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날도마뱀붙이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날도마뱀붙이속(Ptychozoon)은 도마뱀붙이과에 속하는 한 속으로, 현재까지 12종이 등록되어 있다. 이 속의 종들은 낙하산 도마뱀붙이 또는 활강 도마뱀붙이로 불리기도 하며, 다양한 지역에 분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요한 콘라트 판 하설트가 명명한 분류군 - 리놉테라속
    리놉테라속은 열대 및 온대 해역 대륙붕에 서식하며 튼튼한 턱과 이빨로 단단한 껍데기를 가진 무척추동물을 먹고 난태생으로 번식하는 매가오리과의 유일한 속 분류군으로, 꼬리에 독침을 가지고 있으며 집단으로 이동하는 습성이 있고 일부 종은 식용으로 이용된다.
  • 요한 콘라트 판 하설트가 명명한 분류군 - 시아미스 알지이터
    시아미즈 알지이터는 수족관 내 조류 제거에 효과적인 물고기로, 검은색 가로 줄무늬가 있는 가늘고 긴 몸을 가지며 붉은 이끼를 포함한 다양한 음식을 섭취하고, 적절한 수질 환경에서 다른 물고기들과 함께 기를 수 있다.
  • 활공동물 - 날치과
    날치과는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해역에 서식하며, 가슴지느러미를 이용하여 물 밖으로 튀어 올라 활공하는 특징을 가진 물고기 분류군으로, 식용 어업 대상종이자 바베이도스의 국가 상징으로서 문화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 활공동물 - 날다람쥐족
    날다람쥐족은 다람쥐과에 속하며 피막과 꼬리를 이용해 활공하는 설치류로, 작은 연골 손목뼈로 활공 방향과 속도를 조절하며, 서식지 파괴와 환경오염으로 멸종 위기에 처한 종도 있는 전 세계 약 45종의 동물이다.
  • 하인리히 쿨이 명명한 분류군 - 긴가락박쥐
    긴가락박쥐(*Miniopterus schreibersii*)는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오세아니아에 널리 분포하며 11개의 아종이 있고, 한반도에는 중국긴가락박쥐(*M. s. chinensis*) 아종이 서식하며, 동굴이나 폐광에서 곤충을 먹고, IUCN에 의해 취약종으로 분류되어 서식지 파괴와 농약 사용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 하인리히 쿨이 명명한 분류군 - 쿨집박쥐
    쿨집박쥐는 1817년 하인리히 쿨이 처음 기재했으며, 종명 kuhlii는 쿨을 기리기 위해 요한 나테러가 붙였다.
날도마뱀붙이속
기본 정보
학명Ptychozoon
명명자쿨(:en:Kuhl) & 하셀트(:en:van Hasselt), 1822
날도마뱀붙이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
파충류
뱀목
아목도마뱀붙이하목
도마뱀붙이과
날도마뱀붙이속
참고 자료
참고''

2. 종

현재 날도마뱀붙이속에는 13종이 속해있다.[6][3] 각 종의 학명과 일반명은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1. 하위 종 목록

학명일반명
Ptychozoon bannaense바나 날도마뱀붙이
Ptychozoon cicakterbang말레이시아 날도마뱀붙이
Ptychozoon horsfieldii호르스필드의 날도마뱀붙이, 호르스필드의 낙하산 도마뱀붙이
Ptychozoon intermedium중간 날도마뱀붙이, 필리핀 낙하산 도마뱀붙이
Ptychozoon kabkaebin라오스 낙하산 도마뱀붙이
Ptychozoon kaengkrachanense캉 크라찬 날도마뱀붙이
Ptychozoon kuhli쿨의 날도마뱀붙이, 쿨의 낙하산 도마뱀붙이
Ptychozoon lionotum매끄러운 등 활강 도마뱀붙이, 매끄러운 등 날도마뱀붙이, 버마 날도마뱀붙이, 버마 낙하산 도마뱀붙이
Ptychozoon nicobarensis니코바르 활강 도마뱀붙이
Ptychozoon popaense팝산 날도마뱀붙이
Ptychozoon rhacophorus사바 날도마뱀붙이
Ptychozoon tokehos캄보디아 낙하산 도마뱀붙이
Ptychozoon trinotaterra



주의사항: 삽입어구의 이명 명명자는 원래 해당 종을 날도마뱀붙이속(''Ptychozoon'')과는 다른 속에 속한 것으로 기술했을지도 모른다.[6]

2. 2. 이명법

하술할 종들이 정식으로 등록되어있다.[6]

학명명명자일반명
Ptychozoon bannaenseY. Wang영어, J. Wang영어 & Liu영어, 2016바나 날도마뱀붙이
Ptychozoon cicakterbangGrismer, Wood, Grismer, Quah, Thy, Phimmachak, Sivongxay, Seateun, Stuart, Siler, Mulcahy, Anamza, & Brown, 2019말레이시아 날도마뱀붙이
Ptychozoon horsfieldii(Gray영어, 1827)호르스필드의 날도마뱀붙이, 호르스필드의 낙하산 도마뱀붙이
Ptychozoon intermediumTaylor영어, 1915중간 날도마뱀붙이, 필리핀 낙하산 도마뱀붙이
Ptychozoon kabkaebinGrismer, Wood, Grismer, Quah, Thy, Phimmachak, Sivongxay, Seateun, Stuart, Siler, Mulcahy, Anamza, & Brown, 2019라오스 낙하산 도마뱀붙이
Ptychozoon kaengkrachanenseSumontha영어, Pauwels프랑스어, Kunya영어, Limlikhitaksorn영어, Ruksue영어, Taokratok영어, Ansermet영어 & Chanhome영어, 2012캉 크라찬 날도마뱀붙이
Ptychozoon kuhliStejneger영어, 1902쿨의 날도마뱀붙이, 쿨의 낙하산 도마뱀붙이
Ptychozoon lionotumAnnandale영어, 1905매끄러운 등 활강 도마뱀붙이, 매끄러운 등 날도마뱀붙이, 버마 날도마뱀붙이, 버마 낙하산 도마뱀붙이
Ptychozoon nicobarensisDas프랑스어 & Vijayakumar영어, 2009니코바르 활강 도마뱀붙이
Ptychozoon popaenseGrismer, Wood, Thura, M. Grismer, Brown, & Stuart, 2018팝산 날도마뱀붙이
Ptychozoon rhacophorus(Boulenger영어, 1899)사바 날도마뱀붙이
Ptychozoon tokehosGrismer, Wood, Grismer, Quah, Thy, Phimmachak, Sivongxay, Seateun, Stuart, Siler, Mulcahy, Anamza, & Brown, 2019캄보디아 낙하산 도마뱀붙이
Ptychozoon trinotaterraR.M. Brown프랑스어, 1999



''참고'': 괄호 안에 있는 이명은 해당 종이 원래 ''날도마뱀붙이속''이 아닌 다른 속에 속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3]

참조

[1] 서적 Amphibians & Reptiles of Mount Kinabalu (North Borneo). A.R.G. 2002
[2] 논문 Evolution of gliding in Southeast Asian geckos and other vertebrates is temporally congruent with dipterocarp forest development 2012-12
[3] 웹사이트 Ptychozoon www.reptile-database[...]
[4] 서적 Amphibians & Reptiles of Mount Kinabalu (North Borneo). A.R.G. 2002
[5] 저널 Evolution of gliding in Southeast Asian geckos and other vertebrates is temporally congruent with dipterocarp forest development 2012-12
[6] 웹사이트 Ptychozoon www.reptile-databas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