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인새풀아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꼬인새풀아과는 벼과의 아과 중 하나이다. 꼬인새풀족(Danthonieae)을 포함하며, 꼬인새풀속(Danthonia), 팜파스풀속(Cortaderia) 등이 속한다. 꼬인새풀족은 꼬인새풀아과에서 가장 큰 분류군이며, 분류가 불확실한 속으로는 Alloeochaete, Danthonidium, Phaenanthoecium 등이 있다. 꼬인새풀아과는 벼과 내에서 미크라이라아과, 물대아과, 기장아과, 나도바랭이아과와 함께 PACMAD 분지군을 구성하며, 나도바랭이아과와 가장 가까운 관계를 가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꼬인새풀아과 - 팜파스풀속
팜파스풀속은 튼튼한 줄기와 깃털 모양의 꽃차례를 가진 다년생 풀로 남아메리카 지역에 주로 분포하며, 원예용으로 재배되거나 침입종으로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 꼬인새풀아과 - 팜파스풀
팜파스풀은 남아메리카 원산의 벼과 여러해살이 풀로, 억새와 비슷하며 아름다운 깃털 모양의 꽃을 피워 관상용으로 재배되지만, 침입종으로서 생태계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 2001년 기재된 식물 - 바나나포카
바나나포카는 남아메리카 안데스 산맥 원산의 덩굴성 식물로, 바나나 모양의 열매를 맺으며 관상용으로 재배되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침입종으로 생태계를 위협하여 관리 및 제거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2001년 기재된 식물 - 야메시아아과
야메시아아과는 범의귀목 수국과에 속하며 Fendlera 속과 Jamesia 속을 포함하는 아과이다.
꼬인새풀아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꼬인새풀아과 | |
![]() | |
상위 분류 | 벼과 |
학명 | Danthonieae |
명명자 | Zotov |
발표 연도 | 1963년 |
아과 명명 | H.P.Linder & N.P.Barker, 2001년 |
하위 분류 | |
족 | 코르타데리아족 (Cortaderieae) 다니오니아족 (Danthonieae) 에르하르타족 (Ehrharteae) 미크라이라족 (Micraireae) 페르토푸시스족 (Perrhopoaceae) 프로타고니아족 (Proragmieae) |
2. 하위 분류
꼬인새풀아과는 크게 꼬인새풀족과 몇몇 분류 불확실 속으로 나뉜다.[4]
; 분류 불확실(''incertae sedis'')
- Alloeochaete C.E.Hubb.
- Danthonidium C.E.Hubb.
- Phaenanthoecium C.E.Hubb.
2. 1. 꼬인새풀족 (Danthonieae)
꼬인새풀족은 꼬인새풀아과의 가장 큰 분류군으로, 17개의 속을 포함한다.[4]- 꼬인새풀속(''Danthonia'' DC.): 한국에 자생하는 꼬인새풀, 실꼬인새풀 등이 이 속에 속한다.
- 팜파스풀속(''Cortaderia'' Stapf): 남아메리카 원산의 여러해살이풀로, 큰 키와 아름다운 이삭으로 관상용으로 많이 심는다.
- ''Austroderia'' N.P.Barker & H.P.Linder
- ''Capeochloa'' H.P.Linder & N.P.Barker
- ''Chaetobromus'' Nees
- ''Chimaerochloa'' H.P.Linder
- ''Chionochloa'' Zotov
- ''Geochloa'' H.P.Linder & N.P.Barker
- ''Merxmuellera'' Conert
- ''Notochloe'' Domin
- ''Pentameris'' P.Beauv.
- ''Plinthanthesis'' Steud.
- ''Pseudopentameris'' Conert
- ''Rytidosperma'' Steud.
- ''Schismus'' P.Beauv.
- ''Tenaxia'' N.P.Barker & H.P.Linder
- ''Tribolium'' Desv.
2. 2. 분류 불확실 속 (incertae sedis)
- Alloeochaete C.E.Hubb.
- Danthonidium C.E.Hubb.
- Phaenanthoecium C.E.Hubb.
3. 계통 분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 괄호 안의 숫자는 추정되는 종의 수이다.[5]
꼬인새풀아과는 벼과 PACMAD 분지군에 속하며, 미크라이라아과, 물대아과, 기장아과, 나도바랭이아과와 함께 이 분지군을 구성한다. 꼬인새풀아과는 나도바랭이아과와 가장 가까운 관계를 가진다.
3. 1. PACMAD 분지군 내 계통
꼬인새풀아과는 미크라이라아과, 물대아과, 기장아과, 나도바랭이아과와 함께 PACMAD 분지군을 구성한다.[5] 이 분지군은 주로 C4 광합성 경로를 이용하는 식물들을 포함하지만, 꼬인새풀아과는 대부분 C3 광합성 경로를 이용한다. 꼬인새풀아과는 나도바랭이아과와 가장 가까운 관계를 가진다.3. 2. 벼과 전체 계통
다음은 벼과의 계통 분류이다.[5]{| class="wikitable"
|-
! 벼과
|-
|
{| class="wikitable"
|-
| 아노모클로아아과 '''C3''' (4)
|-
|
{| class="wikitable"
|-
| 파루스아과 '''C3''' (13)
|-
|
{| class="wikitable"
|-
| 푸엘리아아과 '''C3''' (11)
|-
|
{| class="wikitable"
|-
! BOP 분지군
|-
|
{| class="wikitable"
|-
| 벼아과 '''C3''' (110)
|-
|
대나무아과 C3 (1450) |
포아풀아과 C3 (3850) |
|}
|-
! PACMAD 분지군
|-
|
{| class="wikitable"
|-
| 아리스티다아과 '''C3''' & '''C4''' (350)
|-
|
{| class="wikitable"
|-
| 기장아과 '''C3''' & '''C4''' (3250)
|-
|
{| class="wikitable"
|-
|
|-
|
꼬인새풀아과 C3 (300) |
나도바랭이아과 C3 & C4 (1600) |
참조
[1]
논문
Phylogeny and Subfamilial Classification of the Grasses (Poaceae)
2001
[2]
논문
New grass phylogeny resolves deep evolutionary relationships and discovers C4 origins
[3]
논문
A worldwide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the Poaceae (Gramineae)
[4]
간행물
[5]
논문
New grass phylogeny resolves deep evolutionary relationships and discovers C4 origins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