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바소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바소닉은 1999년 넥스트의 김세황, 김영석, 이수용과 패닉의 김진표가 결성한 대한민국의 랩코어, 뉴 메탈 밴드이다. 3장의 정규 앨범을 발표하고 김진표가 탈퇴한 후 이현섭을 영입하여 4집을 발매했으나 활동을 중단했다. 2006년에는 넥스트 멤버들이 다시 넥스트에 합류하고, 이현섭은 솔로 활동을 시작했다. 2009년 김영석이 밴드 활동 재개를 선언하고 이현섭, NieN, 이수용, DJ 렉스로 구성된 5집 《Metamorphosis》를 2010년에 발매했다. 노바소닉은 헤비 메탈 사운드와 김진표의 랩이 혼합된 음악 스타일을 선보였으며, 1999년 데뷔 앨범은 한국 메이저 음악 시장에서 첫 뉴 메탈 앨범으로 기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누 메탈 밴드 - N.EX.T
N.EX.T는 1992년 신해철을 중심으로 결성되어 테크노와 록을 결합한 음악을 선보이며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담은 앨범을 발표했으며, 1997년 해체 후 재결성하여 활동하다가 신해철의 사망으로 활동이 불투명해진 대한민국의 록 밴드이다. - 대한민국의 누 메탈 밴드 - 피아 (음악 그룹)
피아는 1998년에 결성된 5인조 록 밴드로, 1999년 부산 MBC 록 페스티벌 대상을 수상하고 2001년 데뷔 앨범을 발매했으며, 서태지 컴퍼니와 계약 후 다양한 활동을 펼치다 2012년 KBS2 TOP밴드 2에서 우승했다. - 랩 메탈 밴드 - 바이오해저드 (밴드)
바이오해저드는 1987년 결성된 밴드로, 하드코어 펑크, 랩 메탈 등 다양한 장르를 결합한 음악 스타일을 선보이며 2004년 해체 후 재결합하여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 랩 메탈 밴드 - P.O.D.
1992년 결성된 미국의 록 밴드 P.O.D.는 랩 메탈로 시작해 누 메탈, 레게, 얼터너티브 메탈 등 다양한 장르를 혼합한 음악 스타일과 "Alive", "Youth of the Nation" 등의 히트곡으로 인기를 얻으며, 멤버 교체에도 불구하고 소니 산도발, 우브 베르나르도, 마르코스 쿠리엘, 트라 다니엘스를 중심으로 꾸준히 활동하고 있다.
노바소닉 | |
---|---|
기본 정보 | |
이름 | 노바소닉 |
영문 이름 | NovaSonic |
국가 | 대한민국 |
활동 시기 | 1999년 ~ 2003년, 2009년 ~ 현재 |
장르 | 랩 메탈 뉴 메탈 헤비 메탈 인더스트리얼 메탈 |
구성원 | |
현재 구성원 | 이현섭 (리드 보컬) NieN (기타) 김영석 (베이스) 이수용 (드럼) |
이전 구성원 | 김진표 (리드 보컬, 1999년 ~ 2002년) 김세황 (기타, 1999년 ~ 2005년) DJ 렉스 (DJ) |
2. 간략한 역사
1999년 넥스트의 멤버였던 김세황, 김영석, 이수용은 패닉의 김진표와 함께 노바소닉을 결성하였다. 3장의 정규 앨범을 발표한 후, 2002년 김진표가 건강상의 문제로 탈퇴하고 2003년 이현섭을 영입하여 4집을 발표하였으나 오래 가지 못하고 활동을 중단하였다. 2006년 김세황, 김영석, 이수용은 다시 넥스트에 합류하였고, 이현섭은 솔로로 활동하였다. 2009년 베이시스트 김영석을 중심으로 밴드 활동을 재개하여 2010년 5집을 발매했다.
2. 1. 결성 및 초기 활동 (1999년 ~ 2002년)
1997년 당시 한국 록신을 이끌던 넥스트가 전격 해체되면서, 영국으로 유학을 떠난 신해철을 제외한 넥스트의 나머지 3명의 멤버, 김세황, 김영석, 이수용은 본격적인 솔로 활동을 하고 있던 패닉의 김진표와 함께 1999년에 노바소닉을 결성한다.[1]2002년 김진표는 건강상의 문제로 노바소닉에서 탈퇴한다.[1]
2. 2. 멤버 교체 및 활동 중단 (2002년 ~ 2009년)
2002년 김진표가 건강상의 문제로 탈퇴하고, 2003년 자체 오디션을 통해 이현섭을 새 보컬로 발탁함과 동시에 4집을 발표하며 음악적인 변화를 모색했으나 오래 가지 못하고 활동을 중단했다.[1] 2006년 김세황, 김영석, 이수용은 다시 넥스트에 합류했고, 이현섭은 발리에서 생긴 일 OST에 참여한 후 2007년 솔로 앨범을 발매했다.[1]2009년 11월, 밴드의 리더인 베이시스트 김영석이 밴드 활동 재개를 선언했다.[1]
2. 3. 활동 재개 및 현재 (2009년 ~ 현재)
2009년 11월, 밴드의 리더인 베이시스트 김영석이 밴드 활동 재개를 선언했고, 보컬 이현섭, T.O Band의 기타리스트였던 NieN(본명 정구현), 드럼 이수용, DJ 렉스가 합류하였다. 이들은 5집이자 밴드 창단 10주년 기념 앨범인 metamorphosis를 2010년에 발매했는데, 이는 그동안의 노바소닉 음악과는 다른 새로운 색깔을 담고 있었다.3. 음악 스타일
노바소닉은 김세황, 김영석, 이수용의 강력한 헤비 메탈 사운드와 김진표의 공격적인 랩이 혼합된 랩코어, 뉴 메탈 음악을 선보였다. 1999년 데뷔 앨범은 대한민국 메이저 음악 시장에서 최초의 뉴 메탈 앨범으로 기록된다.[1] 가사는 돈이면 다 된다는 생각, 부모의 억압, 개인의 소외 등 세기말 대한민국의 상황을 묘사했고, 김진표의 랩이 이를 뒷받침했다. 연주 면에서는 미국의 뉴 메탈 밴드와 달리 정통 헤비 메탈 사운드를 고수했다.
3. 1. 초기 (김진표 활동 시기)
김진표가 활동하던 당시 노바소닉은 김세황, 김영석, 이수용의 강력한 헤비 메탈 사운드와 김진표의 공격적인 랩이 혼재된 랩코어, 뉴 메탈 성향의 음악들을 발표하였다. 1999년에 발매된 데뷔 앨범은 대한민국의 메이저 음악시장에서의 첫 뉴 메탈 앨범으로 기록되어 있다.[1]가사 내용은 세기말의 대한민국 상황을 잘 묘사한 것으로 평가된다. 돈이면 다 된다는 물질만능주의, 부모의 억압, 개인의 소외가 주요 주제였으며, 김진표의 공격적이고 박력있는 랩이 가사 내용을 풍부하게 살려주었다.
연주 부분에 있어서 노바소닉은 미국의 뉴 메탈 밴드들과는 다르게 정통 헤비 메탈 사운드를 고수하였으며, 퓨전 장르적인 요소도 많이 쓰이지 않았다.
4. 음반
;정규 음반
- 《NOVASONIC》
- 《NOVASONIC 二 》
- 《NOVASONIC 3》
- 《Han》
- 《Metamorphosis》
;비정규 음반
- 《1999-2002 Remastering》
4. 1. 정규 음반
- 《NOVASONIC》 (1999년 5월): 한국 메이저 음반시장에서의 첫 뉴 메탈 앨범이다.
- 《NOVASONIC 二 》 (2000년 8월)
- 《NOVASONIC 3》 (2001년 11월): 정통 헤비 메탈적인 모습에서 하드 록으로의 음악적 변화가 보이는 앨범.
- 《Han》 (2003년 3월): 새로 영입한 보컬 이현섭이 참여.
- 《Metamorphosis》 (2010년 3월): 7년 만에 발매한 5번째 정규앨범이자 결성 10주년 기념작품.
4. 2. 비정규 음반
5. 주요 인기곡
- 〈태양의 나라〉: 1집 수록곡이다. 노바소닉의 첫 노래로, 노바소닉 음악 스타일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강렬한 기타 사운드와 함께 김진표의 랩과 김세황의 배킹 보컬이 잘 어우러진 노래이다.
- 〈또다른 진심〉: '마지막 편지... 그것조차 거짓'의 두 번째 파트로 1집 수록곡이다. 김진표의 강렬하게 내지르는 보컬이 인상적이며, 당시 유행했던 댄스 게임인 펌프 잇 업에 수록되어 큰 인기를 얻었다.
- 〈Slam (Video Killed The Radio Star)〉: 2집 수록곡으로 버글스의 'Video Killed The Radio Star'를 부분 차용하였다. 경쾌한 분위기가 인상적이다. 펌프 잇 업에도 수록되어 있다.
- 〈나쁜 여자〉: 3집 수록곡이다. 사랑의 과정과 절망에 대한 노바소닉적인 해석을 보여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