4], 세 개의 관통동맥[4]을 낸다. 관통동맥은 큰모음근을 관통하여 넓적다리 안쪽칸과 뒤칸으로 이동하며, 무릎 뒤쪽의 오금동맥 가지들과 연결된다. 깊은넙다리동맥의 끝부분은 네 번째 관통동맥으로 간주될 수 있다.[3]2. 3. 1. 가지의 분포
깊은넙다리동맥은 가쪽넙다리휘돌이동맥[4], 안쪽넙다리휘돌이동맥[4], 세 개의 관통동맥을 낸다. 관통동맥은 큰모음근을 관통하여 넓적다리 안쪽칸과 뒤칸으로 이동하며, 무릎 뒤쪽의 오금동맥 가지들과 연결된다.깊은넙다리동맥은 허벅지에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공급하는 주요 동맥이다.[1]
안쪽넙다리휘돌이동맥은 두덩근, 가장넓은모음근, 짧은모음근, 두덩정강근에 분포하며, 넙다리머리와 넙다리 목에도 혈액을 공급한다.[2]
가쪽넙다리휘돌이동맥은 가쪽넓은근, 중간넓은근, 넙다리곧은근에 혈액을 공급한다.[2]
관통 동맥은 반힘줄근, 반막근, 넙다리두갈래근에 혈액을 공급한다.[2] 첫 번째 가지는 짧은모음근과 두덩근 사이를 통과하며, 두 번째 가지는 짧은모음근을 관통한다. 세 번째 가지는 짧은모음근 아래를 통과하고, 네 번째 가지는 슬와에 이른다.
3. 기능
깊은넙다리동맥은 허벅지에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공급하는 주요 동맥이다.[1][4]
안쪽넙다리휘돌이동맥은 두덩근, 가장넓은모음근, 짧은모음근, 두덩정강근 등의 모음근 그룹에 분포한다. 또한 넙다리머리와 넙다리 목에도 혈액을 공급한다.[2]
가쪽넙다리휘돌이동맥은 가쪽넓은근, 중간넓은근, 넙다리곧은근 등의 무릎 폄근 그룹에 혈액을 공급한다.[2]
관통 동맥은 반힘줄근, 반막근, 넙다리두갈래근 등의 햄스트링 근육에 혈액을 공급한다.[2]
4. 추가 이미지
참조
[1]
간행물
Vascular Anatomy of the Extremities
Mosby
2008-01-01
[2]
간행물
Anatomy, Bony Pelvis and Lower Limb, Femoral Artery
http://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3-01-11
[3]
서적
Clinically Oriented Anatomy
Wolters Kluwer
[4]
간행물
CHAPTER 62 - VASCULAR ANATOMY OF THE EXTREMITIES
https://www.scienced[...]
Mosb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