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리이끼아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꼬리이끼아강은 이끼류의 한 아강으로, 전통적으로 약 6~8개의 목으로 구성되었으나, 분자 표지를 사용한 계통 분석 결과 꼬리이끼목이 바위이끼목에 대해 측계통군임이 밝혀졌다. 최근의 계통유전체 분석은 꼬리이끼목을 분해하여 여러 개의 새로운 소규모 목을 생성하는 결과를 낳았다. 2015년 노비코프와 바라바스-크라스니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에 따르면, 꼬리이끼아강은 Catoscopiales, Distichiales, Flexitrichales, Scouleriales, Grimmiales, Archidiales, Pleurophascales, Eustichiales, Amphidiales, 꼬리이끼목, Rhabdoweisiales, Sorapillales, Bruchiales, Erpodiales, Ditrichales, 바위이끼목 등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끼 - 물이끼강
물이끼강은 선태식물문에 속하는 이끼류의 한 강으로, 물이끼목과 멸종된 Protosphagnales을 포함하며 타카키아강, 검정이끼강 등과 함께 선태식물문을 구성한다. - 이끼 - 안드레아에오브리움 마크로스포룸
꼬리이끼아강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 정보 | |
![]() | |
학문 분류 | 선태식물문 - 선태식물강 |
학계 공인 | Doweld |
하위 분류군 | Catoscopiales Distichiales Flexitrichales Scouleriales Bryoxiphiales Pseudoditrichales Grimmiales Archidiales Pleurophascales Mitteniales Eustichiales Amphidiales Dicranales Rhabdoweisiales Sorapillales Ditrichales Pottiales Bruchiales Erpodiales |
2. 분류
전통적으로 꼬리이끼아강은 약 6개에서 8개의 목으로 분류되었다.[1][2] 그러나 분자 표지를 이용한 계통 분석 결과, 주요 목 중 하나인 꼬리이끼목이 바위이끼목에 대해 측계통군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2][3]
이러한 발견은 기존 분류 체계에 대한 재검토로 이어졌으며, 최근의 계통유전체 분석 연구들은 전통적인 꼬리이끼목을 여러 개의 더 작은 목으로 나누는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3] 이는 꼬리이끼아강 내의 진화 관계가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더 복잡함을 시사한다.
2. 1. 하위 분류
전통적으로 꼬리이끼아강은 아래의 약 6~8개 목으로 구성되었다.[1][2]- 고깔바위이끼목 또는 파꽃이끼목 (Grimmiales)
- 꼬리이끼목 (Dicranales)
- 침꼬마이끼목 또는 돌이끼목 (Pottiales)
- 아르키디움목 (Archidiales)
- 프세우도디트리쿰목 (Pseudoditrichales)
- 스코울레리아목 (Scouleriales)
- 새우이끼목 (Bryoxiphiales)
그러나 분자 표지를 사용한 계통 분석 결과, 전통적인 꼬리이끼목이 바위이끼목에 대해 측계통군임이 밝혀졌다.[2][3] 최근의 계통유전체 분석은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기존의 넓은 의미의 꼬리이끼목(Dicranales ''sensu lato'')을 여러 개의 새로운 소규모 목으로 분리하였다.[3]
이 최신 분석에 따르면, 꼬리이끼아강 내에는 Catoscopiales, Distichiales, Flexitrichales, Scouleriales, Grimmiales, Archidiales, Pleurophascales, Eustichiales, Amphidiales, Rhabdoweisiales, Sorapillales, Bruchiales, Erpodiales, Ditrichales, 바위이끼목 등이 포함되며, 기존 꼬리이끼목에 속했던 분류군들이 이들 여러 목으로 재배치되었다. 꼬리이끼목은 이제 더 좁은 의미(Dicranales ''sensu stricto'')로 사용된다.[3] 솔이끼목, Pseudoditrichales, 미텐이끼목은 이 연구에서 표본으로 포함되지 않았다.[3]
2. 2. 계통 분류
전통적으로 꼬리이끼아강은 약 6개에서 8개의 목으로 구성되었다.[1][2] 그러나 분자 표지를 사용한 계통 분석 결과, 기존의 주요 목이었던 꼬리이끼목이 바위이끼목에 대해 측계통군임이 밝혀지는 등 전통적인 분류 체계에 대한 재검토가 이루어졌다.[2][3]이후 2015년 노비코프(Novíkov)와 바라바스-크라스니(Barabaš-Krasni)의 연구[5] 및 최근의 계통유전체 분석[3] 등을 통해 꼬리이끼아강의 분류 체계는 계속해서 수정되고 있다. 특히 최근의 계통유전체 분석은 기존의 꼬리이끼목을 여러 개의 새로운 소규모 목으로 나누는 결과를 제시하기도 했다.[3]
2. 2. 1. 2015년 노비코프와 바라바스-크라스니 연구
2015년 노비코프(Novíkov)와 바라바스-크라스니(Barabaš-Krasni)의 연구에 따르면, 선태식물강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5] 이 연구에서 꼬리이끼아강은 팀미아아강과 가장 가까운 자매군 관계이며, 이 둘은 참이끼아강과 함께 더 큰 분기군을 형성한다. 이 분기군은 표주박이끼아강 등 다른 아강들과 단계적으로 분기된 것으로 분석되었다.[5]꼬리이끼아강 내부의 목(目) 수준에서는 다음과 같은 두 개의 주요 그룹으로 나뉜다.[5]
2. 2. 2. 최근 계통유전체 분석
전통적으로 꼬리이끼아강은 약 6개에서 8개의 목으로 분류되어 왔다.[1][2] 하지만 분자 표지를 활용한 계통 분석 결과, 꼬리이끼목(Dicranales)이 바위이끼목(Pottiales)에 대해 측계통군임이 밝혀졌다.[2][3]최근 이루어진 계통유전체 분석은 기존의 꼬리이끼목 분류 체계를 재편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 분석에 따라 꼬리이끼목은 해체되었고, 여러 개의 새로운 소규모 목들이 설정되었다.[3] 이러한 연구는 꼬리이끼아강 내 목들 사이의 복잡한 진화 관계를 드러냈다. 다만, 솔이끼목, Pseudoditrichales, 미텐이끼목은 해당 연구의 표본 분석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참조
[1]
학술지
Morphology, anatomy, and classification of the Bryophyt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학술지
A morpho-molecular classification of the mosses (Bryophyta)
[3]
학술지
Comprehensive phylogenomic time tree of bryophytes reveals deep relationships and uncovers gene incongruences in the last 500 million years of diversification
Wiley Periodicals LLC
2023-10-04
[4]
저널
Morphology, anatomy, and classification of the Bryophyta
Cambridge University Press
[5]
저널
Modern plant systematics
Liga-Pr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