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시리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시리야는 이라크 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사막 기후를 보이며, 1872년 건설되었다. 오스만 제국 시대에는 무역 중심지였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중 영국군에 점령되었다. 1991년 걸프 전쟁과 2003년 이라크 전쟁 당시 격전지였으며, 2003년에는 이탈리아 군인 등이 사망하는 폭탄 테러가 발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나시리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ٱلنَّاصِرِيَّة (아랍어) |
다른 이름 | Nassiriya Nasiriya |
별칭 | 없음 |
위치 | 이라크 디카르 주 |
설립 | 1872년 |
도시 유형 | 도시 |
해당 지역 | 나시리야 지구 |
좌표 | 31°02′38″N 46°15′27″E |
이미지 | |
![]() | |
![]() | |
![]() | |
![]() | |
![]() | |
![]() | |
![]() | |
행정 | |
국가 | 이라크 |
주 | 디카르 주 |
지구 | 나시리야 지구 |
정부 유형 | 불명 |
리더 직함 | 불명 |
리더 이름 | 불명 |
면적 | |
총 면적 | 불명 |
토지 면적 | 불명 |
수면 면적 | 불명 |
도시 면적 | 불명 |
광역 도시권 면적 | 불명 |
인구 | |
추정 인구 (2018년) | 558,446명 |
기타 정보 | |
시간대 | 불명 |
UTC 오프셋 | 불명 |
우편 번호 유형 | 불명 |
우편 번호 | 불명 |
지역 코드 | 불명 |
웹사이트 | 불명 |
2. 기후
나시리야는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사막 기후(''BWh'')에 속하며, 온화한 겨울과 매우 더운 여름을 특징으로 한다. 연평균 기온은 25°C이며, 강수량은 매우 적고 여름에는 거의 비가 내리지 않는다.[8]
나시리야의 연간 강수량은 127.7mm이며, 강수일수는 42일이다. 여름에는 겨울보다 건조하며, 7월과 8월에는 강수량이 전혀 없다. 가장 강수량이 많고 강수일수가 많은 달은 1월이며, 평균 27.4mm의 강수량을 기록하고 강수일수는 7일이다.[8]
2. 1. 상세 기후 데이터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Celsius|섭씨영어) | 18.2°C | 21.2°C | 26.8°C | 33°C | 39.6°C | 44.2°C | 46.7°C | 46.5°C | 43°C | 36.4°C | 26.3°C | 20.1°C | 33.5°C |
평균 기온 (Celsius|섭씨영어) | 12.3°C | 15.1°C | 20.1°C | 25.9°C | 32.5°C | 36.7°C | 37.9°C | 38.2°C | 34.4°C | 28.3°C | 19.4°C | 13.9°C | 26.8°C |
평균 최저 기온 (Celsius|섭씨영어) | 6.9°C | 8.9°C | 13.5°C | 18.9°C | 24.7°C | 27.7°C | 29.5°C | 29.2°C | 25.7°C | 20.7°C | 13.3°C | 8.6°C | 19°C |
월 강수량 (mm) | 21.4mm | 14.7mm | 19.5mm | 15mm | 3.3mm | 0mm | 0mm | 0mm | 0.9mm | 7.3mm | 22.6mm | 21.9mm | 126.6mm |
평균 상대 습도 (%) | 65.8 | 56.7 | 46.4 | 39.4 | 28.0 | 20.6 | 19.6 | 21.3 | 25.5 | 36.3 | 54.0 | 64.6 | 39.8 |
출처: NOAA[3] |
3. 역사
나시리야는 19세기 후반 오스만 제국 시대부터 현대 이라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역사를 지니고 있다.3. 1. 오스만 제국 시대
나시리야는 1872년 몬타피크 부족 연합의 족장인 나시르 알사둔 파샤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도시 이름도 그의 이름에서 따왔다.[1][2] 같은 해 나시리야는 몬타피크 산자크(행정 구역)의 중심지가 되었다.[1] 나시르 파샤는 수니파 무슬림 알사둔 씨족의 수장이었는데, 이 씨족은 대부분 시아파 무슬림인 몬타피크 부족의 지배 가문이었다. 나시리야가 건설될 당시 바스라 주(이라크 남부)에서 몬타피크의 권력은 오스만 제국의 중앙 집권화에 밀리고 있었다. 그러나 나시르 파샤는 오스만 제국에 의해 주의 수장으로 임명되었고, 나시리야 주변의 광대한 토지를 자신의 명의로 등록했다.[1][2] 그의 아들인 사둔 파샤는 나시리야의 무타사리프(세금 징수관)가 되었고, 1908년에는 청년 투르크 혁명을 적극 지지하여 오스만 제국의 환심을 사, 사실상 이라크 남부를 통치했다.[2]
나시리야는 오스만 제국 시대 이라크의 주요 무역 중심지였으며, 바그다드와 바스라와의 무역을 통해 외국 상품을 수입했다. 나시리야에서 생산되는 주요 상품으로는 가죽, 곡물, 버터(ghee)가 있었다. 도시에는 약 600채의 잘 지어진 돌집이 있었지만, 대부분의 건물과 주택은 진흙 벽돌로 지어졌다. 나시리야에는 약 350개의 상점과 5개의 칸(여관)이 있었다. 도시 주변 지역에는 야자수와 곡물밭이 풍부했다. 다른 주요 행정 중심지와 달리 도시는 성벽으로 보호되지 않았다. 몬타피크 지구의 행정 기능 외에도, 나시리야는 일반적으로 유목민 지역에 있는 정부의 전초 기지이자 정착지 역할을 했으며, 이 지역은 지역 베두인 부족이 지배하고 있었다.[3]
3. 2. 영국 위임통치령 시대와 이라크 왕국
제1차 세계 대전 중인 1915년 7월, 영국은 당시 오스만 제국이 지배하던 이 도시를 정복했습니다(나시리야 전투). 1915년 7월 24일 나시리야 전투에서 영국군과 인도군 약 400명과 터키군 최대 2,000명이 사망했습니다.[4]
1920년 나시리야의 인구는 6,523명이었습니다. 인구 구성은 아랍계 무슬림 72.7%, 유대인 8%, 만다인 9.7%, 페르시아인 4.6%, 루르족 4.3%였으며, 그 외 기독교인, 터키인, 인도인이 거주했습니다.[2]
1930년대 유수프 살만 유수프("파드"로 알려짐)에 의해 나시리야에서 이라크 공산당의 첫 번째 세포가 설립되었습니다. 또한 1950년대 이라크 바스당을 설립한 후아드 알리카비의 고향이기도 합니다. 당시 이라크 바스당은 주로 나시리야 출신, 즉 리카비의 친척과 동료들로 구성되었습니다.
3. 3. 걸프 전쟁과 이라크 전쟁
1991년 걸프 전쟁 당시 나시리야는 연합군이 이라크로 진입하는 최대 거점 중 하나였으며, 미군 제82공수사단과 제101공수사단 일부가 도시 외곽의 주요 도로까지 진출했다. 1991년 3월, 전쟁이 끝난 후 미군이 철수하자 나시리야의 시아파 주민들은 사담 후세인의 통치에 반대하는 1991년 이라크 봉기에 참여했다. 그러나 이 봉기는 이라크군에 의해 잔혹하게 진압되었고, 많은 사상자와 물적 피해가 발생했으며, 이라크 정부군에 의해 많은 주민들이 학살당했다.[4]
2003년 이라크 전쟁 초기, 나시리야는 미국의 이라크 침공에 맞선 주요 격전지 중 하나였다. 2003년 3월, 미군 침공 부대는 이 도시 근처에서 매복 공격을 받아 11명의 미군 병사가 사망하고 제시카 린치 일병 등 여러 명이 전쟁 포로로 잡혔다. 미 해병대 제2 해병 원정 여단과 이라크군 사이에 벌어진 나시리야 전투는 3월 23일부터 29일까지 약 일주일간 지속되었으며, 이 전투에서 해병대원 18명이 사망하고 150명 이상이 부상당했다.[6]
사담 후세인 축출 이후, 나시리야는 비교적 평온한 상태를 유지했다. 그러나 2003년 11월에는 2003년 나시리야 폭탄 테러로 이탈리아 군인 18명과 민간인 11명이 사망했고, 2004년 4월에도 충돌이 발생했다.
4. 종교
2003년 이라크 전쟁 이전까지 나시리야는 이라크에서 가장 큰 만다인 공동체 중 하나의 터전이었다.[5] 나시리야의 만다인들은 주로 유프라테스강 북쪽 기슭에 있는 "수바 지역"(منطقة الصابئة|사비안 지대ar)에 살았다.[5]
5. 한국과의 관계
요약이 주어지지 않았고, 원본 소스에 '한국과의 관계'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을 찾을 수 없으므로, 본문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Major Cities
http://www.citypopul[...]
[2]
서적
World War I: encyclopedia
Field Museum of Natural History
1940
[3]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 Nasiriya
https://www.nodc.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4-01-01
[4]
서적
World War I: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09-09-13
[5]
Youtube
Mandaean community in Nasiriyah
https://www.youtube.[...]
[6]
웹사이트
Marine captain faulted in friendly fire incident – CNN.com
http://edition.cnn.c[...]
2008-03-24
[7]
웹사이트
ブリタニカ国際大百科事典 小項目事典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2-09
[8]
웹인용
World Weather Information Service - Nasiriya
http://worldweather.[...]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13-06-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