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도민들레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도민들레속(Crepis)은 국화과의 식물 속으로, 북반구와 아프리카에 널리 분포하며, 일부 종은 도입종으로 알려져 있다. 이 속의 식물은 유성 생식과 무성 생식을 통해 번식하며, 꿀벌과 같은 곤충에 의해 수분된다. 일부 종은 아포믹시스라는 무성 생식 방식을 통해 씨앗을 생산하며, 이는 유전적 변이를 증가시키고 분포 범위를 확장하는 데 기여한다. 나도민들레속은 다양한 이차 대사 산물을 함유하며, 일부 종은 식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벵골호랑이
    벵골호랑이는 인도아대륙에서 서식하는 호랑이 아종으로, 노란색~주황색 털과 검은 줄무늬를 가지며, 멧돼지, 사슴 등 우제류를 먹이로 하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제한적인 지역에서 서식한다.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잉어
    잉어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민물고기로, 하천 중류 이하의 진흙 바닥을 선호하며, 길조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요리 재료로 활용되며, 기생충 감염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나도민들레속 - [생물]에 관한 문서
속 정보
Crepis jacquinii
Crepis jacquinii
학명Crepis L.
명명자L.
속씨식물
국화과
아과탄포포아과
탄포포연
약 200종 (본문 참고)

2. 분포

나도민들레속은 북반구와 아프리카 전역에 분포하고[24], 실제로 세계적으로 여러 식물이 도입종으로 알려져 있다.[25] 생물 다양성의 중심은 지중해에 있다.[24] 속명은 평창에서 귀화식물로서 나도민들레를 발견하여 민들레와 비슷하다고 명명하였다.

3. 생태

나비목 애벌레의 먹이 식물로 사용되며, 특히 넓은띠흰나방 애벌레가 ''나도민들레속'' 식물을 먹는다. 파리의 일종인 ''테프리티스 포르모사(Tephritis formosa)''는 이 식물의 두상화서를 공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나도민들레속 식물의 씨앗은 일부 조류 종에게 중요한 먹이가 된다.[4]

4. 생식

나도민들레속(''크레피스'')은 유성 생식 또는 무성 생식으로 번식할 수 있다. 충매화인 나도민들레속은 주로 꿀벌과 같은 일반적인 매개 곤충에 의해 수정된다.[5] 이 속의 종은 교잡을 통해 생존 가능한 씨앗을 생산할 수 있으며, 이 잡종들 중 일부는 부모 종에 따라 자체적으로 번식할 수 있다.[6] 국화과 식물인 나도민들레속의 꽃은 두상화서에 모여 있으며, 꽃잎 모양의 설상화로 둘러싸여 있다. 같은 두상화서 내 꽃 사이의 무성 생식(또는 자가수분)이 이 속에서 관찰되었다.[7]

4. 1. 아포믹시스 (Apomixis)

여러 국화과 속과 마찬가지로, 여러 ''Crepis'' 종은 무성생식의 한 형태인 아포믹시스를 나타내는데, 이는 꽃이 수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클론 씨앗을 생산하는 것이다.[8] 이배체인 유성 생식 개체와는 달리, 아포믹트는 일반적으로 3개 이상의 염색체 세트를 가진 다배체이다.[9] ''Crepis''에서의 아포믹시스의 메커니즘은 배낭에서 감수 분열 동안 이배체 조직이 발생하는 아포스포리이다. 아포스포리를 통해 비 아포믹트 ''Crepis''의 꽃에서 무성 씨앗이 자연적으로 발달할 수 있다.[10]

''Crepis''는 국화과의 치커리족에 속하며, 아포믹시스를 나타내는 해당 족의 여러 속 중 하나이다.[11][12][13] 무성 종의 가장 큰 그룹은 북아메리카에서 발견되며 "북아메리카 ''Crepis'' 무성 복합체"라고 불린다.[8][9] 무성 복합체는 플리오세인 530만 년 전에서 260만 년 전 사이에 처음 나타났을 수 있다.[14] 적어도 하나의 유라시아 ''Crepis'' 종인 ''C. tectorum''은 자가 수분을 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6] 또 다른 무성 복합체가 아시아에 존재한다고 생각된다.[15] 아포믹트를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진 종에는 ''C. acuminata, C. barbigera, C. intermedia,'' 및 ''C. occidentalis''가 포함된다. 다배체 개체는 여전히 유성 생식을 수행하여 유성 자손을 생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다배체 잡종이 형성될 수 있다.[6]

4. 2. 생식 간섭

무성생식 개체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유성생식 개체의 번식을 방해할 수 있다. 다른 치커리과 무성생식 종과 마찬가지로, 배수체 무성생식 개체는 여전히 정상적인 수분 과정을 통해 유성생식 이배체로 전달될 수 있는 생존 가능한 꽃가루를 생성할 수 있다.[16] 무성생식-유성생식 혼합 교배는 배수체 잡종을 생성할 수 있다(무성생식 ''C. barbigera''가 이배체 종 ''C. atribarba''와 교배할 때 관찰된 바와 같다[17]). 이배체에서 종자 결실은 감소할 수 있으며, 꽃가루는 번식할 수 없거나 정상적인 수명을 유지할 수 없는 잡종 종자를 생성할 수 있다.[18] 무성생식 개체의 꽃가루는 또한 이배체 꽃의 꽃가루 발아를 막을 수 있다. 배수체 개체의 꽃가루가 이배체 꽃을 수정할 때, 그 결과로 얻는 종자는 일반적으로 배수체이며, 이는 여러 세대에 걸쳐 이배체 개체군을 감소시킨다.[9]

이러한 생식 간섭의 결과로, 무성생식 개체가 개체군에 진입하면 이배체 식물 간의 유성 생식이 감소한다. 이배체 종은 번식을 위해 꽃가루 교환이 필요하고, 무성생식 개체는 처녀생식으로 씨앗을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무성생식 개체는 혼합된 이배체-배수체 개체군에서 어떠한 생식적 결과도 겪지 않는다. 한편, 유성 생식을 하는 이배체의 생식 성공률은 감소하며, 그 결과 이배체는 무성생식 개체와 격리된 개체군에서 더 자주 발견된다.[9]

4. 3. 진화적 영향

무성생식이 "진화의 막다른 골목"으로 여겨져 왔지만, 무성생식 종과 종 복합체에 대한 연구는 이러한 견해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다른 곳의 치커리과(Cichorieae) 무성생식 분지군들은 유전자 침투 부족으로 인한 멸종 위험을 줄이면서, 성적 생식 방식으로 "되돌아갈" 수 있는 능력을 보여주었다.[8] 나도민들레속(''Crepis'')의 종 분화는 자가수정, 잡종 형성 및 배수체 무성생식체의 형성을 통해 발생했다.[6]

무성생식은 성적 생식으로는 불가능한 방식으로 분포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무성생식 개체는 다른 개체의 유전 물질 투입이 필요 없으며, 따라서 수분 매개체의 도움 없이 성숙 시 씨앗을 생산할 수 있다. 이는 무성생식 개체군이 성적 생식 개체군보다 새로운 지리적 영역으로 더 빠르게 확장될 수 있게 한다. 나도민들레속(''Crepis'')의 무성생식은 여러 배수체 수준을 포함하기 때문에, 새로운 생태계에 적응하기에 충분한 유전적 변이가 존재한다.[19] 또한, 일부 나도민들레속(''Crepis'') 무성생식 종은 다른 무성생식 종과 잡종을 형성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처녀생식과 함께 유전자 재조합이 일어난다.[20]

5. 이용

그리스 크레타섬에서는 ''크레피스 코무타타'' 잎을 γλυκοσυρίδα|글리코시리다grc라고 부르며, 생으로 먹거나 삶거나 찌거나 샐러드에 넣어 먹는다. 같은 섬에 서식하는 다른 두 종인 ''크레피스 베시카리아''는 κοκκινογούλα|코키노굴라grc, λεκανίδα|레카니다grc 또는 πρικούσα|프리쿠사grc로 불리며, μαργιές|마리기스grc 또는 πικρούσες|피크루세스grc라고 불리는 지역 품종의 잎과 부드러운 새싹을 현지인들이 삶아 먹는다.

6. 이차 대사 산물

나도민들레속은 코스투스 락톤형 구아이아놀라이드의 풍부한 공급원이며,[21] 이는 세스퀴테르펜 락톤의 한 종류이다.

나도민들레속에서 발견되는 페놀 화합물에는 루테올린형 플라보노이드, 클로로겐산, 3,5-디카페오일퀴닉산과 같은 카페오일 퀴닌산 유도체가 있다. 또한, 나도민들레속 종은 카페오일 타르타르산 유도체인 카페오일타르타르산과 치코르산을 함유하고 있다.[22]

7. 일부 종


  • 껄껄이풀 (''C. coreana'')
  • 나도민들레 (''C. tectorum'')
  • 갯취아재비 (Crepis gymnopus|la)
  • 두갈래민들레 (Crepis hokkaidoensis|la)
  • 모모이로민들레 (Crepis rubra|la)
  • 애기씀바귀 (Crepis tectorum|la)

나도민들레






''Crepis'' 꽃은 뒤영벌을 유인한다

  • Crepis acuminata|la – tapertip hawksbeard, longleaf hawk's-beard
  • Crepis alpestris|la
  • Crepis alpina|la
  • Crepis aspera|la
  • Crepis atribarba|la – dark hawk's-beard, slender hawk's-beard
  • Crepis aurea|la – golden hawk's-beard
  • Crepis bakeri|la – Baker's hawksbeard
  • Crepis barbigera|la – bearded hawk's-beard
  • Crepis biennis|la – rough hawksbeard
  • Crepis bungei|la
  • Crepis bursifolia|la – Italian hawksbit
  • Crepis capillaris|la – smooth hawksbeard, green crepis
  • Crepis conyzifolia|la
  • Crepis dioscoridis|la
  • Crepis foetida|la – stinking hawksbeard, roadside hawk's-beard
  • Crepis incana|la – pink dandelion
  • Crepis intermedia|la – limestone hawksbeard, small-flower hawk's-beard
  • Crepis kotschyana|la
  • Crepis micrantha|la
  • Crepis modocensis|la – Modoc hawksbeard, Siskiyou hawksbeard
  • Crepis mollis|la – northern hawksbeard
  • Crepis monticola|la – mountain hawksbeard
  • Crepis nicaeensis|la – French hawksbeard, Turkish hawksbeard
  • Crepis occidentalis|la – largeflower hawksbeard, gray hawk's-beard, western hawk's-beard
  • Crepis palaestina|la[23]
  • Crepis paludosa|la – marsh hawksbeard
  • Crepis pannonica|la – pasture hawksbeard
  • Crepis phoenix|la
  • Crepis pleurocarpa|la – nakedstem hawksbeard, naked hawk's-beard
  • Crepis pontana|la
  • Crepis praemorsa|la – leafless hawksbeard
  • Crepis pulchra|la – small-flower hawk's-beard
  • Crepis pygmaea|la – pygmy hawksbeard
  • Crepis pyrenaica|la
  • Crepis rubra|la – red hawksbeard, pink hawk's-beard
  • Crepis runcinata|la – fiddleleaf hawksbeard
  • Crepis sancta|la – holy hawksbeard
  • Crepis setosa|la – bristly hawksbeard
  • Crepis sibirica|la
  • Crepis sodiroi|la
  • Crepis tectorum|la – narrow-leaved hawksbeard
  • Crepis thompsonii|la
  • Crepis vesicaria|la – beaked hawksbeard, dandelion hawk's-beard, weedy hawk's-beard
  • Crepis zacintha|la – striped hawksbeard

참조

[1] 웹사이트 Crepis http://www.efloras.o[...]
[2] 논문 Babcock revisited: New insights into generic delimitation and character evolution in Crepis L. (Compositae: Cichorieae) from ITS and matK sequence data http://d-nb.info/102[...]
[3] 서적 Tephritid Flies (Diptera: Tephritidea). Royal Entomological Society of London
[4] 논문 The influence of livestock management on habitat quality for farmland birds http://www.bsas.org.[...]
[5] 논문 Mating system variation along a successional gradient in the allogamous and colonizing plant Crepis sancta (Asteraceae) 2002-08-21
[6] 논문 Cytogenetics and Speciation in Crepis http://dx.doi.org/10[...] Elsevier 1947
[7] 논문 Differential outcrossing rates in dispersing and non-dispersing achenes in the heterocarpic plant Crepis sancta (Asteraceae) http://dx.doi.org/10[...] 2001-01-01
[8] 논문 The evolution of apomixis in angiosperms: A reappraisal https://www.tandfonl[...] 2012-09-01
[9] 논문 Co-occurrence of related asexual, but not sexual, lineages suggests that reproductive interference limits coexistence 2017-12-06
[10] 논문 Aposporic development in the North American species of Crepis https://doi.org/10.1[...] 1939-05-01
[11] 논문 A Multigene Phylogeny of Native American Hawkweeds (Hieracium Subgen. Chionoracium, Cichorieae, Asteraceae): Origin, Speciation Patterns, and Migration Routes 2022-09-30
[12] 논문 Studies on the cytotaxonomy and mode of reproduction of Leontodon (Compositae) https://www.jstor.or[...] 1973
[13] 논문 Sexual and asexual Taraxacum species http://dx.doi.org/10[...] 1988-10-01
[14] 서적 The American Species of Crepis; Their Interrelationships and Distribution as Affected by Polyploidy and Apomixis Carnegie Institution of Washington Publication
[15] 논문 The evolution of self-fertility inCrepis tectorum (Asteraceae) https://doi.org/10.1[...] 1989-09-01
[16] 논문 Male sterility in triploid dandelions: asexual females vs asexual hermaphrodites 2006-01-01
[17] 논문 Attack of the clones: reproductive interference between sexuals and asexuals in the Crepis agamic complex 2016-09-01
[18] 논문 Morphometric differentiation, patterns of interfertility, and the genetic basis of character evolution inCrepis tectorum (Asteraceae) https://doi.org/10.1[...] 1993-03-01
[19] 논문 Apomixis as a Facilitator of Range Expansion and Diversification in Plants http://dx.doi.org/10[...]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5
[20] 논문 Molecular and morphological evidence for and against gene flow in sympatric apomicts of the North American Crepis agamic complex (Asteraceae) http://www.nrcresear[...] 2008-08-01
[21] 논문 Sesquiterpene lactones and their precursors as chemosystematic markers in the tribe Cichorieae of the Asteraceae
[22] 논문 Phenolics as chemosystematic markers in and for the genus Crepis (Asteraceae, Cichorieae)
[23] 웹사이트 Crepis palaestina (Boiss.) Bornm. | Plants of the World Online | Kew Science https://powo.science[...]
[24] 저널 http://d-nb.info/102[...]
[25] 웹사이트 Crepis http://www.efloras.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