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포아풀아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아풀아과는 벼과에 속하는 아과의 하나로, 후기 에오세에 분화하기 시작하여 올리고세와 마이오세에 걸쳐 적응 방산이 활발하게 일어났다. 계통 분류에 따르면, 아노모클로아아과, 파루스아과, 푸엘리아아과, 벼아과, 대나무아과 등과 함께 BOP 분지군에 속하며, PACMAD 분지군에 속하는 다른 아과들과 구분된다. 포아풀아과는 다양한 족과 하위 분류를 포함하며, 계통 발생 분류에 따라 여러 그룹으로 나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61년 기재된 식물 - 복수초
    깊은 산 숲 속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인 복수초는 이른 봄에 노란색 꽃을 피우며,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고 한방에서 약재로 쓰이지만 독성이 있어 섭취에 주의해야 하고 예술 분야에서 이미지가 활용되기도 한다.
  • 1861년 기재된 식물 - 틸란드시아 레쿠르비폴리아
    틸란드시아 레쿠르비폴리아는 잎의 색상, 질감, 형태가 다른 다양한 재배 품종('모히토', '그린', '실버', '스타더스트', '파이어볼' 등)을 가진 식물로, 지속적인 교배와 변이를 통해 새로운 품종이 개발되고 있다.
  • 포아풀아과 - 맥류
    맥류는 벼과 잎새풀아과에 속하는 식물로, 밀, 보리, 호밀, 귀리 등이 있으며 식용, 사료용, 목초, 잡초 등으로 활용된다.
  • 포아풀아과 - 참새귀리속
    참새귀리속은 벼과에 속하며 한해살이, 두해살이, 여러해살이풀 등 다양한 형태로 전 세계 온대 및 아한대 지역에 분포하는 약 100종의 식물군이다.
포아풀아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떨새풀 (Briza media)
떨새풀 (Briza media)
학명Pooideae
명명자Benth., 1861
모식속포아풀속(Poa L.)
분류
식물계
미분류 군속씨식물군
미분류 군외떡잎식물군
미분류 군닭의장풀군
벼목
벼과
미분류 군BOP 분지군
아과포아풀아과
하위 분류
브롬풀족 (Bromeae)
네리아풀족 (Nardeae)
멜리카풀족 (Meliceae)
포아풀족 (Poeae)
트리티케움족 (Triticeae)
브라키포디움족 (Brachypodieae)
리투리아나족 (Lythreae)
피데스토풀족 (Phydestoeae)
베네나타족 (Venenatae)

2. 진화 역사

포아풀아과는 후기 에오세에 분화하기 시작했으며, 적응 방산은 올리고세마이오세 동안 특히 활발했다.[2]

3. 계통 분류

계통 분류는 과의 하위 분류, 족, 상족 등의 관계를 보여주는 체계이다. 벼과의 계통 분류[5], 포아풀아과의 계통 분류[6], 2017년 계통 발생 분류[1] 등이 연구되었다.

벼과는 크게 BOP 분지군과 PACMAD 분지군으로 나뉜다. 포아풀아과는 BOP 분지군에 속하며, 벼아과, 대나무아과와 자매군이다.

포아풀아과는 크게 나르두스상족과 핵심 포아풀아과, 보리상족 등으로 나뉜다.

3. 1. 하위 분류


  • 나래새족(Stipeae)
  • 나르두스족(Nardeae)
  • 담상이삭풀족(Brachyelytreae)
  • 리게움족(Lygeeae)
  • 리틀레달레아족(Littledaleae)
  • 보리족(Hordeeae)
  • 브릴키니아족(Brylkinieae)
  • 산기장족(Phaenospermateae)
  • 숲개밀족(Brachypodieae)
  • 쌀새족(Meliceae)
  • 암펠로데스모스족(Ampelodesmeae)
  • 용수염족(Diarrheneae)
  • 참새귀리족(Bromeae)
  • 포아풀족(Poeae)


포아풀아과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6]

{| class="wikitable"

|-

! 포아풀아과

|-

|

{| class="wikitable"

|-

| 담상이삭풀족

|-

|

{| class="wikitable"

|-

! 나르두스상족

|-

|

리게움족
나르두스족



|-

|

{| class="wikitable"

|-

| 산기장족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암펠로데스모스족
나래새족



|-

|

{| class="wikitable"

|-

| 용수염족

|-

! 핵심 포아풀아과

|-

|

{| class="wikitable"

|-

| 숲개밀족

|-

|

{| class="wikitable"

|-

| 포아풀족

|-

! 보리상족

|-

|

{| class="wikitable"

|-

| 리틀레달레아족

|-

|

참새귀리족
보리족



|}

|}

|}

|}

|}

|}

|}

|}

|}

|}

3. 2. 계통도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5]

벼과
아노모클로아아과 C3 (4)
파루스아과 C3 (13)
푸엘리아아과 C3 (11)
BOP 분지군
벼아과 C3 (110)
대나무아과 C3 (1450)
포아풀아과 C3 (3850)
PACMAD 분지군
아리스티다아과 C3 & C4 (350)
기장아과 C3 & C4 (3250)
물대아과 C3 (50)
미크라이라아과 C3 & C4 (200)
꼬인새풀아과 C3 (300)
나도바랭이아과 C3 & C4 (1600)



포아풀아과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6]


3. 2. 1. 영어 문서 기준

2017년 계통 발생 분류에 따른 포아풀아과의 족 관계는 다음과 같으며, 대나무를 자매군으로 표시한다.[1]

포아풀아과
대나무 (Bambusoideae)
Brachyelytreae
Nardodae
Lygeeae
Nardeae
Duthieeae
Phaenospermateae
Melicodae
Brylkinieae
Meliceae
Stipodae
Stipeae
Ampelodesmeae
Diarrheneae
"핵심 포아풀아과"
Brachypodieae
Triticodae
Littledaleae
Bromeae
Triticeae
Poodae
Poeae



엽록체 그룹 1 (Aveninae 유형)
Torreyochloinae
Phalaridinae, Anthoxanthinae, Aveninae
Agrostidinae
Brizinae, Echinopogoninae, Agrostideae, Calothecinae



엽록체 그룹 2 (Poinae 유형)
Coleanthinae
Poodinae
Miliinae, Poinae, Phleinae, Beckmanniinae, Cinninae, Alopecurinae, Ventenatinae
Sesleriinae, Holcinae, Scolochloinae, Airinae, Aristaveninae
Loliodinae
Loliinae, Dactylidinae, Cynosurinae, Parapholiinae, Ammochloinae


참조

[1] 논문 A worldwide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the Poaceae (Gramineae) II: An update and a comparison of two 2015 classifications
[2] 논문 Are diversification rates and chromosome evolution in the temperate grasses (Pooideae) associated with major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Oligocene-Miocene? 2017-09-22
[3] 서적 Flora Hongkongensis
[4] 논문 A worldwide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the Poaceae (Gramineae)
[5] 논문 New grass phylogeny resolves deep evolutionary relationships and discovers C4 origins 2012
[6] 논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