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꼬리이끼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꼬리이끼목은 흰털이끼류나 꼬리이끼 등이 속하는 식물 분류군이다. 과거에는 참이끼아강으로 분류되었으나, 분자계통학적 연구를 통해 꼬리이끼아강으로 변경되었다. 비늘이끼붙이과와 가장자리고사리이끼과는 전통적으로 참이끼목에 속했으나, 꼬리이끼목에 포함된다. 꼬리이끼목에는 브루키아과, 칼림페롭시스과, 꼬리이끼과 등을 포함한 여러 과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꼬리이끼목 - 발광이끼
    발광이끼는 북반구의 냉량한 지역에 분포하며, 렌즈상 세포가 빛을 반사하여 금녹색으로 빛나는 것처럼 보이는 특징을 가진 어둡고 습한 환경에서 자라는 이끼 식물로, 서식지 파괴로 멸종 위협을 받아 보호가 필요하다.
  • 꼬리이끼목 - 꼬리이끼과
    꼬리이끼과는 꼬리이끼목에 속하는 이끼 과로, Anisothecium, Aongstroemia, Dicranum 등 다양한 속을 포함하며, 꼬리이끼아과 연구를 통해 분류학적 위치와 특징이 논의된다.
꼬리이끼목 - [생물]에 관한 문서
분류 정보
[[카모지 고케]] (''Dicranum scoparium'')
카모지 고케 (Dicranum scoparium)
식물계
이끼 식물 문
선태 식물 강
아강꼬리 이끼 아강
꼬리 이끼 목
학명Dicranales
명명자H. 필리베르트 ex M. 플라이셔
하위 분류
Fissidentaceae (솔이끼과)
Hypodontiaceae
Eustichiaceae
Ditrichaceae (가는이끼과)
Bruchiaceae
Rhachitheciaceae
Erpodiaceae
Schistostegaceae (빛굴 이끼과)
Viridivelleraceae
Hymenolomataceae
Rhabdoweisiaceae
Dicranaceae (시포 고갯과)
Rhizogemmaceae
Ruficaulaceae
Aongstroemiaceae
Dicranellaceae
Micromitriaceae
Leucobryaceae (백색 이끼과)
Octoblepharaceae
Calymperaceae

2. 하위 분류

흰털이끼류나 꼬리이끼 등이 속하는 분류군이다. 전통적인 분류 체계에서는 참이끼아강에 속했으나, 분자계통학적 연구 결과에 따라 꼬리이끼아강으로 재분류되었다.

다음은 꼬리이끼목에 속하는 하위 과 목록이다.


  • 브루키아과 (Bruchiaceae) - 2속을 포함한다.
  • 칼림페롭시스과 (Calymperaceae)
  • 카토스코피움과 (Catoscopiaceae)
  • 꼬리이끼과 (Dicranaceae) - 21속을 포함하며, 꼬리이끼, 나미꼬리이끼, 털꼬리이끼 등이 여기에 속한다.
  • 금실이끼과 (Ditrichaceae)
  • 나무연지이끼과 (Erpodiaceae)
  • 에우스티키아과 (Eustichiaceae, 바위이끼붙이과) - 1속을 포함하며, 기존에는 마고이끼목으로 분류되었으나 이 목으로 이동되었다.
  • 봉황이끼과 (Fissidentaceae, 비단이끼과) - 1속을 포함하며, 때로는 독립된 비단이끼목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 히포돈티움과 (Hypodontiaceae)
  • 흰털이끼과 (Leucobryaceae) - 5속을 포함한다.
  • 주름꼬마이끼과 (Rhabdoweisiaceae, Rabdoweisiaceae) - 1속을 포함한다.
  • 라키테키움과 (Rhachitheciaceae)
  • 발광이끼과 (Schistostegaceae, 반짝이끼과) - 1속을 포함하며, 단일종인 발광이끼 (''Schistostega pennata'')만이 속한다.
  • 비리디벨루스과 (Viridivelleraceae, 에츠키카게로우고케과) - 1속을 포함하며, 단일종인 비리디벨루스 풀켈룸 (''Viridivellus pulchellum'')만이 속한다.


또한, 전통적으로 참이끼목(진정참이끼목)으로 분류되었던 비늘이끼붙이과와 가장자리고사리이끼과도 분자계통학적 연구 결과에 따라 꼬리이끼목에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3. 계통 분류

흰털이끼류나 꼬리이끼 등이 속하는 분류군이다. 전통적인 분류 체계에서는 참이끼아강에 포함되었으나, 분자계통학적 연구 결과에 따라 꼬리이끼아강으로 재분류되었다.[5]

3. 1. 계통 분류 (2015)

2015년 노비코프(Novíkov)와 바라바스-크라스니(Barabaš-Krasni)의 연구에 따른 선태식물강의 계통 분류에서, 꼬리이끼목은 꼬리이끼아강에 속한다.[5] 이 분류 체계에 따르면 꼬리이끼아강은 팀미아아강 및 참이끼아강과 유연 관계를 가지며, 아강 내에서 꼬리이끼목은 새우이끼목, 침꼬마이끼목 등과 함께 분류된다.[5]

흰털이끼류나 꼬리이끼 등이 이 목에 속한다. 전통적인 분류 체계에서는 이들이 참이끼아강에 포함되었으나, 분자계통학적 연구 결과에 따라 꼬리이끼아강으로 재분류되었다. 또한, 과거 참이끼목(진정참이끼목)으로 분류되었던 비늘이끼붙이과와 가장자리고사리이끼과 역시 현재는 꼬리이끼목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꼬리이끼목에 속하는 하위 과는 다음과 같다.

  • Bruchiaceae - 2속
  • Calymperaceae
  • 꼬리이끼과 (Dicranaceae) - 21속. 꼬리이끼, 나미꼬리이끼, 털꼬리이끼 등을 포함한다.
  • Ditrichaceae
  • Erpodiaceae
  • 바위이끼붙이과 (Eustichiaceae) - 1속. 이전에는 마고이끼목으로 분류되었다.
  • 비단이끼과 (Fissidentaceae) - 1속. 경우에 따라 독립된 비단이끼목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 Hypodontiaceae
  • 흰털이끼과 (Leucobryaceae) - 5속
  • Rabdoweisiaceae - 1속
  • Rhachitheciaceae
  • 반짝이끼과 (Schistostegaceae) - 1속
  • 에츠키카게로우고케과 (Viridivelleraceae) - 1속

참조

[1] 웹사이트 Classification of extant moss genera http://bryology.ucon[...] 2014-03-04
[2] 서적 Bryophyte Bi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웹인용 Species 2000 & ITIS Catalogue of Life: 2014 Annual Checklist. http://www.catalogue[...] Species 2000: Reading, UK. 2015-07-09
[4] 웹인용 꼬리이끼 목 ; Dicranales http://dic.ezmeta.co[...] Knowledge 2.0 Base 2015-07-10
[5] 저널 Modern plant systematics Liga-Pr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